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620B1 - 주형틀 - Google Patents

주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620B1
KR0168620B1 KR1019950016798A KR19950016798A KR0168620B1 KR 0168620 B1 KR0168620 B1 KR 0168620B1 KR 1019950016798 A KR1019950016798 A KR 1019950016798A KR 19950016798 A KR19950016798 A KR 19950016798A KR 0168620 B1 KR0168620 B1 KR 016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all member
wall
presen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388A (ko
Inventor
이석하
Original Assignee
이종열
주식회사협신주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열, 주식회사협신주물 filed Critical 이종열
Priority to KR101995001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620B1/ko
Publication of KR97000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틀에 관한것으로서 주형틀을 구성하는 외벽부재(1)와 연결부재(2), 힘살부재(3)를 별도로 제작한 후 다수개의 외벽부재(1)들을 사각이 되게 위치시키고 각 모서리에 ㄱ 형 연결부재(2)를 위치시켜 보울트 체결하고 외벽부재(1) 내측으로 힘살부재(3)을 종횡으로 다수조 연결 설치하여 외벽부재(1)를 고정하므로서 주형틀의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주형물의 크기에 따라 주형틀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되도록 하고 주형틀을 부수지 않고 사용하게끔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형틀
제1도는 본 발명의 주형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주형틀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주형틀의 외벽부재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주형틀의 연결부재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주형틀의 힘살부재 사시도.
제6도에서 제8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체결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주형틀 1 : 외벽부재
101 : 평판 101a : 고정구멍
101b : 가스배출공 102 : 체결판
102a : 체결공 103 : 연결판
103a : 연결구멍 2 : 연결부재
201,202 : 연결편 201a,202a : 연결구멍
3 : 힘살부재 301,302 : 측단
301a,302a : 구멍
본 발명은 주형틀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형틀을 외벽부재와 연결부재 및 힘살부재로 나누어 일정 규격으로 별도 제작하므로서 주형틀의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주형물의 크기에 따라 주형틀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되도록 하고 주형틀을 부수지 않고 사용하게끔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형틀은 주형물에 맞도록 철판 등을 용접하여 주형틀을 제작 사용하였으므로 주형물의 크기가 달라지면 주형물에 맞게 주형틀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주조작업이 끝나면 용접하여 만들어진 주형틀을 부수어서 처리하여야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불편을 없애고자 연구개발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완성조립된 주형틀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형틀을 구성하는 외벽부재(1)와 연결부재(2), 힘살부재(3)를 별도로 제작한 후 다수개의 외벽부재(1)들을 사각이 되게 위치시키고 각 모서리에 ㄱ형 연결부재(2)를 위치시켜 보울트 체결하고 외벽부재(1) 내측으로 힘살부재(3)를 종횡으로 다수조 연결 설치하여 외벽부재(1)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면 제3도에서 제5도는 본 발명의 주형틀을 구성하는 외벽부재(1), 연결부재(2), 및 힘살부재(3)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외벽부재(1)는 일정 폭으로 되는 평판(101) 상하에 체결공(102a)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체결판(102)을 형성하고 양측단으로 연결구멍(103a)이 수개 뚫어진 연결판(103)을 부착하며 평판(101) 상단부로 힘살부재(3) 고정구멍(101a)을 등간격으로 수개 관통시키고 하단으로 가스배출공(101b)을 다수개 관통시키며,
연결부재(2)는 외벽부재(1)의 연결판(102) 상에 뚫어진 연결구멍(102a)과 마주보게 연결구멍(201a)(202a)이 있는 두 개의 연결편(201)(202)이 직각으로 절곡 구성되어 있으며,
힘살부재(3)는 양측단(301)(302)의 직각으로 절곡되고 외벽부재(1)의 고정구멍(101a)과 상호하는 구멍(301a)(302a)을 뚫고 판상에 다수조의 관통공(30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제6도에서 제8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주형틀의 구성 부재 즉, 외벽부재(1), 연결부재(2), 힘살부재(3)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벽부재(1)의 끝부분이 서로 직각이 되게 사각형으로 위치시킨 후 모서리에 위치되는 연결판(103) 외측으로 연결부재(2)의 연결편(201)(202)을 위치시켜 보울트 너트로 체결하여 사각틀체를 만든 다음 외벽부재(1)의 힘살부재 고정구멍(101a)과 일치되게 힘살부재(3)의 구멍(301a)(302a)을 위치시켜 나사체결하므로서 주형틀(A)이 완성된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상기에서 완성된 두 개의 주형틀(A)을 서로 대응지게 위치시킨 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형제작방법으로 주형을 제작한 후 상하측의 외벽부재(1) 체결판(102) 상에 구비된 체결공(102a)에 보울트를 체결하므로서 주형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주입구이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로 제작된 외벽부재(1)와, 연결부재(2), 힘살부재(3)를 이용하여 용접하지 않고도 어떠한 형태의 주형틀이라도 만들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주형틀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외벽부재(1)를 길이방향으로 소망하는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결하면 되고, 높이가 높은 주형틀을 얻고자 할 때에는 힘살부재(3)를 뺀 주형틀을 소망하는 높이만큼 포개어 체결공(102a)에 보울트로 체결하면 원하는 크기의 주형틀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형틀은 완성된 주형틀의 주입구(5)에 쇳물을 주입하여 주물품을 만드는데 있어서 외벽부재(1)에 수개의 가스배출공(101b)이 관통되어 있으므로 배출가스가 주물사(6) 사이에 형성된 미세구멍은 물론 외벽부재(1)의 가스배출공(101b)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도 배기가 가능케 되어 종래의 주형틀보다 배기기능이 신속한 주형틀을 얻을 수 있어서 효과적인 주조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벽부재(1)와 연결부재(2), 힘살부재(3)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주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주조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체결된 보울트 너트를 풀어 주형틀을 해체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형틀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이를 조립하여 주형틀을 제작할 수 있게되므로 주형틀을 부수지 않고 보관할 수 있게되어 거듭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능률도 높일 수 있는 주형틀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주형틀을 구성하는 외벽부재(1)와 연결부재(2), 힘살부재(3)를 별도로 제작한 후 다수개의 외벽부재(1)들을 사각형상이 되게 배치하며 각 모서리에는 연결부재(2)를 끼워 보울트 체결하며 외벽부재(1) 내측으로 힘살부재(3)를 종횡 방향으로 설치하여 외벽부재(1)를 고정할 수 있게 한 주형틀.
KR1019950016798A 1995-06-19 1995-06-19 주형틀 KR016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798A KR0168620B1 (ko) 1995-06-19 1995-06-19 주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798A KR0168620B1 (ko) 1995-06-19 1995-06-19 주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88A KR970000388A (ko) 1997-01-21
KR0168620B1 true KR0168620B1 (ko) 1999-01-15

Family

ID=1941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798A KR0168620B1 (ko) 1995-06-19 1995-06-19 주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46B1 (ko) * 2011-07-12 2012-01-30 케이티메탈(주) 크기 조절이 가능한 주형틀
KR101154498B1 (ko) * 2011-07-12 2012-06-13 케이티메탈(주) 크기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주형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46B1 (ko) * 2011-07-12 2012-01-30 케이티메탈(주) 크기 조절이 가능한 주형틀
KR101154498B1 (ko) * 2011-07-12 2012-06-13 케이티메탈(주) 크기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주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88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620B1 (ko) 주형틀
KR100702615B1 (ko) 강제 거푸집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KR20010057972A (ko) 연결식 거푸집
KR100747686B1 (ko) 지지파이프 거치대가 구비된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97257Y1 (ko) 기둥거푸집
KR20030079390A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결합구조
KR970004195Y1 (ko)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CN219411815U (zh) 组合式立柱钢模板组件
KR100523145B1 (ko) 키커 타설용 거푸집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키커 타설용거푸집
CN216776445U (zh) 货架用铝合金型材
CN213686015U (zh) 一种用于舞台的摆件放置架
KR20040089405A (ko) 조립식 선반틀
KR200253645Y1 (ko) 조경용 휀스
KR102653620B1 (ko) 너트 삽입 통신블록
JP2725165B2 (ja) 木造建築物の横架材接合構造とその用具
KR200362999Y1 (ko) 책상용 받침구조체
KR20019898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유로폼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H05287754A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用具
KR100276864B1 (ko) 거푸집용 코너 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KR200281343Y1 (ko) 거푸집 고정용지지대의 결합구조
KR20070109960A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200337010Y1 (ko) 거푸집 바닥패널 지지빔 설치 브라켓
KR200342726Y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