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32U - 거푸집판넬 연결핀 - Google Patents

거푸집판넬 연결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32U
KR20090004432U KR2020070017944U KR20070017944U KR20090004432U KR 20090004432 U KR20090004432 U KR 20090004432U KR 2020070017944 U KR2020070017944 U KR 2020070017944U KR 20070017944 U KR20070017944 U KR 20070017944U KR 20090004432 U KR20090004432 U KR 200900044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mwork panel
connecting pin
formwork
finish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환
Original Assignee
(주)거혁건설
(주)거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혁건설, (주)거혁산업 filed Critical (주)거혁건설
Priority to KR2020070017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432U/ko
Publication of KR20090004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접하는 각 거푸집판넬을 상호간 용이하게 결합시켰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탈거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금속재의 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등으로써 표면을 사출성형처리함으로써,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거푸집판넬 연결핀은, 금속재의 일(一)자형 제1판재(31)와, 일측에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판재(31)의 중앙부에서 직각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판재(3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제1판재(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판재마감층(21)과, 상기 제1판재마감층(21)과 연장되며 연결판재(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판재마감층(2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부재(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표면마감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푸집판넬, 결합, 연결핀, 연결편

Description

거푸집판넬 연결핀{The connecting pin for aluminum concrete form panel}
본 고안은, 건축 시공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 판넬을 상호 결속시키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거푸집판넬을 상호간 용이하게 결합시켰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탈거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금속재의 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등으로써 표면을 사출성형처리함으로써,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는바, 벽체의 형성은 콘크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도구로서, 종래에는, 합판의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결합된 목재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 바, 이러한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합판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못질되어 만들어진 목재 거푸집 판넬 다수를, 벽체나 기둥의 뼈대가 되는 철근 조립부 외부에 연결 조립하여 내·외벽 또는 기둥용 등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그 사이의 공간에 콘트리트를 채워넣어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된 다음 거푸집을 이루고 있는 목재 거푸집 판넬들을 벽체로부터 떼어 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는 거푸집 판넬들간의 연결 조립이 못질과 함께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목재 거푸집 판넬은, 목재의 특성상 거푸집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벽체의 규모가 클수록 그러한 경향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벽체의 외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거푸집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우기 전에 별도의 보강재로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의 배면을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목재 거푸집 판넬은,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된다.
또한, 파손되어 못쓰게 된 목재 거푸집 판넬은, 주로 소각을 통해서 처리되 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가 공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그 처리를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재 거푸집 판넬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거푸집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강재 거푸집 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시 노동부하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근래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은, 강재 거푸집 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순 알루미늄이 아닌, 강도를 높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즐어지기 때문에 자체 강성이 큰 바, 목재 거푸집 판넬과 비교하여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으며, 그에 따라, 양생된 벽체의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1)과 판넬(1)을 연결할 때 또는, 두 거푸집을 구성하는 양측 판넬(1)들 사이에 연결편(2)의 양단부를 개재시켜 판넬(1), 연결편(3) 및 판넬(1)을 상호간에 연결할 때에는, 쐐기형 핀(3)과 쐐기형 고정편(4)이 사용되는데, 거푸집 판넬(1)의 측벽에는 핀(3)을 관통시키기 위한 결합공(H) 다수가 관통 형성되는바, 강하게 조여지는 강 재질의 핀(3)이 관통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각 판넬(1)이 지지되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쐐기형 고정편(4)을 쐐기형 핀(3)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각 판넬을 해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쐐기형 핀과 쐐기형 고정편이 사용되는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현장에서 해체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이 거푸집으로부터 탈거된 다수개의 쐐기형 핀과 쐐기형 고정편을 공사현장 바닥에 그대로 던져서 일을 마무리하는바, 이와 같이 다수개의 쐐기형 핀과 쐐기형 고정편이 바닥에 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되므로써, 공사현장의 타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초에는 산화로 인한 부식에 대비하여 표면에 도금처리가 되어 있던 쐐기형 핀이라 하더라도, 반복되는 탈거작업 혹은 바닥에 던져지는 과정에서 상기 도금층이 훼손되게 되는바, 한번 도금층이 훼손되기 시작하면 이후에는 부식이 급격하게 진행되므로써, 수명이 단축되어 일정시간 경과하면 훼손된 쐐기형 핀을 새것으로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공사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쐐기형 고정편으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금속재의 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금속재의 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등으로써 표면을 사출성형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접하는 각 거푸집판넬을 상호간 용이하게 결합시켰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탈거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금속재의 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등으로써 표면을 사출성형처리함으로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거푸집판넬 연결핀은, 쐐기형 고정편과 결합되어 거푸집판넬을 상호 결합시키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있어서, 금속재의 일(一)자형 제1판재와, 일측 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판재의 중앙부에서 직각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판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1판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판재마감층과, 상기 제1판재마감층과 연장되며 연결판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판재마감층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표면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지지부재는, 하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쐐기형 고정편이 걸림으로써, 인접하는 거푸집판넬간을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인바, 이는 금속재의 일(一)자형 제1판재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판재의 중앙부에서 직각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판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연결판재는 제1판재보다 폭이 좁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제1판재 및 그 외주면을 감싸는 제1판재마감층이 본 고안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헤드(head)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표면마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현장에서 거푸집판넬의 해체작업시에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소음이 발생치 않고, 산화에 의한 표면의 부식이 근원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판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판재마감층과, 상기 제1판재마감층과 연장되며 연결판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판재마감층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표면마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관통공의 내주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공마감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를 사출금형에 우선 인서트한 후,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판넬 연결핀(10)은, 내부의 금속재의 지지부재(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층이 형성되되, 종래의 쐐기형 고정편(4)이 결합되는 결합공(11)을 구비하여서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금속재의 지지부재(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층'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의 마감층'이 지지부재(30)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과 동시에, 본 고안의 거푸집판넬 연결핀(10)이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떨어졌을때 소음을 방지하는 완층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거푸집판넬 연결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판넬 연결핀은, 쐐기형 고정편과 결합되어 거푸집판넬을 상호 결합시키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있어서, 금속재의 일(一)자형 제1판재(31)와, 일측에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판재(31)의 중앙부에서 직각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판재(3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제1판재(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판재마감층(21)과, 상기 제1판재마감층(21)과 연장되며 연결판재(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판재마감층(2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 부재(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표면마감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결합공(11)에 종래기술의 쐐기형 고정편(4)을 결합시켜 인접하는 거푸집판넬을 결합시키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이들을 탈거하여, 다수개의 거푸집판넬 연결핀을 공사현장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 소음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표면 부식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거푸집 판넬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판넬 연결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거푸집판넬 연결핀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거푸집판넬 연결핀 11 : 결합공
20 : 표면마감부재 21 : 제1판재마감층
22 : 연결판재마감층 23 : 관통공마감층
30 : 지지부재 31 : 제1판재
32 : 연결판재 33 : 관통공

Claims (4)

  1. 쐐기형 고정편과 결합되어 거푸집판넬을 상호 결합시키는 거푸집판넬 연결핀에 있어서,
    금속재의 일(一)자형 제1판재(31)와, 일측에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판재(31)의 중앙부에서 직각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판재(3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제1판재(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판재마감층(21)과, 상기 제1판재마감층(21)과 연장되며 연결판재(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판재마감층(2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부재(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표면마감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재(32)는, 제1판재(31)보다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마감부재(20)는, 관통공(33)의 내주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공마감층(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마감부재(20)는, 지지부재(30)를 인서트사출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 연결핀.
KR2020070017944U 2007-11-07 2007-11-07 거푸집판넬 연결핀 KR200900044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44U KR20090004432U (ko) 2007-11-07 2007-11-07 거푸집판넬 연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44U KR20090004432U (ko) 2007-11-07 2007-11-07 거푸집판넬 연결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32U true KR20090004432U (ko) 2009-05-12

Family

ID=4129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944U KR20090004432U (ko) 2007-11-07 2007-11-07 거푸집판넬 연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4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566B1 (ko) 2015-04-09 2016-09-02 삼성물산 주식회사 체결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장치
KR102351486B1 (ko) * 2020-07-09 2022-01-13 심명권 탑차의 도어 힌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566B1 (ko) 2015-04-09 2016-09-02 삼성물산 주식회사 체결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장치
KR102351486B1 (ko) * 2020-07-09 2022-01-13 심명권 탑차의 도어 힌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40B1 (ko)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090004432U (ko) 거푸집판넬 연결핀
US20230272629A1 (en) Formwork panel
KR200438064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
KR20080082363A (ko) 건축물 외벽 시공용 갱폼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0769154B1 (ko) 패널존의 좌굴방지 및 하부근과의 시공 향상을 위한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3862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담장 및 비내력벽 건축용 블럭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200292761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KR200430908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KR200428244Y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100663378B1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90012001U (ko) 소음저감형 거푸집판넬 연결핀
KR200292760Y1 (ko) 거푸집 기초가름대
KR20060041382A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90003806U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알루미늄거푸집판넬
KR102343932B1 (ko) 건축용 다목적 보거푸집
KR200375083Y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 하부 설치 구조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