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629A - 강제 거푸집 - Google Patents

강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629A
KR20030053629A KR1020010083575A KR20010083575A KR20030053629A KR 20030053629 A KR20030053629 A KR 20030053629A KR 1020010083575 A KR1020010083575 A KR 1020010083575A KR 20010083575 A KR20010083575 A KR 20010083575A KR 20030053629 A KR20030053629 A KR 20030053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frame
present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615B1 (ko
Inventor
백승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6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제작에 있어 다양한 패턴의 벽체 마감 시공을 할 수 있는 강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강제 거푸집은, 전면은 다양한 패턴으로 성형되어 있고, 배면에는 정방형으로 등분된 교차점에 각각의 연결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방형으로 형성된 패널(1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패널이 부착될 수 있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거푸집 프레임(120)과; 거푸집 프레임 내에서 정방형을 이루도록 거푸집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되고, 패널의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121) 및; 패널의 연결부와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강제 거푸집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성형면을 가진 패널을 복합적으로 프레임에 부착하여 거푸집을 구성하므로, 별도의 거푸집 제작없이 미리 제작된 패널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패턴의 벽체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강제 거푸집{Steel concrete form system}
본 발명은 강제 거푸집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 벽체 제작에 있어 다양한 패턴의 벽체 마감 시공을 할 수 있는 강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패널과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벽체 마감을 특정한 패턴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마감 패턴에 따라 별도로 거푸집을 제작하거나, 기존의 거푸집에 추가적인 가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성형면을 갖는 종류별 패널의 교체만으로 거푸집을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마감 패턴의 콘크리트 벽체를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볼트 작업만으로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제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제 거푸집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거푸집의 패널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널의 연결부를 나타낸 패널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널의 연결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거푸집의 거푸집 프레임과 패널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푸집 프레임의 연결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과 거푸집 프레임의 조립관계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패턴별 패널과 거푸집 프레임의 복합적인 조립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거푸집 프레임의 상면 및 측면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수평방향 연결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연결바의 형상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수직방향 연결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강제 거푸집 110 : 패널
113 : 패널 연결부 120 : 거푸집 프레임
121, 122 :지지 프레임 123 : 거푸집 연결부
125 : 요철면 130 : 연결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제 거푸집은, 전면은 다양한 패턴으로 성형되어 있고, 배면에는 정방형으로 등분된 교차점에 각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방형으로 형성된 패널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패널이 부착될 수 있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거푸집 프레임과; 상기 거푸집 프레임 내에서 정방형을 이루도록 상기 거푸집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되고, 상기 패널의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패널의 연결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강제 거푸집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제 거푸집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제 거푸집(100)은 다양한 패턴으로 성형된 다수의 패널(110)과, 이 다수의 패널(110)이 부착될 수 있는 거푸집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거푸집의 패널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널의 연결부를 나타낸 패널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널의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널(110)은 성형강판(111)과 이를 지지하는 하지강판(112)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성형강판(111)이 하지강판(112)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0)의 배면에는 패널(110)을 거푸집 프레임(120)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패널 연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 연결부(113)는 패널(110)의 각 변과 각 변을 등분하는 점 및 각 등분선의 교차점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 연결부(11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암나사(113a)가 가공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패널(110)은 정방형이고, 각각의 패널 연결부(113) 또한 정방형으로 등분된 교차점에 위치하므로, 상기 패널(110)을 거푸집 프레임(120)에 부착 설치함에 있어 90°각도로 회전시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성형된 다수의 패널(110)로 다양한 패턴을 갖는 거푸집(100)의 구성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거푸집의 거푸집 프레임과 패널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푸집 프레임의 연결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프레임(12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패널(110)을 부착할 수 있는 장방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거푸집 프레임(120)에는 가로 방향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패널(110)이 받는 측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제1, 제2 지지 프레임(121, 12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1)은 패널(110)의 중간을 따라 형성된 패널 연결부와 결합되고, 제2 지지 프레임(122)은 서로 상하로 밀착되는 패널(110)의 테두리 부위에 각각 형성된 패널 연결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제2지지 프레임은 거푸집 프레임(120) 내에서 정방형을 이루도록 거푸집 프레임(120)을 가로질러 고정된다.
이렇게 부착된 제1, 제2 지지 프레임(121, 122)에는 각각 위치할 패널(110)의 패널 연결부(113)와 동일한 개수의 거푸집 연결부(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거푸집 연결부(123)는 패널 연결부(113)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는 패널 연결용 볼트(124)가 관통하는 관통홈(123a)이 성형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과 거푸집 프레임의 조립관계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제1 지지 프레임(121)에 패널(110)의 중간을 따라 형성된 패널 연결부(113)가 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내고, 도 8은 제2 지지 프레임(122)에 서로 상하로 밀착되는 패널(110)의 테두리 부위에 각각 형성된 패널 연결부(113)가 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0)의 패널 연결부(113)를 제1, 제2 지지 프레임(121, 122)의 거푸집 연결부(123)에 각각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패널 연결용 볼트(124)를 거푸집 연결부(123)의 관통홈(123a)에 끼우고 패널 연결부(113)의 암나사(113a)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패널(110)이 거푸집 프레임(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패턴별 패널과 거푸집 프레임의 복합적인 조립관계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7 및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종류별로 다양한 패널(110)을 부착하면(도 9 참조), 동일한 종류의 패널이라 할 지라도 다양한 패턴의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거푸집 프레임의 상면 및 측면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프레임(120)의 상하면과 좌우측면에는 서로 연결되는 거푸집(100) 상호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요철면(125)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요철면(125)은 상호간 완전히 감싸면서 연결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간의 접합부위에서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평활도를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 때, 요철면(125)은 상하면, 좌우측면에서 서로 정반대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수평방향 연결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연결바의 형상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프레임(120)의 좌우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거푸집(100)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홈(126)에 볼트(127)를 삽입하고 너트(128)로 조임으로써 수평방향으로 거푸집(110)들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거푸집 프레임(120)의 좌우측면에는 2개의 거푸집 프레임(120)을 서로 밀착시킬 경우 폭방향으로 1개의 관통구멍(129)을 형성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129)은 연결홈(126)과 직교하여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 관통구멍(129)에는 2개의 거푸집(11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서로마주보는 거푸집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바(13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바(130)에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거푸집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홈(131)의 사이사이에는 홈형상의 파단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단부(132)는 관통홈(131)의 중심에서 거푸집 프레임(120)의 절반 길이(L)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바(130)는 콘크리트 타설 중 거푸집의 안정성 유지기능도 동시에 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망치 등을 이용하여 파단부(132)를 쳐서 제거함으로써 시공된 벽체 표면에 연결바(13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수직방향 연결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10)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를 각각 이용한다. 즉, 거푸집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볼트 관통구멍(133)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암나사(1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거푸집(110)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135)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거푸집(110)을 연결함으로써, 거푸집(110)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할 경우에는 벽체의 마감 패턴에 따른 거푸집의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아울러 볼트 조임 작업만으로 현장에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성형면을 가진패널을 복합적으로 프레임에 부착하여 거푸집을 구성하므로, 별도의 거푸집 제작없이 미리 제작된 패널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패턴의 벽체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결합을 통해 거푸집을 간단히 시공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강제 거푸집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강제 거푸집에 있어서,
    전면은 다양한 패턴으로 성형되어 있고, 배면에는 정방형으로 등분된 교차점에 각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방형으로 형성된 패널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패널이 부착될 수 있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거푸집 프레임과; 상기 거푸집 프레임 내에서 정방형을 이루도록 상기 거푸집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되고, 상기 패널의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패널의 연결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과 직교하여 관통하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거푸집.
KR1020010083575A 2001-12-22 2001-12-22 강제 거푸집 KR10070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575A KR100702615B1 (ko) 2001-12-22 2001-12-22 강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575A KR100702615B1 (ko) 2001-12-22 2001-12-22 강제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629A true KR20030053629A (ko) 2003-07-02
KR100702615B1 KR100702615B1 (ko) 2007-04-02

Family

ID=3221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575A KR100702615B1 (ko) 2001-12-22 2001-12-22 강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6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14B1 (ko) * 2006-07-18 2007-12-13 강석환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CN101906877A (zh) * 2010-07-20 2010-12-08 天津二十冶建设有限公司 混凝土墙体钢模施工方法
KR101050219B1 (ko) * 2010-09-17 2011-07-19 디스커버리씨에스 주식회사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CN104863350A (zh) * 2015-04-21 2015-08-26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塑钢模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993B1 (ko) * 2021-03-31 2023-08-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건물 외벽용 투명 거푸집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14B1 (ko) * 2006-07-18 2007-12-13 강석환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CN101906877A (zh) * 2010-07-20 2010-12-08 天津二十冶建设有限公司 混凝土墙体钢模施工方法
KR101050219B1 (ko) * 2010-09-17 2011-07-19 디스커버리씨에스 주식회사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CN104863350A (zh) * 2015-04-21 2015-08-26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塑钢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615B1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15B1 (ko) 강제 거푸집
US6676102B1 (en) Adjustable modular form system and method for rectilinear concrete column form
CN210361827U (zh) 一种应用于预制建筑的尺寸可调节的预制窗框模具
CN209855297U (zh) 一种整体卫浴墙板转角连接件及整体卫浴机构
KR20060020027A (ko) 콘크리트 수직 구조물용 기둥폼
TW202200909A (zh) 板體結合的定位鎖固系統
CN215802663U (zh) 一种模块化墙板的快速组装结构
CN216517319U (zh) 一种声学材料安装模块
CN213829498U (zh) 一种可调节尺寸模具板及模具
KR20010057972A (ko) 연결식 거푸집
KR0168620B1 (ko) 주형틀
KR200326217Y1 (ko) 조립식 구조물
CN214246397U (zh) 便于拆卸更换的医疗建设用安装墙板
CN207538451U (zh) 一种钢模板
CN210888062U (zh) 一种矮墙铝模的梁底支撑底座
CN212689471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线板
CN219060361U (zh) 一种装配式连接节点
CN220768494U (zh) 一种预制墙板的连接结构
CN218894286U (zh) 装配式建筑用立柱
CN214696849U (zh) 一种用于浇筑变截面结构柱的模具
CN212613503U (zh) 一种用于装配式装修的墙面两用扣
JPH04198557A (ja) 大形陶板の施工方法
KR100324991B1 (ko) 천장보드의연결시공방법
CN215319381U (zh) 一种型材模具侧模与端模快速连接装置
CN211899390U (zh) 一种装饰板及应用其的装饰墙安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