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68B1 -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68B1
KR101534568B1 KR1020150056373A KR20150056373A KR101534568B1 KR 101534568 B1 KR101534568 B1 KR 101534568B1 KR 1020150056373 A KR1020150056373 A KR 1020150056373A KR 20150056373 A KR20150056373 A KR 20150056373A KR 101534568 B1 KR101534568 B1 KR 10153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einforcing
support bar
rectangula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박우현
이상길
박영제
Original Assignee
(주)한은이앤씨
이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은이앤씨, 이상길 filed Critical (주)한은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5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관; 내측과 외측에 내측나사와 외측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내측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사각관에 고정하는 내측너트; 및 상기 사각관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내측나사에서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부분까지의 관통부, 상기 관통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나사까지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건물 외측에 지지바가 설치된 사각관을 고정한 후, 단열재, 보강체결부, 상부고정대, 외장재 등을 설치함으로써, 철골조 등과 같이 콘크리트벽체가 없는 구조에 단열재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건물의 내측과 외측의 열 전달은 브라켓과 지지바 만으로 한정하여 열 전달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A fixing structure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의 단열은 열 손실을 줄이고, 결로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막아준다. 특히 건물의 단열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건물의 단열기준은 강화되어 가고 있다.
종래, 건물의 단열은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단열재를 핀이나 볼트로 고정한 형태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기술은 건물의 단열을 위해 쉬트 형태의 열반사판을 콘크리트에 설치하고, 그 위에 ㄴ자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며, ㄴ자 브라켓에 ㅁ자 형강을 용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수직 형강 사이에 ㅁ자 형강을 수평방향으로 용접 연결한 후, 수직, 수평의 ㅁ자 형강 위에 외장판넬을 피스로 고정시킨다. 또한 열반사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라스울 단열재를 형강 사이에 맞게 현장에서 재단하여 끼워넣기도 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외장판넬을 통해서 외기 온도가 ㅁ자 형강과 ㄴ자 브라켓으로 전도되어 단열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외장판넬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ㅁ자 형강은 단면 특성상 형강 사이에 단열성능이 우수한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네오폴, 페놀폼 등의 단단하게 형상화된 단열재를 틈이 없이 고정하기가 곤란하여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쉬트 형태의 열반사판을 단열재로 대부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열반사판 시공시 ㅁ자 형강을 설치하기 전에 벽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총을 쏘아 고정하는데 콘크리트못이 박힌 위치는 열반사판이 짓눌려지므로 콘크리트못을 중심으로 주변 일부 면적은 단열성능을 거의 상실하게 된다. 또한 열반사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라스울 단열재를 수직, 수평 형강 사이에 맞게 재단하여 끼워 넣는데 그라스울을 현장에서 재단하여 사용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인건비가 상승하고 재료손실도 클 뿐만 아니라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작업을 기피하고, 구조적으로도 단단히 고정할 수 없다.
더욱이, 향후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절감대책은 더욱 강화되어 시공의 편의성은 좋지만 효과는 적은 쉬트 형태의 열반사판의 사용은 매우 제한될 것이고 점점 두꺼워지는 단열재를 사용해야 하는데, 상기 종래 기술의 ㅁ자 형강을 이용한 시공방법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고, 내단열 방식을 채택한다 해도 벽체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조립식 단열벽 등을 형성해야 하므로 그 두께만큼 내부공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7356 특허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43391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외측에 지지바가 설치된 사각관을 고정한 후, 단열재, 보강체결부, 상부고정대, 외장재 등을 설치함으로써, 철골조 등과 같이 콘크리트벽체가 없는 구조에 단열재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물의 내측과 외측의 열 전달은 브라켓과 지지바 만으로 한정하여 열 전달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각관 설치시 사각관을 고정하는 브라켓 등의 위치에 따라 사각관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단열재 고정구조의 디자인 변형이 용이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지바에 다양한 형상의 보강체결부와 상부고정대를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외장재를 적용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결속구로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외장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고, 전 공정을 볼트와 너트, 직결피스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각관과 지지바의 사이에 전단보강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바의 지지능력이 우수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관; 내측과 외측에 내측나사와 외측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내측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사각관에 고정하는 내측너트; 및 상기 사각관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내측나사에서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부분까지의 관통부, 상기 관통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나사까지의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의 직경은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내측너트가 상기 내측나사에 체결될 때 상기 중간부는 상기 사각관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관통부와 중간부의 연결지점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너트가 상기 내측나사에 체결될 때 상기 사각관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고정부는 상기 중간부보다 단면이 작으며,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보강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전단보강부, 및 상기 전단보강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나사는 상기 고정부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단보강부는 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상의 결합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전단보강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평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구비되는 보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체결부는 ㄷ자 형상,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1
자 형상이며, 상기 보조체결부의 웨브에는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전단보강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2
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홈에 삽입 고정되는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와 직각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보조고정대, 및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의 교차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십자판, 상기 십자판의 날개판들에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에는 볼트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와 직각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보조고정대, 및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의 교차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웨브, 상기 웨브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플랜지, 상기 한 쌍의 수직플랜지의 일측 단부들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평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플랜지 및 수평플랜지에는 볼트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구비되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3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대는 수직플랜지에 장홀이 형성되며, 수평플랜지에는 촉이나 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나사는 상기 고정부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관통삽입되어 너트로 결합되는 보강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 양 플랜지에 걸림턱이 구비된 U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4
자 형상이며, 상기 보강체결부의 홈에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대에는 높이조절나사가 구비된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5
형상의 파스너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와 상기 사각관 사이에 구비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사각관에 결합되는 결착부, 상기 결합구과 결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관에 직각으로 구비되는 보조사각관, 상기 보조사각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마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은, 상기 사각관들을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하는 사각관고정단계;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상기 고정된 사각관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 상기 내측너트로 고정하는 지지바고정단계; 상기 사각관의 외측에 상기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설치단계; 상기 지지바들에 상기 보강체결부를 설치하는 보강체결부설치단계; 및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상기 상부고정대를 설치하는 상부고정대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건물 외측에 지지바가 설치된 사각관을 고정한 후, 단열재, 보강체결부, 상부고정대, 외장재 등을 설치함으로써, 철골조 등과 같이 콘크리트벽체가 없는 구조에 단열재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내측과 외측의 열 전달은 브라켓과 지지바 만으로 한정하여 열 전달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각관 설치시 사각관을 고정하는 브라켓 등의 위치에 따라 사각관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단열재 고정구조의 디자인 변형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에 다양한 형상의 보강체결부와 상부고정대를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외장재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속구로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외장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고, 전 공정을 볼트와 너트, 직결피스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각관과 지지바의 사이에 전단보강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바의 지지능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로서, 순차로 배면 사시도 및 정면의 사시도이다(여기서 배면 사시도는 건물의 내측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정면 사시도는 건물의 외측쪽에서 본 사시도을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로서, 건물의 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고정부 상의 외측나사가 전체 길이에 형성된 경우와 일부에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전단보강대 및 전단보강대가 지지바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체결부가 평면 형상인 보강체결부를 도시하는 배면사시도 및 정면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체결부가 ㄴ자 형상인 보강체결부를 도시하는 배면사시도 및 정면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체결부가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6
자 형상인 보강체결부를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체결부가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7
자 형상인 보강체결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ㄴ자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상부고정대의 다른 실시예가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보강체결부에 보조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파스너 및 파스너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결속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로서, 순차로 배면사시도와 정면사시도이다(여기서 배면사시도는 건물의 내측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정면사시도는 건물의 외측쪽에서 본 사시도를 가리킨다). 도 2는 건물의 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고정부 상의 외측나사가 전체 길이에 형성된 경우와 일부 길이에만 형성된 경우이며, 고정부의 직경의 크기는 중간부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단보강대 및 전단보강대가 지지바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체결부가 평면 형상인 보강체결부를 도시하는 배면사시도 및 정면사시도이고, 도 5b는 체결부가 ㄴ자 형상인 보강체결부를 도시하는 배면사시도 및 정면사시도이며, 도 5c는 체결부가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8
자 형상인 보강체결부를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5d는 체결부가
Figure 112015039012993-pat00009
자 형상인 보강체결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ㄴ자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 내지 도 6c는 상부고정대의 다른 실시예가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평면 형상의 보강체결부 외측에 보조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파스너 및 파스너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결속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는, 건물의 외측에 고정되는 사각관(10), 사각관(10)을 관통하여 사각관(10)에 내측너트(31)로 고정되는 지지바(20), 사각관(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50), 지지바(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 이들을 결합하는 외측너트(32), 상부고정대(70)에 결합되는 외장재(120)를 포함한다.
건물의 외측에 구비되는 사각관(10)은 길이가 긴 형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지지바(20)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11)가 구비되어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고정된다. 사각관(10)은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층별 슬라브나 철골 등에 고정되나, 또한 건물의 벽체에도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은 한 쌍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에 이격 구비되고 그 사이에 사각관(10)이 끼위지는 구조이거나, 사각관(10)이 끼워지는 ㄷ자 형상에 수평플랜지가 결합되는 형상(도 13 참조)으로 건물 슬라브에 고정되거나, 또는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각관(10)들의 직각방향으로 보조사각관(15)들을 설치하고, 보조사각관(15)의 내측에 내부마감재(1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사각관(15)은 사각관(10)의 내측에 연속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도 2 참조), 또는 사각관(10)들의 사이에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도 12 참조). 보조사각관(15)을 사각관(10)들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는 경우에 보조사각관(15)은 구조체로서 작용을 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내부마감재(110)를 설치하기 위해서 연속된 보조사각관(15)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내부마감재(110)가 지지바(20)의 내측에 닫지 않도록 별도의 부재를 추가할 수도 있다. 연속된 보조사각관(15)을 사각관(10)의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측에 내부마감재(110)를 직접 시공할 수 있다.
지지바(2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구(11)가 구비된 사각관(10)을 관통하여 외측(외측은 건물의 바깥쪽을 지칭하고, 내측은 건물의 안쪽을 지칭한다)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과 외측에 내측나사(21)와 외측나사(22)가 형성되며, 관통부(23), 중간부(24), 고정부(25)로 구성된다. 관통부(23)는 상기 내측나사(21)에서부터 사각관(10)의 관통구(11)를 관통하는 부분까지이며, 중간부(24)는 관통부(23)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고정부(25)는 중간부(24)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측나사(22)까지의 부분을 일컫는다. 관통부(23) 중 사각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나사(21)에는 내측너트(31)가 체결되어 지지바(20)를 사각관(10)에 고정하는데, 내측너트(31)가 내측나사(21)에 체결시 중간부(24)는 사각관(10)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된다. 중간부(24)의 직경은 사각관(10)의 관통구(11)의 직경보다 크며, 또한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통부(23)와 중간부(24)의 연결지점에는 스토퍼(2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부(24)의 직경을 관통부(23)의 직경과 동일하게 하고 스토퍼(26)를 관통부(23)와 중간부(24)의 사이에 용접 등으로 고정하거나 그 지점까지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로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부(25)는 중간부(24)보다 단면을 작게 하거나, 또는 고정부(25)와 중간부(24)의 연결지점에 전술한 스토퍼(26)를 용접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후술할 보강체결부(60)가 고정부(25)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25)의 외측나사(22)는 고정부(25)의 단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부는 고정부(25)의 전체 길이 또는 외측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외측나사(22)를 고정부(25)의 전체 길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단면의 직경을 달리하거나 스토퍼(26)를 두지 않고도 후술하는 전단보강부(61)의 내측에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하거나 또는 보강체결부(60) 전후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보강체결부(60)의 체결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0)는 건물 외벽을 직접 관통하지 않으므로 건물 외측의 손상없이 단열재(5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내측너트(31)로 매우 신속하게 사각관(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20)의 외측나사(22)에 보강체결부(60)의 체결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건물은 지지바(20)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단열재(50)에 의해 덮여지므로 단열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사각관(10)과 지지바(20)의 사이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대(40)를 구비하여 지지바(20)의 처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단보강대(40)는 지지바(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바(20)에 삽입되는 결합구(41)와, 사각관(10)에 결합되는 결착부(43)와, 결합구(41)와 결착부(4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5)로 구성된다. 도 4a를 살펴보면, 결합구(41)는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지지바(20)에 삽입되고, 결착부(43)는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사각관(10)과 볼트,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살펴보면, 상기 결착부(43)는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가로바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바가 사각관(10)을 관통하도록 하여 사각관(10)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c를 살펴보면 상기 결착부(43)인 가로바를 외측으로 지지바(20)와 같은 정도로 돌출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재(45)는 수직으로 구비되며, 결합구(41)는 원형관 대신 연결부재(45)에 형성한 관통구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45)에 형성한 관통구에 지지바(20)를 삽입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가로바 또한 연결부재(45)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 체결하거나 용접 등으로 일체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가로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각관(10)에 가로바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가로바를 삽입한 후 사각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로바의 나사에 너트를 체결하여 전단보강대(40)를 사각관(10)에 더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지지바(20)의 처짐에 대해 보강할 수 있다.
사각관(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50)는 지지바(20)들의 간격에 맞춰 제작하여 지지바(20)를 설치한 후에 지지바(20)들의 사이에 끼워넣거나, 규격화된 단열재(50)의 폭에 맞게 사각관(10)들을 배치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규격화된 단열재(50)를 별도로 절단하는 과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단열재(50)를 지지바(20)에 관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단열재(50)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강체결부(6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5)에 삽입되는 전단보강부(61)와, 전단보강부(61)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63)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부(61) 없이 고정부(25)에 삽입되는 체결부(6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강체결부(60)가 전단보강부(61)를 포함하는 경우, 체결부(63)에는 전단보강부(61)와 연결되는 관통구(65)가 형성되고, 전단보강부(61)는 고정부(25)에 단순히 삽입되거나, 또는 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부(25)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되는 경우에는 고정부(25)상의 결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단보강부(61)는 도면에 도시된 원형관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관의 형태이거나 너트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전단보강부(61) 없이 체결부(63)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체결부(63)의 관통구(65) 부분만 두껍게 형성하여 전단보강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전단보강부(61)가 없는 경우에는 보강체결부(60)의 전과 후에 너트 및 외측너트(32)를 삽입 체결하여 보강체결부(60)를 고정부(25)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63)의 형상은 평면 형상(도 5a 참조), ㄴ자 형상(도 5b 참조),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0
자 형상(도 5c 참조),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1
자 형상(도 5d 참조) 등 다양하다. 체결부(63)가 평면 형상인 경우 그 정면 형상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형 등 어느 것도 가능하다. 체결부(63)가 ㄴ자 형상인 경우 체결부(63)의 수평플랜지에는 높이조절나사(64)를 구비하여 후술할 상부고정대(7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63)가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2
자 형상인 경우에는, 외측나사(22)와 외측너트(32)가 결합하는 공간과 상부고정대(70)를 설치하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후술할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가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3
자 형상의 체결부(63)는 단순히 ㄷ자 형상(도면 미도시)이거나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도면 미도시)일 수 있으며, 체결부(63)가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인 경우에 걸림턱은 상하 플랜지에서 체결부(63)의 안쪽으로 각각 일부만 돌출되거나, 상하 플랜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63)가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4
자 형상인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의 하측에 고정부(25)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65)를 형성하고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부(25)에 보강체결부(60)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고정부(25) 상에서의 보강체결부(60)의 체결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단보강부(61)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나, 전단보강부(61)를 체결부(63)의 관통구(65)를 관통하도록 구비하여 고정부(25)에 보강체결부(60)를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63)의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의 상측에 각각 관통구를 형성하여 체결부(63)에 후술할 상부고정대(70)를 삽입한 후 상기 관통구에 볼트를 관통하여 상부고정대(7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체결부(63)를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5
자 형상으로 함에 따라 상부고정대(70)를 고정부(25)의 외측나사(2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63)는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이거나, 서로 마주보는 양 플랜지에 걸림턱이 구비된 U자 형상일 수도 있고, 상기 걸림턱은 체결부(63)의 안쪽으로 각각 일부만 돌출되거나, 양 플랜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보강체결부(60)에는 외장재(120)가 결합되는 상부고정대(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부고정대(70)는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대(70)는 ㄴ자 형상(도 6a 참조),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6
형상(도 6b 참조), 사각 형상(도 6c 참조) 등 다양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ㄴ자 형상의 상부고정대(70)는 보강체결부(60)가 평면 형상이거나 ㄴ자 형상인 경우에 사용된다. ㄴ자 형상의 상부고정대(7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플랜지에는 장홀이 형성되어 보강체결부(60)에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평플랜지에는 촉(71)이나 턱(73)이 구비되어 외장재(120)를 설치하는데, 외장재(120)에 상부고정대(70)의 촉(71)과 일치하는 구멍을 만들어 상기 촉(71)에 끼우거나, 상부고정대(70)의 턱(73)과 일치하는 홈을 만들어 상기 턱(73)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7
형상의 상부고정대(70)는 체결부(63)가 평면 형상인 경우에 사용한다.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8
형상의 상부고정대(70)는 알루미늄 판넬 등 피스로 결합하는 외장재(120)를 설치할 때 사용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ㄷ자 형상의 양 플랜지의 단부에 날개판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부고정대(70)는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경사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외장재(120)의 형태에 맞추어 인접한 상부고정대(70)의 날개판의 상측에 또 다른 상부고정대(7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고정대(70)에 결합되는 외장재(120)를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대(70)의 높이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는 체결부(63)가 평면 형상,
Figure 112015039012993-pat00019
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0
자 형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1
자 형상의 보강체결부(60)에 설치시 체결부(63)의 홈에 삽입 고정되고,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2
자 형상의 보강체결부(60)에 설치시에도 체결부(63)의 홈에 삽입(도 9 참조)된다. 평면 형상의 보강체결부(60)에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의 사이에 보조체결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체결부(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3
자 형상으로서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가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으며, 웨브에 장홀(81)을 형성하여 보조체결부(80)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조체결부(80)의 웨브의 장홀(81)을 관통하여 돌출된 외측나사(22)에 외측너트(32)가 체결되어 보강체결부(60)와 보조체결부(80)를 지지바(20)에 고정하며, 상기 보조체결부(80)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4
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ㄷ자 형상이나,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 등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경우 걸림턱은 보조체결부(80)의 안쪽으로 각각 일부만 돌출되거나, 상하 플랜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고정대(70)가 사각 형상인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와 같은 중량물의 외장재(120)를 설치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에 파스너(fastener)(90)를 설치할 수도 있다. 파스너(90)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5
형상이며, 그 상측에 높이조절나사(91)가 구비되어 파스너(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파스너(90)의 수평플랜지에는 조정판(95)이 구비되고, 이 조정판(95)의 촉이나 턱에 외장재(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파스너(90)의 수평플랜지에는 장홀(도 8의 왼쪽 도면)이나, 또는 촉(도 8의 오른쪽 도면)이 형성되어 있어 조정판(95)의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사각 형상의 보조고정대(75)를 상부고정대(70)와 교차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고정대(70)와 보조고정대(75)의 교차지점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속구(100)를 구비하여 상부고정대(70)와 보조고정대(75)를 결속할 수 있다. 결속구(100)는 십자판(101)과, 십자판(101)의 네 날개판들에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102)를 포함하는 십자 형상(도 10의 오른쪽 도면 참조)으로서, 플랜지(102)에는 상부고정대(70) 또는 보조고정대(75)와 결합할 수 있는 볼트공(10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속구(100)는 십자판(101)에 단차가 형성된 십자 형상(도 10의 가운데 도면 참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십자 형상이 아닌 ㅓ자 형상(도 10의 왼쪽 도면 참조)일 수도 있다. ㅓ자 형상의 결속구(100)는 웨브(105)와, 웨브(105)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플랜지(106)와, 한 쌍의 수직플랜지(106)의 일측 단부들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평플랜지(107)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플랜지(106)와 수평플랜지(107)에 볼트공(108)이 구비된다. 상기 십자 형상의 결속구(100)는 주로 중간에 형성되는 상부고정대(70)와 보조고정대(75)의 교차지점에 사용하며, 단차가 형성된 십자 형상의 결속구(100)는 상부고정대(70)와 보조고정대(75)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사용하고, ㅓ자 형상의 결속구(100)는 주로 최외측에 형성되는 상부고정대(70)나 건물 외벽의 유리창, 출입문 등의 개구부나 외벽의 끝단부와 보조고정대(75)의 교차지점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구(100)들은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70)와 보조고정대(75)가 교차하는 지점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각관(10)과 그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조사각관(15)을 결합하기 위해 그 교차지점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형상의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외장재(120)의 종류에 따라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단열재 고정구조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은, 사각관고정단계, 지지바고정단계, 단열재설치단계, 보강체결부설치단계, 상부고정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구성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사각관고정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10)들을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하는 단계로써, 사각관(10)들을 건물의 층별 슬라브나 철골 등의 외측에 브라켓 등으로 고정한다. 브라켓은 한 쌍의 ㄴ자 형상이거나 또는 ㄷ자 형상에 수평플랜지가 합쳐진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각관(10)은 길이 방향으로 지지바(20)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11)가 구비되며, 관통구(11)는 사각관(10)을 배치 고정하기 전에 미리 형성할 수도 있고, 사각관(10)을 배치 고정한 후에 현장에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관(10)들의 사이에는 결속구(100)를 이용하여 보조사각관(15)을 설치함으로써 구조를 보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사각관(10)의 내측에 연속되도록 보조사각관(15)을 설치하고 그 보조사각관(15)의 내측에 내부마감재(1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지지바고정단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바(20)를 고정된 사각관(10)의 관통구(11)에 삽입한 후 내측너트(31)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고정된 사각관(10)의 내측으로 지지바(20)들을 삽입하고,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바(20)의 내측나사(21)에 내측너트(31)를 체결한다. 내측너트(31)를 내측나사(21)에 체결할 때 중간부(24)의 내측 단부의 단면은 사각관(10)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되며, 관통부(23)와 중간부(24)의 연결지점에는 스토퍼(26)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바고정단계는 전단보강대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사각관(10)과 지지바(20)의 사이에 전단보강대(40)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바(20)의 처짐에 대해 보강을 하여 지지바(20)를 사각관(10)에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단열재설치단계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10)의 외측에 단열재(5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단열재(50)는 지지바(20)들의 간격에 맞춰 제작하여 지지바(20)를 설치한 후에 지지바(20)들의 사이에 끼워넣거나, 규격화된 단열재(50)의 폭에 맞게 사각관(10)들을 배치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규격화된 단열재(50)를 별도로 절단하는 과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단열재(50)를 지지바(20)에 관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보강체결부설치단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0)들에 보강체결부(6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단열재(50)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강체결부(60)는 지지바(20)의 고정부(25)에 설치 고정되며, 체결부(63)만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부(63)와 전단보강효과가 있는 전단보강부(61)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체결부(60)가 전단보강부(61)를 포함하는 경우에 전단보강부(61)는 고정부(25)에 단순히 삽입되거나, 또는 그 내측에 나사를 형성하여 고정부(25)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고정부(25)상에서 보강체결부(60)의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단보강부(61)는 원형관, 사각관, 너트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전단보강부(61) 없이 체결부(63)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체결부(63)의 관통구(65) 부분만 두껍게 형성하여 전단보강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체결부(6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평면 형상, ㄴ자 형상,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6
자 형상,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7
자 형상 등 다양하며, 상부고정대(7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체결부(63)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부고정대설치단계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결부(60) 외측에 상부고정대(7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부고정대(70)는 ㄴ자 형상,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8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고정대(70)에 설치할 외장재(120)의 종류에 맞추어 적절한 상부고정대(70)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부고정대(70)가 사각 형상인 경우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의 사이에는 보조체결부(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부고정대(70)와 직각방향으로 보조고정대(75)를 설치하고 그 교차지점에 결속구(1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부고정대설치단계를 실시한 후에는 상부고정대(70)에 외장재(120)를 설치(도 17 참조)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 외장재(120)를 설치하기 위해 상부고정대(70)에 파스너(9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형상의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외장재(120)의 종류에 따라 보강체결부(60)와 상부고정대(70)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단열재 고정구조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각관
11 : 관통구
15 : 보조사각관
20 : 지지바
21 : 내측나사
22 : 외측나사
23 : 관통부
24 : 중간부
25 : 고정부
26 : 스토퍼
31 : 내측너트
32 : 외측너트
40 : 전단보강대
41 : 결합구
43 : 결착부
45 : 연결부재
50 : 단열재
60 : 보강체결부
61 : 전단보강부
63 : 체결부
64 : 높이조절나사
65 : 관통구
70 : 상부고정대
71 : 촉
73 : 턱
75 : 보조고정대
80 : 보조체결부
81 : 장홀
90 : 파스너
91 : 높이조절나사
95 : 조정판
100 : 결속구
101 : 십자판
102 : 플랜지
103 : 볼트공
105 : 웨브
106 : 수직플랜지
107 : 수평플랜지
108 : 볼트공
110 : 내부마감재
120 : 외장재

Claims (16)

  1.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관;
    내측과 외측에 내측나사와 외측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내측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사각관에 고정하는 내측너트; 및
    상기 사각관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내측나사에서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부분까지의 관통부, 상기 관통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나사까지의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고정부는 상기 중간부보다 단면이 작으며,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보강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전단보강부, 및 상기 전단보강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직경은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내측너트가 상기 내측나사에 체결될 때 상기 중간부는 상기 사각관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관통부와 중간부의 연결지점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너트가 상기 내측나사에 체결될 때 상기 사각관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나사는 상기 고정부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단보강부는 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상의 결합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전단보강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평면 형상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구비되는 보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체결부는 ㄷ자 형상,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29
    자 형상이며, 상기 보조체결부의 웨브에는 장홀이 형성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전단보강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57129835-pat00030
    자 형상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홈에 삽입 고정되는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와 직각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보조고정대, 및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의 교차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십자판, 상기 십자판의 날개판들에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에는 볼트공이 구비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구비되는
    Figure 112015039012993-pat00031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대는 수직플랜지에 장홀이 형성되며, 수평플랜지에는 촉이나 턱이 구비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3.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복수의 사각관;
    내측과 외측에 내측나사와 외측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내측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사각관에 고정하는 내측너트; 및
    상기 사각관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내측나사에서 상기 사각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부분까지의 관통부, 상기 관통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나사까지의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관통부와 중간부의 연결지점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너트가 상기 내측나사에 체결될 때 상기 사각관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외측나사는 상기 고정부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관통삽입되어 너트로 결합되는 보강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 양 플랜지에 걸림턱이 구비된 U자 형상, 또는
    Figure 112015057129835-pat00032
    자 형상이며,
    상기 보강체결부의 홈에 사각 형상의 상부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대에는 높이조절나사가 구비된
    Figure 112015057129835-pat00033
    형상의 파스너가 설치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와 상기 사각관 사이에 구비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사각관에 결합되는 결착부, 상기 결합구과 결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5. 청구항 1 내지 3, 5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관에 직각으로 구비되는 보조사각관, 상기 보조사각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6. 청구항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각관들을 건물의 외측에 복수의 열 형상으로 배치 고정하는 사각관고정단계;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상기 고정된 사각관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 상기 내측너트로 고정하는 지지바고정단계;
    상기 사각관의 외측에 상기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설치단계;
    상기 지지바들에 상기 보강체결부를 설치하는 보강체결부설치단계; 및
    상기 보강체결부 외측에 상기 상부고정대를 설치하는 상부고정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50056373A 2015-04-22 2015-04-22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3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73A KR101534568B1 (ko) 2015-04-22 2015-04-22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73A KR101534568B1 (ko) 2015-04-22 2015-04-22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568B1 true KR101534568B1 (ko) 2015-07-08

Family

ID=5379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373A KR101534568B1 (ko) 2015-04-22 2015-04-22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695B1 (ko) * 2015-09-17 2016-01-12 (주)한은이앤씨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91391B1 (ko) * 2015-11-25 2016-02-03 (주)한은이앤씨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KR101820438B1 (ko) 2016-04-18 2018-01-19 신동원 처짐 방지용 앵커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516A (ja) * 1998-09-02 2000-03-07 Emoto Kogyo Kk 外装材の支持金物および建物の外壁構造
KR20110118397A (ko) * 2010-04-23 2011-10-31 정지현 패스트 기둥폼
KR101445639B1 (ko) * 2014-04-28 2014-10-07 대동커튼월 주식회사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516A (ja) * 1998-09-02 2000-03-07 Emoto Kogyo Kk 外装材の支持金物および建物の外壁構造
KR20110118397A (ko) * 2010-04-23 2011-10-31 정지현 패스트 기둥폼
KR101445639B1 (ko) * 2014-04-28 2014-10-07 대동커튼월 주식회사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695B1 (ko) * 2015-09-17 2016-01-12 (주)한은이앤씨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91391B1 (ko) * 2015-11-25 2016-02-03 (주)한은이앤씨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KR101820438B1 (ko) 2016-04-18 2018-01-19 신동원 처짐 방지용 앵커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019B2 (en) Mounting bracket for wall insulation
US9834940B2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s improvements
KR101534568B1 (ko)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64921B1 (ko) 단열재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2567035B1 (en) Evolving building structures improvements
KR101615126B1 (ko)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CN110352282B (zh) 建筑物的墙壁结构、安装装置及板材的施工方法
KR1014632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 구조체
KR101575239B1 (ko)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46909B1 (ko) 무용접 날개석빔 트러스
JP6639083B2 (ja) 鉄骨造の外壁耐火断熱構造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KR101141158B1 (ko) 외부 벽체 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RU2647523C1 (ru) Фас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EP2449185B1 (en) Supplementary insul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insulating a façade
US20100162651A1 (en) Concrete roof panel
WO2017100854A1 (en) Connection system
JP5965685B2 (ja) 梁の断熱構造及び建物の断熱ライン形成方法
JP2011219954A (ja) アンカープレートと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8038355A (ja) 既存外壁の改修構造
KR101685946B1 (ko)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KR20200112459A (ko)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