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77Y1 -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 Google Patents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77Y1
KR200361277Y1 KR20-2004-0015510U KR20040015510U KR200361277Y1 KR 200361277 Y1 KR200361277 Y1 KR 200361277Y1 KR 20040015510 U KR20040015510 U KR 20040015510U KR 200361277 Y1 KR200361277 Y1 KR 200361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reinforcing ribs
wid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봉
박상우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강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to KR20-2004-0015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신축이나 개축에 사용되는 광폭의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은 사각 판상의 판넬(10) 양측부에 평행하게 직하방으로 한 쌍의 절곡단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양측 절곡단부(11) 내측의 판넬(10)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2)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판넬(10)과 보강리브(12)는 일체로 압출 성형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은 판넬의 압출 공정시 다수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별도의 횡 보강대 없이도 동일한 내구성이 발현되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후가동 없이도 우수한 평활도의 판넬면이 성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A sheathing board}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신축이나 개축에 사용되는 광폭의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양측 단부에 평행하게 절곡단부가 구비되고 양측 절곡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게 광폭으로 압출 성형되는 거푸집 구조로써, 상기 보강 리브에 의해서 얇은 두께로 판넬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 평활도가 우수한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기초 지반 상부에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수직으로 설치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종래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거푸집용 판넬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목재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 과정을 종래 목재 판넬이 도시된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목재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목재 판넬의 조립 사시도로서, 평판상의 목재 합판(2) 배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보강재(3)를 못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결합 고정시키고 구조물의 철근 조립부 외부에 수직 결합시켜 거푸집이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에 목재 판넬(1)을 순차적으로 벽체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목재 판넬(1)은 판넬들과의 연결과 판넬의 조립이 대부분 못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목재의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수분이 흡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판넬의 뒤틀림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 표면의 평활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거푸집용 목재 판넬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거푸집용 철재 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거푸집을 구성하기 위한 작업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쉽게 녹이 발생되고 녹 발생시 내구성 저하가 점차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철재 판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의 판넬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철재 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목재 판넬에 비해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어 양생되어 나오는 벽체의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급 판넬을 이용한 거푸집은 통상적으로 가로 폭이 300㎜, 세로 길이가 2400㎜의 크기로 정해져 있는 바, 가로 폭이 300㎜를 넘어 400㎜ 내지 600㎜에 이를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알루미늄 합판(5)을 서로 용접등에 의한 방법을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알루미늄 합금 판넬은 알루미늄의 특성상 용접하기가 어렵고 용접 부위가 콘크리트의 양생시 그 하중을 견뎌내지 못하고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단점이 있음과 아울러 판넬의 배면에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의 보강 부재를 덧붙인다 하더라도 내구성이나 용접 부위의 구조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거푸집용 판넬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폭의 판넬 양측부에 절곡단부가 구비되고 양측 절곡단부 사이에 판넬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거푸집 판넬 구조로써, 상기 판넬의 압출 공정에 의해서 양측 절곡단부 및 보강리브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별도의 횡 보강대 없이도 동일한 내구성이 구비되도록 함과 아울러 판넬의 평활도가 우수한 거푸집 판넬이 제공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목재 판넬의 사시도
도2는 종래 목재 판넬의 조립 사시도.
도3은 종래 판넬의 용접 가공후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저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제1실시예 사시도.
도7은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제2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판넬 11. 절곡단부
12. 보강리브 12a. 플랜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양측부에 평행을 이루어 수직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절곡단부가 구비된 평판상의 판넬과, 상기 절곡단부 내측의 판넬 저면에서 수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보강리브가 일체로 구비된 판넬은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는 거푸집 판넬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보강리브는 판넬 배면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성형될 수도 있으며, 대략 판넬의 양측 절곡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넬은 보강리브에 의한 내구성 보존에 의해서 그 두께를 4㎜ 미만으로 구성하여도 판넬 면의 평활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그 폭이 300㎜ 내지 600㎜의 광폭의 사이즈로 압출 공정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4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제1실시예 사시도이고, 도7은 본 고안 거푸집 판넬의 제2실시예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은 사각 판상의 판넬(10) 양측부에 평행하게 직하방으로 한 쌍의 절곡단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양측 절곡단부(11) 내측의 판넬(10)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2)가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판넬(10)과 보강리브(12)는 일체로 압출 성형된다.
상기 판넬(10)은 그 두께가 대략 4㎜ 미만으로 형성되고 정면의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설치되어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이 벽체를 이루도록 양생되는 구조이다.
상기 판넬(10)의 정면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 콘크리트의 하중은 판넬(10) 배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12)를 통해 보전되며, 이때 상기 보강리브(12)는 판넬(10)의 규격 폭에 따라서 양측 절곡단부(11)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판넬(10)의 규격화된 폭 300㎜, 400㎜ , 500㎜ , 600㎜ 등의 너비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의 보강리브(12)가 아래 도시된 도6과 도7에서와 같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리브(12)의 돌출 길이는 판넬(10) 양측의 절곡단부(11)의 돌출 길이보다 짧거나 동일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거푸집 판넬(10)은 양측 절곡단부(11) 내측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보강리브(12) 각 하단부에는 판넬(10)과 평행하게 플랜지(12a)가 연장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플랜지(12a)는 판넬(10)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판넬(10)의 운반과 적층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보강리브(12)의 수직 인장강도가 배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거푸집 판넬(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며, 일단부 폭이 300㎜ 이상의 광폭거푸집 판넬에서 별도의 용접 공정이나 보강리브 접합 공정 없이 판넬과 보강리브가 일체를 이루어 내구성에 저하됨이 없이 압출 성형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은 광폭의 판넬 양측부에 절곡단부가 구비되고 양측 절곡단부 사이에 판넬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되는 거푸집 판넬 구조로써, 상기 판넬의 압출 공정시 다수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별도의 횡 보강대 없이도 동일한 내구성이 발현되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후가동 없이도 우수한 평활도의 판넬면이 성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이점은 판넬의 배면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에 의해서 판넬의 두께를 4㎜ 미만으로 압출 성형 가능함에 의해서 제품 원가가 절감되고 알루미늄 재질의 특성상 크기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우수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데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이나 개축시에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사각 판상의 판넬(10) 양측부에 평행하게 직하방으로 한 쌍의 절곡단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양측 절곡단부(11) 내측의 판넬(10)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2)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판넬(10)과 보강리브(12)는 일체로 압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10)은 그 두께가 4㎜ 미만으로 압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2)는 그 하단부에 판넬(10)과 평행하게 플랜지(12a)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압출 성형 거푸집 판넬.
KR20-2004-0015510U 2004-06-03 2004-06-03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KR200361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510U KR200361277Y1 (ko) 2004-06-03 2004-06-03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510U KR200361277Y1 (ko) 2004-06-03 2004-06-03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77Y1 true KR200361277Y1 (ko) 2004-09-07

Family

ID=4934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510U KR200361277Y1 (ko) 2004-06-03 2004-06-03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86B1 (ko) * 2008-12-05 2011-10-17 (주)알루텍 측압 강성이 보강된 알루미늄 거푸집
KR101702491B1 (ko) * 2015-11-19 2017-02-03 (주)대우건설 건설 구조물의 거푸집용 합성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86B1 (ko) * 2008-12-05 2011-10-17 (주)알루텍 측압 강성이 보강된 알루미늄 거푸집
KR101702491B1 (ko) * 2015-11-19 2017-02-03 (주)대우건설 건설 구조물의 거푸집용 합성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974B1 (ko) 복합보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0361277Y1 (ko)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KR200381862Y1 (ko) 조립식 물탱크의 외부 보강구조
KR101074086B1 (ko) 측압 강성이 보강된 알루미늄 거푸집
KR100813931B1 (ko) 천정거푸집용 장선 및 멍에의 구조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102056313B1 (ko) 상부압축 보강재 및 하부인장 보강재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JP5627972B2 (ja) スリット構造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KR101683713B1 (ko) 조립식 거푸집
JP200914438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0770958B1 (ko) 거푸집용 합성패널
KR100757030B1 (ko) 거푸집 상부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174492B2 (ja) 防音パネルの枠体
KR102402013B1 (ko) 고강도 유로폼 거푸집
KR102530366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CN210421900U (zh) 建筑施工用模板及模板体系
KR200422683Y1 (ko) 건축용 거푸집
CN218323860U (zh) 一种铝模和木模结合的u型模板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