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414B1 -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 Google Patents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414B1
KR100785414B1 KR1020060066705A KR20060066705A KR100785414B1 KR 100785414 B1 KR100785414 B1 KR 100785414B1 KR 1020060066705 A KR1020060066705 A KR 1020060066705A KR 20060066705 A KR20060066705 A KR 20060066705A KR 100785414 B1 KR100785414 B1 KR 10078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coupling
metal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환
Original Assignee
강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환 filed Critical 강석환
Priority to KR102006006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판재와 금속 프레임을 반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잇도록 제작된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은, 사각 판상의 금속 판재(11)와; 금속 판재(11)의 배면에 직립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선형 결합부재(12)와; 금속 판재(11)의 배면에 전면이 밀착되며, 각 결합부재(12)에 의해 관통되는 사각 형상의 금속 프레임(13)과; 각 결합부재(12)의 외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조임부재(14)로 구성되며, 상기 판재(11)와 프레임(13)을 각각 강판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은, 판재와 프레임 중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중량이 증가하기는 하나 강판을 사용함으로써 알우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거푸집, 합판, 거푸집 판넬

Description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The panel consisting of plate and frame being joinable reapeatedly}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4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금속 판재 12. 결합부재
13. 금속 프레임 13A. 보강부재
14. 조임부재
B. 볼트 F. 결합구
H. 통공 h. 결합공
본 발명은, 건축 등에 사용되는 거푸집 판넬을,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 다수가 배면에 고정 결합된 사각형 판재와, 상기 각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을 가진 프레임 및 통공을 관통한 결합부재의 외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임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판재와 프레임을 반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 판넬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의 형성은 콘크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도구로서, 종래에는, 합판의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결합된 목재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 바, 이러한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합판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못질되어 만들어진 목재 거푸집 판넬 다수를, 벽체나 기둥의 뼈대가 되는 철근 조립부 외부에 연결 조립하여 내·외벽 또는 기둥용 등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그 사이의 공간에 콘트리트를 채워넣어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된 다음 거푸집을 이루고 있는 목재 거푸집 판넬들을 벽체로부터 떼어 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는 거푸집 판넬들간의 연결 조립이 못질과 함께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목재 거푸집 판넬은, 목재의 특성상 거푸집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벽체의 규모가 클수록 그러한 경향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벽체의 외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거푸집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우기전 별도의 보강재로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의 배면을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목재 거푸집 판넬은,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된다.
또한, 파손되어 못쓰게 된 목재 거푸집 판넬은, 주로 소각을 통해서 처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가 공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그 처리를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재 거푸집 판넬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 하여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거푸집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강재 거푸집 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시 노동부하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이 개발되었다.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은, 강재 거푸집 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목재 거푸집 판넬과 비교하여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으며, 그에 따라, 양생된 벽체의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은, 강재 거푸집 판넬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거푸집 판넬은, 그 재질에 관계 없이, 전면이 벽체에 밀착되는 판재와, 판재의 배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종래 금속 거푸집 판넬의 경우, 판재와 프레임이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리벳팅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바, 특히, 벽체에 밀착되는 판재에 손상이 생기는 경우 거푸집 판넬 자체를 못쓰게 되며, 그러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의 경우 크다.
또한, 리벳팅 자국이 벽체에 잔존함으로써 벽체의 표면 품질이 떨어질 수도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의 경우,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강성과 표면 경도가 강재 판재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표면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한 바, 벽체 표면에 리벳팅 자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벽체의 표면 품질 향상을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표면에 별도의 합성수지 코팅층을 피복하는 경우도 있는 등 제조 비용이 더욱 상승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금속 거푸집 판넬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재와 프레임을 자유롭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판넬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의 판재와 프레임을 반복하여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 판넬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판재의 배면에 고정 결합시킨 다수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은, 판재와 프레임을 필요 시마다 자유롭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구조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은, 선형(線形) 결합부재 다수가 배면에 결합된 판재와; 상기 각 결합부재가 각각 관통하는 통공 다수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과; 통공을 관통한 각 결합부재의 외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임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재와 프레임의 재료로는, 강(鋼)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 금속의 종류에 관계는 없으나, 판재의 경우에는 강판을, 프레임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사용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강판으로 판재를,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프레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판재의 경우,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판재의 전면에 스크래치나 변형 등이 초래되기 쉽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도와 경도가 높은 강판을 사용하되, 프레임을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으로 만듦으로써, 본 발명 거푸집 판넬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강판 판재와 강 프레임, 알루미늄 합금 판재과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 알루미늄 합금 판재와 강 프레임 등으로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프레임의 경우 강화 프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판재와 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일반 볼트, 스터드 볼트 등과 같은 볼트류를, 조임부재로는, 볼트류에 분리 가능하개 결합되는 너트류를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직경 방향 결합공이 구비된 핀을 결합부재로, 결합공에 관통 또는 삽입 결합되는 쐐기형 핀을 조임부재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재와 조임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 판재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는 금속 결합부재의 내측단부는 용접 에 의해 단단히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용접시 판재와 결합부재의 용접 결합부에 의해 판재의 전면 평탄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주의를 해야하며, 용접 과정에서와 결합부의 반대측 판재 전면에 변형이 초래되었을 경우에는 판금, 연마 등을 하여 변형되기전의 평탄도를 갖도록 하여야만 한다.
이때, 상기 판재와 결합부재의 결합을 반드시 고정식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한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금속 판재와 금속 결합부재를 고정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용접법으로는, 일반 전기 아크 용접, 스터드 용접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제1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분해 사시도를, 도 2에 본 발명 제2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은,
사각 판상의 금속 판재(11)와;
상기 금속 판재(11)의 배면에 직립하도록 내측단부가 결합된 다수의 결합부재(12)와;
상기 금속 판재(11)의 배면에 전면이 밀착되며, 상기 각 결합부재(12)가 관통하는 통공(H) 다수가 구비되고, 다수의 보강부재(13A)가 결합된 사각 형상의 금속 프레임(13)과;
상기 금속 프레임(13)의 통공(H)을 관통한 각 결합부재(12)의 외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조임부재(1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재(11)와 프레임(13)은, 금속 특히, 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되, 판재(11)는 강판으로, 프레임(13)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에서, 판재(11)와 프레임(12)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결합부재(12)와 조임부재(14)는, 서로 짝을 이루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바, 대표적인 것으로는 스터드 볼트를 포함한 볼트류와 너트류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판재(11)와 결합부재(12)의 결합의 경우, 분리 또는 고정 결합시킬 수가 있는 바, 판재(11)와 결합부재(12)가 모두 금속이며 이 둘을 고정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용접 특히, 스터드 용접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용접 방법들 중 반드시 스터드 용접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판재(11)와 결합부재(12)가 모두 금속일 경우에도,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1)의 배면에 결합부재(12)로 사용되는 볼트(B)의 헤드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말굽형 결합구(F)를 고정 결합시키고, 이 결합구(F)에 결합부재(12)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판재(11)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2)는,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또는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2)의 경우 볼트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 와 같이, 판재(11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3)의 통공(H) 직상에 위치하게 되는 결합공(h)을 가진 핀을 결합부재(12)로 사용하고, 결합부재(12)의 결합공(h)에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 또는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쐐기형 핀을 조임부재(14)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2)로 사용되는 핀의 경우 원형, 다각형, 일자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조임부재(14)로 사용되는 쐐기형 핀의 경우에도 결합부재(12)용 핀과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1)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단부에 헤드부가 있는 결합부재(12)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가 없는 결합부재(1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재(12)를 스터드 용접에 의해 판재(11)의 배면에 결합시키고, 결합부재(12)의 외측단부를 조임부재(14)로 조임으로써, 판재(11)의 배면에 프레임(13)의 전면을 직접 밀착시킨 상태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형태 구조적으로는 앞의 구조들에 비하여 더욱 안정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은,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판재와 프레임 중의 어느 일측이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거푸집 판넬의 유지 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판재를 강판으로 제작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판재에 비하여 다소 중량이 증가하기는 하나 제조 비용이 떨어지는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사각 판상의 금속 판재(11)와; 상기 금속 판재(11)의 배면에 직립하도록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결합부재(12)와; 상기 금속 판재(11)의 배면에 전면이 밀착되며, 각 결합부재(12)가 관통하는 통공(H) 다수가 구비된 사각 형상의 금속 프레임(13)과; 상기 각 통공(H)을 관통한 각 결합부재(12)의 외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조임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각 판상의 판재 배면에 판재 보강 프레임이 결합된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판재(11)의 배면에는 말굽형 결합구(F)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2)로 사용되는 볼트(B)의 헤드부는 상기 말굽형 결합구(F)를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66705A 2006-07-18 2006-07-18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10078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705A KR100785414B1 (ko) 2006-07-18 2006-07-18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705A KR100785414B1 (ko) 2006-07-18 2006-07-18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879U Division KR200428244Y1 (ko) 2006-07-03 2006-07-03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414B1 true KR100785414B1 (ko) 2007-12-13

Family

ID=3914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705A KR100785414B1 (ko) 2006-07-18 2006-07-18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4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53B1 (ko) * 2009-04-03 2012-03-23 주식회사 스틸이엔씨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5385B1 (ko) 2013-02-12 2013-09-09 (주)천호산업 매끈한 타설면을 제공하는 유로 폼
DE102020111413A1 (de) 2020-04-27 2021-10-28 Peri Gmbh Schnellverbindungs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629A (ko) * 2001-12-22 200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제 거푸집
KR100620253B1 (ko) 2006-05-29 2006-09-06 미래테크(주) 거푸집설치용 거푸집판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629A (ko) * 2001-12-22 200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제 거푸집
KR100620253B1 (ko) 2006-05-29 2006-09-06 미래테크(주) 거푸집설치용 거푸집판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53B1 (ko) * 2009-04-03 2012-03-23 주식회사 스틸이엔씨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5385B1 (ko) 2013-02-12 2013-09-09 (주)천호산업 매끈한 타설면을 제공하는 유로 폼
DE102020111413A1 (de) 2020-04-27 2021-10-28 Peri Gmbh Schnellverbindungs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CN109944439B (zh) 用于柱模板加固的可调钢丝绳桁架装置
KR200438064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
KR200430908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200428244Y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KR101207013B1 (ko)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203224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20090004432U (ko) 거푸집판넬 연결핀
CN220550857U (zh) 一种模块化现浇混凝土模具
KR20090003806U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알루미늄거푸집판넬
KR100469031B1 (ko) 거푸집 설치를 위한 와셔 일체형의 체결볼트
KR200292761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KR950008099B1 (ko)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CN215368690U (zh) 一种建筑钢塑模板
KR200361277Y1 (ko)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KR100728736B1 (ko) 거푸집 보강대
JP5228164B2 (ja) 木造建物の壁補強フレーム及び壁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