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239B1 -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239B1
KR101575239B1 KR1020150073595A KR20150073595A KR101575239B1 KR 101575239 B1 KR101575239 B1 KR 101575239B1 KR 1020150073595 A KR1020150073595 A KR 1020150073595A KR 20150073595 A KR20150073595 A KR 20150073595A KR 101575239 B1 KR101575239 B1 KR 10157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uilding
support bar
hol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박우현
이상길
박영제
Original Assignee
(주)한은이앤씨
이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은이앤씨, 이상길 filed Critical (주)한은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7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or grooves comprising elements which are not manufactured in one piece with the sheets, plates or panels but which are permanently fixedly connected to the sheets, plates or panels, e.g. at the factory
    • E04F2201/049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or grooves comprising elements which are not manufactured in one piece with the sheets, plates or panels but which are permanently fixedly connected to the sheets, plates or panels, e.g. at the factory wherein the elements are made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 및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셋앙카지지바를 삽입후 별도로 너트를 결합하지 않아도 건물에 고정이 되며, 천공구와 유격이 없어 셋앙카지지바가 처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므로 전단강도가 증가되어 시간이 경과해도 견고하게 단열재를 고정하고,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를 제거해야 할 경우에는 셋앙카지지바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인발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A fixing structure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의 단열은 열 손실을 줄이고, 결로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막아준다. 특히, 건물의 단열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건물의 단열기준은 강화되어 가고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옹벽에 스티로폼, 네오폴, 아이소핑크 등 단열성능이 좋은 부피단열재를 설치한 후 화강석 등으로 마감을 할 경우, 콘크리트 옹벽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파스너가 들어갈 위치에 파스너가 충분히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단열재를 파내고, 이어 옹벽에 셋앙카보다 직경이 큰 드릴로 천공을 하여 셋앙카를 삽입하였다. 셋앙카 삽입 후에는 마찰슬리브 타격기를 이용하여 셋앙카의 마찰슬리브를 안으로 타격 삽입하고, 이에 따라 마찰슬리브가 벌어지면서 셋앙카의 몸체와 천공외벽면 사이에 끼워지며, 이어 외장재에 맞는 파스너와 와셔, 스프링 등을 셋앙카에 삽입하고, 너트를 옹벽면까지 조여 셋앙카를 옹벽에 고정하였다. 그리고 단열재 길이에 맞는 조정판을 파스너에 볼트, 너트로 결합하고, 단열재를 파냈던 빈 공간을 단열폼을 쏘아 채운 후에 조정판 위에 외장재를 올려 마감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은 성능이 좋은 단열재를 파내어야 하며, 표면적이 넓은 조정판과 파스너가 단열재를 관통한 후에 다시 단열재를 충진하는 등 작업소요가 많고, 단열성능이 그만큼 떨어진다. 또한 상기 종래의 셋앙카는 너트를 결합하여 조여야만 셋앙카 몸체가 움직이지 않게 되며, 너트가 조금이라도 풀리면 셋앙카의 직경이 천공구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셋앙카가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너트가 풀린만큼 콘크리트 옹벽 안쪽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천공직경이 클수록 천공작업에 노력과 시간이 더욱 많이 소요되지만 셋앙카의 지지능력은 저하되어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작업중 셋앙카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와 같이 셋앙카를 제거해야 할 경우, 이미 시공한 셋앙카는 인출하기가 어려우므로, 셋앙카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거나 망치를 사용하여 구부리는 등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티로폼과 같은 부피단열재를 사용하면 공정이 복잡하고, 구조적으로도 단단히 고정할 수가 없어 시공성이 떨어지므로 쉬트형태의 열반사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 옹벽에 쉬트형태의 열반사판을 콘크리트총 등으로 부착하고 파스너가 들어가는 부분은 칼로 도려낸 다음 그 자리에 셋앙카와 파스너를 설치하여 외장재를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부피단열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단열성능이 떨어지며, 더구나 옹벽에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총으로 쏜 부분의 열반사판은 두께가 거의 영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그 주변의 단열성은 더욱 저하되고, 파스너 설치를 위해 열반사판을 도려낸 부위만큼 열 손실이 있게 되어 전반적으로 열차단 효과가 매우 떨어진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70436 특허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71597 특허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3787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셋앙카지지바를 삽입후 별도로 너트를 결합하지 않아도 건물에 고정이 되며, 천공구와 유격이 없어 셋앙카지지바가 처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므로 전단강도가 증가되어 시간이 경과해도 견고하게 단열재를 고정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를 제거해야 할 경우에는 셋앙카지지바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인발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물의 내측과 외측의 열 전달은 셋앙카지지바 만으로 한정하여 열 전달 부위를 최소화하고, 또한 셋앙카지지바, 보강체결부 및 상부고정대에 열교환 도료를 칠을 하여 열 전도에 의한 열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셋앙카지지바에 다양한 형상의 보강체결부와 상부고정대를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외장재를 적용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결속구로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외장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셋앙카지지바에 전단보강대를 구비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의 전단강도를 증대시켜 중량물의 외장재도 설치 가능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고, 전 공정을 볼트와 너트, 직결피스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셋앙카지지바의 몸통부에 걸림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가 건물의 구멍에 고정될 때 걸림부가 구멍의 입구에 지지되어 셋앙카지지바를 더 견고하게 고정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지바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를 타격 또는 회전시 외측의 나사부가 망가지지 않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찰슬리브와 몸통부의 사이에 와셔를 더 구비함으로써, 마찰슬리브가 몸통부에 의해 두부의 경사부 쪽으로 밀려가면서 경사부에 의해 확장될 때 마찰슬리브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부고정대의 수직플랜지에 복수의 경사조절나사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부고정대가 결합되는 경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는, 건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 및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앙카부의 외측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앙카부를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게 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앙카부는 관형상으로서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외측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는 내측에서부터 상기 앙카부의 내부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앙카부의 외측의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경사부와,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가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와 단턱이 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상기 셋앙카지지바에 삽입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의 외측에 지지되는 경사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웨브가 상기 셋앙카지지바에 삽입되고, 양 플랜지는 상기 건물의 외측에 지지되는 ㄷ자형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상기 보강체결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건물의 외측에 지지되는 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 대신 ㄴ자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대의 수직플랜지는 상기 전단보강대의 웨브에 접하는 것으로서 장홀이 형성되고, 수평플랜지에는 촉이나 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기 지지바의 외측 나사부에 삽입되는 전단보강부, 및 상기 전단보강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ㄴ자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1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ㄷ자형상,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 또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2
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보조체결부, 및 상기 보조체결부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체결부는 ㄷ자형상,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 또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3
형상이며, 상기 보조체결부의 웨브에는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와 직각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사각형상의 보조고정대, 및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의 교차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십자판, 및 상기 십자판의 날개판들에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에는 볼트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 양 플랜지에 걸림턱이 구비된 U자형상, 또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4
형상이며, 상기 보강체결부의 홈에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대에는 높이조절나사가 구비된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5
형상의 파스너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측으로부터 마찰부와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와 나사부로 구성되는 두부, 및 상기 두부에 삽입되어 상기 두부의 축소되는 경사부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부로 구성된 마찰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앙카부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슬리브를 압입하여 확장시키는 것으로 내측으로부터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외부에 마찰부가 형성된 고정너트와, 내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부에 마찰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는 마찰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너트에 결합되는 나사부와, 직경이 외측방향으로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와, 상기 앙카부의 마찰슬리브가 삽입되는 목부와,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측으로부터 직경이 작은 지지부와, 직경이 큰 확장부와,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와, 직경이 작은 방향유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는 내측으로부터 상기 앙카부의 확장부와 경사부와 방향유지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내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가지는 몸통부와,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두부, 및 상기 두부에 삽입되어 상기 두부의 경사부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부로 구성된 마찰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두부의 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슬리브를 압입하여 확장시키는 것으로 내측으로부터 나사부와,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몸통부에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건물의 구멍 입구에 지지되어 상기 셋앙카지지바가 견고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격고정부는 상기 지지바의 나사부보다 직경이 작고 단턱이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슬리브와 몸통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슬리브와 와셔는 요철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의 수직플랜지에는 복수의 경사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와 단턱이 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은, 상기 건물의 외측에 상기 단열재를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형성단계; 상기 셋앙카지지바를 상기 건물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하는 셋앙카지지바삽입단계;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지지바를 회전시키거나 타격하여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게 하는 셋앙카지지바고정단계; 및 상기 보강체결부를 상기 셋앙카지지바에 결합하는 보강체결부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셋앙카지지바를 삽입후 별도로 너트를 결합하지 않아도 건물에 고정이 되며, 천공구와 유격이 없어 셋앙카지지바가 처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므로 전단강도가 증가되어 시간이 경과해도 견고하게 단열재를 고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를 제거해야 할 경우에는 셋앙카지지바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인발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내측과 외측의 열 전달은 셋앙카지지바 만으로 한정하여 열 전달 부위를 최소화하고, 또한 셋앙카지지바, 보강체결부 및 상부고정대에 열교환 도료를 칠을 하여 열 전도에 의한 열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앙카지지바에 다양한 형상의 보강체결부와 상부고정대를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외장재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속구로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외장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앙카지지바에 전단보강대를 구비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의 전단강도를 증대시켜 중량물의 외장재도 설치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고, 전 공정을 볼트와 너트, 직결피스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앙카지지바의 몸통부에 걸림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가 건물의 구멍에 고정될 때 걸림부가 구멍의 입구에 지지되어 셋앙카지지바를 더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를 타격 또는 회전시 외측의 나사부가 망가지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찰슬리브와 몸통부의 사이에 와셔를 더 구비함으로써, 마찰슬리브가 몸통부에 의해 두부의 경사부 쪽으로 밀려가면서 경사부에 의해 확장될 때 마찰슬리브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대의 수직플랜지에 복수의 경사조절나사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부고정대가 결합되는 경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셋앙카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순차로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여기서 정면 사시도는 건물의 외측쪽에서 본 도면이고, 배면 사시도는 건물의 내측쪽에서 본 도면을 가리킨다).
도 2b는, 도 2a의 셋앙카지지바에 걸림부 및 타격고정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셋앙카지지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셋앙카지지바에 와셔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와셔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셋앙카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셋앙카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지지바의 형성된 구멍 및 앙카부가 지지바의 구멍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보강체결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상부고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상부고정대의 다른 실시예들이 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상부고정대에 경사조절나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e는, 도 7d의 상부고정대가 보강체결부에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보강체결부에 보조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파스너 및 파스너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결속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전단보강대의 실시예들이 셋앙카지지바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셋앙카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셋앙카지지바에 와셔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접속" 또는 "구비"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접속 또는 구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접속 또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a는 셋앙카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순차로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여기서 정면 사시도는 건물의 외측쪽에서 본 도면이고, 배면 사시도는 건물의 내측쪽에서 본 도면을 가리킨다), 도 2b는 도 2a의 셋앙카지지바에 걸림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는 셋앙카지지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셋앙카지지바에 와셔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c는 도 3b의 와셔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4는 셋앙카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5a는 셋앙카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지지바의 형성된 구멍 및 앙카부가 지지바의 구멍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보강체결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상부고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b 내지 도 7c는 상부고정대의 다른 실시예들이 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7d는 상부고정대에 경사조절나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e는 도 7d의 상부고정대가 보강체결부에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보강체결부에 보조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파스너 및 파스너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결속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12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5d는 전단보강대의 실시예들이 셋앙카지지바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21a는 셋앙카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과 배면의 사시도, 도 21b는 도 21a의 셋앙카지지바에 와셔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는, 건물(10)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20)와, 상기 단열재(20)를 관통하여 건물(10)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단열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30)와, 돌출된 셋앙카지지바(30)의 외측(여기서 외측은 건물의 외부 쪽을 지칭하고, 내측은 건물의 내부 쪽을 지칭하며, 이하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지칭한다)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고정대(60)와 외장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셋앙카지지바(30)는 도 2a 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31)와, 앙카부(31)에 결합되는 지지바(35)로 구성되고, 이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건물(10)의 벽체 등에 고정되며, 각각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앙카지지바(30)의 앙카부(31)는 내부에 나사(311)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에는 지지바(35) 삽입시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313)가 형성된다. 이때, 앙카부(31)의 외부를 거친면으로 형성하거나 앙카부(31)의 외부에 돌기나 턱을 형성하여 앙카부(31)가 건물(10)의 구멍 내에 접촉되어 인출이 방지되고, 지지바(35)를 삽입하여 회전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지지바(35)는 내측에서부터 순차로 나사부(351), 경사부(353), 몸통부(355), 고정부(357), 및 나사부(359)로 형성된다. 내측의 나사부(351)는 앙카부(31)의 내부 나사(311)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경사부(353)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면서 나사부(351)와 몸통부(355)를 연결하는 것으로 앙카부(31)의 외측을 확장시키는 부분이다. 몸통부(355)는 나사부(351)보다 직경이 큰 부분이며, 상기 몸통부(355)에는 셋앙카지지바(30)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걸림부(356)를 더 구비(도 2b 참조)할 수도 있다. 즉, 셋앙카지지바(30)를 고정하기 위해 건물(10)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구멍의 입구가 넓게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경우 걸림부(356)가 구멍의 입구에 지지됨으로써 셋앙카지지바(30)를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56)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고정부(357)는 몸통부(355)와 단턱이 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바(35)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구성이며, 상기 단턱은 한 쌍의 평행한 단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너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턱은 몸통부(355)보다 직경이 크거나 작을 수 있고, 특히 몸통부(355)와 나사부(351)의 직경이 같은 경우 단턱의 직경을 크게함으로써 나사부(351)에 체결되는 보강체결부(50) 등이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턱의 크기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외측의 나사부(359)는 보강체결부(50)가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전체 길이에 나사를 형성하여 보강체결부(5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하며, 고정부(357)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보강체결부(50)가 나사부(359)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바(35)의 외측 단부에는 타격고정부(360)를 더 구비(도 2b 참조)하여 셋앙카지지바(30)를 타격 시 외측의 나사부(359)가 망가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타격고정부(360)는 지지바(35)의 외측 나사부(359)보다 직경이 작고, 평행하거나 너트 모양의 단턱이 지도록 형성하며, 타격고정부(360)를 형성하는 경우 나사부(359) 내측의 고정부(357)를 형성하지 않고 타격고정부(360)가 고정부(357)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타격고정부(360) 역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셋앙카지지바(30)는 앙카부(31)에 지지바(35)가 삽입된 채로 건물(10)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회전시켜 앙카부(31)의 절개부(313)가 확장되게 함으로써 건물(10)의 구멍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즉, 셋앙카지지바(30)는 단열재(20)가 부착된 건물(10)에 형성된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앙카부(31)의 외측부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아주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거나 셋앙카지지바(3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지지바(35)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 셋앙카지지바(30)를 당김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해 낼 수 있어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것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셋앙카지지바(30)의 다른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부(31)는 내측으로부터 순차로 마찰부(322)와 경사부(323)와 나사부(324)로 구성된 두부(321)와, 두부(321)에 삽입되는 마찰슬리브(326)로 구성된다. 마찰부(322)는 두부(321)가 건물(10)의 구멍에서 쉽게 회전이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경사부(323)의 내측면이나 외부면에 턱, 돌기, 또는 요철로 구성된다. 경사부(32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찰슬리브(326)를 확장시키는 부분이며, 나사부(324)는 지지바(35)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마찰슬리브(326)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두부(321)에 삽입되어 경사부(323)에 의해 확장되도록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때, 마찰슬리브(326)의 외부를 거친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외부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여 마찰슬리브(326)가 건물(10)의 구멍 내에 접촉되어 인출이 방지되고, 지지바(35)를 삽입하여 회전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앙카부(31)는 와셔(32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마찰슬리브(326)가 후술할 몸통부(361)에 의해 두부(321)의 경사부(323) 쪽으로 밀려가면서 경사부(323)에 의해 확장될 때, 마찰슬리브(326)의 내측 단부는 경사부(323)에 의해 확장되어 고정되고, 마찰슬리브(326)의 외측 단부는 회전하는 지지바(35)와 함께 회전하려고 하여 마찰슬리브(326)가 비틀리면서 손상 및 파손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찰슬리브(326)와 몸통부(361)의 사이에는 와셔(327)가 구비(도 3b 참조)될 수도 있다. 와셔(327)는 마찰슬리브(326)와 요철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서, 와셔(327)의 외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건물(10)의 구멍 내에 접촉되어 회전됨이 없이 건물의 내측으로만 이동하게 할 수도 있고, 외부의 직경을 일정하게 형성하거나 외부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단턱이 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도 3c 참조).
지지바(35)는 내측에서부터 순차로 몸통부(361), 고정부(363), 및 나사부(365)로 형성된다. 몸통부(361)는 내측의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두부(321)의 나사부(324)와 결합되며, 지지바(35)가 두부(321)와 결합시 마찰슬리브(326)는 두부(321)의 경사부(323) 쪽으로 밀려 확장된다. 고정부(363)는 몸통부(361)와 단턱이 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바(35)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단턱은 한 쌍의 평행한 단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너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측의 나사부(365)는 전체 길이에 나사를 형성하여 보강체결부(5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하며, 고정부(363)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보강체결부(50)가 나사부(365)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바(35)의 몸통부(361)에 걸림부(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나사부(365)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366)(도 3b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슬리브(326)를 두부(321)에 끼우고, 상기 두부(321)를 지지바(35)의 몸통부(361)에 삽입하여 결합된 셋앙카지지바(30)를 건물(10)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회전시키면 두부(321)의 마찰부(322)에 의해 두부(321)는 건물(10)의 구멍 내측 끝에 고정되며, 마찰슬리브(326)는 두부(321)와 몸통부(361)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두부(321)의 경사부(323) 쪽으로 밀려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긴밀하게 끼임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앙카부(31)와 나사 결합된 지지바(35)도 건물(10)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셋앙카지지바(30)를 별도의 너트 결합 없이 셋앙카지지바(30)의 회전만을 통하여 건물(10)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셋앙카지지바(30)는 단열재(20)가 부착된 건물(10)에 형성된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앙카부(31)의 마찰슬리브(326)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아주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거나 셋앙카지지바(3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지지바(35)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 셋앙카지지바(30)를 당김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해 낼 수 있어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것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셋앙카지지바(3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부(31)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며 외부에는 마찰부가 형성된 고정너트(331)와, 외부에 마찰부가 형성된 마찰슬리브(333)로 구성된다. 고정너트(331)는 건물(10)의 구멍에서 쉽게 회전이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마찰부를 돌기, 홈, 요철, 또는 거친면으로 형성한다. 마찰슬리브(333)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지지바(35)의 목부(373)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373)에 삽입 후 후술할 지지바(35)의 경사부(372)에 의해 확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다수의 일부 절개부가 형성된다. 마찰슬리브(333) 역시 마찰부를 돌기, 턱, 요철, 또는 거친면 등으로 형성하여 지지바(35) 회전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마찰슬리브(333)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지지바(35)는 내측으로부터 순차로 나사부(371), 경사부(372), 목부(373), 몸통부(374), 고정부(375), 및 나사부(376)로 구성된다. 내측의 나사부(371)는 고정너트(331)의 내부 나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며, 경사부(372)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찰슬리브(333)를 확장시키는 부분이고, 목부(373)는 마찰슬리브(333)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몸통부(374)는 목부(373)보다 직경이 더 크고, 고정부(375)는 몸통부(374)와 단턱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예들과 동일하며, 지지바(35)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외측의 나사부(376)는 전체 길이에 나사를 형성하여 보강체결부(5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하고, 고정부(375)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보강체결부(50)가 나사부(376)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바(35)의 몸통부(374)에 걸림부(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나사부(376)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앙카부(31)의 마찰슬리브(333)를 전체 절개부를 이용하여 지지바(35)의 목부(373)에 끼우고, 고정너트(331)에 지지바(35)를 삽입하여 결합된 셋앙카지지바(30)를 건물(10)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의 고정부(375)를 이용하여 지지바(35)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찰슬리브(333)는 외부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긴밀하게 끼임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셋앙카지지바(30)는 단열재(20)가 부착된 건물(10)에 형성된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찰슬리브(333)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아주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거나 셋앙카지지바(3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지지바(35)를 고정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 셋앙카지지바(30)를 당겨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해 낼 수 있어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것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셋앙카지지바(3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부(31)는 내측으로부터 순차로 지지부(341), 확장부(343), 경사부(345), 및 방향유지부(347)로 구성된다. 지지부(341)는 건물(10)의 구멍의 내측에 지지되는 것이며, 확장부(343)는 지지부(341)의 외측에 형성된 것으로 지지부(341)에 비해 직경이 크다. 또한 경사부(345)는 확장부(343)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바(35)에 삽입되어 지지바(35) 내측의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부분이고, 방향유지부(347)는 직경이 작으며, 후술할 지지바(35)의 구멍(382)의 가장 안쪽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지지바(35)는 내측으로부터 순차로 몸통부(381), 및 나사부(384)로 형성된다. 몸통부(381)의 내측 단부에는 앙카부(31)가 삽입되는 구멍(382)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382)은 확장부(343), 경사부(345), 및 방향유지부(347)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도 5b 참조)된다. 또한 구멍(382)의 내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앙카부(31)를 삽입한 후 몸통부(381)가 앙카부(31)를 감싸서(도 5c 참조) 지지바(35)로부터 앙카부(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앙카부(31)가 점차 삽입됨에 따라 절개된 부분이 확장되어 고정된다. 나사부(384)는 전체 길이에 나사를 형성하여 보강체결부(5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하고, 몸통부(381)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보강체결부(50)가 나사부(384)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바(35)의 몸통부(381)에 걸림부(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나사부(384)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타격고정부는 셋앙카지지바(30)를 타격할 때 외측의 나사부(384)가 망가지지 않도록 셋앙카지지바(30)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셋앙카지지바(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바(35)에 앙카부(31)를 삽입한 셋앙카지지바(30)를 건물(10)의 구멍에 삽입하면, 건물(10)의 구멍 내측 끝에 지지부(341)가 지지되어 앙카부(31)가 지지바(35)의 구멍(382)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바(35)의 내측이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긴밀하게 끼임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셋앙카지지바(30)를 단열재(20)가 부착된 건물(10)에 형성된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지지부(341)가 건물(10)의 구멍 내측 끝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고, 이후 계속 타격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30)가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며, 또한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셋앙카지지바(3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부(31)는 두부(391), 및 마찰슬리브(394)로 구성된다. 두부(391)는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392)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393)로 구성되며, 상기 두부(391)의 내측면이나 외부면에 턱, 돌기, 또는 요철을 구성하여 두부(391)가 구멍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찰슬리브(394)는 두부(391)에 삽입되어 두부(391)의 경사부(393)에 의해 확장되도록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때 마찰슬리브(394)의 외부를 거친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외부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여 마찰슬리브(394)가 건물(10)의 구멍 내에 접촉되어 인출이 방지되고, 지지바(35)를 삽입하여 회전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앙카부(31)는 마찰슬리브(394)와 후술하는 몸통부(397)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395)(도 21b 참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지지바(35)는 내측에서부터 순차로 나사부(396), 몸통부(397), 및 나사부(398)로 형성된다. 내측의 나사부(396)는 상기 두부(391)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392)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몸통부(397)는 마찰슬리브(394)를 상기 두부(391) 쪽으로 압입하여 확장시키는 부분이다. 외측의 나사부(398)는 전체 길이에 나사를 형성하여 보강체결부(5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하며, 몸통부(397)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보강체결부(50)가 나사부(398)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바(35)의 몸통부(397)에 걸림부(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몸통부(397)의 외측 단부에 몸통부(397)와 단턱이 지도록 고정부(도면 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고, 나사부(398)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39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슬리브(394)를 두부(391)에 끼우고, 상기 두부(391)에 지지바(35)의 내측 나사부(396)를 삽입하여 결합된 셋앙카지지바(30)를 건물(10)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회전시키면 두부(391)는 건물(10)의 구멍 내측 끝에 고정되고, 마찰슬리브(394)는 두부(391)와 지지바(35)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두부(391)의 경사부(393) 쪽으로 밀려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긴밀하게 끼임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앙카부(31)와 나사 결합된 지지바(35)도 건물(10)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셋앙카지지바(30)를 별도의 너트 결합 없이 셋앙카지지바(30)의 회전만을 통하여 건물(10)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셋앙카지지바(30)는 단열재(20)가 부착된 건물(10)에 형성된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한 후 지지바(35)를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앙카부(31)의 마찰슬리브(394)가 확장되어 건물(10)의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아주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거나 셋앙카지지바(3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지지바(35)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 셋앙카지지바(30)를 당김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해 낼 수 있어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것도 매우 편리하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셋앙카지지바(30)는 최대 단면의 직경의 크기를 건물(10)에 천공된 구멍의 내경과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구멍과 셋앙카지지바(30) 간에 유격이 제거되어 셋앙카지지바(30)가 흔들리지 않으며, 연직하중에 의한 셋앙카지지바(30)의 처짐이 방지되고, 시간이 경과해도 외장재(1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보강체결부(5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앙카지지바(30) 외측의 나사부(359, 365, 376, 384)에 삽입되어 전단력을 보강하는 전단보강부(51)와, 전단보강부(51)에 결합되는 체결부(53)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부(51) 없이 나사부(359, 365, 376, 384)에 삽입되는 체결부(5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강체결부(50)가 전단보강부(51)를 포함하는 경우, 체결부(53)에는 전단보강부(51)와 연결되는 관통구(55)가 형성되고, 전단보강부(51)는 나사부(359, 365, 376, 384)에 단순히 삽입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부(359, 365, 376, 384)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되는 경우에는 나사부(359, 365, 376, 384)상에서 보강체결부(50)의 결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단보강부(51)는 도면에 도시된 원형관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관의 형태이거나 너트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전단보강부(51) 없이 체결부(53) 자체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체결부(53)의 관통구(55) 부분만 두껍게 형성하여 전단보강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보강체결부(50)가 전단보강부(51)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강체결부(50)의 내측과 외측에 너트를 각각 삽입 체결하여 보강체결부(50)를 나사부(359, 365, 376, 384)에 고정할 수 있다.
전단보강부(51)와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체결부(53)의 형상은 평면형상(도 6a 참조),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6
형상(도 6b 참조),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7
형상(도 6c 참조) 등 다양하다. 체결부(53)가 평면형상인 경우 그 정면의 형상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형 등 어느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53)가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8
형상인 경우에는 보강체결부를(50) 관통한 셋앙카지지바(30)의 나사부(359, 365, 376, 384)에 결합되는 너트가 위치하는 공간이 웨브의 중간에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후술할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6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요홈을 2단으로 형성한 것은 상부고정대(60)가 더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 셋앙카지지바(30)의 나사부(359, 365, 376, 384)와 이에 결합되는 너트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Figure 112015050646742-pat00009
형상의 체결부(53)는 그 형상을 단순히 ㄷ자형상으로 하거나,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체결부(53)가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인 경우에 걸림턱은 상하 플랜지에서 체결부(53)의 안쪽으로 각각 일부만 돌출되거나, 상하 플랜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53)가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0
형상인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의 하측에 나사부(359, 365, 376, 38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55)를 형성하고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바(35)의 외측 나사부(359, 365, 376, 384)에 보강체결부(50)를 결합함으로써, 나사부(359, 365, 376, 384)상에서의 보강체결부(50)의 체결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단보강부(51)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나, 전단보강부(51)를 체결부(53)의 양 관통구(55) 사이에 체결부(53)와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53)의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의 상측에도 각각 관통구를 형성하여 체결부(53)에 상부고정대(60)를 삽입한 후 상기 관통구에 볼트를 관통하여 상부고정대(6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체결부(53)를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1
형상으로 함에 따라 상부고정대(60)를 지지바(35)의 외측 나사부(359, 365, 376, 384)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53)는 상기 형상 외에도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이거나, 서로 마주보는 양 플랜지에 걸림턱이 구비된 U자형상일 수도 있고, 상기 걸림턱은 양 플랜지에서 체결부(53)의 안쪽으로 각각 일부만 돌출되거나, 양 플랜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부고정대(60)는 전술할 설명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각형상 외에도 ㄴ자형상(도 7a 참조),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2
형상(도 7b 참조) 등 다양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ㄴ자형상의 상부고정대(60)는 보강체결부(50)가 평면형상인 경우에 사용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플랜지에는 장홀(61)이 형성되어 보강체결부(50)에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수평플랜지에는 촉(63)이나 턱(65)이 구비되어 외장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외장재(100)에 상부고정대(60)의 촉(63)과 일치하는 구멍을 만들어 상기 촉(63)에 끼우거나, 상부고정대(60)의 턱(65)과 일치하는 홈을 만들어 상기 턱(65)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평플랜지에 장홀이나 촉을 형성하여 조정판(85)을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도 13a 내지 도 15d 참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정판(85)의 촉이나 턱에 외장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대(60)의 수직플랜지에는 복수의 경사조절나사(69)를 더 포함(도 7d 및 도 7e 참조)할 수도 있다. 즉, 상부고정대(60)의 수직플랜지에 나사가 형성된 관통구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경사조절나사(69)를 결합하여 미세하게 경사를 조절하여 보강체결부(50)에 상부고정대(60)가 기울지 않도록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3
형상의 상부고정대(60)는 체결부(53)가 평면형상인 경우에 사용한다.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4
형상의 상부고정대(60)는 알루미늄 판넬 등 피스로 결합하는 외장재(100)를 설치할 때 사용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ㄷ자형상의 양 플랜지의 단부에 날개판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부고정대(60)는 상부고정대(60)에 결합되는 외장재(100)를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교차로 설치되는 상부고정대(60) 상호간의 높이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60)는 체결부(53)가 평면형상,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5
형상, 또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6
형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6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7
형상의 보강체결부(50)에 설치시 체결부(53)의 홈에 삽입 고정되고,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8
형상의 보강체결부(50)에 설치시에도 체결부(53)의 홈에 삽입(도 10 참조)된다. 평면형상의 보강체결부(50)에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6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강체결부(50)와 상부고정대(60)의 사이에 보조체결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체결부(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5050646742-pat00019
형상이며, 웨브에는 장홀(71)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체결부(70)의 형상은 보강체결부(50)의 체결부(53)가
Figure 112015050646742-pat00020
형상인 경우와 같이, 그 형상을 단순히 ㄷ자형상으로 하거나,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상부고정대(60)가 사각형상인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60)에 파스너(fastener)(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파스너(80)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21
형상이며, 그 상측에 높이조절나사(81)가 구비되어 파스너(8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파스너(80)의 수평플랜지에는 조정판(85)이 구비되고, 이 조정판(85)의 촉이나 턱에 외장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파스너(80)의 수평플랜지에는 장홀(도 9의 왼쪽 도면)이나, 또는 촉(도 9의 오른쪽 도면)이 형성되어 있어 조정판(85)의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6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사각형상의 보조고정대(67)를 상부고정대(60)와 교차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고정대(60)와 보조고정대(67)의 교차지점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속구(90)를 구비하여 상부고정대(60)와 보조고정대(67)를 결속할 수 있다. 결속구(90)는 십자판(91)과, 십자판(91)의 네 날개판들에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92)를 포함하는 십자형상(도 11의 오른쪽 도면 참조)으로서, 플랜지(92)에는 상부고정대(60) 또는 보조고정대(67)와 결합할 수 있는 볼트공(9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속구(90)는 십자판(91)에 단차가 형성된 십자형상(도 11의 가운데 도면 참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십자형상이 아닌 ㅓ자형상(도 11의 왼쪽 도면 참조)일 수도 있다. ㅓ자형상의 결속구(90)는 웨브(95)와, 웨브(95)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플랜지(96)와, 한 쌍의 수직플랜지(96)의 일측 단부들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평플랜지(97)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플랜지(96)와 수평플랜지(97)에는 볼트공(98)이 구비된다. 십자형상의 결속구(90)는 주로 중간에 형성되는 상부고정대(60)와 보조고정대(67)의 교차지점에 사용하며, 단차가 형성된 십자형상의 결속구(90)는 상부고정대(60)와 보조고정대(67)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사용하고, ㅓ자형상의 결속구(90)는 주로 최외측에 형성되는 상부고정대(60)나 건물(10) 외벽의 유리창, 출입문 등의 개구부나 외벽의 끝단부와 보조고정대(67)의 교차지점에 사용하게 된다.
한편, 셋앙카지지바(30)에 보강체결부(50), 상부고정대(60), 외장재(100) 등의 설치시 셋앙카지지바(30)의 전단력을 보강하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대(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먼저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대(40)는, 셋앙카지지바(30)에 삽입되는 결합구(41)와, 결합구(41)에 결합되어 건물(10)의 외측에 지지되는 경사바(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사바(42)는 셋앙카지지바(30)의 하측에 구비되며, 전단보강대(40)를 셋앙카지지바(30)에 삽입하고 보강체결부(50) 및 상부고정대(60) 등을 체결하여 고정(도 13b 참조)하거나, 바로 너트를 결합(도 13c 및 도 13d 참조)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결합구(41)의 내부에 나사를 형성하여 셋앙카지지바(30)와 나사결합(도면 미도시)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전단보강대(40)의 다른 실시예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44)와, 웨브(44)의 양 단부에 플랜지(45)를 결합한 ㄷ자형부재일 수도 있다. 웨브(44)에는 장홀이 형성되어 셋앙카지지바(30)가 삽입 관통되면서 셋앙카지지바(30)에 결합되는 전단보강대(4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플랜지(45)의 길이는 단열재(20)의 두께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셋앙카지지바(30)에 전단보강대(40) 설치시 양 플랜지(45)는 건물(10)의 외측에 지지된다. 플랜지(45)의 형상은 완전한 사각형상일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외측에 지지되는 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단열재(20)에 삽입이 용이하고 또한 열 전달 면적을 최소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단보강대(40)는 보강체결부(50)의 역할도 하므로 별도의 보강체결부(50) 없이 외측에 상부고정대(60)만을 설치하여 외장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단보강대(4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결부(50)에 나사결합되어 건물(10)의 외측에 지지되는 볼트(47)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전단보강대(40)는 보강체결부(50)에 체결부(53)를 관통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볼트(47)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셋앙카지지바(30)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셋앙카지지바(30)에 별도로 너트를 결합하지 않아도 건물(10)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고, 천공구와의 유격이 없어 셋앙카지지바(30)가 처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므로 전단강도가 증가되어 시간이 경과해도 견고하게 단열재(2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셋앙카지지바(30)의 제거가 간편하다. 또한 건물(10)의 내측과 외측의 열 전달을 셋앙카지지바(30) 만으로 한정하므로 열 전달 부위가 최소화되고, 셋앙카지지바(30), 보강체결부(50) 및 상부고정대(60)에 열 교환 도료를 칠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형상의 보강체결부(50)와 상부고정대(60)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외장재(100)의 종류에 따라 보강체결부(50)와 상부고정대(60)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단열재 고정구조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전 공정을 볼트와 너트, 직결피스 등을 사용하여 조립 설치하므로 시공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은, 단열재부착단계와, 구멍형성단계와, 셋앙카지지바삽입단계와, 셋앙카지지바고정단계와, 보강체결부고정단계 등을 포함한다. 한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구성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단열재부착단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외측에 단열재(2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건물(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재(20)는 어떠한 종류의 단열재(20)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시중에 판매하는 단열재(20)를 별도로 절단하는 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구멍형성단계는 단열재(20)를 관통하여 건물(10)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단열재(20)와 건물(10)에 셋앙카지지바(30)의 최대 단면의 직경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천공을 하여 구멍을 형성한다. 따라서 건물(10) 및 단열재(20)의 구멍과 셋앙카지지바(30) 간에 유격이 제거되므로 연직하중에 의한 셋앙카지지바(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앙카지지바삽입단계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앙카지지바(30)를 건물(10)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하는 단계이다. 셋앙카지지바(30)는 건물(10)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31)와, 앙카부(31)에 결합되는 지지바(35)로 구성되며, 상기 앙카부(31)와 지지바(35)가 결합된 셋앙카지지바(30)를 구멍형성단계에서 형성한 건물(10)의 구멍에 삽입한다.
셋앙카지지바고정단계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앙카지지바(30)의 지지바(35)를 회전시키거나 계속 타격하여 셋앙카지지바(30)를 건물(10)의 구멍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건물(10)의 구멍에 삽입한 셋앙카지지바(30)를 지지바(35)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계속 타격하여 건물(10)의 구멍에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셋앙카지지바(30)는 별도의 너트 결합 없이 셋앙카지지바(30)의 회전 또는 타격만을 통하여 건물(10)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만약 시공 중 셋앙카지지바(30)의 위치가 잘못되어 셋앙카지지바(3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셋앙카지지바(30)를 삽입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인발하여 셋앙카지지바(3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셋앙카지지바고정단계를 실시한 후에는 셋앙카지지바(30)에 전단보강대(40)를 설치하는 단계를 실시하여 셋앙카지지바(30)의 전단력을 보강하고 처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보강체결부고정단계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결부(50)를 셋앙카지지바(3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보강체결부(50)는 셋앙카지지바(30) 외측의 나사부(359, 365, 376, 384)에 삽입되어 전단력을 보강하는 전단보강부(51)와, 전단보강부(51)에 결합되는 체결부(53)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전단보강부(51) 없이 나사부(359, 365, 376, 384)에 삽입되는 체결부(5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강체결부(50)는 셋앙카지지바(30)의 나사부(359, 365, 376, 384)상에서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체결부(53)의 형상은 평면형상,
Figure 112015050646742-pat00022
형상,
Figure 112015050646742-pat00023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부고정대(6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체결부(53)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보강체결부고정단계를 실시한 후에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결부(50)에 상부고정대(60)를 설치하고, 상부고정대(60)에 외장재(100)를 설치한다. 상기 상부고정대(60)는 ㄴ자형상,
Figure 112015050646742-pat00024
형상,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고정대(60)에 설치할 외장재(100)의 종류에 맞추어 적절한 상부고정대(60)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부고정대(60)의 형상에 따라 보강체결부(50)와 상부고정대(60)의 사이에는 보조체결부(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부고정대(60)와 직각방향으로 보조고정대(67)를 설치하고 그 교차지점에 결속구(9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건물 20 : 단열재
30 : 셋앙카지지바 31 : 앙카부
311 : 나사 313 : 절개부
321 : 두부 322 : 마찰부
323 : 경사부 324 : 나사부
326 : 마찰슬리브 327 : 와셔
331 : 고정너트 333 : 마찰슬리브
341 : 지지부 343 : 확장부
345 : 경사부 347 : 방향유지부
35 : 지지바 351 : 나사부
353 : 경사부 355 : 몸통부
356 : 걸림부 357 : 고정부
359 : 나사부 360 : 타격고정부
361 : 몸통부 363 : 고정부
365 : 나사부 366 : 타격고정부
371 : 나사부 372 : 경사부
373 : 목부 374 : 몸통부
375 : 고정부 376 : 나사부
381 : 몸통부 382 : 구멍
384 : 나사부 391 : 두부
392 : 나사 393 : 경사부
394 : 마찰슬리브 395 : 와셔
396 : 나사부 397 : 몸통부
398 : 나사부 399 : 타격고정부
40 : 전단보강대 41 : 결합구
42 : 경사바 44 : 웨브
45 : 플랜지 47 : 볼트
50 : 보강체결부 51 : 전단보강부
53 : 체결부 55 : 관통구
60 : 상부고정대 61 : 장홀
63 : 촉 65 : 턱
67 : 보조고정대 69 : 경사조절나사
70 : 보조체결부 71 : 장홀
80 : 파스너 81 : 높이조절나사
85 : 조정판 90 : 결속구
91 : 십자판 92 : 플랜지
93 : 볼트공 95 : 웨브
96 : 수직플랜지 97 : 수평플랜지
98 : 볼트공 100 : 외장재

Claims (27)

  1. 건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 및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앙카부의 외측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앙카부를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게 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앙카부는 관형상으로서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외측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는 내측에서부터 상기 앙카부의 내부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앙카부의 외측의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경사부와, 상기 건물의 구멍과 유격이 없어 흔들리지 않으며 처짐이 방지되고 시간이 경과해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단턱이 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킬 수 있는 너트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외측에 나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체결부를 고정할 수 있는 나사부가 순차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몸통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건물의 구멍 입구에 지지되어 상기 셋앙카지지바가 견고히 고정되게 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상기 셋앙카지지바에 삽입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의 외측에 지지되는 경사바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웨브가 상기 셋앙카지지바에 삽입되고, 양 플랜지는 상기 건물의 외측에 지지되는 ㄷ자형부재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단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대는 상기 보강체결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건물의 외측에 지지되는 볼트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 대신 ㄴ자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대의 수직플랜지는 상기 전단보강대의 웨브에 접하는 것으로서 장홀이 형성되고, 수평플랜지에는 촉이나 턱이 구비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기 지지바의 외측 나사부에 삽입되는 전단보강부, 및 상기 전단보강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ㄴ자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Figure 112015050646742-pat00025
    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ㄷ자형상 또는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 또는
    Figure 112015093208495-pat00026
    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의 체결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보강체결부에 결합되는 보조체결부, 및 상기 보조체결부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체결부는 ㄷ자형상 또는 상하 플랜지에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 또는
    Figure 112015093208495-pat00027
    형상이며,
    상기 보조체결부의 웨브에는 장홀이 형성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와 직각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사각형상의 보조고정대, 및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의 교차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대와 보조고정대를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십자판, 및 상기 십자판의 날개판들에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에는 볼트공이 구비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결부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 또는 양 플랜지에 걸림턱이 구비된 U자형상 또는
    Figure 112015093208495-pat00028
    형상이며,
    상기 보강체결부의 홈에 사각형상의 상부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대에는 높이조절나사가 구비된
    Figure 112015093208495-pat00029
    형상의 파스너가 설치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6. 삭제
  17. 건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 및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측으로부터 마찰부와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와 나사부로 구성되는 두부, 및 상기 두부에 삽입되어 상기 두부의 축소되는 경사부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부로 구성된 마찰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앙카부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슬리브를 압입하여 확장시키는 것으로 내측으로부터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마찰슬리브와 몸통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슬리브와 와셔는 요철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18. 삭제
  19. 건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 및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외부에 마찰부가 형성된 고정너트와, 내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부에 마찰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는 마찰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너트에 결합되는 나사부와, 직경이 외측방향으로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와, 상기 앙카부의 마찰슬리브가 삽입되는 목부와,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로 구성된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0. 삭제
  21. 건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셋앙카지지바; 및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셋앙카지지바는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는 앙카부, 및 상기 앙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두부, 및 상기 두부에 삽입되어 상기 두부의 경사부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부로 구성된 마찰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두부의 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슬리브를 압입하여 확장시키는 것으로 내측으로부터 나사부와, 몸통부와, 고정부와, 나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슬리브와 몸통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슬리브와 와셔는 요철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2. 청구항 17, 19,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몸통부에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건물의 구멍 입구에 지지되어 상기 셋앙카지지바가 견고히 고정되게 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3. 청구항 1, 17, 19,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외측 단부에 타격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격고정부는 상기 지지바의 나사부보다 직경이 작고 단턱이 지게 형성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4. 삭제
  2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의 수직플랜지에는 복수의 경사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6. 청구항 17, 19,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와 단턱이 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인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27. 청구항 1, 5 내지 13, 15, 17, 19, 21, 25 중 어느 한 항의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측에 상기 단열재를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건물에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형성단계;
    상기 셋앙카지지바를 상기 건물의 구멍에 가볍게 타격하여 삽입하는 셋앙카지지바삽입단계;
    상기 셋앙카지지바의 지지바를 회전시켜 상기 건물의 구멍에 고정되게 하는 셋앙카지지바고정단계; 및
    상기 보강체결부를 상기 셋앙카지지바에 결합하는 보강체결부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50073595A 2015-05-27 2015-05-27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7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95A KR101575239B1 (ko) 2015-05-27 2015-05-27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95A KR101575239B1 (ko) 2015-05-27 2015-05-27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239B1 true KR101575239B1 (ko) 2015-12-07

Family

ID=5487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595A KR101575239B1 (ko) 2015-05-27 2015-05-27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2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43B1 (ko) * 2015-12-21 2017-12-05 이금순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
KR20210117642A (ko) 2020-03-19 2021-09-29 강영환 건축물의 외벽 단열마감 시스템용 불연 단열재 보수보강 시공공법
KR102413141B1 (ko) * 2021-07-07 2022-06-27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건물 천정에 구성되는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하우징 및 그 고정하우징을 이용한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방법
KR102418679B1 (ko) * 2021-09-17 2022-07-08 주식회사 진도건설 석재 패널 고정용 일체형 앵커 및 일체형 앵커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방법
CN115071314A (zh) * 2022-07-01 2022-09-20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房屋修缮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193A (ja) 2003-03-06 2004-09-30 Tsuzuki Co Ltd 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及び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製造方法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270436B1 (ko)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193A (ja) 2003-03-06 2004-09-30 Tsuzuki Co Ltd 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及び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製造方法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270436B1 (ko)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43B1 (ko) * 2015-12-21 2017-12-05 이금순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
KR20210117642A (ko) 2020-03-19 2021-09-29 강영환 건축물의 외벽 단열마감 시스템용 불연 단열재 보수보강 시공공법
KR102413141B1 (ko) * 2021-07-07 2022-06-27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건물 천정에 구성되는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하우징 및 그 고정하우징을 이용한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방법
KR102418679B1 (ko) * 2021-09-17 2022-07-08 주식회사 진도건설 석재 패널 고정용 일체형 앵커 및 일체형 앵커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방법
CN115071314A (zh) * 2022-07-01 2022-09-20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房屋修缮装置
CN115071314B (zh) * 2022-07-01 2023-10-10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房屋修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239B1 (ko)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140231604A1 (en) Tool-less Reusable Hinged Wall Hanger
US20100037552A1 (en) Side mounted drill bolt and threaded anchor system for veneer wall tie connection
AU676675B2 (en) Fastener device for blind-end mounting
US4391428A (en) Lance-type fixture support and method of use
KR20080059532A (ko) 벽과 천장 고정을 위한 시스템 그리고 방법
CN109750813B (zh) 用于将装饰材料固定于构造物的固定装置
WO2007069630A1 (ja) 機械式ブラインド拡開ボードアンカー
US11585085B2 (en) Precursors for impaling clips and impaling clips formed therefrom for mounting acoustic panels onto structural components
US6086029A (en) Support system for wood framed construction
WO2015049755A1 (ja) 外断熱建築物用の外装材取付具
KR100888987B1 (ko) 볼트
KR101534568B1 (ko) 건물 단열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8475100B2 (en) Wall fastener with knife blade and a string
KR102100754B1 (ko)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101972902B1 (ko) 건축내장용 조립식 금속 천장재의 조립방법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US20100329819A1 (en) Hollow wall fastener
KR20210094344A (ko) 건축물 단열재의 고정을 위한 구조양식과 그 시공방법
KR101827210B1 (ko) 스프레드 앵커볼트
KR101804943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
JP2006299543A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US20170114507A1 (en) System for securing semi-rigid foam members, and related devices, components, and methods
US11857097B1 (en) Curtain rod support assembly
WO2020139164A2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