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099B1 -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099B1
KR950008099B1 KR1019910019604A KR910019604A KR950008099B1 KR 950008099 B1 KR950008099 B1 KR 950008099B1 KR 1019910019604 A KR1019910019604 A KR 1019910019604A KR 910019604 A KR910019604 A KR 910019604A KR 950008099 B1 KR950008099 B1 KR 95000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plastic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332A (ko
Inventor
장대권
Original Assignee
장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권 filed Critical 장대권
Priority to KR101991001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099B1/ko
Publication of KR93001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제1도의 (a)는 본 발명 거푸집의 판넬을 나타낸 상부 평면도.
(b)는 본 발명 거푸집의 판넬을 나타낸 하부 평면도.
제2도의 (a)는 제1도의 확대 사시도.
(b)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c)는 본 발명 거푸집 판넬과 판넬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의 (a)는 본 발명 거푸집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b)는 (a)도의 부분 확대사시도.
제4도의 (a), (b)는 본 발명 거푸집 연결된 구성도.
제5도의 (a)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상부 리브판을 나타낸 사시도.
(b)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와 상부 리브판과의 조립을 나타낸 단면도.
제6도의 (a)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의 (a)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높이조절에 사용되는 메인 커넥터와 지주와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높이조절에 사용되는 보조 커넥터와 지주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거푸집 판넬의 코너부분 보강에 사용되는 앵글의 사시도.
제9도의 (a)는 본 발명 거푸집 기둥 밴드받침대 정면사시도.
(b)는 본 발명 거푸집 기둥 밴드받침대 배면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 거푸집 판넬조립시 하단에 사용되는 채널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 거푸집의 조인트판과 폼타이를 나타낸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 거푸집 시공의 예를 나타낸 건축물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 거푸집 시공장치로 슬라브의 기둥을 시공하는 단면도.
제14도의 (a)는 제13도에서 기둥의 시공을 상세히 나타낸 횡단면도.
(b)는 제13도에서 채널부분의 상세도.
제15도는 본 발명 거푸집 시공장치로 옹벽과 보를 시공하는 단면도.
제16도의 (a)는 제15도에서 옹벽 및 기둥에 체결되는 폼타이와 조인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상세단면도.
(b)는 제15도에서 옹벽상의 조인트된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17도의 (a)는 제15도에서 채널과 판넬의 체결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b)는 제15도에서 앵글과 판넬의 연결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판넬 11 : 비닐랩
12 : 연결핀 16 : 상부리프판
24 : 메인커넥터 31 : 지주
33 : 앵글 35 : 밴드받침대
39, 40 : 채널 41 : 조인트판
45 : 폼타이 S : 슬라브
B : 보 C : 기둥
W : 옹벽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라브, 보, 기둥, 옹벽등을 콩크리이트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푸집은 합판과 목재로 구성된 PLYWOOD FORM 및 철제의 ELRO FORM으로 대별되는바 PLYWOOD FORM의 경우는 사용횟수가 3 내지 5회로 극히 제한적이고 시공시에 고도의 기능 숙련도를 요구하게 되며 거푸집의 반복적인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자재낭비와 이에따른 공사비용의 상승이 초래되며 중량이 18 내지 20㎏/㎡으로 무겁고 쇠못과 철제망치를 작업공구로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결여되고 재해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있다.
한편, EURO FORM의 경우는 금속재질로서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고 사용횟수가 약 20회 전도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중량이 26 내지 27㎏/㎡으로 무겁기 때문에 운반, 시공, 해체작업이 어렵고 고도의 기능 숙련도를 요구하게 되며 작업 현장에서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공능력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과 단점을 해소하여 현장에서 가공,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고 또한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플라스틱 거푸집과 거푸집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횟수가 10 내지 15회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중량이 13㎏/㎡내외로 경량인 플라스틱 거푸집을 제공하며 이에따른 공사비용의 절감과 시공상이 편리함 및 고도의 기능도와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제 망치와 같은 공구사용을 배제하고 고무망치 또는 나무망치를 작업공구로 사용가능하며 쇠못 사용을 배제하고 플라스틱 연결핀을 사용하여 거푸집으로 틀을 구성 가능하게 하며 이에따른 시공작업상의 편리함과 재해 예방이 가능한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브 또는 보를 시공할때 판넬을 받치는 장선사용이 배제되고 지주만으로도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높이조절이 용이하며 좌굴과 횡력에 의한 지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대(bracing)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의 (a), (b)를 참조하면 본 발명 거푸집 판넬(1) 구성은 가장자리에 태를 이루는 외곽벽(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종, 횡으로 다수의 칸(3)을 이루는 격벽(4, 5)이 형성되며 격벽(4, 5)의 교차부분에 연결핀 또는 폼타이 체결을 위한 보스(6) 및 보스구멍(7)이 형성되고 외곽벽(2)과 격벽(4, 5)에는 핀구멍(8, 8')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이고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이다.
또한 본 발명 거푸집 판넬의 실시예로서 제3도에서와 같이 칸(3)내부에 사방 격벽(4, 5)을 종, 횡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살(9)이 형성되며 거푸집 판넬(1)의 표면(10)에는 해체시 콩크리이트로 부터의 분리를 위한 비닐랩(11)을 붙인다.
제4도는 본 발명 거푸집 연결핀(12)를 나타낸 것으로 못형상을 이루며 망치로 타격하기 위한 머리부(13)가 형성되고 해체시 절단을 위한 목부분 외주면에 절단홈(1 4)이 형성되며 끝부분에는 체결력 강화를 위한 훅크(15)가 탄성을 유지하도록 여러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제5도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상부리브판(16)을 나타낸 것으로 상부리브판( 16)상면에는 판넬(1)을 연결할때 그 연결부(E) 외곽벽(2)이 사이에 끼워지는 +자형 리브홈(17)과 리브홈(17)을 이루는 지지리브(18)가 형성되고 상부리브판 사방에 연결핀구멍(19)이 형성되며 상부리브판 하면에는 지주가 끼워지는 슬라브(20)가 형성되며 재질은 플라스틱이다.
또한 상기 슬라브(20)내면에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거나 또는 측벽에 걸쇠구멍(22)이 형성되어 지주와 나사결합 되거나 또는 걸쇠(23)로 간단하게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메인커넥터(24)를 나타낸 것으로 원통의 관형이며 상,하측 내면에는 지주를 조립하기 위한 암나사부(25, 26)가 형성되고 중앙부 외주면에 브레이싱을 위한 지지테(27)가 형성되며 지지테(27)에는 다수의 밴드구멍(28 )이 형성되고 알미늄 재질로서 지주와 직접결합하거나 또는 연결용 보조커넥터(29)를 매개로하여 지주와 나사결합되게 구성된다. 제7도는 본 발명 거푸집 지주(30)를 나타낸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이며 관형이고 상, 하 양단 외주면에는 상부리브판(16) 또는 메인커넥터(24) 또는 연결용 보조커넥터(29)등의 암나사부(21, 2, 26, 29')에 결합되는 숫나사부(31)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거푸집 지주의 실시예로서 제5도의 (b)에서와 같이 상부리브판(1 6)의 걸쇠구멍(22)에 대응되는 걸쇠구멍(32)이 상단에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
제8도는 본 발명 거푸집 조립시 모서리 부분에 응력 보완용으로 사용되는 앵글( 33)을 나타낸 것으로 90도로 절곡된 판형이며 판넬(1)의 보스구멍(7)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구멍(34)이 형성된다.
제9도는 본 발명 거푸집 기둥판 조립시 기둥 밴드받침대(35)를 나타낸 것으로 한쪽면에는 판넬의 종, 횡격벽(4,5)이 끼워지는 +자형 결합홈(36)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면에는 밴드를 걸기위한 밴드 걸이 경사홈(37)이 형성된다.
제10도는 본 발명 거푸집 기둥, 옹벽 조립시 기존 콩크리트판과의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을 나타낸 것으로 ㄷ자형 판구조이며 바닥에 볼트관통 고정을 위한 볼트구멍( 38)이 형성되고 바닥에 고정되어 판넬(1)이 얹히는 받침채널(39)과 받침채널(39)보다 소형이고 그 속에 결합되어 판넬(1)을 지지하는 지지채널(40)한쌍으로 구성된다.
제11도는 본 발명 거푸집에서 옹벽 거푸집 조립시 띄장 대신으로 사용되는 조인트판(41)을 나타낸 것으로 판넬(1)의 연결부분 외곽벽(2)이 사이에 끼워지는 +자형 결합홈(42)과 결합홈(42)을 이루는 결합리브(43)가 형성되고 사방에는 폼타이(form tie)관통을 위한 폼타이 체결구멍(44)이 형성된다.
폼타이(45)는 막대형이며 중앙외부에 PVC 파이프가 끼워진 2중 구조이고 그 양단에 숫나사부(46)가 있고 체결너트(47)가 결합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거푸집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를 슬라브 및 기둥과 옹벽 및 보를 시공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본 발명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콩크리이트 시공을 위한 슬라브(S ), 보(B), 기둥(C), 옹벽(W)등의 틀을 짜기위하여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1)을 사방으로 연속적으로 밀집되게 배치하여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핀(12)으로 상호간에 결속시키므로써 거푸집 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제12도에서 슬라브(S)와 기둥(C)부분의 거푸집 시공을 시행한 경우의 요부 단면도가 제13도에 나타낸 것으로 기둥(C)의 경우 제14도의 (a)에서와 같이 거푸집 판넬 (1)의 외곽벽(2)을 맞대고 외곽벽(2) 사이의 핀구멍(8)에 연결핀(12)을 끼워넣으므로써 거푸집 판넬(1)들이 서로 결속된다.
이때 연결핀(12)은 훅크(15)를 핀구멍(8)에 대고 고무망치 또는 나무망치로 머리부(13)를 가볍게 타격시킴에 따라 훅크(15)가 핀구멍(8)을 관통하여 인접한 외곽벽(2)을 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 연결핀(12)은 제4도의 (a),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체결되는 부재의 두께와 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적합한 것으로 다양하게 구비하여 적재 적소에 사용한다.
이어서 제14도의 (a)에서와 같이 기둥(C)의 사방 모서리에 앵글(33)을 대고 연결핀(12)을 관통시켜 기둥형상의 거푸집을 짠다.
상기한 바와같이 판넬(1)을 연결하고 제14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받침대(35)와 밴드(48)를 이용하여 기둥외곽을 조인다.
즉, 제9도를 참조하면 밴드받침대(35)의 정면 +자형 결합홈(36)을 판넬(1)의 종, 횡격벽(4, 5) 또는 판넬 연결부분의 외곽벽(2)(+자형을 이룬다)에 일치시켜 끼워결합하고 후단의 밴드 걸이 경사홈(17)을 경유하는 밴드(48 : 나일론 끈)를 조인다.
한편 기둥(C) 및 옹벽(W)을 이루는 판넬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판넬과 바닥( 49)의 접경부분에는 채널(39, 40)을 이용하여 받친다.
즉, 제14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트(50)를 볼트구멍(38)과 바닥(49)에 관통시켜 받침채널(39)을 바닥(49)에 체결하고 받침채널(39)내측으로 거푸집 판넬( 1)을 세운상태에서 지지채널(40)을 끼워넣어 거푸집 판넬(1)하단을 견고하게 지지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기둥 거푸집을 시공한 경우에 판넬(1)의 표면(10)에는 비닐랩 (11)이 점착되어 있으므로 기둥(C)형성후 판넬(1) 분해시에 콩크리이트가 판넬표면 (10)에 접착되지 않게되므로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며 판넬(1)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내부에 채워진 콩크리이트의 밀실도를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밀실한 콩크리이트 타설이 가능하여 정확하고 높은 강도 유지의 공사가 용이하다.
본 발명 거푸집 파넬(1)의 비닐랩(11)은 판넬(1)제작단계 또는 거푸집 조립단계에서 판넬표면(10)에 부착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 거푸집에 의한 기둥 시공시에 폼타이(45)와 조인트판 (41)을 사용하여 대향된 판넬(1)사이의 간격(D)을 유지시키는데 이는 옹벽(W)시공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후의 옹벽 시공설명시에 함께 설명한다.
한편 슬라브(S) 시공의 경우에는 제13도에서와 같이 상기 기둥(C)시공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핀(12)을 이용하여 거푸집 판넬(1)을 서로 체결시키고 지주( 30)로 받친다.
즉, 거푸집 판넬(1)의 종, 횡격벽(4, 5) 또는 판넬사이의 연결부분(E)은 -자형을 이루는데 이 -자 벽부분을 제5도의 (a)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부리브판(16)의 -자형 리브홈(17)속에 끼워넣고 핀구멍(19)과 거푸집 판넬(1)의 핀구멍자리(7)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핀(12)을 박아 넣으므로서 상부리브판(16)을 거푸집 판넬(1)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제5도의 (a)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브(20)내면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 외주면에 숫나사부(31)가 형성된 지주(30)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시키고 제5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브(20)에 걸쇠구멍(22)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에 걸쇠구멍(32)이 형성된 지주(30')를 사용하여 걸쇠(23)를 걸쇠구멍(22, 32)에 끼워서 결합시킨다.
이때 지주(30, 30')는 층높이에 따라 2단 내지 3단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며 제6도의 (a) 및 (b)에서와 같이 메인커넥터(24)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즉, 제7도의 (b)에 도시된 메인커넥터(24)의 상, 하부 내면 암나사부(25, 26)에 연결용 보조커넥터(29)를 연결용 보조커넥터(29)의 숫나사부(29')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시키고 연결용 보조커넥터(29)내면의 암나사부(29")에 지주(30)외주면의 숫나사부(31)를 나사 결합시켜 2개의 지주를 조립하고 지주(30)하단에는 베이스판(51)을 끼워서 받쳐준다.
또는 제7도의 (a)에서와 같이 연결용 보조커넥터(29)를 사용하지 않고 지주(3 0)를 메인커넥터(24)에 직접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며 제7도의 (a) 및 (b)의 경우 공히 지주(30)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주(30)가 메인커넥터(24) 또는 연결용 보조커넥터(29)에 결합되는 깊이가 가변되므로 제13도에서와 같이 슬라브(S)와 바닥(4 9)사이의 높이(h)에 적절하게 지주(30)의 길이를 조정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이루는 거푸집 판넬(1)을 견고하게 받쳐주게 된다.
또한 인접한 메인커넥터(24)사이는 강철 브레이싱(48)을 밴드구멍(28)에 체결하여 서로 연결(Bracing)처리하므로서 외부 횡력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슬라브 거푸집을 시공한 경우에 판넬(10)의 표면(10)에 비닐랩(11)이 점착되어 상기 기둥 거푸집 시공시와 동일한 작용을 이룬다.
상기한 바와같이 기둥과 슬라브 시공시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1)은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두가지 형태의 판넬을 선택하게 되는데 제1도에 나타낸 거푸집 판넬(1)은 보강살(9)이 없는 구성으로 슬라브(S)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옹벽(W)시공에 적합하며 제3도에 나타낸 보강살(9)이 구성된 거푸집 판넬(1)은 기둥(C)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보(B)시공에 적합한 것으로 시공에 필요한 강도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5도는 본 발명 거푸집으로 옹벽(W)과 보(B)를 시공하는 경우의 단면도로서 거푸집 판넬(1)의 상호 체결은 상기 제13도 및 제14도에서 나타낸 슬라브와 기둥의 시공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핀(12)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옹벽(W)의 경우는 거푸집 판넬(1)사이의 간격(D')유지를 위한 폼타이(45 : 제11도 참조)를 체결한다.
즉, 제16도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인트판(41 : 제11도 참조)을 이용하여 폼타이(45)를 체결한다.
거푸집 판넬(1)의 종, 횡격벽(4, 5) 또는 판넬사이의 연결부분(E)은 +자형을 이루므로 이 +자형 벽부분을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조인트판(41)의 +자형 결합홈 (42)속에 끼워넣고 폼타이 체결구멍(44)과 거푸집 판넬(1)의 보스구멍(7)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폼타이(45)를 박아넣고 너트(47)를 체결하므로서 조인트판(41)을 거푸집 판넬(1)에 결합시킨다.
또한 옹벽(W)과 바닥(49)의 접경부분에는 제14도의 (b)에서 나타내고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17도의 (a)에 나타낸 바와같이 채널(39, 40)을 받친다.
상기 폼타이(45)와 조인트판(41)의 사용은 기둥(C)에도 공히 적용 가능하다. 제17도의 (b)는 제15도에서 보(B)를 시공하는 경우의 앵글(33)연결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14도의 (a)에 나타낸 기둥(C)시공시의 앵글(33)결합과 같다.
또한 보(B)하단에는 슬라브(S)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주(30)를 이용하여 받친다.
본 발명에서 옹벽(W)과 보(B)의 경우에도 비닐랩(1)에 의한 작용은 동일하며 연결핀(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앵글(33) 또한 거푸집 판넬(1)의 핀구멍 갯수와 보강할 위치 및 그 형상에 따라 적합한 길이와 두께와 핀구멍(34)배열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거푸집 시공에 이어서 해체시에는 상기와 역순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바 연결핀(12)을 제거하는 경우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목부분의 절단홈(14)을 이용하여 머리부(13) 또는 훅크(15)부를 잘라내므로 거푸집 판넬(1) 및 그에 부속되는 제반 부품들을 해체시킨다.
상기한 건축물의 시공시에 시공부분의 사이즈에 따라 거푸집 판넬(1)을 종, 횡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며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작업 현장에서 톱, 칼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가공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소형이며 경량이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쇠망치 사용이 배제되고 쇠못 사용이 배제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식이고 간단한 조립 작업이 수반되므로 기술 숙련도를 필요치 않는다.
또한 밀실한 콩크리이트 타설로 구조물의 고강도 유지가 가능하며 저렴한 인건비와 후속 공정의 공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대(멍애)와 수직지지대(띄장)이 없는 구조이므로 재료의 간소화를 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가장자리에 테를 이루는 외곽벽(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중, 횡으로 다수의 칸 (3)을 이루는 격벽(4, 5)이 형성되며 격벽(4, 5)의 교차부분에 연결핀 또는 폼타이 체결을 위한 보스(6) 및 보스구멍(7)이 형성되고 외곽벽(2)과 격벽(4, 5)에는 핀구멍(8 , 8')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이며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재인 거푸집 판넬(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1)의 외곽벽(2)과 격벽(4, 5)에 형성된 핀구멍( 8, 81) 보스구멍(7)에는 연결핀(12)을 체결하여 슬라브, 보, 옹벽, 기둥등을 콩크리이트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을 완성할 수 있게 구성하되, 이 연결핀(12)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못 형상을 이루면서 망치로 타격하기 위한 머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12)과 거푸집 판넬(1)에 의해서 조립된 거푸집을 해체할때 연결핀 절단을 위해서 목부분 외주면에 절단홈(14)이 형성되며, 끝부분에는 체결력 강화를 위한 훅크(15)가 탄성을 유지하도록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연결핀(12)이고, 이러한 구조의 연결핀(12)으로 상기 거푸집 판넬(1)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거푸집 판넬(1)의 칸(3)내부에 사방 격벽(4, 5)을 종, 횡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살(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접 시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거푸집 판넬(1)의 표면(10)에는 해체시 콩크리이트로 분리를 위한 비닐랩(1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4. 가장자리에 테를 이루는 외곽벽(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종, 횡으로 다수의 칸 (3)을 이루는 격벽(4, 5)이 형성되며 격벽(4, 5)의 교차부분에 연결핀 또는 폼타이 체결을 위한 보스(6) 및 보스구멍(7)이 형성되고 외곽벽(2)과 격벽(4, 5)에는 핀구멍(8, 8')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이고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재인 거푸집 판넬(1)과, 상기 거푸집 판넬(1)로 조립되는 슬라브, 보 등의 거푸집 저면에서 이들을 받쳐주는 지주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1)을 서로 맞닿게 하여 체결하였을때 그 맞닿는 연결부분(E)의 외곽벽(2)들이 사이에 끼워지는 +자형 리브홈(17)과 리브홈(17)을 이루는 지지리브(18)가 상면에 형성되고 사방에는 상기 보스구명(7)에 체결된 핀구멍(19)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지주가 끼워지는 슬라브( 20)가 형성된 상부리브판(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5. 가장자리에 테를 이루는 외곽벽(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종, 횡으로 다수의 칸 (3)을 이루는 격벽(4, 5)이 형성되며 격벽(4, 5)의 교차부분에 연결핀 또는 폼타이 체결을 위한 보스(6) 및 보스구멍(7)이 형성되고 외곽벽(2)과 격벽(4, 5)에는 핀구멍(8, 8')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이고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재인 거푸집 판넬(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1)로 기둥을 콩크리이트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성하였을때, 이 기둥을 거푸집을 사방에서 견고하게 붙들어 매주기 위한 밴드받침대( 35)를 포함하되, 이 밴드받침대(35)의 한쪽면에는 판넬(1)의 종, 횡 격벽(4, 5)이 끼워지는 +자형 결합홈(36)이 형성되며 그 반대쪽면에는 밴드를 걸기 위한 밴드 걸이 경사홈(37)이 형성된 구조의 밴드받침대(35)이고, 이러한 구조의 밴드받침대(35)를 기둥용 거푸집 사방에 결합하고 상기 경사홈(37)에 밴드를 둘러서 기둥용 거푸집을 견고하게 체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6. 가장자리에 테를 이루는 외곽벽(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종, 횡으로 다수의 칸 (3)을 이루는 격벽(4, 5)이 형성되며 격벽(4, 5)의 교차부분에 연결핀 또는 폼타이 체결을 위한 보스(6) 및 보스구멍(7)이 형성되고 외곽벽(2)과 격벽(4, 5)에는 핀구멍(8 , 8')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이고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재인 거푸집 판넬(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1)로 기둥이나 보, 옹벽 등의 콩크리이트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구성하였을때, 이 거푸집과 바닥의 접경 부분을 받쳐주는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채널은, ㄷ자형 판구조이며 바닥에 볼트 관통 고정을 위한 볼트구멍(38)이 형성되고 바닥에 고정되어 판넬(1)이 얹히는 받침채널(39)가 받침채널(39)보다 소형이고 그 속에 결합되어 판넬(1)을 지지하는 지지채널(40) 한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7. 가장자리에 테를 이루는 외곽벽(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종, 횡으로 다수의 칸 (3)을 이루는 격벽(4, 5)이 형성되며 격벽(4, 5)의 교차부분에 연결핀 또는 폼타이 체결을 위한 보스(6) 및 보스구멍(7)이 형성되고 외곽벽(2)과 격벽(4, 5)의 핀구멍(8, 8')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이고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재인 거푸집 판넬(1)과, 상기 거푸집 판넬(1)로 조립되는 옹벽 거푸집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체결해 주는 폼타이(form tie)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판넬(1)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폼타이를 이용해서 체결해주기 위한 조인트판(41)을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판(41)은, 상기 판넬(1)의 연결부분 외곽벽(2)이 사이에 끼워지는 +자형 결합홈(42)과 결합홈(42)을 이루는 결합 리브(43)가 형성되고 사방에는 폼타이( form tie)관통을 위한 폼타이 체결구멍(44)이 형성된 구조이고, 이러한 구조의 조인트판(41)으로 옹벽 거푸집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체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KR1019910019604A 1991-11-05 1991-11-05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KR95000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604A KR950008099B1 (ko) 1991-11-05 1991-11-05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604A KR950008099B1 (ko) 1991-11-05 1991-11-05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32A KR930010332A (ko) 1993-06-22
KR950008099B1 true KR950008099B1 (ko) 1995-07-25

Family

ID=1932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604A KR950008099B1 (ko) 1991-11-05 1991-11-05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81B1 (ko) * 2001-03-02 2004-03-04 이승복 거푸집용 투명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거푸집 구조
KR20010069296A (ko) * 2001-03-03 2001-07-25 기덕연 평면 거푸집용 폴리에틸렌 패널
KR100465263B1 (ko) * 2002-01-04 2005-01-13 안승한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32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10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KR950008099B1 (ko)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KR102128101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서포트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JP2634571B2 (ja) コンクリートの型枠装置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JPS5953979B2 (ja) コンクリ−ト用型枠構築用のパネル装置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JPH0718804Y2 (ja) 角材接続金具
JPH097208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型枠上部押え金物
KR20060041382A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JPH11193572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
JPH0711183B2 (ja) コンクリートの型枠装置
JP383006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耐震補強工法
JP2656748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形成構造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KR20050021772A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JPH0718803Y2 (ja) 角材接続金具
JP2975211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375079Y1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383699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