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093Y1 -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Google Patents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6093Y1 KR200326093Y1 KR20-2003-0014124U KR20030014124U KR200326093Y1 KR 200326093 Y1 KR200326093 Y1 KR 200326093Y1 KR 20030014124 U KR20030014124 U KR 20030014124U KR 200326093 Y1 KR200326093 Y1 KR 2003260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support
- frame
- steel formwork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판넬의 외면에 레미콘 주입시 판넬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이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철재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외면에 수평으로 배열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걸림지지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후크부를 상단부에 갖는 지지바에 상기 철재 거푸집의 판넬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바가 상기 보강프레임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 및 받침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받침프레임과, 작업자가 밟고 지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의 받침바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 및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조립공과 일치되어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발판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시공할 경우 이용되는 철재 거푸집의 난간 설치 및 해체가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미 설치된 철재 거푸집의 난간 위치 및 크기의 수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경우 이용되는 철재 거푸집은 대부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판넬(11) 외면에 레미콘 주입시 판넬(11)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프레임(12)이 수평 및 수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12)에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13)이 용접에 의해 지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재 거푸집(10)의 난간(13)은 용접에 의해 보강프레임(12)과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임으로 철재 거푸집(10)에 난간(13)을 설치하는 작업에 있어 용접에 따른 제반 설비의 준비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용접 작업시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미숙련자인 경우에는 보강프레임(12)에 난간(13)의 결합시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게 됨과 아울러 고급인력의 충원으로 인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에 의해 제작되는 종래의 철재 거푸집(10)은 보강프레임(12)에 난간(13)을 한번 결합하게 되면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철재 거푸집(10)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됨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되는 현장까지의 운반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철재 거푸집(10)의 난간(13)은 용접에 의해 보강프레임(12)에 한번 결합하게 되면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되는 철재 거푸집(10)의 설치에 관련된 작업 편의성을 위하여 난간(13)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철재 거푸집(10)의 보강프레임(12)과 난간(13)을 절단하여 별도로 분리한 후 다시 난간(13)의 위치를 이동시켜 보강프레임(12)에 용접하여 재결합해야 함으로 철재 거푸집(10)의 난간(13) 위치 및 그 크기의 수정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시공할 경우 이용되는 철재 거푸집의 난간 설치 및 해체가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미 설치된 철재 거푸집의 난간 위치 및 크기의 수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판넬의 외면에 레미콘 주입시 판넬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이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철재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외면에 수평으로 배열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걸림지지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후크부를 상단부에 갖는 지지바에 상기 철재 거푸집의 판넬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바가 상기 보강프레임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 및 받침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받침프레임과, 작업자가 밟고 지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의 받침바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 및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조립공과 일치되어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발판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 시공용 철재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조립식 난간이 적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 시공용 철재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재 거푸집
11 : 판넬 12 : 보강프레임
12a : 걸림지지공 100 : 조립식 난간
110 : 받침프레임 111 : 후크부
112 : 지지바 113 : 받침바
114 : 조립공 115 : 보강지지편
115a : 조립공 120 : 발판플레이트
121 : 조립공 130 : 결합볼트
140 : 간격유지바 141 : 조립공
150 : 안전휀스 151 : 수직안전바
152 : 수평안전바 153 : 조립공
161 : 연결볼트 162 : 연결브라켓
이하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조립식 난간이 적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 시공용 철재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100)은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판넬(11)의 외면에 레미콘 주입시 판넬(11)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12)이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100)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철재 거푸집(10)에 있어서, 상기 판넬(11)의 외면에 수평으로 배열 결합된 보강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지지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100)은 상기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후크부(111)를 상단부에 갖는 지지바(112)에 상기 철재 거푸집(10)의 판넬(11)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바(113)가 상기 보강프레임(12)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2)와 받침바(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114)이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받침프레임(110)과, 작업자가 밟고 지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 및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조립공(114)과 일치되어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121)이 형성된 발판플레이트(120)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프레임(12)에 난간(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10) 사이에는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프레임(1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140)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 후크부(111)가 삽입되어 지지된 받침프레임(110)이 서로 벌어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보강프레임(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바(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141)이 형성되고, 일치되는 상기 간격유지바(140) 및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에 형성된 조립공(141)(114)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며, 일치되는 상기 간격유지바(140) 및 발판플레이트(120)의 조립공(141)(121)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과 간격유지바(140)와 발판플레이트(120)가 상호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지지바(112)와 받침바(113) 사이에는 보강지지편(115)이 결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에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지지바(112) 및 받침바(113)의 측면에 조립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지지편(115)에 상기 조립공(114)과 일치하는 조립공(115a)이 형성되며, 상기 일치된 조립공(114)(115a)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112)와 받침바(113)와 보강지지편(115)이 상호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에는 경우에 따라 발판플레이트(120)를 밟고 지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휀스(15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안전휀스(150)는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안전바(151)와, 상기 수직안전바(151)를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안전바(152)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안전바(151)와 수평안전바(15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153)이 형성되고, 일치되는 상기 받침프레임(110) 및 수직안전바(151)와 수평안전바(152)의 조립공(114)(153)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과 안전휀스(150)의 수직안전바(151) 및 수평안접바가 상호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받침프레임(110)의 지지바(112) 및 받침바(113)와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140)와 안전휀스(150)의 수평안전바(152) 및 수직안전바(151)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볼트(161) 및 연결브라켓(162)을 이용하여 그 길이를 연장시켜 난간(100)의 크기를 수정보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철재 거푸집(10)에 난간(10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난간(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보강프레임(12)에 형성된 걸림지지공(12a)에 즉 판넬(11)의 외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결합되어 있는 보강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걸림지지공(12a)에 받침프레임(110)의 후크부(111)를 선택적으로 끼움과 동시에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일단부가 철개 거푸집의 판넬(11) 외면에 받쳐져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상면에 발판플레이트(120)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받침프레임(110) 및 발판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조립공(114)(121)을 일치시킨 다음 결합볼트(130)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프레임(110)과 발판플레이트(120)를 일체로 결합하면 철재 거푸집(100)의 난간(100)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강프레임(12)에 지지 결합된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상면에 간격유지바(140)를 올려 상기 받침프레임(110) 및 간격유지바(140)에 형성된 조립공(114)(141)을 선택적으로 일치시킨 다음 결합볼트(130)를 체결하여 상기 발판프레임이 간격유지바(140)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보강프레임(12)에 지지 결합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간격유지바(140)의 상면에 발판플레이트(120)를 올려 상기 간격유지바(140) 및 발판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조립공(141)(121)을 선택적으로 일치시킨 다음 결합볼트(130)를 체결하여 상기 간격유지바(140)와 발판플레이트(120)를 일체로 결합하면 철재 거푸집(100)의 난간(100) 설치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에 수직안전바(151)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상기 받침바(113)와 수직안전바(151)의 조립공(114)(153)을 일치시킨 후 결합볼트(130)를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이후 상기 수직안전바(151)와 수평안전바(152)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상기 수직안전바(151)와 수평안전바(152)의 조립공(153)을 일치시킨 후 결합볼트(130)를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면 발판플레이트(120)를 밟고 지나는 작업자의 안전하게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안전휀스(150)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100)의 위치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판플레이트(120)가 결합된 받침프레임(110)을 통체로 회동시켜 철재 거푸집(10)의 판넬(11)에 받쳐져 지지된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를 이탈시킴과 동시에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후크부(111)를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서 빼내어 난간(100)이 보강프레임(12)에서 완전히 탈거되도록 한 후 원하는 위치로 난간(100)을 이동시킨 다음 다시 난간(100)의 위치를 수정하여 설치하고자하는 부위에 위치한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 받침프레임(110)의 후크부(111)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일단부가 철개 거푸집의 판넬(11) 외면에 받쳐져 지지되도록 하면 난간(100)의 위치를 간편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100)의 위치는 물론 크기까지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받침프레임(110)과 간격유지바(140)와 발판플레이트(120)와 안전휀스(150)를 각각 결합한 결합볼트(130)의 체결을 해지하여 받침프레임(110)과 간격유지바(140)와 발판플레이트(120)와 안전휀스(150) 등을 각각 별도로 분리한다.
이후 받침프레임(110)을 회동시켜 철재 거푸집(10)의 판넬(11)에 받쳐져 지지된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를 이탈시킴과 동시에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후크부(111)를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서 빼내어 보강프레임(12)에서 받침프레임(110)를 탈거한다.
이후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지지바(112) 및 받침바(113)와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140)와 상기 안전휀스(150)의 수평안전바(152) 및 수직안전바(151)의 길이를 절단하거나 또는 연결볼트(161) 및 연결브라켓(162)을 이용하여 그 길이를 연장시킨 다음 길이 조절된 상기 지지바(112)와 받침바(113)를 보강지지편(115) 및 결합볼트(130) 등으로 결합하여 받침프레임(110)을 재 결합한다.
이후 상기 발판플레이트(120)를 난간(100)의 위치를 수정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발판플레이트(120)의 후크부(111)를 다시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일단부가 철개 거푸집의 판넬(11) 외면에 받쳐져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형성된 조립공(114)에간격유지바(140)와 안전휀스(150)와 발판플레이트(120)의 조립공(141)(153)(121)을 선택적으로 일치시킨 후 결합볼트(130)를 체결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하면 조립식 난간(100)의 위치 및 크기의 수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은 철재 거푸집의 판넬이 휘거나 변형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넬의 외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지지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공에 받침프레임이 분리 가능하도록 끼워져 지지 결합되며, 상기 받침레임에 작업자가 밟고 지나는 발판플레이트가 결합볼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 것임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시공시 이용되는 철재 거푸집의 난간 설치 및 해체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철재 거푸집의 설치 및 제작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은 종래와 같은 용접이 아닌 결합볼트에 의해 난간의 받침프레임과 발판플레이트 및 간격유지구와 안전휀스 등이 결합되어 제작됨과 아울러 받침프레임이 보강프레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됨으로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미숙련자인 경우에도 철재 거푸집의 난간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물론 고급인력의 절감 및 작업의 효율성 상승으로 인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은 결합볼트에 의해 난간의 받침프레임과 발판플레이트 및 간격유지바와 안전휀스 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 부분적으로의 해체가 가능하여 적재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기가 용이함은 물론 한번에 다량의 철재 거푸집을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음으로 운반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되는 현장의 여건에 맞도록 철재 거푸집의 난간 위치 및 크기 예를 들어 난간의 받침프레임 사이의 간격이나 받침프레임의 받침바 길이 및 간격유지바의 길이나 안전휀스의 길이 등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된 받침프레임의 지지바 및 받침바와 간격유지바와 안전휀스의 수직안전바 및 수평안전바의 조립공 위치를 변경한 후 결합볼트를 재결합하면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길이 및 크기의 수정이 간편하게 완료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철재 거푸집의 수정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판넬(11)의 외면에 레미콘 주입시 판넬(11)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12)이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에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10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철재 거푸집(10)에 있어서, 상기 판넬(11)의 외면에 수평으로 배열 결합된 보강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지지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100)은 상기 보강프레임(12)의 걸림지지공(1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후크부(111)를 상단부에 갖는 지지바(112)에 상기 철재 거푸집(10)의 판넬(11)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바(113)가 상기 보강프레임(12)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2) 및 받침바(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114)이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받침프레임(110)과, 작업자가 밟고 지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 및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조립공(114)과 일치되어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조립공(121)이 형성된 발판플레이트(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10) 사이에 받침프레임(1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14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지지바(112)와 받침바(113) 사이에 보강지지편(115)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휀스(15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바(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141)이 형성되고, 일치되는 상기 간격유지바(140) 및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에 형성된 조립공(141)(114)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며, 일치되는 상기 간격유지바(140) 및 발판플레이트(120)의 조립공(141)(121)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과 간격유지바(140)와 발판플레이트(120)가 상호 결합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지지바(112) 및 받침바(113)에 조립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지지편(115)에 상기 조립공(114)과 일치하는 조립공(115a)이 형성되며, 상기 일치된 조립공(114)(115a)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112)와 받침바(113)와 보강지지편(115)이 상호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휀스(150)는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받침바(113)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안전바(151)와, 상기 수직안전바(151)를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안전바(152)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안전바(151)와 수평안전바(15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153)이 형성되고, 일치되는 상기 받침프레임(110)과 수직안전바(151)와 수평안전바(152)의 조립공(114)(153)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과 안전휀스(150)의 수직안전바(151) 및 수평안접바가 상호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124U KR200326093Y1 (ko) | 2003-05-07 | 2003-05-07 |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124U KR200326093Y1 (ko) | 2003-05-07 | 2003-05-07 |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6093Y1 true KR200326093Y1 (ko) | 2003-09-13 |
Family
ID=4941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124U KR200326093Y1 (ko) | 2003-05-07 | 2003-05-07 |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609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75016A (zh) * | 2018-07-11 | 2018-11-09 | 安徽三建工程有限公司 | 一种混凝土支撑水平移动可调式挂篮 |
CN116084725A (zh) * | 2023-03-10 | 2023-05-09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快速安拆的通用防护及平台一体化装置 |
-
2003
- 2003-05-07 KR KR20-2003-0014124U patent/KR20032609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75016A (zh) * | 2018-07-11 | 2018-11-09 | 安徽三建工程有限公司 | 一种混凝土支撑水平移动可调式挂篮 |
CN108775016B (zh) * | 2018-07-11 | 2024-02-23 | 安徽建工三建集团有限公司 | 一种混凝土支撑水平移动可调式挂篮 |
CN116084725A (zh) * | 2023-03-10 | 2023-05-09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快速安拆的通用防护及平台一体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8195B2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US8359797B2 (en) |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JP2603178B2 (ja) | 型枠装置 | |
KR100809886B1 (ko) |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 |
US20160319558A1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KR100697555B1 (ko) |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 |
KR101076562B1 (ko) |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 |
KR100826556B1 (ko) | 슬라브용 패널구조체 | |
KR200445310Y1 (ko) |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 |
KR200326093Y1 (ko) |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
KR102102214B1 (ko) |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 |
KR20040019501A (ko) |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 |
KR100812262B1 (ko)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200413590Y1 (ko) |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 |
KR101346702B1 (ko) |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 |
KR102370425B1 (ko) |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 |
KR102289940B1 (ko)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
JPH1150653A (ja) | 足場板支持フレーム及びその取付・撤去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 |
KR200322794Y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 시공용 철재 거푸집 | |
KR100848081B1 (ko) |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 |
KR100685440B1 (ko) | 거푸집용 지지구 | |
KR200213539Y1 (ko) |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 |
KR20100004374U (ko) |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 |
KR200298061Y1 (ko) |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 |
KR100668457B1 (ko) |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