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803B1 - 조립식 안전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안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803B1
KR102509803B1 KR1020220051133A KR20220051133A KR102509803B1 KR 102509803 B1 KR102509803 B1 KR 102509803B1 KR 1020220051133 A KR1020220051133 A KR 1020220051133A KR 20220051133 A KR20220051133 A KR 20220051133A KR 102509803 B1 KR102509803 B1 KR 10250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asic
prefabricated
sub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효빈
Original Assignee
강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효빈 filed Critical 강효빈
Priority to KR102022005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건축현장에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통로가 되는 발판에 설치하여 볼트 등과 같은 부품의 낙하, 작업자 발뒤꿈치의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립식 안전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현장 등의 작업발판에 설치되어 낙하물 방지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암수 결합부를 가지는 기본 보드를 구비하고, 이러한 기본 보드 여러 개를 착탈 가능한 조립식으로 이어 붙혀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조립식 안전판을 구현함으로써, 건축현장의 여건에 맞춰 100㎜, 150㎜, 200㎜, 250㎜, 300㎜ 등 다양한 높이와 길이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제작비용 및 관리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한편, 기본 보드가 1m 이하의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승용차나 소형 픽업트럭 등으로도 운반이 가능하여 운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길이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현장에서 작업자가 들고 운반할 때에도 힘들이지 않고 쉽게 운반할 수 있는 등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식 안전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안전판{PREFABRICATED SAFTY BOARD}
본 발명은 조립식 안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 건설현장, 건축현장, 공연현장 등에서 작업을 할 때 비계측에 설치하여 공구, 볼트, 부품, 이물질 등의 낙하방지 및 작업자 발 부위의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립식 안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신축할 때 건물의 외벽에는 도장, 미장, 콘트리트 타설 등의 내외장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작업공간은 대개 긴 철재봉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조립하여 만들어지며,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가설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공간에는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확보를 위한 작업발판이 마련되는데, 상기 작업발판은 직사각형의 철재 구조물로서 직사각형의 철재틀과, 이 철재틀에 부착되는 망구조의 발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발판은 이동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일렬로 이어져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어 있는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작업발판을 따라 작업자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콘크리트 거푸집으로서 갱폼(Gang form)이 개발되어 각종 건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통 갱폼을 이용한 시공 시 한개 층 시공 후에 그 다음 층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갱폼을 인양해야 하는데, 이때 갱폼으로부터 다량의 낙하물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 등의 시공 시 갱폼을 이용하여 한개 층을 시공한 다음, 그 다음 층을 시공하기 위해 갱폼을 인양하게 된다.
이때, 갱폼의 부속품들인 연결 핀, 알폼 핀, 알폼 헤드 핀, 매립용 앙카 철물, 타이 핀, 나비볼트 등이 다량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러한 낙하물들은 작업발판 위로 대부분 떨어지지만 일부는 작업발판과 벽체 간의 틈새 등을 통해 지상으로 그대로 낙하하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 아파트 등의 시공 현장 등에서는 낙하물의 방지와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업발판에 안전판의 일종인 토보드(Toe board)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토보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단점이 있다.
첫째, 보통 토보드는 현장의 조건, 시공사의 요청 등에 의해 100㎜, 150㎜, 200㎜, 250㎜, 300㎜ 등 다양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높이를 갖는 토보드를 모두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로트(Lot)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규격별로 재고를 갖추어야 하기에 비용적인 측면 및 설치 작업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현장 대응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없는 단점이 있다.
둘째, 보통 토보드는 2m 내지 5m 정도의 긴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운반 시에 적재함이 큰 차량을 필요로 하는 등 차량 수배의 어려움과 운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작업자가 들고 이동할 때에도 무게나 길이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등 취급상의 어려움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270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5772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57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02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74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축현장 등의 작업발판에 설치되어 낙하물 방지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암수 결합부를 가지는 기본 보드를 구비하고, 이러한 기본 보드 여러 개를 착탈 가능한 조립식으로 이어 붙혀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조립식 안전판을 구현함으로써, 건축현장의 여건에 맞춰 100㎜, 150㎜, 200㎜, 250㎜, 300㎜ 등 다양한 높이와 길이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제작비용 및 관리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조립식 안전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 보드가 1m 이하의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승용차나 소형 픽업트럭 등으로도 운반이 가능하여 운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길이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현장에서 작업자가 들고 운반할 때에도 힘들이지 않고 쉽게 운반할 수 있는 등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큰 것이 요구될 때에는 조립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안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안전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비계(飛階)측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한쪽 단부에 암 결합부와 반대쪽 단부에 수 결합부를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기본 보드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기본 보드는 여러 개가 암수 결합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면서 "1"자 형태로 이어져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면서 "L"자 형태로 이어져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 보드의 암수 결합부는 결합 및 분해 시 수평방향의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고 빠질 수 있거나, 또는 수직방향의 삽입식으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 보드의 암수 결합부는 서로 마주대하는 양편에서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요부와 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한쪽 단부에 보드 두께방향으로 개방부위를 가지는 서브 암 결합부를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서브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서브 보드는 수평 자세를 취하며 서브 암 결합부를 이용하여 기본 보드의 수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기본 보드와 함께 "L"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를 일직선방향을 따라 옆으로 이어 붙혀주는 수단으로서, 띠 모양의 판체부와 상기 판체부의 서로 대향되는 양쪽 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일직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기본 보드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돌기부로 구성되는 조인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를 90°방향을 따라 옆으로 이어 붙혀주는 수단으로서, 사각 막대 모양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이웃하는 두 면에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기둥부의 이웃하는 두 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면서 90°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기본 보드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돌기부로 구성되는 조인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보드의 후면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에는 작업발판측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용 브라켓이 끼워질 수 있거나, 또는 기본 보드가 수 결합부를 이용하여 수평 자세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의 상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ㄷ"자형의 끼움부와 훅부로 구성되는 결속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안전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암ㆍ수 결합부를 가지는 기본 보드를 구비하고, 이러한 기본 보드 여러 개를 착탈 가능한 조립식으로 이어 붙혀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식 안전판을 적용함으로써, 건축현장의 여건에 맞춰 100㎜, 150㎜, 200㎜, 250㎜, 300㎜ 등 다양한 높이와 길이는 물론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제작비용 및 관리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기본 보드가 1m 이하의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승용차나 소형 픽업트럭 등으로도 운반이 가능하여 운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길이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현장에서 작업자가 들고 운반할 때에도 힘들이지 않고 쉽게 운반할 수 있는 등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완료 후에는 규격별(100mm, 50mm 등)로 해체한 다음, 장기 보관할 수 있으며, 다른 현장에서도 재사용할 수 있어 원가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넷째, 건축현장이나 건설현장은 물론 각종 공연시설의 구조물, 집회경계 안전판, 차량 유도판, 주차장 코너 보호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용범위를 폭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속이 비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 등의 중공 판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재료 절감에 따라 제작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의 고정 시에 사용되는 결속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기본 보드(13)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보드(13)는 사각판 형태, 예를 들면 높이 대비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 보드(13)는 길이가 1m 정도, 높이가 100㎜, 150㎜, 200㎜, 250㎜, 300㎜ 등으로 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보드(13)는 내부가 보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부(12)로 이루어져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하며, 이때의 공간부(12)는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이어짐과 더불어 보드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리브(27)에 의해 여러 개로 구획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획되는 각 공간부(12)에는 조인트 부재(18a,18b)에 있는 돌기부(17a,17b)가 끼워져 결속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기본 보드(13)의 한쪽 단부에는 암 결합부(10)가 형성되는 동시에 반대쪽 단부에는 수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 결합부(10)는 기본 보드(13)의 상단부에, 수 결합부(11)는 기본 보드(13)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기본 보드(13)는 암수 결합부(10,11)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면서 "1"자 형태로 이어질 수 있거나,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면서 "L"자 형태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기본 보드(13)의 암수 결합부(10,11)는 결합 및 분해 시 수평방향의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고 빠질 수 있거나, 또는 수직방향의 삽입식으로 끼워지고 빠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특성에 의해 기본 보드 여러 개를 필요에 따라 쉽게 이어 붙혀서 사용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분해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암 결합부(10)는 일정 깊이를 가지면서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속해서 이어지는 사각의 홈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수 결합부(11)는 암 결합부(10)의 폭 및 깊이에 상응하는 두께와 돌출 길이를 가지면서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속해서 이어지는 사각 단면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 결합부(10)의 서로 마주보는 양편의 내측 벽면에는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이어지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요부(25), 예를 들면 위아래 2열의 요부(25)가 각각 형성되고, 수 결합부(11)의 전면과 후면에는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이어지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철부(26), 예를 들면 위아래 2열의 철부(26)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위아래로 연접되는 2개의 기본 보드(13)를 결합할 때, 아래쪽 기본 보드(13)의 암 결합부(10)에 윗쪽 기본 보드(13)의 수 결합부(11)를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끼우거나 빼낼 수 있게 되고, 또 아래쪽 기본 보드(13)의 암 결합부(10)에 윗쪽 기본 보드(13)의 수 결합부(11)를 수직방향으로 눌러서 삽입하거나 잡아 빼내는 방식으로 끼우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암수 결합부(11) 간의 결합 시 요부(25)와 철부(26) 역시 서로 요철 결합되면서 암수 결합부(11) 간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1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기본 보드(13)와 함께 "L"자 형태를 이루는 서브 보드(15)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보드(15)는 기본적으로 기본 보드(13)와 동일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며, 다만 기본 보드(13)에 비해 높이(폭)가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서브 보드(15)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판 형태, 예를 들면 높이 대비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보드(15)는 길이가 1m 정도, 높이가 50 정도의 직사각형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보드(15)는 내부가 보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부(12)로 이루어져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하며, 이때의 공간부(12)는 보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이어짐과 더불어 보드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리브(27)에 의해 여러 개로 구획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획되는 각 공간부(12)에는 조인트 부재(18a,18b)에 있는 돌기부(17a,17b)가 끼워져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서브 보드(15)의 한쪽 단부에는 암 결합부(10)가 형성되는 동시에 반대쪽 단부에는 수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이때의 암 결합부(10)와 수 결합부(11)에는 요부(25)와 철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 보드(15)에 구비되는 암수 결합부(10,11)와 요철부(25,26)는 기본 보드(13)에 구비되는 암수 결합부(10,11) 및 요철부(25,26)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서브 보드(15)의 한쪽 단부에는 기본 보드(13)에 있는 수 결합부(11)와 동일한 형태의 수 결합부(11)가 형성되고, 반대쪽 단부에는 기본 보드(13)에 있는 암 결합부(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만 기본 보드(13)의 암 결합부(10)와 비교할 때 방향만 90°꺽인 형태의 암 결합부, 즉 보드 두께방향으로 개방부위를 가지는 동시에 요부(25)를 갖춘 서브 암 결합부(1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 보드(15)는 수평 자세를 취하며 서브 암 결합부(14)를 이용하여 기본 보드(13)의 수 결합부(11)에 결합되면서 기본 보드(13)와 함께 "L"자 형태를 이루며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13)는 물론 서브 보드(15)를 일직선방향을 따라 옆으로 이어 붙혀주는 수단으로 조인트 부재(18a)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부재(18a)는 띠 모양의 판체부(16)와, 상기 판체부(16)의 서로 대향되는 양쪽 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17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7a)는 판체부(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 개, 예를 들면 3부분으로 구획된 공간부(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3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양쪽면이 선단부를 향해 경사진 형태의 면으로 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끼우기 쉽게 선단부쪽이 뾰족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양쪽의 기본 보드(13)의 사이에 조인트 부재(18a)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조인트 부재(18a)에 있는 돌기부(17a)가 기본 보드(13)에 있는 공간부(12)를 향하도록 한 다음, 양쪽의 기본 보드(13)를 눌러서 끼우면 그 사이에 있는 조인트 부재(18a)의 돌기부(17a)가 양쪽의 기본 보드(13)에 있는 공간부(12)에 동시에 끼워져 결속되므로서, 양쪽의 기본 보드(13)는 조인트 부재(18a)를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여러 장의 기본 보드(13)를 길이방향으로 이어 붙혀서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기본 보드(13)에 서브 보드(15)가 "L"자 형태로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때의 양쪽의 서브 보드(15)도 기본 보드(13)와 마찬가지로 조인트 부재(18a)를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안전판은 기본 보드(13)를 90°방향을 따라 옆으로 이어 붙혀주는 수단, 즉 서로 이웃하면서 90°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기본 보드(13)를 연결시켜주는 수단으로 보드 90°연결용도의 조인트 부재(18b)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부재(18b)는 사각 막대 모양의 기둥부(19)와, 상기 기둥부(19)의 이웃하는 두 면, 즉 기둥부(19)의 4개 면 중 서로 연이어 붙어 있는 두 면에 형성되는 날개부(20)와, 상기 기둥부(19)의 이웃하는 두 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17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20)는 띠 모양의 판체 형태로서, 기둥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동시에 그 사이에 돌기부(17b)를 수용하는 홈 구조를 이루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7b)는 기둥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 개, 예를 들면 3부분으로 구획된 공간부(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3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양쪽면이 선단부를 향해 경사진 형태의 면으로 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끼우기 쉽게 선단부쪽이 뾰족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90°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편의 기본 보드(13)의 사이에 조인트 부재(18b)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조인트 부재(18b)에 있는 돌기부(17b)가 기본 보드(13)에 있는 공간부(12)를 향하도록 한 다음, 양편의 기본 보드(13)를 눌러서 끼우면 그 사이에 있는 조인트 부재(18b)의 돌기부(17b)가 양편의 기본 보드(13)에 있는 공간부(12)에 동시에 끼워져 결속되므로서, 양편의 기본 보드(13)는 조인트 부재(18b)를 매개로 하여 직각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여러 장의 기본 보드(13)를 길이방향으로 방향을 꺽어가면서 이어 붙혀서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90°방향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 부재(18b)와 직선 방향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 부재(18a)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기본 보드(13)를 "ㅁ"자형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이러한 "ㅁ"자형의 조립 형태는 작업자의 작업 영역, 외부인 출입금지 영역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2개의 기본 보드(13)를 "T"자 형태로 조합하여 상부 낙하물 방지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본 보드(13)의 후면부에는 보드 상하 높이의 중간 위치에서 보드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T"자형의 슬라이드 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보드(13)에 조합되는 다른 1개의 기본 보드(13)의 후단부에는 "T"자형의 슬라이드 홈(21)에 결합되는 수 결합부(11), 예를 들면 "T"자형의 슬라이드 돌기(2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기본 보드(13)의 슬라이드 홈(21)에 수평 자세를 취하는 기본 보드(13)의 슬라이드 돌기(28)를 끼우게 되면, 2개의 기본 보드(13)를 "T"자 형태로 조합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평 자세의 기본 보드(13)가 상부를 막아주게 되므로서, 상부로부터의 낙하물 등에 의해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2개의 기본 보드(13)의 "T"자 형태 조합은 지면이나 바닥에서부터 적당한 높이(예컨대, 작업자의 키보다 높은 높이 또는 공연장 등의 구조물 천장에 상응하는 높이 등)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판의 고정 시에 사용되는 결속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결속용 브라켓(22a)을 이용하여 기본 보드(13)를 비계측의 파이프(100)에 고정시키는 형태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한쪽 단부에 T"자형의 돌기 부분을 갖는 몸체부(29)와, 상기 몸체부(29)의 다른 한쪽 단부에 일체 형성되는 아이부(30)로 구성되는 결속용 브라켓(22a)이 구비되고, 기본 보드(13)의 후면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슬라이드 홈(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기본 보드(13)의 슬라이드 홈(21)에 결속용 브라켓(22a)의 몸체부(29)에 있는 "T"자형의 돌기 부분을 끼워서 기본 보드(13)와 결속용 브라켓(22a)을 결합시킨 후, 아이부(30)와 파이프(100)를 케이블 타이(110) 등으로 묶어주면, 결속용 브라켓(22a)을 매개로 하여 기본 보드(13)를 비계측의 파이프(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기본 보드(13)는 결속용 브라켓(22a) 없이도 비계측의 파이프에 직접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본 보드(13)는 기본적으로 보드 적당한 위치에 구멍을 낸 다음, 케이블 타이 등으로 비계측의 파이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 보드(13)에 형성하는 구멍은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뚫어가면서 만들 수 있거나, 또는 기본 보드(13)의 제작 시 미리 정해진 위치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로 기본 보드(13)를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기본 보드(13)의 고정 설치 시 결속용 브라켓(22a)을 이용함으로써, 기본 보드(13)를 손상시키지 않고도(예컨대, 구멍을 뚫는 등의 행위) 기본 보드(13)를 포함하는 조립식 안전판의 전체적인 고정 설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결속용 브라켓(22b)을 이용하여 기본 보드(13)를 비계측의 파이프 등에 고정시키는 형태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ㄷ"자형의 끼움부(23)와 "ㄱ"자형의 훅부(24)로 구성되어 기본 보드(13)의 상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속용 브라켓(22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용 브라켓(22b)의 끼움부(23)는 수직의 훅부(24)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기본 보드(13)의 상단부에 결속용 브라켓(22b)의 훅부(24)를 끼워서 기본 보드(13)에 결속용 브라켓(22b)을 결합시킨 후, 끼움부(23)를 사각형 튜브 또는 원형 튜브와 같은 파이프를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구멍을 뚫거나 케이블 타이를 묶는 등의 작업없이도 결속용 브라켓(22b)을 매개로 하여 기본 보드(13)를 비계측의 파이프에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도 기본 보드(13)는 결속용 브라켓(22b) 없이도 비계측의 파이프에 직접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본 보드(13)는 기본적으로 보드 적당한 위치에 구멍을 낸 다음, 케이블 타이 등으로 비계측의 파이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기본 보드(13)의 고정 설치 시 결속용 브라켓(22b)을 이용함으로써, 기본 보드(13)를 손상시키지 않고도(예컨대, 구멍을 뚫는 등의 행위) 기본 보드(13)를 포함하는 조립식 안전판의 전체적인 고정 설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사각판 형태의 기본 보드 여러 개를 착탈 가능한 조립식으로 이어 붙혀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식 안전판을 구현함으로써, 건축현장의 여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맞춰 다양한 높이와 길이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제작비용 및 관리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있다.
10 : 암 결합부
11 : 수 결합부
12 : 공간부
13 : 기본 보드
14 : 서브 암 결합부
15 : 서브 보드
16 : 판체부
17a,17b : 돌기부
18a,18b : 조인트 부재
19 : 기둥부
20 : 날개부
21 : 슬라이드 홈
22a,22b : 결속용 브라켓
23 : 끼움부
24 : 훅부
25 : 요부
26 : 철부
27 : 리브
28 : 슬라이드 돌기
29 : 몸체부
30 : 아이부

Claims (8)

  1. 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비계(飛階)측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한쪽 단부에 요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암 결합부(10)와 반대쪽 단부에 철부(26)가 형성되어 있는 수 결합부(11)를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기본 보드(13)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보드(13)는 여러 개가 암수 결합부(10,1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면서 "1"자 형태로 이어질 수 있거나,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면서 "L"자 형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본 보드(1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기본 보드(13)와 함께 "L"자 형태를 이루는 서브 보드(15)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보드(15)는 내부가 보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부(12)로 이루어지면서 기본적으로 기본 보드(13)와 동일한 형태 및 구조로 되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서브 보드(15)의 한쪽 단부에는 기본 보드(13)에 있는 수 결합부(1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철부(26)를 갖춘 수 결합부(11)가 형성되고, 반대쪽 단부에는 기본 보드(13)에 있는 암 결합부(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기본 보드(13)의 암 결합부(10)와 비교할 때 방향만 90°꺽인 형태인 보드 두께방향으로 개방부위를 가지는 동시에 요부(25)를 갖춘 서브 암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 보드(15)는 수평 자세를 취하며 서브 암 결합부(14)를 이용하여 기본 보드(13)의 수 결합부(11)에 결합되면서 기본 보드(13)와 함께 "L"자 형태를 이루며 조립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보드(13)의 암수 결합부(10,11)는 결합 및 분해 시 수평방향의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고 빠질 수 있거나, 또는 수직방향의 삽입식으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판.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보드(13)를 일직선방향을 따라 옆으로 이어 붙혀주는 수단으로서, 띠 모양의 판체부(16)와 상기 판체부(16)의 서로 대향되는 양쪽 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일직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기본 보드(13)의 공간부(12)에 삽입되는 돌기부(17a)로 구성되는 조인트 부재(18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보드(13)를 90°방향을 따라 옆으로 이어 붙혀주는 수단으로서, 사각 막대 모양의 기둥부(19)와, 상기 기둥부(19)의 이웃하는 두 면에 형성되는 날개부(20)와, 상기 기둥부(19)의 이웃하는 두 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면서 90°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기본 보드(13)의 공간부(12)에 삽입되는 돌기부(17b)로 구성되는 조인트 부재(18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보드(13)의 후면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슬라이드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21)에는 작업발판측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용 브라켓(22a)이 끼워지게 되거나, 또는 기본 보드(13)가 수 결합부(11)를 이용하여 수평 자세로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보드(13)의 상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ㄷ"자형의 끼움부(23)와 훅부(24)로 구성되는 결속용 브라켓(22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판.
KR1020220051133A 2022-04-26 2022-04-26 조립식 안전판 KR10250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33A KR102509803B1 (ko) 2022-04-26 2022-04-26 조립식 안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33A KR102509803B1 (ko) 2022-04-26 2022-04-26 조립식 안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803B1 true KR102509803B1 (ko) 2023-03-14

Family

ID=8550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33A KR102509803B1 (ko) 2022-04-26 2022-04-26 조립식 안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8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025Y1 (ko) 2005-05-19 2005-08-09 강세민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KR200432740Y1 (ko) 2006-09-25 2006-12-06 강세민 낙하방지용 안전발판 보호대
KR20080004270U (ko) 2007-03-27 2008-10-01 강세민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KR20100005772U (ko) 2008-11-27 2010-06-07 강세민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20100104140A (ko) * 2009-03-16 2010-09-29 김기수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KR20100010575U (ko) 2009-04-20 2010-10-28 강세민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101611763B1 (ko) * 2014-12-12 2016-04-12 (주)미래엔지니어링 토보드 연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025Y1 (ko) 2005-05-19 2005-08-09 강세민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KR200432740Y1 (ko) 2006-09-25 2006-12-06 강세민 낙하방지용 안전발판 보호대
KR20080004270U (ko) 2007-03-27 2008-10-01 강세민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KR20100005772U (ko) 2008-11-27 2010-06-07 강세민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20100104140A (ko) * 2009-03-16 2010-09-29 김기수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KR20100010575U (ko) 2009-04-20 2010-10-28 강세민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101611763B1 (ko) * 2014-12-12 2016-04-12 (주)미래엔지니어링 토보드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398B2 (en) Modular building system for constructing multi-story buildings
JP6441240B2 (ja) モジュラービルディングユニット、並びに、これの建設及び搬送方法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2334512B1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2913002A (zh) 整体式钢结构活动房及其安装方法
KR101352146B1 (ko) 띠장과 버팀보 일체형 단위 흙막이 가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NZ527835A (en)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KR102102441B1 (ko) 조립식 케이지
KR102509803B1 (ko) 조립식 안전판
KR20200076117A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0183698B1 (en) Building panels
RU62622U1 (ru) Сбор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р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аркаса, элемент перекрытия
JPH11125008A (ja) 建築、土木工事用型材
US20210156136A1 (e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KR100612662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CA3085940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200167125Y1 (ko) 비계설치용 지지구
CN214144289U (zh) 一种适用于非抗震地区建筑的单元体幕墙
CN220747221U (zh) 一种钢框架拼装结构
Akramovna et al. DESIGN CHANGE OF A DETAIL AND ADDITION OF A USEFUL ELEMENT
KR20210020258A (ko) 엘리베이터통로 가설용 마스트
KR20050021772A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0116932Y1 (ko) 조립식 가설재(비계)
RU156125U1 (ru) Сборная ячейка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многоярусных, бескаркасных наземных и подземных сооружений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