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224Y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224Y1
KR200203224Y1 KR2020000017046U KR20000017046U KR200203224Y1 KR 200203224 Y1 KR200203224 Y1 KR 200203224Y1 KR 2020000017046 U KR2020000017046 U KR 2020000017046U KR 20000017046 U KR20000017046 U KR 20000017046U KR 200203224 Y1 KR200203224 Y1 KR 200203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panel
formwork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호
Priority to KR2020000017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또는 구축용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금속제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은,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평판상 본체의 양편에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양 플랜지 사이의 평판상 본체 외면에 다수의 보강대가 등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접접합된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삼각단면의 지지 프레임 하단부 외측으로 소폭의 용접용 브래킷이 평판상 본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지지 프레임의 상부로는 'ㄱ'자 형의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이때 상기 평판상 본체의 길이방향 양 외측단부상에는 연결핀 삽입공이 구비된 사각의 연결단판이 결합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은 보강대에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운반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개선이 기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그 길이 방향 양 단부상에 구비된 연결단판을 통해서 시공대상 벽체의 높이에 따라 금속제 거푸집 판넬을 적층연결하여 시공대상 벽체의 전체 높이에 걸쳐 내,외벽용 거푸집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Aluminum Foam panel for wall of concrete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 또는 구축용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금속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외벽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제 플레이트 본체의 양편으로 연결용 플랜지가 형성된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연결용 플랜지 사이의 평판상 본체 외면상에 손잡이가 구비된 보강대를 용접접합함과 아울러 본체의 길이방향 양 외측단부에는 연결단판을 장착하여 내,외벽용 거푸집 판넬의 운반 및 설치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시공대상 벽체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숫자의 거푸집 판넬이 일직선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벽체의 전체 높이가 커버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목재로 이루어진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목재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과정은, 평판상의 판체와 각형 바를 못질하여 구성된 단위 판넬을 연결조립하여 내벽용 거푸집 및 외벽용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철근과 콘트리트를 채워넣어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떼어 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는 판넬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철거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목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은 그 표면상태가 평탄면을 이루지 못한 채 특히 판넬 연결부위 등에서 요철면이 남게되어 벽체의 외관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목재 거푸집은 그 설치 및 철거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서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되며, 파손되어 못쓰게 된 거푸집 판넬은 주로 소각을 통해서 처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가 공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그 처리를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목재 거푸집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의 경우에는 목재 거푸집에 비해 중량은 약간 더 나가는 면이 있기는 하나 표면이 매끄러운 평탄면을 이루고 있어 양생되어 나오는 벽체의 외면상태가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도1은 알루미늄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의 구조 및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소정폭을 갖는 알루미늄 판체의 폭방향 양편에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양 플랜지 사이에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대가 용접접합되어 이루어진 단위 거푸집 판넬(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우로 연결하여 외벽용 거푸집(2)을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외벽용 거푸집(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단위 거푸집 판넬(1)을 연결하여 내벽용 거푸집(3)을 설치한다.
이때, 내벽용 거푸집(2)과 외벽용 거푸집(3)간의 간격유지는 이들 판넬을 가로질러 삽입되는 간격 유지구(4)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 간격 유지구는 그 양단부가 내,외벽용 거푸집(2)(3)의 서로 맞다은 연결용 플랜지 사이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들 플랜지와 간격 유지구(4)상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핀 삽입공을 통해서 연결핀(5)이 공통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거푸집 판넬(1)간의 조립 및 판넬과 간격 유지구(4) 사이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내,외벽용 거푸집(2)(3)의 개방된 측단부상에는 측단벽용 거푸집 (6)이 설치됨으로써 시공대상 벽체 형성부는 상부를 제외하고 사방이 거푸집으로 둘러싸인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면 거푸집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철근(7)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8)를 채워넣게 됨으로써 벽체(W)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며,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는 상기 거푸집 조립순서의 역순으로 각 거푸집을 해체하여 분리해 내게 된다.
상기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중에서 내,외벽용 거푸집 판넬(1)의 구성을 도2에 도시된 일부절결 사시도를 통해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거푸집 판넬(1)은 폭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평판상 본체(1a)의 양편으로 소폭의 연결용 플랜지(1b)(1b')가 본체와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본체(1a)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ㄷ'자형 또는 사각 통형의 단부 가로대(1c)(1c')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상 본체(1a)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하부가 넓고 윗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드는 사다리꼴 단면의 보강대(1d)가 서로 등간격을 유지한 채 폭방향으로 용접접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거푸집 판넬(1)은 평판상 알루미늄 판체를 일정폭으로 절단한 후 그 양편에 연결용 플랜지(1b)(1b')를 용접에 의해 수직으로 접합하고 가로대(1c)(1c')와 보강대(1d)를 용접접합하는 제조과정을 통해서 제작되거나, 양편에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알루미늄 압출성형한 후 가로대와 보강대를 용접접합하는 과정을 통해서 제작되어 진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거푸집 판넬 구조에서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이의 설치 또는 철거를 위한 운반시에 양손으로 보강대를 파지한 상태로 거푸집 판넬을 운반하게 되는 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강대는 사다리꼴 형태의 외형을 띰에 기인하여 확실한 파지가 곤란하고, 또한 파지상태에서 운반 도중에 파지부가 미끄러져서 거푸집 판넬을 놓치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은 그 폭이 30cm 정도이고 길이가 2m를 훨씬 넣는 규격으로서 판넬 자체의 무게가 30kg을 상회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상기와 같은 판넬 운반시의 문제점은 작업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거푸집 판넬의 보강대는 사다리꼴 형상의 양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면의 하단부를 평판상 본체의 외면에 용접접합하게 되는 데, 이때 용접 대상부에 벌어진 틈새가 존재하여 용접비드 형성에 많은 시간과 용접재료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거푸집 판넬은 폭방향의 좌,우 양편에만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을 뿐으로, 길이방향 상,하단부에는 별도의 연결용 플랜지가 없이 단부 가로대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대상 벽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또는 높이)로 제작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시공대상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높이도 높게 제작되어야 하는 데, 이와 같이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거푸집 판넬의 중량이 너무 무거워져서 취급에 어려움이 따름은 물론 그러한 판넬의 제작 역시도 까다롭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양편에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된 거푸집 판넬의 강도보강을 위해 폭방향으로 용접접합되는 보강대가 하부에는 평판상 본체와의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용 브래킷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파지가 용이한 'ㄱ'자 형상의 손잡이부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 판넬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연결핀 삽입공이 구비된 연결단판이 용접접합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거푸집 판넬을 일직선상으로 연결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을 제공하는 데 두고 있다.
도1은 종래 벽체 형성용 거푸집의 구조를 사시도.
도2는 종래 내,외벽용 거푸집 패널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의 조립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평판상 본체 11, 11'. 연결용 플랜지
11a, 11'a, 13a, 13'a. 연결핀 삽입공
12. 보강대 12a. 지지 프레임
12b. 용접용 브래킷 12c. 손잡이부
13, 13'. 연결단판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금속제,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평판상 본체의 양편에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플랜지 사이의 평판상 본체상에 다수의 보강대가 등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접접합된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삼각단면의 지지 프레임 하단부 외측으로 소폭의 용접용 브래킷이 평판상 본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지지 프레임의 상부로는 'ㄱ'자 형의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은 이에 부가하여 평판상 본체의 길이방향 양 외측단부상에는 연결핀 삽입공이 구비된 사각의 연결단판이 역시 용접에 의해서 결합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의 조립전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의 용접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 금속제 거푸집 판넬은, 소정의 넓은 폭과 길이로 압출성형되어 나온 알루미늄 판체를 적절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얻어진 평판상 본체(10)의 양편에 소정폭으로 압출성형되어 상기 평판상 본체(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된 후 평판상 본체(10)의 양편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조립되는 연결용 플랜지(1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용 플랜지(11)(1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요홈(11a)(11'a) 내부에 연결핀 삽입공(11b)(11'b)이 등간격으로 천공됨과 아울러 가이드 요홈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간격 유지구 안착홈(11c)(11'c)이 다수곳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평판상 본체(10)의 외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다수개의 보강대(12)가 서로 등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접접합되는 데, 상기 보강대(12)는 삼각 단면형상을 취하는 지지 프레임(12a)의 하단부 외측으로 일정폭을 갖는 용접용 브래킷(12b)이 평판상 본체(10)의 외면과 평행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2a)의 상단으로는 대략 'ㄱ'형 단면의 손잡이부(12c)가 일체로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강대는 그 양단부와 양편 플랜지(11)(11') 내면간의 접촉부 및 용접용 브래킷(12b)의 단부와 평판상 본체(10) 사이를 용접에 의해서 접합함에 의해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상 본체(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다수개의 연결핀 삽입공(13a)(13'a)이 구비된 직사각형 형태의 연결단판(13)(13')이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는 데, 이 연결단판의 높이는 연결용 플랜지(11)(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금속제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시에는, 시공 대상 벽체의 높이에 맞추어 제작된 금속제 거푸집 판넬을 좌우로 연결조립하여 내,외벽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취하게 되나, 만일 시공 대상 벽체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을 상,하 다단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된 상태의 연결단판상에 구비된 연결핀 삽입공을 통해서 연결핀을 체결함에 의해서 시공대상 벽체의 전체 높이가 커버되도록 내,외벽용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넬의 시공 또는 철거 등을 위해 이를 운반할 때에는 보강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된 'ㄱ' 자 형태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운반을 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은 보강대에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운반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개선이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그 길이 방향 양 단부상에 구비된 연결단판을 통해서 시공대상 벽체의 높이에 따라 측단벽용 거푸집을 연속연결하여 시공대상 벽체의 전체 높이에 걸쳐 내,외벽용 거푸집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Claims (2)

  1.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평판상 본체의 양편에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양 플랜지 사이의 평판상 본체 외면에 다수의 보강대가 등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접접합된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삼각단면의 지지 프레임 하단부 외측으로 소폭의 용접용 브래킷이 평판상 본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지지 프레임의 상부로는 'ㄱ'자 형의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상 본체의 길이방향 양 외측단부상에는 연결핀 삽입공이 구비된 사각의 연결단판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판넬.
KR2020000017046U 2000-06-15 2000-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200203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46U KR200203224Y1 (ko) 2000-06-15 2000-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46U KR200203224Y1 (ko) 2000-06-15 2000-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224Y1 true KR200203224Y1 (ko) 2000-11-15

Family

ID=1966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046U KR200203224Y1 (ko) 2000-06-15 2000-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22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33B1 (ko) * 2008-06-26 2011-09-29 아봉금속공업(주) 본딩접합되는 거푸집
KR20180089801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KR20180089805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CN108612303A (zh) * 2018-06-22 2018-10-02 广西雷盾建筑材料科技有限公司 模板及模板的制作方法
CN109457949A (zh) * 2018-12-06 2019-03-12 深圳市前海格锐建筑技术有限公司 带背楞的铝合金墙模板及其安装结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33B1 (ko) * 2008-06-26 2011-09-29 아봉금속공업(주) 본딩접합되는 거푸집
KR20180089801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KR20180089805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KR101966226B1 (ko) * 2017-02-01 2019-04-05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KR102022239B1 (ko) * 2017-02-01 2019-09-1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CN108612303A (zh) * 2018-06-22 2018-10-02 广西雷盾建筑材料科技有限公司 模板及模板的制作方法
CN108612303B (zh) * 2018-06-22 2023-11-28 广西雷盾建筑材料科技有限公司 模板及模板的制作方法
CN109457949A (zh) * 2018-12-06 2019-03-12 深圳市前海格锐建筑技术有限公司 带背楞的铝合金墙模板及其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GB2319274A (en) Framework for use in concrete walls for supporting wall shuttering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200203224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CN109944439B (zh) 用于柱模板加固的可调钢丝绳桁架装置
KR101791043B1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KR200372661Y1 (ko) 거푸집 분리형 트러스 데크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2032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단벽용 거푸집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200430908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JP2005213852A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KR0127910Y1 (ko)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1791041B1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KR200292760Y1 (ko) 거푸집 기초가름대
KR102029001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5083Y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 하부 설치 구조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JP2019523353A (ja) 改良された型枠アセンブリ
KR200292761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KR20020322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부재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KR102117153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102402013B1 (ko) 고강도 유로폼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