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699Y1 -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699Y1
KR200383699Y1 KR20-2005-0003467U KR20050003467U KR200383699Y1 KR 200383699 Y1 KR200383699 Y1 KR 200383699Y1 KR 20050003467 U KR20050003467 U KR 20050003467U KR 200383699 Y1 KR200383699 Y1 KR 200383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ixed beam
fastening
concret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직
Original Assignee
태백스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백스틸(주) filed Critical 태백스틸(주)
Priority to KR20-2005-0003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04G13/025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with stiff clamping means bracing the back-side of the form without penetrating the form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고정을 위한 고정빔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의 외부에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 후 다른 보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 fixing beam of concrete form }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외부에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 후 다른 보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기둥과 같은 건축구조물을 형성할 때에는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합판이나 합성수지재질의 원형관등을 사용하고, 상기 합판은 주로 평면이 다각형인 구조물에 사용되며,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푸집의 외부에 각목을 덧대고 못 등으로 고정하거나, 굵은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합판 대신에 금속판재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보강재를 덧대어서 거푸집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물기둥과 같은 건축구조물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다보면 타설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하중에 의해 배불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고 거푸집의 원형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거푸집의 둘레를 둘러싸서 지지하는 고정밴드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밴드는 다수의 볼트와 너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거푸집에 대한 조임력을 크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고정밴드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정밴드 설치 후 다른 보강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등이 있었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 등록실용신안 제 20-0317311호(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조)가 있다.
상기 고안은 한쌍의 보강판넬이 일정간극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결합된 구조의 측면보강재와,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측면보강재를 잡아당겨주는 타이로드와 와셔플레이트 및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의 고안을 이용하여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 및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부가적인 보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와셔플레이트와 조임너트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보강재를 고정하거나 분리시에 번거로움이 있고, 분리 후 타이로드,와셔플레이트,조임너트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보강재의 모서리가 각이 져 있어 작업자의 이동시 옷 등이 상기 보강재의 모서리에 걸려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푸집의 외부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장내의 안전사고율을 감소시키며, 설치 후 별도의 보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체결수단의 보관이 편리한 거푸집 고정빔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기둥같은 건축구조물 축조를 위해 다수의 지지판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고정빔에 있어서
"ㅁ"자형 고정빔(10)과, 상기 "ㅁ"자형 고정빔(10)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는 체결부(12)와, 상기 체결부(12) 사이에 천공된 보조 관통체결공(13) 및, 상기 보조 관통체결공(13)내부로 삽입되어 보조 관통체결공(13)의 단부와 용접으로 부착되는 보강핀(1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빔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도 1a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2개의 "ㄷ"자형 빔(11)을 다리부분이 접하면서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다리부분을 용접하여 "ㅁ"자형 고정빔(10)을 형성한다. 상기 "ㄷ"자형 빔(11)을 용접하는 것은 시중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ㅁ"자형 고정빔(10)이 유통되지 않기 때문이며, 충분한 강도를 가진 "ㅁ"자형 고정빔(10)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ㅁ"자형 고정빔(10)의 측면에 무두볼트(22)와 조임너트(21)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위해 체결부(12)를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체결수단을 위한 공간의 형성과 아울러 빔의 무게를 줄이게 된다. 상기 체결부(12)의 양 단부는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부(12)의 폭은 상기 무두볼트(22)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12) 사이에 원형으로 된 보조 관통체결공(13)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 관통체결공(13)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조 관통체결공(13)에는 보강핀(14)을 삽입한 후 용접으로 보강핀(14)의 단부를 보조 관통체결공(13)의 단부와 접착하여, 고정빔(10)전체의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체결부(12)에는 도 2와 같이 긴 기장의 무두볼트(22)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무두볼트(22)와 상기 고정빔(1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임너트(21)가 있다. 조임너트(2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너트(21)의 외부 양측에 대칭되는 구조의 손잡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사용방법을 첨부한 도2,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4를 참조하여 건물기둥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설치 및 거푸집의 지지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기둥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지지판넬(2)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1)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의 외부에 각목 또는 굵은 철사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1)을 지지시킨 후 상기 거푸집(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은 후 상기 지지수단과 거푸집(1)을 분리하면 원하는 형상의 건물기둥을 얻을 수 있게된다.
거푸집(1)의 설치 후 상기 거푸집(1)의 양측으로 1쌍의 고정빔(10)을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빔(10)의 체결부(12)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무두볼트(22)를 삽입하며, 조임너트(23)에 의해 상호 잡아 당겨지면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1쌍의 고정빔(10)의 아래에는 상기 고정빔(10)에 수직한 방향으로 1쌍의 고정빔(10)을 결합한다.
상기 무두볼트(22)의 나사산이 망가져서 상기 조임너트(23)가 결합이 안될 경우에는 보조 관통체결공(13)에 굵은 철사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빔(10)을 상기 거푸집(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거푸집(1)의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거푸집(1)의 외부에 여러쌍의 고정빔(10)을 결합한다.
상기 거푸집(1)에서 상기 고정빔(10)을 분리한 후에는 상기 무두볼트(22)와 조임너트(21)를 상기 고정빔(10) 내부에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보관 상태에서 고정빔(10)들을 가지런히 적재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에 의하면, 건물기둥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외부에 체결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장내의 안전사고율을 감소시키며, 설치 후 별도의 보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체결수단의 보관이 편리한 거푸집 지지빔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체결수단 결합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상세한 설명>
1: 거푸집 2: 지지판넬
10: "ㅁ"자형 고정빔 11: "ㄷ"자형 빔 12: 체결부 13: 보조 관통체결공
21: 조임나사 22: 무두볼트

Claims (1)

  1. 건물기둥같은 건축구조물 축조를 위해 다수의 지지판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고정빔에 있어서,
    "ㅁ"자형 고정빔과,
    상기 "ㅁ"자형 고정빔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천공되는 보조 관통체결공 및,
    상기 보조 관통 체결공의 내부를 관통하여 보조 관통체결공과 용접으로 결합되는 보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KR20-2005-0003467U 2005-02-04 2005-02-04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KR200383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467U KR200383699Y1 (ko) 2005-02-04 2005-02-04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467U KR200383699Y1 (ko) 2005-02-04 2005-02-04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699Y1 true KR200383699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467U KR200383699Y1 (ko) 2005-02-04 2005-02-04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6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JP4284056B2 (ja) 非埋込み型柱脚の施工方法及びその非埋込み型柱脚構造
KR101152339B1 (ko) 패스트 기둥폼
KR200383699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빔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JP6082580B2 (ja) 床構造
JP2000336929A (ja) 梁型枠構造とその形成方法
KR100739932B1 (ko) 기둥과 보의 결합 구조물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KR101796101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970004945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CN211974009U (zh) 装配式型钢混凝土组合楼板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JP2014101654A (ja) コンクリート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KR101786781B1 (ko) 콘크리트 가로보를 보강형 강재에 연결한 강아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094381A (ko)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KR20190123408A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060060999A (ko) 거푸집용 지지구
KR100449520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 및 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