KR20240011484A -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 Google Patents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84A
KR20240011484A KR1020220088976A KR20220088976A KR20240011484A KR 20240011484 A KR20240011484 A KR 20240011484A KR 1020220088976 A KR1020220088976 A KR 1020220088976A KR 20220088976 A KR20220088976 A KR 20220088976A KR 20240011484 A KR20240011484 A KR 2024001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cover plate
pla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385B1 (ko
Inventor
김진곤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진곤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곤, 김범준 filed Critical 김진곤
Priority to KR102022008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85B1/ko
Publication of KR2024001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 상부를 덮는 덮개판 하부에서 덮개판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4개의 고정블록이 구비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블록을 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건설 현장에서 슬래브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는 슬래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임시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 상부를 덮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 하부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개구부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4개의 고정블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Cover for slab opening}
본 발명은 개구부 상부를 덮는 덮개판 하부에서 덮개판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4개의 고정블록이 구비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블록을 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건설 현장에서 슬래브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에 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는 각종 건축 자재를 층간 이동시키기 위해 슬래브에 자재 인양구를 형성하거나 입상 배관 관통을 위해 슬래브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등 슬래브에 각종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그대로 방치할 경우 작업자나 장비가 추락될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구부 덮개로 덮어 개구부를 막아야 한다.
일반적인 개구부 덮개는 메탈망과 사각 프레임을 적절하게 조립하여 구성된다(등록실용신안 제20-038598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92285호 등).
그러나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슬래브 개구부는 개소마다 크기가 다르므로, 슬래브 개구부 형성 후 개구부 크기를 실측하여 개구부 덮개를 맞춤 제작한다.
따라서 각 개구부의 크기에 맞게 앵글과 메탈망을 절단하고 용접하여 개구부 덮개를 제작하므로, 제작 효율이 떨어지고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각 개구부는 크기가 다양하다. 그러므로 일단 제작되어 사용된 개구부 덮개는 사용 완료 후 다른 개구부에 전용하기 어려워 폐기 처분하거나 고철로 처리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개구부 덮개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0-0116007호는 덮개판의 각 변 중앙 측에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브라켓을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고정브라켓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고정브라켓이 각 변 중앙 측에 구비되어 개구부의 각 변 중앙을 1점 지지하므로 개구부 덮개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덮개판에 4조의 슬라이딩 장공이 덮개판 중앙을 기준으로 +자형으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인접하는 조의 슬라이딩 장공 간 간격이 가까워 상부 하중 재하 시 덮개판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는 개구부의 가로세로 길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덮개판에 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장공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므로 덮개판을 평판으로만 구성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슬래브에 형성되는 각종 개구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슬래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임시 폐쇄하기 위한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 상부를 덮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 하부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개구부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4개의 고정블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에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에는 상기 제1장공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2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블록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블록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공은 고정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은 마루부와 골부가 반복되도록 절곡된 절곡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덮개판의 마루부 하부 공간에는 지지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은 복수의 유닛판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의 단부에는 덮개판 측 측면이 개방되어 덮개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부보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단부보강바의 외측면은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단부보강바는 덮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외측 단부에서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측판, 상기 경사측판의 상단에서 내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덮개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 상부를 덮는 덮개판 하부에서 덮개판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4개의 고정블록이 구비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설 현장에서 슬래브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블록을 전후 및/또는 좌우 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슬래브 개구부를 덮개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각 고정블록이 개구부에 삽입되어 대응되는 개구부의 모서리에 밀착 지지되므로, 전후 좌우 2방향뿐 아니라 회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와 슬래브 개구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덮개판과 고정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슬래브 개구부에 설치된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4는 고정블록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절곡 강판인 덮개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지지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유닛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덮개판과 단부보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단부보강바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덮개판과 단부보강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와 슬래브 개구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덮개판과 고정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슬래브 개구부에 설치된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는 슬래브(1)에 형성된 개구부(11)를 임시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11)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11) 상부를 덮는 덮개판(3); 및 상기 덮개판(3) 하부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개구부(11)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4개의 고정블록(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슬래브(1)에 형성되는 각종 개구부(11)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2)는 건설 현장에서 슬래브(1)에 형성되는 각종 개구부(11)를 덮어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판(3)과 고정블록(4)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판(3)은 개구부(11)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11)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덮개판(3)은 개구부(11)보다 가로 및 세로 폭이 크게 형성되어 외곽부가 개구부(11) 주변 슬래브(1) 상면에 거치된다.
상기 고정블록(4)은 덮개판(3) 하부의 각 모서리 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블록(4)은 덮개판(3)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후 및 좌우의 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블록(4)은 덮개판(3)의 하부 네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대응되는 개구부(11)의 네 모서리에 밀착된다(도 3).
따라서 상기 개구부(11)의 크기에 따라 고정블록(4)을 전후 및/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고정블록(4)의 위치를 고정하고, 각 고정블록(4)이 개구부(11) 내로 삽입되어 개구부(11)의 각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덮개(2)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블록(4)은 서로 직교하도록 인접한 2면이 개구부(11)의 모서리 측 2면에 각각 밀착되어 2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도 2).
상기 4개의 고정블록(4)은 개구부(11)의 각 모서리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러므로 전후 좌우 2방향뿐 아니라 회전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덮개(2)를 개구부(11)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3)에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1장공(30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에는 상기 제1장공(3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2장공(40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장공(301)과 제2장공(40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5)에 의해 고정블록(4)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4)을 전후 및 좌우 2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덮개판(3)과 고정블록(4)에는 각각 제1장공(301)과 제2장공(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공(301)과 제2장공(401)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4)은 제1장공(301)과 제2장공(40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5)에 의해 덮개판(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위치가 2방향으로 조절된다.
상기 고정블록(4)의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고정볼트(5)가 느슨하게 가조임된 상태에서 개구부(11)의 크기에 맞춰 고정블록(4)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후, 고정볼트(5)를 본조임하여 고정블록(4)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볼트(5)로 고정블록(4)을 덮개판(3)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4)에 구비되는 제2장공(401)은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이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제2장공(401)마다 고정볼트(5)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록(4)을 2점에서 고정볼트(5)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블록(4)을 덮개판(3)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다양한 범위의 개구부(11)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장공(301)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고정블록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4)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공(401)은 고정블록(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4)과 개구부(11)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고정블록(4)을 경량화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4)은 내부가 빈 박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장공(401)은 고정블록(4)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장공(401)을 통해 고정볼트(5)를 체결하기 위해 고정블록(4)의 하부는 개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블록(4)은 제2장공(40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상판(41)과 상기 상판(41)의 각 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4개의 측판(4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장공(401)이 한 쌍 구비되는 경우, 상판(41)의 중앙 즉, 한 쌍의 제2장공(401) 사이 하부에 중간지지판(43)을 설치하여 고정블록(4)을 보강할 수 있다.
도 5는 절곡 강판인 덮개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3)은 마루부(31)와 골부(32)가 반복되도록 절곡된 절곡 강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3)은 평판인 강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개구부(11)의 면적이 커지면 하중 작용 시 덮개판(3)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덮개판(3)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판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강재량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덮개(2)의 전체 중량이 많이 증가해 작업자 취급이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덮개(2)를 경량화하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강판을 절곡한 절곡 강판으로 덮개판(3)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판(3)은 강판을 마루부(31)와 골부(32)가 반복되도록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반복 절곡하여 절곡 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종래 공개특허 제10-2010-0116007호 등은 슬라이딩 구멍이 덮개판에 2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절곡 강판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만 장공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성 있는 자재에 적용할 수 없었다.
반면,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3)에 형성되는 장공이 마루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만 형성되면 되므로 방향성 있는 절곡 강판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덮개판(3)이 절곡 강판으로 형성된 경우, 제1장공(301)은 마루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부(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루부(31)의 폭은 작업자 발이 빠지지 않도록 골부(32)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지지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4)이 결합되는 덮개판(3)의 마루부(31) 하부 공간에는 지지블록(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3)이 절곡 강판으로 형성된 경우, 제1장공(301)은 덮개판(3)의 마루부(31)에 형성되어 고정볼트(5)의 헤드가 마루부(31)의 상면에 걸리고, 고정블록(4)은 덮개판(3)의 하부에서 덮개판(3)의 골부(32) 하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5)가 마루부(31)와 고정블록(4)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블록(4)의 상판(41) 하면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볼트(5)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루부(31)와 골부(32)의 높이 차이만큼 공간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4)이 양측 골부(32) 하면에 지지되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고정블록(4)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 골부(32)에만 고정블록(4)이 지지되면, 편심 발생으로 인해 고정볼트(5) 조임 시 고정블록(4)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록(4)이 결합되는 덮개판(3)의 마루부(31) 하부 공간에 고정블록(4)을 지지하도록 지지블록(6)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6)은 마루부(31) 하부의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블록(6)의 하면은 골부(32)의 하면과 일치시켜 골부(32)의 하면과 지지블록(6)이 동시에 고정블록(4)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유닛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3)은 복수의 유닛판(3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의 폭이 고정블록(4)의 가변 폭 이상인 경우에도 덮개판(3)의 폭을 가변하여 다양한 폭의 개구부(11)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덮개판(3)은 복수의 유닛판(30)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판(30)은 마루부(31)와 골부(32)가 교대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갖는다.
상기 개구부(11)의 폭에 따라 적절한 수의 유닛판(3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덮개판(3)을 구성할 수 있다.
인접하는 유닛판(30)은 단부 측 골부(32)가 서로 중첩되도록 횡방향으로 이음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덮개판과 단부보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3)의 단부에는 덮개판(3) 측 측면이 개방되어 덮개판(3)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부보강바(7)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유닛판(30)을 조립하여 덮개판(3)을 형성하는 경우, 이웃하는 유닛판(30)들은 점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고정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유닛판(30)의 분해 및 재조립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웃하는 유닛판(30)들을 서로 직접 고정하지 않고도 상호 일체화할 수 있도록 덮개판(3)의 측면에 단부보강바(7)를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부보강바(7)는 일측이 개방되어 복수의 유닛판(30)이 조립된 덮개판(3)의 길이 방향 단부가 단부보강바(7)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단일판으로 연속된 덮개판(3)의 폭 방향 단부 역시 절곡된 강판의 단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단부보강바(7)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부보강바(7)는 덮개판(3)의 각 변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단부보강바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덮개판과 단부보강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보강바(7)의 외측면은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3)을 절곡 강판으로 형성하는 경우, 덮개판(3)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작업자 통행 시 덮개판(3)의 단부에 발이 걸려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부보강바(7)의 외측면을 예각 즉, 덮개판(3)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급격한 높이 변화로 인한 작업자의 발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부보강바(7)는 덮개판(3)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판(71), 상기 하부판(71)의 외측 단부에서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측판(72), 상기 경사측판(72)의 상단에서 내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덮개판(3)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판(73) 및 상기 상부판(73)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부보강바(7)는 하부판(71), 경사측판(72), 상부판(73) 및 지지편(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71)과 상부판(73)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덮개판(3)의 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하부판(71)과 상부판(73)의 외측 단부는 경사측판(72)으로 연결된다.
상기 경사측판(72)은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업자의 발 걸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내측은 덮개판(3) 측을 의미한다.
상기 상부판(73)의 외측 단부 하부에는 지지편(74)이 돌출 형성된다.
도 10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74)은 덮개판(3)의 상단이 걸려 덮개판(3)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덮개판(3)의 폭 방향 단부 및 길이 방향 단부가 단부보강바(7)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1: 슬래브 11: 개구부
2: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3: 덮개판
301: 제1장공 30: 유닛판
31: 마루부 32: 골부
4: 고정블록 401: 제2장공
41: 상판 42: 측판
43: 중간지지판 5: 고정볼트
6: 지지블록 7: 단부보강바
71: 하부판 72: 경사측판
73: 상부판 74: 지지편

Claims (9)

  1. 슬래브(1)에 형성된 개구부(11)를 임시 폐쇄하기 위한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2)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11)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11) 상부를 덮는 덮개판(3); 및
    상기 덮개판(3) 하부의 각 모서리 측에 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개구부(11)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4개의 고정블록(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2. 제1항에서,
    상기 덮개판(3)에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1장공(30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에는 상기 제1장공(3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2장공(40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장공(301)과 제2장공(40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5)에 의해 고정블록(4)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블록(4)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공(401)은 고정블록(4)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4. 제1항에서,
    상기 덮개판(3)은 마루부(31)와 골부(32)가 반복되도록 절곡된 절곡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5. 제4항에서,
    상기 고정블록(4)이 결합되는 덮개판(3)의 마루부(31) 하부 공간에는 지지블록(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6. 제4항에서,
    상기 덮개판(3)은 복수의 유닛판(3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7. 제6항에서,
    상기 덮개판(3)의 단부에는 덮개판(3) 측 측면이 개방되어 덮개판(3)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부보강바(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8. 제7항에서,
    상기 단부보강바(7)의 외측면은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9. 제8항에서,
    상기 단부보강바(7)는 덮개판(3)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판(71), 상기 하부판(71)의 외측 단부에서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측판(72), 상기 경사측판(72)의 상단에서 내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덮개판(3)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판(73) 및 상기 상부판(73)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7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KR1020220088976A 2022-07-19 2022-07-19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KR10266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76A KR102662385B1 (ko) 2022-07-19 2022-07-19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76A KR102662385B1 (ko) 2022-07-19 2022-07-19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84A true KR20240011484A (ko) 2024-01-26
KR102662385B1 KR102662385B1 (ko) 2024-04-30

Family

ID=8971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76A KR102662385B1 (ko) 2022-07-19 2022-07-19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94Y1 (ko) * 2005-12-21 2006-03-08 에이치케이안전시스템(주) 건설용 배관구멍 덮개
KR200411024Y1 (ko) * 2005-12-27 2006-03-09 정옥순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101051636B1 (ko) * 2010-09-24 2011-07-26 (주)우창그레이팅 호환성을 갖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150000726U (ko) * 2013-08-12 2015-02-25 주식회사 프로세이프 개구부용 보호덮개
KR20200001712U (ko) * 2019-01-23 2020-07-31 강석현 조립식 개구부 덮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94Y1 (ko) * 2005-12-21 2006-03-08 에이치케이안전시스템(주) 건설용 배관구멍 덮개
KR200411024Y1 (ko) * 2005-12-27 2006-03-09 정옥순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101051636B1 (ko) * 2010-09-24 2011-07-26 (주)우창그레이팅 호환성을 갖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150000726U (ko) * 2013-08-12 2015-02-25 주식회사 프로세이프 개구부용 보호덮개
KR20200001712U (ko) * 2019-01-23 2020-07-31 강석현 조립식 개구부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85B1 (ko)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5309A (en) Culvert structure having corrugated ribbing support
EP0551347A1 (en) BLOCK FOR LANDSCAPING.
EA008991B1 (ru) Кровельная плита и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кровли
KR20180093174A (ko) 간격결합체를 갖는 트러스 거더근 철물 및 이를 이용한 골 데크의 시공 방법
KR102662385B1 (ko)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JP4164511B2 (ja) 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
US3448554A (en) Vertical walls constructed of uprights and detachable panels and structures comprising them
TW201200692A (en) Cold formed joist
KR101816224B1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US20100115869A1 (en) Connecting and plugging element for modular floor construction
EP2984248B1 (en) Support structure of interlocking bars
US4831794A (en) System for forming a sloped surface on a flat roof deck
KR20024133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KR0166641B1 (ko) 건축용 바닥 구조재
JP7076101B2 (ja) 合成スラブの施工方法
RU2383692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монолит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с колонной
AU2019101841A4 (en) A concrete reinforcing spacer rail
EP1920117A1 (en) Modular building systems
JP6133533B2 (ja) 鉄骨造建物の床構造
JP6823926B2 (ja) プレート構造体
JP3142519B2 (ja) 建築物の基礎用型枠材
JPH0744593Y2 (ja) 梱包箱
JPH037447Y2 (ko)
GB2612353A (en) A reinforcing member
EP1078131B1 (en) Access covers for man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