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53B1 - 가설구조물용 발판 - Google Patents

가설구조물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53B1
KR102117153B1 KR1020180069508A KR20180069508A KR102117153B1 KR 102117153 B1 KR102117153 B1 KR 102117153B1 KR 1020180069508 A KR1020180069508 A KR 1020180069508A KR 20180069508 A KR20180069508 A KR 20180069508A KR 102117153 B1 KR102117153 B1 KR 10211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pair
partition wall
temporary struc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517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8006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재(3)와 수평재(2)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1)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11) 및 하판(12)과, 이 상판(11) 및 하판(12)의 대향되는 두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13,14)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로 개방된 중공부(15)가 형성된 발판본체(10); 상기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구비되며 상판(11) 및 하판(12)과 직각을 이루되 측판(13,14)과 나란히 연장되고, 일측에는 좌우로 관통된 장공(23,24)이 전후로 연장된 격벽(20); 외측단이 서로 연결되며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발판본체(10)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중공부(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과, 이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인접된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격벽(20)의 장공(23,24)에 관통 결합된 결합바(35)를 포함하는 보조발판(30,31); 및 상기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설구조물의 수평재(2)에 결합되는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발판이다.

Description

가설구조물용 발판{A walk plate for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본 발명은 가설구조물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구조물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가설구조물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등에서 높은 곳에 작업을 위해서 가설구조물을 설치하며, 이 가설구조물에는 작업자가 밟을 수 있도록 발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발판은 보통 사각파이프를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용접하고 사각테두리 내측에 타공판을 용접시키고, 사각파이프의 대향되는 양측에는 가설구조물의 수평바에 걸려지는 후크와 같은 클램프를 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발판은 상기와 같이 정해진 길이의 사각파이프가 용접된 형태이므로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피설치물인 가설구조물의 규격과 맞지 않을 경우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발판을 미리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제작된 다양한 사이즈의 복수개의 발판을 건설현장에 항상 비치해야 하기 때문에 운반비 등의 제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판 설치시 규격이 맞지 않을 경우 다른 규격의 발판을 다시 운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발판으로 다양한 규격의 가설구조물에 설치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규격이 다른 복수개의 발판을 제작 및 운반하는 것에 비해 제작비 및 운반비를 절감하고 설치작업도 편리한 가설구조물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수직재(3)와 수평재(2)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1)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11) 및 하판(12)과, 이 상판(11) 및 하판(12)의 대향되는 두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13,14)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로 개방된 중공부(15)가 형성된 발판본체(10); 상기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구비되며 상판(11) 및 하판(12)과 직각을 이루되 측판(13,14)과 나란히 연장되고, 일측에는 좌우로 관통된 장공(23,24)이 전후로 연장된 격벽(20); 외측단이 서로 연결되며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발판본체(10)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중공부(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과, 이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인접된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격벽(20)의 장공(23,24)에 관통 결합된 결합바(35)를 포함하는 보조발판(30,31); 및 상기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설구조물의 수평재(2)에 결합되는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발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판본체(10)는 상판(11)과 일측 측판(13)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판(12)과 타측 측판(1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20)은 발판본체(10)의 상판(11)에서 일체로 직각 돌출된 제1격벽(21)과, 발판본체(10)의 하판(12)에서 일체로 직각 돌출되되 상기 제1격벽(21)과 서로 어긋나도록 돌출된 제2격벽(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발판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본체(10)에서 슬라이드 인출되는 보조발판(30,31)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설구조물(1)의 규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단일의 발판으로 다양한 규격의 가설구조물(1)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규격이 다른 복수개의 발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작비 및 운반비 등 제반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격벽(20)이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구비되어 발판본체(10)의 강도를 보강하므로,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발판본체(10)가 상판(11), 일측 측판(13) 및 제1격벽(21)이 일체로 이루어지고{제1발판본체(10a)}, 하판(12), 타측 측판(14) 및 제2격벽(22)이 일체로 이루어져서{제2발판본체(10b)} 측판(13,14)과 상판(11) 및 하판(12)이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발판본체(10a,10b)가 상하로 뒤집으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단일의 금형을 통해 압출하여 커팅함으로써 제작되므로,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용 발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용 발판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용 발판은 전후가 개방된 중공부(15)가 형성된 발판본체(10)와, 이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구비된 격벽(20)과, 상기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되는 보조발판(30,31)과, 이 보조발판(30,31)에 구비되어 가설구조물(1)에 고정되는 클램프(40)를 포함한다. 이때, 가설구조물(1)은 주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재(3)와 수평재(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본체(10)는 상하로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11) 및 하판(12)과, 이 상판(11) 및 하판(12)의 대향되는 두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13,14)을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상판(11) 및 하판(12)이 측판(13,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측판(13,14)은 띠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판(11)과 일측 측판(13)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판(12)과 타측 측판(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 측판(13)과 하판(12) 및 타측 측판(14)과 상판(11)이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발판본체(10)의 내부에는 전후가 개방된 중공부(15)가 형성된다. 한편, 측판(13,14)에는 손잡이(18)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격벽(20)은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구비되어 발판본체(10)의 강도를 보강한다. 이러한 격벽(20)은 발판본체(10)의 상판(11) 및 하판(12)과 직각을 이루며 측판(13,14)과 나란하게 발판본체(10)의 전후로 연장되어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를 한 쌍의 단위중공부(15a)로 구획한다. 그리고 격벽(20)에는 장공(23,24)이 발판본체(10)의 전후로 연장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장공(23,24)이 이격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장공(23,24)은 하나일 수도 있다.
한편, 격벽(20)은 발판본체(10)의 상판(11)에서 일체로 직각 돌출되는 제1격벽(21)과, 발판본체(10)의 하판(12)에서 일체로 직각 돌출되는 제2격벽(2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상판(11), 일측 측판(13) 및 제1격벽(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1발판본체(10a)를 이루고, 하판(12), 타측 측판(14) 및 제2격벽(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2발판본체(10b)를 이루며, 제1발판본체(10a)의 상판(11) 및 측판(13)과 제2발판본체(10b)의 측판(14) 및 하판(12)이 용접 등으로 결합되면 발판본체(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격벽(21,22)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제1격벽(21)의 단부는 하판(12)에 접촉 지지되고, 제2격벽(22)의 단부는 상판(11)에 접촉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격벽(21,22)과 측판(13,14)의 간격(L)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발판본체(10a)를 상하로 뒤집으면 제2발판본체(10b)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발판본체(10a,10b)는 동일한 형상이어서 단일 금형을 통해 압출성형하여 커팅하기만 하면 제1 및 제2발판본체(10a,10b)가 한꺼번에 제작되므로, 단일의 금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발판(30,31)은 외측단이 연결띠부재(36)로 서로 연결되며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발판본체(10)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각각의 단위중공부(15a)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과, 이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인접된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격벽(20)의 장공(23,24)에 관통 결합된 결합바(3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조단위발판(32,33)은 다수의 보강리브(34)에 의해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단위발판(32,3)이 발판본체(10)의 단위중공부(15a)에서 슬라이드될 때 결합바(35)는 격벽(20)의 장공(23,24)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은 외측단이 연결띠부재(36)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바(35)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발판본체(10)에서 함께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보조단위발판(32,33)을 개별적으로 인출입시키지 않아도 되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을 인출입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격벽(20)에 장공(23,24)이 2개이므로, 보조발판(30,31)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발판본체(10)의 개구된 양 측면을 통해 각각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격벽(20)에 장공(23,24)이 하나일 경우 보조발판(30,31)이 하나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 발판본체(10)의 측면(13,14)에는 고정볼트(17)가 나사결합되는 볼트공(16)이 형성되는데,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볼트공(16)은 발판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된 너트체의 너트공을 예시하였다. 이 고정볼트(17)를 조여주면 보조발판(30,31)의 측면을 가압하여 보조발판(30,31)이 발판본체(10)에 위치고정된다. 한편, 보조단위발판(32,33)의 측면에는 고정볼트(17)가 끼워지는 끼움공(37)이 형성되어, 보조발판(30,31)이 발판본체(10)에 수납된 상태에서 보조발판(30,31)이 발판본체(10)에서 임의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운반시 보조발판(30,31)의 임의 인출로 인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거나 구조물이 파손되는 등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상기 클램프(40)는 보조발판(30,31)의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외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가설구조물(1)의 수평재(2)에 결합된다. 도 1과 같이, 클램프(40)는 보조발판(30,31)의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저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4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이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가설구조물(1)의 수평재(2)에 간편하게 끼울 수 있도록 구비되나, 가설구조물(1)의 수평재(2)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용 발판은 가설구조물(1)의 규격 즉, 가설구조물(1)의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수평재(2) 사이의 간격에 맞게 보조발판(30,31)을 발판본체(10)에서 인출하여 클램프(40)를 가설구조물(1)의 수평재(2)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볼트(17)를 조여서 보조발판(30,31)을 발판본체(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재(2)간의 간격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가설구조물(1)에 단일의 발판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편리하고 규격이 다른 복수개의 발판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규격이 다른 복수개의 발판을 건설현장에 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반비가 절감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용 발판을 도시한 것으로, 클램프(40)가 보조발판(30,31)의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측면 즉,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이 각각 결합되어 서로 연결하는 연결띠부재(3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40)가 전번 실시예보다 발판의 외측으로 좀 더 돌출되므로, 전번 실시예에 비해 보조발판(30,31)을 조금 덜 인출하더라도 가설구조물(1)의 수평재(2)에 결합시킬 수 있어 보조발판(30,31)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원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발판(30,31)의 사이즈가 줄어 발판 전체의 무게가 줄기 때문에 운반시 힘이 좀 덜 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가설구조물 2 : 수평재
10 : 발판본체 10a : 제1발판본체
10b : 제2발판본체 20 : 격벽
21 : 제1격벽 22 : 제2격벽
23, 24 : 장공 30, 31 : 보조발판
32, 33 : 보조단위발판 35 : 결합바
40 : 클램프

Claims (2)

  1. 수직재(3)와 수평재(2)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1)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11) 및 하판(12)과, 이 상판(11) 및 하판(12)의 대향되는 두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13,14)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로 개방된 중공부(15)가 형성된 발판본체(10);
    상기 발판본체(10)의 중공부(15)에 구비되며 상판(11) 및 하판(12)과 직각을 이루되 측판(13,14)과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15)를 한 쌍의 단위중공부(15a)로 구획하고, 일측에는 좌우로 관통된 장공(23,24)이 전후로 연장된 격벽(20);
    외측단이 서로 결합되며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발판본체(10)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각 단위중공부(15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과, 이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인접된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격벽(20)의 장공(23,24)에 관통 결합된 결합바(35)를 포함하는 보조발판(30,31); 및
    상기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32,33)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설구조물의 수평재(2)에 결합되는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본체(10)는 상판(11)과 일측 측판(13)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판(12)과 타측 측판(1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20)은 발판본체(10)의 상판(11)에서 일체로 직각 돌출된 제1격벽(21)과, 발판본체(10)의 하판(12)에서 일체로 직각 돌출되되 상기 제1격벽(21)과 서로 어긋나도록 돌출된 제2격벽(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발판.
KR1020180069508A 2018-06-18 2018-06-18 가설구조물용 발판 KR10211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08A KR102117153B1 (ko) 2018-06-18 2018-06-18 가설구조물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08A KR102117153B1 (ko) 2018-06-18 2018-06-18 가설구조물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517A KR20190142517A (ko) 2019-12-27
KR102117153B1 true KR102117153B1 (ko) 2020-05-29

Family

ID=6906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08A KR102117153B1 (ko) 2018-06-18 2018-06-18 가설구조물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656A (ja) * 1997-09-10 1999-03-26 Showa Alum Corp 中空足場材の製造方法
KR200453358Y1 (ko) * 2008-08-04 2011-04-25 주식회사 태웅코로죤 선박용 슬라이드 족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517A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859B2 (en) Conversion corner chamfer for form work
US6419204B1 (en) Outside conversion corner for form work
US4473209A (en) Prefabricated wall form modular unit
US20080173788A1 (en) Lightweight Crane-Set Forming Panel
WO1991010028A1 (en) Prefabricated assembly for poured concrete forming structures
US2898659A (en) Concrete form locking means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CN102105644B (zh) 对模板和配件的改进
KR20170119777A (ko) 안전작업대 모듈
US10844617B1 (en) Support brace for window frames in poured concrete walls
KR102117153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US4744541A (en) Multiple purpose concrete form
KR102181982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US3486729A (en) Pretensioned knockdown concrete wall form panel
WO2008060138A1 (en) A system of formwork and connecting means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203224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US2232112A (en) Apparatus for setting up concrete forms
RU274442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CN203769301U (zh) 一种钢框模板
KR100930003B1 (ko) 슬라브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방법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KR20240051574A (ko) 작업발판
KR102261341B1 (ko) 조립식 블록
KR101097836B1 (ko) 일체형 기둥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