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50Y1 - 거푸집 판넬 - Google Patents

거푸집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50Y1
KR200462050Y1 KR2020100011670U KR20100011670U KR200462050Y1 KR 200462050 Y1 KR200462050 Y1 KR 200462050Y1 KR 2020100011670 U KR2020100011670 U KR 2020100011670U KR 20100011670 U KR20100011670 U KR 20100011670U KR 200462050 Y1 KR200462050 Y1 KR 200462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panel
formwork panel
reinforcing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32U (ko
Inventor
김욱종
김태호
차정구
김귀환
김학정
강명환
Original Assignee
(주)거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혁산업 filed Critical (주)거혁산업
Priority to KR2020100011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5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21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cardboar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거푸집 판넬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제작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거푸집 판넬의 테두리부에 위치 설치되는 사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 외곽프레임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돌부; 외곽프레임 내에 결합되도록 외곽프레임의 내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보강대본체와, 보강대본체의 외면 전, 후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결합돌부와, 보강대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저면분리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보강대; 외곽프레임의 내면과 가로보강대의 외면 사이에 결합되는 I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세로보강대; 가로보강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외곽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판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판넬{FORM PANEL}
본 고안은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거푸집 판넬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제작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 판넬은 건축 공사 시 일정한 폭을 갖는 벽체나 기둥 등을 시공할 때 벽체나 기둥의 내, 외벽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하여 그 내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및 기둥을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푸집 판넬은 목재 거푸집 판넬과 철제 거푸집 판넬 및,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 등이 있다.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은 상기 거푸집 판넬의 외면 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벽체의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품질의 저하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벽체 시공 후 해체하는 과정에서 변형 및 파손됨에 따라 재사용하지 못함에 따라 시공 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소각 및 폐기처분하는 처리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철제 거푸집 판넬은 판넬 자체의 무게가 많이 나감에 따라 건축 공사시 철제 거푸집 판넬을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의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변형이 거의 없음은 물론 양생된 벽체의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반복적이 재사용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의 사용범위와 규모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거푸집 판넬의 구성은, 테두리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각 연결공으로 쐐기핀과 같은 연결부재를 삽입 결합하므로 거푸집 판넬과 거푸집 판넬을 서로 결합한다.
그리고, 외곽프레임 내에는 가로방향의 가로대를 결합함과 함께 상기 가로대와 직교되는 세로방향의 세로대가 복수개 결합되어 상기 가로대와 각 세로대에 의하여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보강하였으며,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면에는 볼트와 연결바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판넬을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판넬은, 외곽프레임 내에 결합되는 가로대와 각 세로대는 얇은 두께의 판이나 각목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단순히 일정한 형상과 두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강도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 시공 시 거푸집 판넬이 휘어지거나 손상,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를 제대로 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거푸집 판넬의 외곽프레임 일면 전체에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판넬을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되는 판넬의 무게로 인하여 전체적인 거푸집 판넬의 무게가 무거움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면에 판넬을 결합하기 위한 기준점이나 기준면이 없음에 따라 판넬의 결합작업 시 판넬의 움직임에 따라 결합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우며, 특히 여러 장의 판넬을 결합할 때에는 결합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인력, 시간 등의 손실이 많이 발생됨에 따라 제작원가의 상승 및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외곽프레임 내에 가로보강대와 복수개의 세로보강대를 일체로 결합함과 함께 가로보강대를 중심으로 외곽프레임의 일면 양면에 판넬을 각각 결합하므로 거푸집 판넬의 제작이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거푸집 판넬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므로 거푸집 판넬의 제작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거푸집 판넬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곽프레임 내에 결합되는 가로보강대를 보강대본체와 결합돌부 및 저면분리부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외곽프레임과 가로보강대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보강대를 I자형강으로 형성하므로 인해 상기 가로보강대와 각 세로보강대에 의해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 공사 시 벽체 등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의 테두리부에 위치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갖는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곽프레임 내에 결합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보강대본체와, 상기 보강대본체의 외면 전, 후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결합돌부와, 상기 보강대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저면분리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보강대;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면과 가로보강대의 외면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I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세로보강대; 상기 가로보강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판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가로보강대는 외곽프레임 내에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가로보강대의 양단부가 각각 위치하는 외곽프레임의 체결돌부에는 상기 체결돌부를 가로보강대의 두께만큼 절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세로보강대의 양단부 저면에는 외곽프레임의 체결돌부 및 가로보강대의 결합돌부가 삽입 위치하도록 절취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외곽프레임 내에 가로보강대와 복수개의 세로보강대를 일체로 결합하고, 외곽프레임과 가로보강대에 기준면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로보강대를 중심으로 하여 외곽프레임의 일면 양면에 위치되는 판넬이 유동됨 없이 설치 및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여 거푸집 판넬을 제작함으로써,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각 구성을 결합작업에 따른 인력, 시간 등의 손실 절감 및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 판넬의 제작이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로프레임의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함과 함께 판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상기 거푸집 판넬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므로 상기 거푸집 판넬의 결합작업의 용이함과 더불어 거푸집 판넬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외곽프레임 내에 결합되는 가로보강대를 보강대본체와 결합돌부 및 저면분리부로 구성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가로보강대 사이에 가로보강대와 서로 직교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보강대를 I자형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가로보강대와 각 세로보강대에 의해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시 상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거푸집 판넬에 의하여 거푸집 판넬의 휨현상이나 손상,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의 콘크리트 벽체를 원하는 정확한 형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을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을 측면에서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을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넬의 일 실시예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건축 공사 시 일정한 폭을 갖는 콘크리트 벽체 및 기둥 등을 시공하는데 설치되는 거푸집 판넬(100)이 구비되어 있는데, 특히 거푸집 판넬(100)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거푸집 판넬(1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거푸집 판넬(10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외곽프레임(10)과, 가로 보강대(20)와 세로 보강대(30) 및 판넬(40)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외곽프레임(1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거푸집 판넬(100)의 외곽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거푸집 판넬(100)의 테두리부에 위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프레임(10)은 거푸집 판넬(10) 간의 연결 결합이 용이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10)에는 거푸집 판넬(100)과 거푸집 판넬(100)의 외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쐐기핀과 같은 연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연결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공(13)은 외곽프레임(10)의 사면 전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을 따라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체결돌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부(11)에는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 패널(40)을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부(11)의 소정위치 즉, 가로보강대(20)의 양단부가 각각 위치하는 체결돌부(11)에는 가로보강대(20)의 두께만큼 절단된 절단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절단부(12) 내로 가로보강대(20)의 양단부가 삽입 위치되어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 가로보강대(20)의 양단부가 밀착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가로보강대(20)는 도 1과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거푸집 판넬(100)의 가로측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도면상에서와 같이 외곽프레임(10) 내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됨은 물론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 양단부가 용접 등의 작업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보강대(20)는 거푸집 판넬(100)의 가로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 즉, 도면(도 1)상에서 볼 때 좌, 우측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한다.
상기 가로보강대(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외곽프레임(10) 내에 하나만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외곽프레임(10) 내에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복수개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거푸집 판넬(2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의 가로보강대(2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 양단부가 각각 접촉된 상태로 용접 등의 작업으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보강대본체(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대본체(21)이 외면 전, 후면에는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 위치하는 판넬(40)을 가로보강대(20)에 접촉됨은 물론 가로보강대(20)의 저면에 판넬(40)을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22a)을 갖는 결합돌부(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대본체(21)의 저면부에는 가로보강대(20)를 중심으로 하여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 위치하는 판넬(40)을 분리 결합하도록 하는 저면분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세로보강대(30)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거푸집 판넬(100)의 세로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곽프레임(10)과 가로보강대(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위치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세로보강대(30)의 양단부는 외곽프레임(10)의 내면과 가로보강대(20)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작업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세로보강대(30)는 거푸집 판넬(100)의 세로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 즉, 도면(도 1)상에서 볼 때 상, 하부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한다.
상기 각 세로보강대(30)는 거푸집 판넬(100)의 세로측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I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세로보강대(30)의 저면부에는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 위치하는 판넬(40)을 세로보강대(30)에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세로보강대(30)의 양단부 저면에는 상기 각 세로보강대(30)의 양단부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과 가로보강대(20)의 외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체결돌부(11) 및 가로보강대(20)의 결합돌부(22)가 삽입 위치하도록 절취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판넬(40)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 시 설치되는 거푸집 판넬(10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출되지 않도록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판넬(40)은 도 2에서와 같이 가로보강대(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분리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넬(40)에는 외곽프레임(10)의 체결돌부(11)에 형성된 각 체결공(11a)과 가로프레임(20)의 결합돌부(22)에 형성된 각 제1결합공(22a) 및 세로프레임(30)의 각 제2결합공(30a)과 일치됨은 물론 상기 일치된 각 공과 함께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홀(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판넬(40)은 목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즉 거푸집 판넬(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 등에 따라 어떠한 재질의 판넬(4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연결공(13)을 갖는 4개의 일자형 프레임을 사각형상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각 프레임의 양단을 서로 연결 결합함에 따라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10)을 제작한다.
그런 다음, 상기 외곽프레임(10) 내에 가로보강대(20) 즉,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보강대본체(21)와 상기 보강대본체(21)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2)와 상기 보강대본체(21)의 저면부헤 형성된 저면분리부(23)로 이루어진 가로보강대(20)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 가로보강대(20)를 일체로 결합하는데, 즉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는 체결돌부(11)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체결돌부(11)의 소정위치 즉, 가로보강대(20)의 양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가로보강대(20)의 두께만큼 절단된 절단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각 절단부(12) 내에 가로보강대(20)의 양단부를 각각 삽입 위치시켜 상기 가로보강대(20)의 양단부가 외곽프레임(10)의 내면에 밀착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함에 따라 상기 가로보강대(20)는 외곽프레임(10) 내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외곽프레임(10) 내에 복수개의 가로보강대(20)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외곽프레임(10) 내에 복수개의 가로보강대(20)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가로보강대(20)는 외곽프레임(10) 내에 각각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10)에 가로보강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보강대(20)와 직교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10)의 각 프레임 중 길게 형성된 측의 외곽프레임(10)과 가로보강대(20) 사이에 I자형상인 복수개의 세로보강대(30)를 세로방향으로 각각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각 세로보강대(30)의 양단부 저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형태인 절취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체결돌부(11) 및 가로보강대(20)의 결합돌부(22)는 각 절취부(31) 내로 삽입 위치되므로 상기 각 세로보강대(30)의 양단부는 외곽프레임(10)의 내면과 가로보강대(2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면과 가로보강대(20)의 외면에 세로보강대(30)의 양단부를 용접함에 따라 상기 각 세로보강대(30)는 외곽프레임(10)과 가로보강대(20) 사이에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 가로보강대(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판넬(40)을 각각 위치시킨다.
즉,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외곽프레임(10)이 내면에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들어간 위치에 체결돌부(1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가로보강대(20)의 보강대본체(21)에 형성된 결합돌부(22)가 보강대본체(21)의 저면부에 형성된 저면분리부(23)의 저면에서 일정깊이만큼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로보강대(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각 판넬(40)의 일측면은 가로보강대(20)의 결합돌부(22)의 하방측인 저면분리부(23) 양면과 각각 접촉되고, 상기 각 판넬(40)의 나머지 측면은 체결돌부(11) 하방측인 외곽프레임(10)의 내면과 각각 접촉된 상태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일면 내로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판넬(40)의 일측면 상면은 결합돌부(22)의 저면과 접촉됨은 물론 상기 각 판넬(40)의 나머지 측면의 상면은 체결돌부(11)의 저면과 접촉되며, 상기 각 판넬(40)의 상면은 각 세로보강대(30)의 저면과도 접촉된다.
그리고, 각 판넬(4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홀(40a)은 체결돌부(11)의 각 체결공(11a)과 결합돌부(22)의 각 제1결합공(22a) 및 세로보강대(30)의 각 제2결합공(30a)과 일치되고, 상기 일치된 각 공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판넬(40)은 가로보강대(2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일면에 삽입 결합된 거푸집 판넬(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그럼에 따라, 상기 외곽프레임(10)과 가로보강대(20) 및, 각 판넬(40)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일면은 편평하게 형성된 거푸집 판넬(100)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벽체 및 기둥 등의 외면은 깨끗하고 매끈한 형상으로 시공된다.
여기서, 상기의 가로보강대(20)는 거푸집 판넬(100)의 가로방향 즉, 도 1에서 볼 때 좌, 우측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거푸집 판넬(100)의 가로측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각 세로보강대(30)는 거푸집 판넬(100)의 세로방향 즉, 도 1에서 볼 때 상, 하부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거푸집 판넬(100)의 세로측의 강도를 보강한다.
즉, 상기 가로보강대(20)와 각 세로보강대(30)에 의해 거푸집 판넬(100)의 강도가 충분히 보강되므로 인하여 콘크리트 벽체 및 기둥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 판넬(100)이 외부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휨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방지되어 상기의 콘크리트 벽체를 원하는 정확한 형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판넬(100)에서 판넬(4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가로보강대(20)와 세로보강대(30)에 의해 거푸집 판넬(100)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함으로써, 상기 강도가 보강된 거푸집 판넬(100)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판넬(100)을 운반작업 또는, 거푸집 판넬(100)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거푸집 판넬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외곽프레임 11: 체결돌부
11a: 체결공 12: 절단부
20: 가로보강대 21: 보강대본체
22: 결합돌부 22a: 제1결합공
23: 저면분리부 30: 세로보강대
30a: 제2결합공 31: 절취부
40: 판넬 40a: 결합홀
100: 거푸집 판넬

Claims (5)

  1. 건축 공사 시 벽체 등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의 테두리부에 위치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갖는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
    상기 거푸집 판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곽프레임 내에 결합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보강대본체와, 상기 보강대본체의 외면 전, 후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결합돌부와, 상기 보강대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저면분리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보강대;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면과 가로보강대의 외면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I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세로보강대;
    상기 가로보강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판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보강대는 외곽프레임 내에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보강대의 양단부가 각각 위치하는 외곽프레임의 체결돌부에는 상기 체결돌부를 가로보강대의 두께만큼 절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세로보강대의 양단부 저면에는 외곽프레임의 체결돌부 및 가로보강대의 결합돌부가 삽입 위치하도록 절취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
  5. 제 1 항에 있어서,
    판넬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
KR2020100011670U 2010-11-12 2010-11-12 거푸집 판넬 KR200462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70U KR200462050Y1 (ko) 2010-11-12 2010-11-12 거푸집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70U KR200462050Y1 (ko) 2010-11-12 2010-11-12 거푸집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32U KR20120003532U (ko) 2012-05-22
KR200462050Y1 true KR200462050Y1 (ko) 2012-08-23

Family

ID=4661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70U KR200462050Y1 (ko) 2010-11-12 2010-11-12 거푸집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141A (zh) * 2016-06-23 2016-09-21 济南德丰塑料有限公司 装配式铝塑复合建筑模板
KR102128916B1 (ko) * 2019-10-29 2020-07-02 주식회사 휴먼씨앤디 개선된 단열 성능과 울림 소음 감쇄 기능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908Y1 (ko) 2006-08-21 2006-11-13 강석환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KR200441658Y1 (ko) 2007-09-07 2008-08-29 김창수 구조 개선된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908Y1 (ko) 2006-08-21 2006-11-13 강석환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KR200441658Y1 (ko) 2007-09-07 2008-08-29 김창수 구조 개선된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32U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40B1 (ko)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100009969U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102175516B1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64558Y1 (ko) 프로파일 모서리 조립 보강재
KR101139014B1 (ko) 가변형 기둥폼
KR20120081456A (ko) 거푸집 조립체
KR100638846B1 (ko) 기둥폼
KR200437257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10000140U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의 이음부재 구조
JP5467439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200375728Y1 (ko) 인코너 설치용 철재 거푸집
KR101870436B1 (ko)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폼용 거푸집의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알폼용 거푸집 조립방법
KR20080082363A (ko) 건축물 외벽 시공용 갱폼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101761655B1 (ko) 거푸집 패널
CN110861201B (zh) 用于制造预铸梁柱结构的定位模具及使用所述定位模具制造预铸梁柱结构的方法
KR20180089808A (ko) 벽 단부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101876141B1 (ko) 재활용 가능한 보 설치를 위한 유로폼
KR102229182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