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339B1 - 패스트 기둥폼 - Google Patents

패스트 기둥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339B1
KR101152339B1 KR1020100037974A KR20100037974A KR101152339B1 KR 101152339 B1 KR101152339 B1 KR 101152339B1 KR 1020100037974 A KR1020100037974 A KR 1020100037974A KR 20100037974 A KR20100037974 A KR 20100037974A KR 101152339 B1 KR101152339 B1 KR 10115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embers
slide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397A (ko
Inventor
황희진
Original Assignee
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현 filed Critical 정지현
Priority to KR102010003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3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스트 기둥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패널의 외측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는 패스트 기둥폼에 있어서, 상기 기둥폼은 좌,우측 수직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 수평부재의 양단이 결합되어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 사이에 다수개의 단위웨일러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일러는 상,하부 구조부재 사이의 일측 공간에 슬라이드 볼트가 결합되어지며, 타측 공간에 위치결정튜브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볼트는 사다리꼴 숫나사부의 타측에 가이드 스토퍼를 갖는 나사레스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슬라이드부재의 일측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타측이 상,하부 구조부재 사이에 결합된 슬라이드 안내부재의 슬라이드홀에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스트 기둥폼{FAST COLUMN FORMWORK}
본 발명은 패스트 기둥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둥폼의 내부에 결합된 단위웨일러의 슬라이드 볼트가 좌측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다른 기둥폼의 단위웨일러에 구비된 위치결정튜브를 관통하여 조절너트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지는 것을 반복하여 기둥을 감싸는 형태의 내부 공간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기초바닥 또는 슬라브의 상부에 철근이 배근되어지도록 하고, 배근된 철근의 가장자리에 설계치수에 맞는 기둥폼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기둥폼은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에 다른 기둥폼의 양측에 형성된 다른 체결공이 맞대어지도록 한 후 체결공을 통해 핀홈이 형성된 체결핀이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핀의 핀홈에 체결핀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체결핀이 타격으로 인하여 삽입 및 결합 고정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지고, 이 같은 상태에서 기둥폼의 상부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그리고 기둥폼 해체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기둥이 시공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둥폼을 이용하여 기둥이 시공되어지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특히, 기둥폼의 하부에 강한 압력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체결핀으로 결합된 기둥폼과 기둥폼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클램프의 볼트 양단에 각각 조임너트가 결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기둥폼의 내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기둥폼 사이가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클램프는 단면이 작은 콘크리트 기둥의 기둥폼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 단면이 넓은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기둥폼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는 기둥폼은 양측을 포함하는 모든 면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볼트 양측이 기둥폼의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한 상태에서 노출된 볼트의 양측에 각각 조임너트를 조이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시공기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많은 량의 클램프 제조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콘크리트 기둥의 기둥폼에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는 일직선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형태를 가짐으로써, 외관상 어지러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기둥폼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램프에 걸려 넘어지거나 옷이 찢기면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둥폼과 클램프가 분리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이를 제조, 보관, 운반, 설치 및 해체하는 과정에서 각각 기둥폼과 클램프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장소를 확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기둥폼 내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기둥폼 사이가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단면이 넓은 콘크리트 기둥의 기둥폼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 기둥 시공시 기둥폼의 일측만이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작업시간이 줄어들도록 하고, 아울러 별도의 보관장소 확보가 필요치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패널의 외측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는 패스트 기둥폼(A)에 있어서, 상기 기둥폼(A)은 좌,우측 수직부재(10)(10')의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 수평부재(20)(20')의 양단이 결합되어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0)(10') 사이에 다수개의 단위웨일러(3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일러(30)는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일측 공간에 슬라이드 볼트(33)가 결합되어지며, 타측 공간에 위치결정튜브(35)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볼트(33)는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의 타측에 가이드 스토퍼(332)를 갖는 나사레스부(333)가 연장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332)에 슬라이드부재(334)의 일측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334)의 타측이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에 결합된 슬라이드 안내부재(34)의 슬라이드홀(341)에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튜브(35)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공간부(341)를 갖는 것으로 상,하부 구조부재(31)(31')의 타측에 다수개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볼트(33)에 형성된 가이드 스토퍼(332)는 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스토퍼(332)의 두개 측면이 상,하부 구조부재(31)(31')의 내면에 맞대어져 직선왕복 운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볼트(33)의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와 나사레스부(333)는 좌측수직부재(1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고, 노출된 나사레스부(333)와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직각으로 맞대어진 다른 기둥폼(A')에 결합된 위치결정튜브(35')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사다리꼴 숫나사부(331)만 위치결정튜브(35')를 관통하여 조절너트(36)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패널(40)에는 위치결정튜브(35)와 대응되는 패널홀(401)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웨일러(30)는 좌,우측 수직부재(10)(10') 사이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여 다수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단위웨일러(30) 사이에 수평과 수직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수평보강부재(5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측으로 위치된 수평보강부재(50)의 중간부에 다수개의 수직보강부재(51)가 격자형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직보강부재(51)에 고정홀(511)이 형성되어지고,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공간에 보강편(32)이 삽입되어 용접이음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0)(10'), 상,하측 수평부재(20)(20'), 수평보강부재(50) 및 수직보강부재(51)는 중공인 각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둥폼의 내부에 결합된 단위웨일러의 슬라이드 볼트가 좌측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다른 기둥폼의 단위웨일러에 구비된 위치결정튜브를 관통하여 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되어지는 것을 반복하여 기둥을 감싸는 형태의 내부 공간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기둥폼 내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기둥폼 사이가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넓은 콘크리트 기둥의 기둥품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시 기둥폼의 일측만이 고정되어짐으로써, 기둥폼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줄어들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하며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둥폼 시공 이전에 단위웨일러의 슬라이드 볼트가 기둥폼을 구성하는 좌측 수직부재의 내부로 인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슬라이드 볼트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별도의 보관장소를 확보치 않은 상태에서 많은 량의 기둥폼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볼트가 관통되어지는 위치결정튜브가 단위웨일러를 구성하는 상부 구조부재와 하부 구조부재 사이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단위웨일러의 결합력 또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폼에 보강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폼의 단위웨일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품이 넓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폼의 좁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패스트 기둥폼(A)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패널(40)에 결합되어진 기둥폼(A)(A')을 이용하여 기둥폼(A)(A')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직각으로 맞대어져 슬라이드 볼트(33)와 조절너트(36)에 의하여 기둥형태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둥폼(A)은 중공형태를 갖는 각각의 좌,우측 수직부재(10)(10')의 상하부에 상측 수평부재(20)와 하측 수평부재(20')의 양단이 맞대어져 직사각형태를 갖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0) (10') 사이에 다수개의 단위웨일러(30)가 평행하게 배열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0)(10')와 상,하측 수평부재(20)(20')는 각각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인 각관형태를 갖도록 하여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웨일러(30)는 기둥폼(A)에 결합되어지는 보강패널(40)이 충분하게 지지되어지며 동시에 또 다른 기둥폼(A')의 단위웨일러(30')에 직각으로 맞대어져 용이하게 결합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일측 공간에 슬라이드 볼트(33)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타측 공간에 길이방향의 직각인 방향을 갖는 위치결정튜브(35)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구조부재(31)(31') 역시 중공인 각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볼트(33)는 평상시 좌측 수직부재(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짐과 동시에 설치 또는 시공시 좌측 수직부재(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의 타측에 가이드 스토퍼(332)를 갖는 나사레스부(333)가 연장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332)에 슬라이드부재(334)의 일측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334)의 타측이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에 결합된 슬라이드 안내부재(34)의 슬라이드홀(341)에 삽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드 볼트(33)의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와 나사레스부(333)는 좌측수직부재(1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고, 노출된 나사레스부(333)와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직각으로 맞대어진 다른 기둥폼(A')에 결합된 위치결정튜브(35')에 삽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사다리꼴 숫나사부(331)만 위치결정튜브(35')를 관통하여 조절너트(36)에 나사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패널(40)에는 위치결정튜브(35)와 대응되는 패널홀(40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볼트(33)가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332)는 4개의 면을 갖는 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두개의 측면이 상,하부 구조부재(31)(31')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직선왕복 운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스토퍼(332)의 형태에 의하여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공간에서 사다리꼴 숫나사부(331) 또는 나사레스부(33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길이방향만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34)는 외주면에 멈춤구(335)가 형성되어 슬라이드홀(341)에 걸려지게 구성됨으로써,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좌측 수직부재(10)의 내부로 즉, 단위웨일러(3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고정력 또는 록킹력에 의하여 슬라이드홀(341)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어 기둥폼(A)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볼트(33)가 기둥폼(A)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튜브(35)는 상부 구조부재(31)와 하부 구조부재(31')의 타측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단위웨일러(30)의 타측이 더 보강되어질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공간부(341)를 갖는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공간부(341)로는 슬라이드 볼트(33)의 나사레스부(333)가 관통되어지게 삽입됨에 따라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노출된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에 조절너트(36)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튜브(35)는 상부 구조부재(31)와 하부 구조부재(31')의 타측 사이에서 일측 또는 가운데를 향하도록 다수개가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가운데 부분까지 연장되는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위웨일러(30)를 구성하는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로 결합된 슬라이드 안내부재(34)와 위치결정튜브(35) 사이의 공간에는 보강편(32)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중간부분의 강도를 높여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편(32)은 슬라이드 안내부재(34)와 위치결정튜브(35) 사이의 공간에 어느 정도 이격되었을 경우에는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에 삽입하여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위치결정튜브(35)가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중간 부분까지 삽입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진 경우에는 상기 보강편(32)이 개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단위웨일러(30)는 좌,우측 수직부재(10)(10') 사이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여 다수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진 것으로 상기 각각의 단위웨일러(30) 사이에는 수평과 수직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수평보강부재(5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측으로 위치된 수평보강부재(50)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수직보강부재(51)가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측압에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기둥폼(A)을 상하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시공된 기둥폼(A)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하부에 가장 큰 측압이 작용하게 되는 과정에서 이를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보강부재(51)에는 고정홀(511)이 형성되어 작업에 필요한 미도시한 발판이나 별도의 고정브라켓 등을 고정하여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정홀(511)이 수직보강부재(51)에만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수직보강부재(51) 이외에 단위웨일러(30)를 구성하는 상부 구조부재(31)와 하부 구조부재(31')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보강부재(50) 및 수직보강부재(51)는 중공인 각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폼(A)의 후면에는 보강패널(40)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보강패널(40)에는 위치결정튜브(35)에 중심이 일치되는 패널홀(401)이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홀(401)은 제작 당시 우측 수직부재(10')에 근접된 곳 하나만 관통되어지도록 한 후 현장에서 작업여건에 따라 작업자가 드릴을 이용하여 별도로 천공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패스트 기둥폼(A)은 먼저, 소정 길이로 절단된 좌,우측 수직부재(10)(10')의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 수평부재(20)(20')의 양단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한다.
다음, 상부 구조부재(31)와 하부 구조부재(31') 사이에 일측으로 슬라이드홀(341)이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부재(34) 삽입되어지며 타측으로 다수개의 위치결정튜브(35)가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좌측 수직부재(10)에 미리 형성된 관통홀에 중공부재(11)가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슬라이드 안내부재(34)의 슬라이드홀(341)에 슬라이드 볼트(33)의 슬라이드부재(334)가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슬라이드 볼트(33)에 형성된 사다리꼴 숫나사부(331) 및 나사레스부(333)가 중공부재(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구조부재(31)와 하부 구조부재(31')가 좌측 수직부재(10)와 우측 수직부재(10') 사이에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단위웨일러(30)가 평행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각각의 단위웨일러(30) 사이에 수평보강부재(50)와 수직보강부재(51)가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기둥폼(A)을 얻게 되고, 이러한 기둥품(A)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패널홀(401)이 형성된 보강패널(40)이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보강패널(40)이 결합된 기둥폼(A)의 설치 또는 시공은 먼저, 세워진 기둥폼(A)의 좌측 수직부재(10)에 다른 기둥폼(A')에 결합된 패널홀(401')이 형성된 부분이 맞대어지도록 한다.
다음, 좌측 수직부재(10)에 결합된 중공부재(11)의 중심에 다른 보강패널(40')에 형성된 패널홀(40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고,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볼트(33)의 슬라이드부재(334)를 좌측 수직부재(10)의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면 중공부재(11)의 내부로 삽입되어져 있던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패널홀(401')을 통해 다른 위치결정튜브(35')를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은 상태 즉, 위치결정튜브(35')를 관통하여 노출된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에 조절너트(36)의 중심이 일치되게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너트(3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나사결합이 시작되어지게 된다. 즉, 조절너트(3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조절너트(36)에 나사결합된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지게 되며, 나사레스부(333)에 형성된 가이드 스토퍼(332)가 중공부재(11)의 단부에 맞대어지는 순간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추어지게 되면서 기둥품(A)(A')이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때 조절너트(36)의 회전에 따라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려고 하나, 나사레스부(333)에 형성된 가이드 스토퍼(332)가 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구조부재(31)와 하부 구조부재(31') 사이에 2개의 면에 맞대어져 있음으로써, 사다리꼴 숫나사부(331)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4개의 기둥폼들이 결합되어지게 됨에 따라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패스트 기둥폼 10,10':좌,우측 수직부재
20,20':상,하측 수평부재 30:단위웨일러
31,31':상,하부 구조부재 32:간격유지편
33:슬라이드 볼트 34:슬라이드 안내부재
331:사다리꼴 숫나사부 332:가이드 스토퍼
333:나사레스부 334:슬라이드부재

Claims (6)

  1. 보강패널의 외측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는 패스트 기둥폼(A)에 있어서,
    상기 기둥폼(A)은 좌,우측 수직부재(10)(10')의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 수평부재(20)(20')의 양단이 결합되어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0)(10') 사이에 다수개의 단위웨일러(3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일러(30)는 중공인 각관 형태의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일측 공간에 슬라이드 볼트(33)가 결합되어지며, 타측 공간에 위치결정튜브(35)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볼트(33)는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의 타측에 가이드 스토퍼(332)를 갖는 나사레스부(333)가 연장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332)에 슬라이드부재(334)의 일측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334)의 타측이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에 결합된 슬라이드 안내부재(34)의 슬라이드홀(341)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위치결정튜브(35)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공간부(341)를 갖는 것으로 상,하부 구조부재(31)(31')의 타측에 다수개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볼트(33)에 형성된 가이드 스토퍼(332)는 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스토퍼(332)의 두개 측면이 상,하부 구조부재(31)(31')의 내면에 맞대어져 직선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볼트(33)의 사다리꼴 숫나사부(331)와 나사레스부(333)는 좌측수직부재(1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고, 노출된 나사레스부(333)와 사다리꼴 숫나사부(331)가 직각으로 맞대어진 다른 기둥폼(A')에 결합된 위치결정튜브(35')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사다리꼴 숫나사부(331)만 위치결정튜브(35')를 관통하여 조절너트(36)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패널(40)에는 위치결정튜브(35)와 대응되는 패널홀(401)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 기둥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웨일러(30)는 좌,우측 수직부재(10)(10') 사이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여 다수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단위웨일러(30) 사이에 수평과 수직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수평보강부재(5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측으로 위치된 수평보강부재(50)의 중간부에 다수개의 수직보강부재(51)가 격자형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직보강부재(51)에 고정홀(511)이 형성되어지고, 상,하부 구조부재(31)(31') 사이의 공간에 보강편(32)이 삽입되어 용접이음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 기둥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0)(10'), 상,하측 수평부재(20)(20'), 수평보강부재(50) 및 수직보강부재(51)는 중공인 각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 기둥폼.
KR1020100037974A 2010-04-23 2010-04-23 패스트 기둥폼 KR10115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74A KR101152339B1 (ko) 2010-04-23 2010-04-23 패스트 기둥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74A KR101152339B1 (ko) 2010-04-23 2010-04-23 패스트 기둥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397A KR20110118397A (ko) 2011-10-31
KR101152339B1 true KR101152339B1 (ko) 2012-06-11

Family

ID=4503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974A KR101152339B1 (ko) 2010-04-23 2010-04-23 패스트 기둥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3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958B1 (ko) * 2016-03-31 2017-02-09 (주)대의엔지니어링 기둥용 거푸집 장치
WO2021107494A1 (ko) * 2019-11-30 2021-06-03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6981B (zh) * 2013-07-17 2017-04-05 许金锔 一种混凝土模板夹紧框
KR101534568B1 (ko) * 2015-04-22 2015-07-08 (주)한은이앤씨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9706931B (zh) * 2019-01-31 2020-09-11 山东金城建设有限公司 厚大混凝土结构侧面模板设计与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5616A2 (en) * 1985-03-18 1986-09-24 Toyo Denki Seizo Kabushiki Kaisha Sliding plate support structure for current collector
KR20090001153A (ko) * 2007-06-29 2009-01-08 (주)화인테크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5616A2 (en) * 1985-03-18 1986-09-24 Toyo Denki Seizo Kabushiki Kaisha Sliding plate support structure for current collector
KR20090001153A (ko) * 2007-06-29 2009-01-08 (주)화인테크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958B1 (ko) * 2016-03-31 2017-02-09 (주)대의엔지니어링 기둥용 거푸집 장치
WO2021107494A1 (ko) * 2019-11-30 2021-06-03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20210068270A (ko) * 2019-11-30 2021-06-09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2314546B1 (ko) * 2019-11-30 2021-10-19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397A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1152339B1 (ko) 패스트 기둥폼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2143637B1 (ko)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0486454Y1 (ko) Rc보용 거푸집 보강대
US9885175B1 (en) Vibration damper device and load-bearing wall structure
KR101152340B1 (ko) 패스트 기둥 웨일러
KR101421824B1 (ko) 원심성형 기둥용 철골보 및 기둥 동시 접합구조
KR20200044740A (ko) Phc말뚝의 두부보강 결합구, 이를 이용한 phc말뚝과 기초의 두부보강 결합구조, 및 두부보강 결합시공방법
JP4392462B1 (ja) 梁型枠ユニット、梁型枠ユニット用横締付け枠および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JP2007321499A (ja) 木造軸組家屋の補強装置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20140005954U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KR102521464B1 (ko) 습식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간 수직 접합구조
KR101436969B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JP6754552B2 (ja) 柱梁架構
JP6252834B2 (ja) 地下ピット構造
KR101097836B1 (ko) 일체형 기둥폼
CN111894308A (zh) 一种快拆铝模板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927086A (zh) 一种叠合板早拆铝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