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932Y1 - 조립식 가설재(비계)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설재(비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932Y1
KR0116932Y1 KR2019940017991U KR19940017991U KR0116932Y1 KR 0116932 Y1 KR0116932 Y1 KR 0116932Y1 KR 2019940017991 U KR2019940017991 U KR 2019940017991U KR 19940017991 U KR19940017991 U KR 19940017991U KR 0116932 Y1 KR0116932 Y1 KR 0116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fastener
fastening
transver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288U (ko
Inventor
사나다가즈유기
Original Assignee
사나다가즈유기
가수비기가이샤 상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나다가즈유기, 가수비기가이샤 상꼬 filed Critical 사나다가즈유기
Priority to KR2019940017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932Y1/ko
Publication of KR960005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요약서 없슴.

Description

조립식 가설재(비계)
제 1도는 본고안의 조립상태의 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A부분 확대단면도.
제 3도는 본고안에 사용되는 횡지지간의 사시도.
제 4도는 제 3도의 횡단면도.
제 5도는 횡지지간을 지주에 체결하기 직전의 상태도.
제 6도는 횡지지간을 지주에 체결한 것을 보인 상태도.
제 7도는 횡지지간 단부에 부착되는 체결구의 분해사시도.
제 8도는 본고안에 사용되는 대각 지지간의 사시도.
제 9도는 본고안의 또다른 조립상태의 정면도.
제 10도는 제 9도의 B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고안은 고층 건물의 신축시 또는 대형 공장의 시공시 건물의 내, 외벽에 설치하여 높은 부분을 공사할 때 사용되는 조립식 가설재(비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견고하여 많은 하중을 받는 건물이나 교량등 대형구조물을 건설할때 버팀수단으로 유효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가로, 세로로 교차시키고 교차시킨 부분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클램프로 서로 연결하여 비계를 구성하였거나, 사각틀로 된 문형주를상,하,좌,우로 서로 적층하여서 조립식 가설재(비계)를 설치하였다.
종래와 같이 클래프 및 파이프로 조립되는 가설재나 문형주를 서로 연결하여서 된 가설재(비계)는 조립 및 해체에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견고하지 못해 중량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었으며, 특히 높게 적층시키기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높게 적층시 비틀림이 발생되어 안전에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종래 파이프를 클램프로 서로 연결하여 가설재(비계)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낮은 건물의 경우에 주로 사용되거나 건물 외벽에 설치 되어 공사시 발생되는 낙하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안전수단 및 이동통로를 설치하는데 주로 사용 되었으며, 사각틀로 된 문형주를 사용하여서 된 조립식 가설재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단보다는 건물의 내외벽에 설치되어, 높은 장소의 공사를 위한 받침판의 지지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등 큰 하중을 요구하지 않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신축건물은 20-30층등 고층화 및 대형화되고 있으며, 지하 수십미터의 지하철공사, 고가철도용교량, 고속도로의 교량등 각종 토목공사가 대형화 되고 있으며, 각종 공사에 있어서는 중량물을 지탱하여 주기 위한 견고하면서도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가설재(비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안은 이와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볼트, 너트등 별도의 체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조립 및 해체를 간단한 손망치 하나만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각각의 부품으로 분해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중, 대 하중을 충분히 유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시 버팀재로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고리(2)를 십자상으로 4방향으로 형성하고, 파이프(3)의 양단부에 고정핀(4)이 삽치되는 삽치홈(5)을 갖는 ㄷ자형상의 체결구(6)를 부착한 횡지지간(7)을 형성한 다음, 상기 ㄷ자형 체결구(6)를 상기 지주(1)의 체결고리(2)에 삽치한 다음 위에서 아래로 상기 고정핀(4)을 체결고리(2)에 끼워 고정토록 하며, 횡지지간(7)의 파이프(3)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관통된 구멍(8)을 형성하는 한편, 양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며, 전후 양측면에 각각의 구멍(9)을 형성한 체결편(10)을 파이프(11) 양단부에 대칭으로 각각 부착한 대각 지지구(12)를 형성한 다음, 상기 횡지지간(7)의 일측 구멍(8)과 상기 대각 지지구(12)의 체결편(10)의 구멍(9)을 일치시킨 후 핀(13)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핀(4)이 삽치되는 ㄷ자형 체결구(6)의 삽치홈(5)에 있어서, 상면(6A)의 삽치홈 간격(5A)이 하면(6B)의 삽치홈 간격(5B)보다 좁게 형성하고, 고정핀(4)의 하방 단부(4A)를 ㄷ자형 체결구(6)의 상면(6A)의 간격(5A)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고정핀(4)이 ㄷ자형 체결구(6) 내측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1는 지주 단부에 형성된 구멍이며, 32는 상, 하 지주(1)를 서로 삽치하는 연결구이며, 33는 지주(1) 내측에 삽치된 연결구(32)를 지주(1)와 고정하여 주는 핀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정 간격으로 체결고리(2)를 십자상으로 4방향에 갖는 지주(1)를 상, 하 길이방향으로 적층시키기 위하여 지주(1)의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된 구멍(31)을 가지며, 지주(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32)를 상, 하 지주(1)와 지주(1) 내측에 삽치한 다음 지주의 구멍(31)과 연결구(32)의 구멍을 서로 핀(33)으로 연결하여 지주(1)를 임의 길이로 계속 신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면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주(1)의 일측 단부에만 구멍(31)을 뚫고 이에 펀(33)으로 연결구(32)를 일체로 연결시킨 다음 타측 지주(1')에 삽치하여 지주를 상, 하로 적층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은 지주(1)를 서로 횡으로 연결시키는 횡부재로는 횡지지간(7)을 사용하는데 횡지지간(7)은 파이프(3) 양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의 체결구(6)를 용접하여 일체로 부착하되 체결구(6)에 삽치홈(5)을 형성하고, 파이프(3)와 용접전에 삽치홈(5)에 끝부분(4A)을 두껍게 형성시킨 고정핀(4)을 섭치시킨다.(제7도참조)
체결구(6)의 삽치홈(5)은 ㄷ자 형상으로 절결 되어지나 체결구(6) 하면(6B)의 간격(5B)이 상면(6A)의 간격(5A)보다 넓게 형성하여 고정핀(4)의 두꺼운 단부(4A)가 삽치홈(5)의 상방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하면(6B)의 간격(5B)에는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고정핀(4)은 체결구(6)의 삽치홈(5)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도중 이탈의 염려가 없으며, 운반이나 보관시 분실의 염려가 없게된다. 지주(1)와 횡지지간(7)을 서로 일체로 결합할때는 지주(1) 체결고리(2)에 횡지지간(7) 단부에 고정된 체결구(6)를 삽치시키고, 체결구(6) 내측에 삽치된 고정핀(4)을 체결고리(2)에 삽치시키므로 간단히 결합된다.(제5도 및 제6도 참조)
이와 같이 결합된 것을 해체하려면 조그만 손망치로 고정핀(4)을 아래서 위로 타격하여 고정핀(4)을 체결고리(2)에서 이탈시키면 지주(1)와 횡지지간(7)은 따로 분리가 되어지며, 체결고리(2)에서 이탈시키면 지주(1)와 횡지지간(7)은 따로 분리가 되어지며, 체결고리(2)에서 빠져나온 고정핀(4)은 체결구(6) 내측에 하방이 삽치된 상태 즉, 서로 연결되어 고정핀(4)의 분실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지주(1)와 다수의 횡지지간(7)을 고정핀(4)으로 상,하,좌,우로 서로 연결하여 구조물을 형성할 때 사각 구조의 형태를 취함으로 구조상 견고한 구조는 될 수 없다. 보다 견고한 구조를 얻기 위하여 상기 횡지지간(7)인 파이프(3) 양단부 부분에 관통된 한쌍의 구멍(8)을 각각 천공하고, 파이프(11) 단부에 ㄷ자형상의 체결편(10)를 부착하며 체결편(10)에 구멍(9)을 형성한 대각지지간(12)으로 상, 하 횡지지간(7)을 서로 대각 방향으로 연결하여 주는데 상기 대각지지간(12) 단부에 부착된 ㄷ자형 체결편(10)를 대각 방향으로 횡지지간(7)에 삽치하고, 횡지지간(7)의 파이프(3)에 형성된 구멍(8)과 대각지지간(12)의 체결편(10)에 형성된 구멍(9)을 서로 일치시킨후 핀(13)으로 서로 연결할 때 대각지지간(12)이 상, 하 횡지지간(13)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견고한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주(1)와 횡지지간(7)을 간단히 입체로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입체로 조립된 본고안은 수평 횡지지간(7)과 횡지지간(7) 사이에 발판을 삽치하여 통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 하 횡지지간(7)을 조립식 계단으로 서로 연결할 때 어떤 통로라도 자유자재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본고안은 그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견고하여 중, 대형의 하중을 원활히 지탱할 수 있어 대형 토목 및 건축공사에 있어 조립식 가설재(비계)는 물론이거니와 각종 공사의 보조 구조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지주(1)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고리(2)를 십자상으로 4방향으로 형성하고, 파이프(3)의 양단부에 고정핀(4)이 삽치되는 삽치홈(5)을 갖는 ㄷ자형상의 체결구(6)를 부착한 횡지지간(7)을 형성한 다음, 상기 ㄷ자형 체결구(6)를 상기지주(1)의 체결고리(2)에 삽치한 다음 위에서 아래로 상기 고정핀(4)을 체결고리(2)에 끼워 고정토록 하며, 횡지지간(7)의 파이프(3)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관통된 구멍(8)을 형성하는 한편, 양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며, 전후 양측면에 각각의 구멍(9)을 형성한 체결편(10)을 파이프(11) 양단부에 대칭으로 각각 부착한 대각 지지구(12)를 형성한 다음, 상기 횡지지간(7)의 일측 구멍(8)과 상기 대각 지지구(12)의 체결편(10)의 구멍(9)을 일치시킨 후 핀(13)으로 서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가설재(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횡지지간(7) 단부에 부착되는 ㄷ자형 체결구(6)에 형성된 상면(6A)의 간격(5A)이 하면(6B)의 간격(5B)보다 좁으며, 고정핀(4)의 단부(4A)의 두께가 상면(6A)의 간격(5A)보다 두꺼워 고정핀(4)이 체결구(6) 내측에 삽치 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설재(비계).
KR2019940017991U 1994-07-20 1994-07-20 조립식 가설재(비계) KR0116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991U KR0116932Y1 (ko) 1994-07-20 1994-07-20 조립식 가설재(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991U KR0116932Y1 (ko) 1994-07-20 1994-07-20 조립식 가설재(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88U KR960005288U (ko) 1996-02-16
KR0116932Y1 true KR0116932Y1 (ko) 1998-05-15

Family

ID=1938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991U KR0116932Y1 (ko) 1994-07-20 1994-07-20 조립식 가설재(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9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88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512B1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20130139627A (ko)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강판 전단벽 구조
KR100583352B1 (ko) 철골 연결구
KR101920417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KR101975774B1 (ko) 복공판 일체형 합성거더,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의 시공방법
US9045894B2 (en) Center-supported wall panel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JP2928832B2 (ja) 柱の構成方法
KR20020025073A (ko) 다목적 구조체용 구성 부재
US20080016793A1 (en) Web hole reinforcing for metal wall stubs
KR0116932Y1 (ko) 조립식 가설재(비계)
RU62622U1 (ru) Сбор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р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аркаса, элемент перекрытия
EP1853774B1 (en) A construction element
JPH0816350B2 (ja) ユニット住宅の施工方法
JP3635467B2 (ja) 立体構築物
JP2889570B1 (ja) 吊足場
CA3059754A1 (en) Beam and column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incorporating a beam shelf system, in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frame of a structure
WO2006001222A1 (ja) 立体構築物
KR200340007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JP2524409B2 (ja) 軸組、パネル工法の家屋
CN214658652U (zh) 一种悬挑脚手架
JP3054035U (ja) 吊足場
JP2004137885A (ja) 長尺材の接合部材とその連結構造
KR20240040449A (ko) 모듈형 주택의 경량형강 프레임 슬라이드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