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526Y1 - 거푸집용 판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526Y1
KR200291526Y1 KR2020020021807U KR20020021807U KR200291526Y1 KR 200291526 Y1 KR200291526 Y1 KR 200291526Y1 KR 2020020021807 U KR2020020021807 U KR 2020020021807U KR 20020021807 U KR20020021807 U KR 20020021807U KR 200291526 Y1 KR200291526 Y1 KR 200291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longitudinal
wood
main members
formwor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호
Priority to KR2020020021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526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또는 구축용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사용하기 위하여 목재 합판과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으로 구성된 거푸집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거푸집용 판넬은, 사각형의 외곽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일자형 단면의 대강 형상을 하는 각기 한 쌍씩의 가로 및 세로 주부재(21)(22)와, 평행한 두 가로 주부재(21) 각 내면(S2)에 양 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는 "ㄷ"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세로 보강부재(24)와, 세로 주부재(22)와 이에 인접평행한 세로 보강부재(24)의 각 내면(S2)과 측면(s)에 양 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는 "ㄷ"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가로 보강부재(23)와; 상기 주부재(21)(22)의 내면 상부에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결합되는 목재 합판(1)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용 판넬은 목재 합판과 중량대 강도비가 우수한 경량의 일루미늄 합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종래 목재 판넬보다 강도가 우수하고 재활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철재 또는 알루미늄 합금만으로 이루어진 금속 판넬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중량이 가벼워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용 판넬{The panel for concrete form}
본 고안은 건축 또는 구축용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외벽용 거푸집을 구성하며 벽체로 양생되는 콘크리트에 전면이 밀착되는 플레이트를 목재 합판으로 하고, 이 합판을 보강하기 위하여 합판의 배면에 덧대어지는 지지프레임을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목재의 경제성과 알루미늄 합금의 내구성 및 경량성을 함께 얻을 수 있도록 한 거푸집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의 형성은 콘쿠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도구로 종래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거푸집용 판넬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목재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판상의 합판의 배면에 각형 목재바가 못질되어 구성된 단위 목재 판넬을, 벽체나 기둥의 뼈대가 되는 철근 조립부 외부에 연결조립하여 내·외벽 또는 기둥용 등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그 사이의 공간에 콘트리트를 채워넣어 양생시킨 다음상기 거푸집을 이루고 있는 목재 판넬들을 벽체로부터 떼어 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는 판넬들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목재 판넬은 합판의 배면에 각형 목재바가 보강되어 있기는 하나, 목재의 특성상 거푸집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벽체의 규모가 클수록 그러한 경향은 더웅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벽체의 외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우기전 별도의 보강재로 상기 목재 판넬을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목재 판넬은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서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되고, 파손되어 못쓰게 된 거푸집용 목재 판넬은 주로 소각을 통해서 처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가 공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그 처리를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거푸집용 목재 판넬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있다.
그러나, 거푸집용 철재 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거푸집 제작 작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녹이 쉽게 발생되고 녹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크기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철재 판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알루미늄 합금 판넬로서, 철재 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목재 판넬에 비해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어 양생되어 나오는 벽체의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거푸집용 알루미늄 합금 판넬은 목재 판넬에 비하여 그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운반과 설치시 작업자의 작업 강도가 높아지고, 목재 판넬에 비하여 최초 구입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규모의 건축 공사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소규모의 건축 공사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거푸집용 목재 판넬, 철재 판넬 및 알루미늄 합금 판넬이 각각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재 판넬 및 알루미늄 합금 판넬에 비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목재 판넬에 비하여 반복 사용성이 우수한 거푸집용 판넬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 거푸집용 판넬을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평면도이며,
(다)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메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주부재와 보강부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주부재의 단면도이고,
(나)는 보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메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주부재와 목재 합판의 결합 형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목재 합판 2. 메인 프레임
21. 가로 주부재 22. 세로 주부재
23. 가로 보강부재 24. 세로 보강부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목재 플레이트인 목재 합판과, 이 목재 합판을 보강하기 위하여 합판의 측면과 저면에 결합되는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용 판넬은, 벽체에 전면이 밀착하게 되는 거푸집의 플레이트로서 목재 합판을 사용하여 가능한 한 상기 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경제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목재 합판의 단점인 강도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목재 합판의 측면과 저면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보강재로 사용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은 합판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틀로서, 외형을 이루는 주부재와, 프레임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로 구성되며, 주부재의 내면 상부에는 합판을 지지하기 위한 리브가 구비되므로써 주부재의 내면과 리브의 상면이 목재 합판의 측면과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합판의 상면과 주부재의 상단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목재 합판은 주부재와 볼트와 너트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볼트의 헤드부가 합판의 상면 상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합판에 형성된 결합공의 상부는 헤드부의 외형과 밀착되는 내주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써, 결합공 상부 내주면에 볼트의 헤드부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헤드부의 상면이 돌출되지 않고 합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거푸집용 판넬을 구성하는 상기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의주부재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판넬과 판넬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거푸집용 판넬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 2에 주부재 및 보강재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판넬은 사각형상의 알루미늄 합금 메인 프레임(2)과,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2)의 상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메인 프레임(2) 내부에 결합되는 목재 합판(1)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은, 사각형의 외곽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각기 한 쌍씩의 가로 및 세로 주부재(21)(22)와, 평행한 두 가로 주부재(21)의 각 내면(S2)에 양 단부가 직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두 가로 주부재(21)를 보강하여 주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세로 보강부재(24)와, 세로 주부재(22)와 이에 인접평행한 세로 보강부재(24)의 각 내면(S2)과 측면(s)에 양 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 주부재(22)를 보강하여 주는 다수의 가로 보강부재(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부재(21)(22)는 일자형 단면의 대강(帶鋼) 형상을 하며, 폭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외면(S1)에는 길이 방향으로 외면을 가로지르는 요홈(G)이 형성되어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내면(S2) 상부 및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리브(R')와 끝단부가 상향 굴곡된 보강 리브(R)가 각각 직립하여 구비되는 동시에 폭방향 중심부에는, 핀이나 볼트 등으로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내·외면(S2)(S1)을 관통하는 다수의 연결공(H)들이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 리브(R')의 상면으로부터 주부재(21)(22) 상단면까지의 높이가 사각 판상 외형을 갖는 목재 합판(1)의 두께가 된다.
즉, 상기 목재 합판(1)은 주부재의 내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직립한 상기 결합 리브(R')의 상면에 놓여진 후 결합 리브(R')와 함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결합되므로써, 목재 합판(1)의 상면과 주부재(21)(22)의 상단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주부재(21)(22)의 결합 리브(R') 상면에 놓여지는 목재 합판(1)의 테두리부에는 볼트 헤드형 상부(h1)와 원통형 하부(h2)로 구분되는 다수의 결합공(h')들이 형성되는 바, 볼트(B) 헤드부의 상면과 목재 합판(1)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볼트 헤드형 상부(h1) 내에 볼트(B)의 헤드부가 들어가 서로 밀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보강부재(23)(24)는 상향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하며, 폭방향 양 선단부에는 두 측면(s)에 수직한 보강 리브(r)가 각각 외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두 보강 리브(r)의 상면은 목재 합판(1)의 저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3)(24)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부의 두 모서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 면취한 것과 같은 형태의 경사면(c)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용 판넬은 목재 합판과 중량대 강도비가 우수한 경량의 일루미늄 합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종래 목재 판넬보다 강도가 우수하고 재활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철재 또는 알루미늄 합금만으로 이루어진 금속 판넬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중량이 가벼워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벽체를 만들기 위한 거푸집용 판넬에 있어서, 일자형 단면의 폭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외면(S1)에는 길이 방향으로 외면을 가로지르는 요홈(G)이 형성되며, 내면(S2) 상부 및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리브(R')와 끝단부가 상향 굴곡된 보강 리브(R)가 각각 직립하여 형성된 한 쌍의 가로 주부재(21)와;
    상기 가로 주부재(21)와 동일한 형상을 하며, 가로 주부재(21)보다 길이가 짧고, 양 단부가 상기 두 가로 주부재(21)의 일측단부에 각각 직각결합하여 두 가로 주부재(21)와 함께 사각의 외곽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세로 주부재(21)(22)와;
    평행한 상기 두 가로 주부재(21) 각 내면(S2)에 양 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평행하며, 상향 개방된 "ㄷ"형 단면을 갖고, 개방측 양 선단부에는 두 측면(s)에 수직한 보강 리브(r)가 각각 외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직립형성된 다수의 세로 보강부재(24)와;
    상기 세로 보강부재(24)와 동일한 형상을 하며, 상기 두 세로 주부재(22)와 이에 각각 인접평행한 두 세로 보강부재(24)의 각 내면(S2)과 측면(s)에 양 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가로 보강부재(23)와;
    상기 가로 및 세로 주부재(21)(22)의 결합 리브(R') 상면에 놓여지고,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상기 결합 리브(R')에 결합되는 목재 합판(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및 세로 주부재(21)(22)의 폭방향 중심부에는 내·외면(S2)(S1)을 관통하는 다수의 연결공(H)들이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합판(1)의 테두리부에는 볼트 헤드가 삽입되어 밀차되는 볼트 헤드형 상부(h1)와 원통형 하부(h2)로 구분되는 다수의 결합공(h')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판넬.
KR2020020021807U 2002-07-22 2002-07-22 거푸집용 판넬 KR200291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807U KR200291526Y1 (ko) 2002-07-22 2002-07-22 거푸집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807U KR200291526Y1 (ko) 2002-07-22 2002-07-22 거푸집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526Y1 true KR200291526Y1 (ko) 2002-10-11

Family

ID=7312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807U KR200291526Y1 (ko) 2002-07-22 2002-07-22 거푸집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5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89B1 (ko) * 2006-03-21 2007-11-28 박재수 거푸집용 패널
KR100785429B1 (ko) 2006-05-29 2007-12-13 심상경 건축물 벽체용 거푸집
KR200461805Y1 (ko) 2010-04-19 2012-08-0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CN115387598A (zh) * 2022-08-24 2022-11-25 广东乾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的铝合金模板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89B1 (ko) * 2006-03-21 2007-11-28 박재수 거푸집용 패널
KR100785429B1 (ko) 2006-05-29 2007-12-13 심상경 건축물 벽체용 거푸집
KR200461805Y1 (ko) 2010-04-19 2012-08-0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CN115387598A (zh) * 2022-08-24 2022-11-25 广东乾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的铝合金模板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970004945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203224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200430908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KR200292761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JP2634571B2 (ja) コンクリートの型枠装置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200375728Y1 (ko) 인코너 설치용 철재 거푸집
KR200428244Y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60041382A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375083Y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 하부 설치 구조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KR102588569B1 (ko)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KR950008099B1 (ko)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KR200292760Y1 (ko) 거푸집 기초가름대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JPS5953979B2 (ja) コンクリ−ト用型枠構築用のパネル装置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KR200375079Y1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