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07Y1 -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0007Y1 KR200340007Y1 KR20-2003-0032307U KR20030032307U KR200340007Y1 KR 200340007 Y1 KR200340007 Y1 KR 200340007Y1 KR 20030032307 U KR20030032307 U KR 20030032307U KR 200340007 Y1 KR200340007 Y1 KR 2003400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t
- pin
- gangform
- gang
- ti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4—Plug means for tie-hole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좌,우로 조립설치되는 유로폼과, 철판과 그 외측면에 다수개씩의 가로바 및 세로바가 격자상으로 용접되어 있는 갱폼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마주하도록 설치하여서 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일단은 유로폼측에 체결되고, 타단은 갱폼에 미리 뚫어놓은 원형구멍에 부착된 지지콘을 관통하여 갱폼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세로바의 일측에 근접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후렛타이와;
상기 갱폼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세로바들 각각에는 후렛타이의 타단에 형성된 핀체결공에 웨지핀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핀관통공;
을 포함하여 유로폼과 갱폼을 후렛타이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로폼과 갱폼으로 구성되는 거푸집을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체결조립함에 있어, 비교적 생산단가가 저렴한 판상의 후렛타이(Flat-tie)를 이용하여 유로폼과 갱폼을 체결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면을 구축할 때에는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유로폼과 갱폼으로 거푸집을 구성하여 콘크리트 벽면을 구축하는 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유로폼은 철재를 소재로 하여 일정한 규격의 직사각형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로폼은 철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강하고 조립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제작가가 비싸고 또 중량물이란 점에서 다수개의 유로폼을 상,하,좌,우로 연속해서 연결 설치하는 작업은 반드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한다.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은 내,외측 모두를 유로폼만으로 설치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외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폼의 경우에는 작업자는 건물의 각층 바닥을 형성하게 되는 슬라브를 발판 삼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안전하게 유로폼의 연결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유로폼의 경우에는 슬라브가 없기 때문에 슬라브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별도의 작업발판에서 유로폼 연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상기한 작업발판의 폭은 대체로 좁게 형성되어 있고 또 작업자가 유로폼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하기에는 많은 불편과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있으며, 또 고층으로 갈수록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더 커질 뿐 아니라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도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관계로 외측 거푸집을 유로폼으로 설치하는 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 작업발판과 같은 부대설비를 설치하는데 따른 추가비용의 소요가 많아져 경제적으로 부담이 커지게 된다.
한편, 철판과 각파이프로 제작되는 갱폼은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외벽 즉, 전,후,좌,우측 벽면 각각의 전체 폭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고 또 집크레인(Jib crane)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을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은 내측은 유로폼으로, 외측은 갱폼으로 형성하는 건축공법이 채택되고 있다.
갱폼의 경우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철판은 대략 1.5∼3mm 두께의 것을 사용하고 그 일면에 사각파이프로 된 가로목과 세로목을 격자상으로 용접하여 제작되고 또 철판에는 유로폼과의 체결을 위한 구멍을 뚫어주어야 하는데, 철판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뚫지 못하고 통상 드릴을 사용하여 뚫게 되므로 철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로폼의 경우는 후렛타이와 같이 두께가 납짝한 판상으로 된 것만을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갱폼의 경우는 단면이 원형인 환봉소재를 사용하기에 알맞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에 유로폼과 갱폼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격유지구는 환봉소재의 일단은 납짝하게 단조가공하여 유로폼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타단은 나사가공하고 그에 너트체를 나사조립하는 구조(도 9 및 도 10의 도시 참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간격유지구는 갱폼의 외측에서 타이볼트의 일단을 원형구멍으로 삽입하여 간격유지구의 단부에 연결된 너트체에 나사조립한 다음 타이볼트의 타단에는 와셔와 윙너트를 차례로 끼워준 다음 윙너트를 나사조립하는 수단으로 유로폼과 갱폼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거푸집 설치시에는 갱폼에 다수개 설치되는 타이볼트 각각에 윙너트를 일일히 나사조임하여야 하고 또 거푸집 해체시에도 윙너트를 일일히 나사풀림하여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 또는 해체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타이볼트 및 윙너트의 부품가 비싸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원인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은 거푸집 체결구조를 실용신안등록 제314944호 및 동 제321092호로 제안한 바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선행기술들의 유로폼(100)과 갱폼(200)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300)는 환봉소재의 일단(301)을 프레스 단조가공하여 유로폼에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단(302)에는 너트체(303)를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갱폼(200)에 뚫어진 원형구멍에는 간격유지구(300)의 너트체(303)를 지지하기 위한 갱폼지지콘(400)이 부착되어 있고, 또 갱폼(200)의 외측에서 간격유지구(300)에 체결되는 체결봉(500)의 일단(501)은 너트체(303)에 나사조립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502)은 납짝하게 단조가공된 상태에서 갱폼의 외측에 용접된 세로바(또는 가로바)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된 지지구(600) 또는 와샤(700)에 지지되게 끼워지는 웨지핀(800)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 역시 유로폼과 갱폼을 체결하는 부품수가 많고 또 간격유지구(300) 및 체결봉(500)을 환봉소재를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가가 비쌀 수밖에 없어 거푸집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목적하는 바는 유로폼과 갱폼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을 후렛타이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갱폼을 관통하는 후렛타이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 해체시 갱폼을 관통한 후렛타이의 일단을 절단하지 않고도 갱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한 유로폼과 갱폼으로 된 거푸집을 후렛타이로 체결하므로서 거푸집 체결구조의 조립부품수를 간소화시켜 거푸집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좌,우로 조립설치되는 유로폼과, 철판과 그 외측면에 다수개씩의 가로바 및 세로바가 격자상으로 용접되어 있는 갱폼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마주하도록 설치하여서 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일단은 유로폼측에 체결되고, 타단은 갱폼에 미리 뚫어놓은 원형구멍에 부착된 지지콘을 관통하여 갱폼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세로바의 일측에 근접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후렛타이와;
상기 갱폼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세로바들 각각에는 후렛타이의 타단에 형성된 핀체결공에 웨지핀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핀관통공;
을 포함하여 유로폼과 갱폼을 후렛타이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로바들은 2개씩 서로 근접하게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갱폼을 관통하는 후렛타이의 타단은 상기한 2개의 양측 세로바 사이에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일측 세로바의 핀관통공으로 삽입되어 후렛타이의 타단을 통과하여 타측 세로바의 핀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가 긴 웨지핀으로 2개의 세로바에 후렛타이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갱폼의 원형구멍에 부착되는 지지콘은 후렛타이의 단면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일자형 구멍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갱폼과 후렛타이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유로폼과 갱폼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조립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갱폼에 부착되는 지지콘의 사시도.
도 9및 도 10은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로폼 2 : 갱폼
3 : 후렛타이 4 : 지지콘
5,11 : 웨지핀 6 : 핀관통공
21 : 철판 22 : 가로바
23 : 세로바 24 : 원형구멍
31 : 일단 32 : 타단
33,34 : 핀체결공 35,36 : 절단홈
41 : 결착돌기 42 : 일자형 구멍
51 : 결속용 웨지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갱폼과 후렛타이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유로폼과 갱폼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조립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갱폼에 부착되는 지지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유로폼을, 2는 갱폼을 나타낸다.
상기 유로폼(1)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길이가 긴 양측에는 후렛타이(3)의 일단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홈에 끼워진 후렛타이를 웨지핀(11)으로 결속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갱폼(2)은 1.5∼3mm 정도의 두께로 된 철판(21)과, 그 일측면에 다수개씩의 가로바(22)와 세로바(23)가 격자상으로 용접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한 가로바와 세로바는 유로폼(1)과 갱폼(2)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상태를 기준할 때 갱폼(2)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가로바(22)의 경우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기 하나씩 용접되어 있으며, 세로바(23)의 경우에는 좌,우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하나씩 용접되어있거나 또는 2개가 서로 근접하여 한쌍을 이루는 구조로서 다수쌍 용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갱폼(2)에는 후렛타이(3)를 관통시킬 수 있는 원형구멍(24)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뚫어져 있는데, 상기한 원형구멍(24)들은 세로바(23)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중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도시는 세로바(23)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원형구멍(24)들이 세로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1개의 세로바(23)와 후렛타이(3)를 웨지핀(5)으로 체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는 2개의 세로바(23)가 한쌍을 이룬 채 좌,우 방향으로 여러 쌍 형성되어 있고 그들 각 상의 세로바 사이에 원형구멍(24)이 형성되어 각 쌍을 이루는 2개의 세로바(23)와 후렛타이(3)를 체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갱폼(2)의 철판(21)에 상,하,좌,우로 뚫어져 있는 원형구멍(24)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콘(4)은 원형구멍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후 철판(21)의 외면에 결착되는 결착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또 후렛타이(3)의 삽입 관통은 허용하는 한편,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시멘트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렛타이(3)의 단면과 같은 형성을 갖는 일자형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바(23)에는 지지콘(4)의 일자형 구멍(42)을 관통하는 후렛타이(3)의 타단(32)을 웨지핀(5)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는 핀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관통공(6)은 후렛타이(3)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하나씩 형성되므로서 각 세로바(23)에는 핀관통공(6)이 상,하 방향으로 여러개씩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렛타이(3)는 기존의 것과 마찬가지로 유로폼(1)에 체결되는 일단(31)과 갱폼(2)에 체결되는 타단(32) 각각에는 웨지핀을 끼워줄 수 있는 핀체결공(33)(34)이 뚫어져 있으며, 또한 외벽 구축 후 그 외벽의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후렛타이(3)의 양단(31)(32)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절단홈(35)(3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절단홈 중 유로폼(1)측을 향해 형성되는 절단홈(35)는 핀체결공(3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갱폼(2)측을 향해 형성되는 절단홈(36)은 핀체결공(34)에서 조금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후렛타이(3)의 양측에 형성되는 절단홈(35)(36)들은 유로폼(1) 및 갱폼(2)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렛타이(3)의 일단(31)을 유로폼(11)에 체결시키기 위한 웨지핀(11)은 유로폼의 양측 두께와 후렛타이의 두께만 관통하여 그 끝단에 형성된 장공으로 다른 결속용 웨지핀(도시 생략)으로 결속시킬 수 있으면 되므로 상기의 유로폼(1)을 체결시키는 결속용 웨지핀은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가진 것이 사용되는 한편, 갱폼(2)의 철판(21)을 관통하는 후렛타이의 타단(32)을 체결시키기 위한 웨지핀(5)은 세로바(23)의 두께와 후렛타이(3)의 핀체결공(34)을 관통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웨지핀(11)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갱폼(2)을 결속시키기 위한 긴 길이의 웨지핀(5) 끝단에는 별도의 다른 결속용 웨지핀(51)이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유로폼(1)과 갱품(2)으로 구성되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갱폼(2)을 구성하는 세로바(23)가 일정간격으로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의 도시는 유로폼(1)에 끼워진 후렛타이(3)의 일단(33)은 웨지핀(11)으로 체결시켜준 상태이고 그 타단은 갱폼(2)의 원형구멍(24)에 부착된 지지콘(4)의 일자형 구멍(42)을 관통하여 세로바(23)의 일측에 근접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어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세로바(23)에 형성된 핀관통공(6)의 일측에서 웨지핀(5)을 삽입하여 그 단부가 핀관통공(6)과 후렛타이(3)의 핀체결공(34)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웨지핀(5)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5a)에 결속용 웨지핀(51)을 끼워주게 되면 후렛타이(3)는 유로폼(1)과 갱폼(2)을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견고하게 체결하게 되는 것인데, 본 고안의 특징은 갱폼(2)을 관통하는 후렛타이(3)의 타단(32)이 세로바(23)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이 후렛타이(3)의 타단(32)이 세로바(23)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을 때에는 갱폼(2)의 철판(21)과 후렛타이(3)의 타단(32) 끝부분과의 거리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한 후 거푸집을 해체할 때 세로바(23)와 후렛타이(3)의 타단(32)을 결속시키고 있던 웨지핀(5)을 해체시킨 다음 후렛타이(3)의 타단(32)을 절단하지 않고도 갱폼(2)의 철판(21) 외측을 짧게 돌출되어 있는 후렛타이(3)의 타단(32) 끝으로 밀어내어 작업으로 갱폼(2)을 해체할 수 있게 되므로서 거푸집의 해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의 도시는 갱폼(2)의 외측에 좌,우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바(23)들을 각기 2개가 한쌍을 이루면서 좌,우 방향으로 여러 쌍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갱폼을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각 쌍을 이루는 양측 세로바(23)들 사이로 돌출되는 후렛타이(3)의 타단(32)을 양측의 세로바(23)들 중 어느 한쪽의 세로바에 형성된 핀관통공(6)으로 웨지핀(5)을 끼워주는 구조로서 후렛타이(3)의 타단(32)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갱폼(2)의 외측에 좌,우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바(2)를 각기 2개씩 여러쌍으로 용접하여 갱폼(2)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또한 웨지핀(5)을 삽입 체결할 때 결속하기 좋은 작업위치에 있는 세로바에 웨지핀(5)을 끼워주는 작업으로 갱폼을 체결할 수 있어 갱폼(2)의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실시예 역시 갱폼(2)의 철판(21)을 관통하는 후렛타이(3)의 타단(32) 길이를 세로바(23)를 벗어나지 않도록 짧은 길이의 후렛타이(3)를 사용하므로서 거푸집의 해체작업시 후렛타이의 타단(32)을 미리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갱폼을 해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도시는 갱폼(2)의 외측에 좌,우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바(23)를 각기 2개가 한쌍을 이루면서 여러쌍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함에 있어 각 쌍을 이루는 양측 세로바들 사이에 원형구멍(24)이 형성되게 하는 구조로서 각 쌍의 양측 세로바(23)를 관통할 수 있는 긴 길이를 갖는 웨지핀(5)으로 후렛타이(3)를 체결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실시예 또한 갱폼(2)의 외측에 좌,우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세로바(23)들이 2개가 한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갱폼(2)의 강도를 증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쌍의 세로바(23)들 사이로 돌출되는 후렛타이(3)의 타단(32)이 세로바(23)를 벗어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긴 길이를 갖는 웨지핀(5)이 양측 세로바(23)를 관통한 상태로 후렛타이(3)를 체결하고 있게 되므로서 후렛타이(3)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 역시 후렛타이(3)의 타단(32)이 세로바(23)를 벗어나지 않게 되어 전기한 실시예와 같이 후렛타이(3)의 타단(32)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갱폼(2)의 원형구멍(24)에 부착되는 지지콘(4)에는 후렛타이(3)가 관통되는 것은 허용하는 반면에 유로폼(1)과 갱폼(2)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일자형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콘(4)은 유로폼(1)과 갱폼(2)을 후렛타이(3)로의 거푸집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의 내,외측을 유로폼만으로 구성할 때 사용되는 후렛타이를 사용하여 유로폼과 갱폼으로 구성되는 거푸집을 체결함에 있어 갱폼을 관통하게 되는 후렛타이의 일측 단부가 세로바를 벗어나지 않도록 짧은 길이를 갖도록 하므로서 거푸집 해체시 갱폼을 관통한 후렛타이의 일측 단부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갱폼을 해체할 수 있게 되므로서 거푸집의 해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 유로폼과 갱폼으로 거푸집을 구성할 때 사용되는 간격유지구와 체결봉으로 된 체결구조를 후렛타이 하나의 부품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따른 인력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후렛타이는 종래 환봉소재로 제작되는 간격유지구에 비하여 생산가가 저렴하므로 거푸집의 설치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 상,하,좌,우로 조립설치되는 유로폼과, 철판과 그 외측면에 다수개씩의 가로바 및 세로바가 격자상으로 용접되어 있는 갱폼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마주하도록 설치하여서 되는 거푸집에 있어서,일단은 유로폼측에 체결되고, 타단은 갱폼에 미리 뚫어놓은 원형구멍에 부착된 지지콘을 관통하여 갱폼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세로바의 일측에 근접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후렛타이와;상기 갱폼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세로바들 각각에는 후렛타이의 타단에 형성된 핀체결공에 웨지핀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핀관통공;을 포함하여 유로폼과 갱폼을 후렛타이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세로바들은 2개씩 서로 근접하게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갱폼을 관통하는 후렛타이의 타단은 상기한 2개의 양측 세로바 사이에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일측 세로바의 핀관통공으로 삽입되어 후렛타이의 타단을 통과하여 타측 세로바의 핀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가 긴 웨지핀으로 2개의 세로바에 후렛타이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갱폼의 원형구멍에 부착되는 지지콘에는 후렛타이의 단면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일자형 구멍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2307U KR200340007Y1 (ko) | 2003-10-15 | 2003-10-15 |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2307U KR200340007Y1 (ko) | 2003-10-15 | 2003-10-15 |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0007Y1 true KR200340007Y1 (ko) | 2004-01-28 |
Family
ID=4942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2307U KR200340007Y1 (ko) | 2003-10-15 | 2003-10-15 |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000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8848B1 (ko) | 2005-12-30 | 2006-10-25 |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
KR200491688Y1 (ko) | 2019-10-01 | 2020-05-20 | 미래테크(주) | 콘크리트폼 체결구 |
-
2003
- 2003-10-15 KR KR20-2003-0032307U patent/KR2003400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8848B1 (ko) | 2005-12-30 | 2006-10-25 |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
KR200491688Y1 (ko) | 2019-10-01 | 2020-05-20 | 미래테크(주) | 콘크리트폼 체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73209A (en) | Prefabricated wall form modular unit | |
WO2016085187A1 (ko) |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 |
KR100809886B1 (ko) |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 |
KR101125549B1 (ko) |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
KR101866078B1 (ko) | 철근 조립용 지그장치 | |
KR100903211B1 (ko) |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 |
KR200340007Y1 (ko) |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
KR100626326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 |
CN211691535U (zh) | 一种组装式悬挑卸料平台 | |
KR100882163B1 (ko) |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패널 거푸집 구조 | |
KR200201561Y1 (ko) |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 |
KR200342284Y1 (ko) |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 |
KR20070027432A (ko) |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 |
CN111485640B (zh) | 一种装配式建筑中钢板剪力墙快速定位连接结构及方法 | |
KR20130011408A (ko) | 영구보거푸집 설치용 기둥캡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202296B1 (ko) | 조립식 거푸집 | |
KR101202300B1 (ko) |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 |
KR200222611Y1 (ko) |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
KR102249476B1 (ko) |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 |
KR200397582Y1 (ko) | 건축용 거푸집 간격유지구 | |
CN215330933U (zh) | 一种钢骨梁结构及钢结构建筑 | |
KR102209501B1 (ko) |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07607Y1 (ko) |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 |
JP6910101B1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 |
KR101320697B1 (ko) |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