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95Y1 -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 Google Patents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95Y1
KR970004195Y1 KR2019950003094U KR19950003094U KR970004195Y1 KR 970004195 Y1 KR970004195 Y1 KR 970004195Y1 KR 2019950003094 U KR2019950003094 U KR 2019950003094U KR 19950003094 U KR19950003094 U KR 19950003094U KR 970004195 Y1 KR970004195 Y1 KR 970004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scalator
sides
angl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914U (ko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2019950003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95Y1/ko
Publication of KR960028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이터 골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에스컬레이터 골조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의 일부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보울트 체결부의 확대 단면 예시도
제6도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골조의 일부 측면도
제7도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골조의 일부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장치틀 2, 3 : 설치대
201, 301, 401a, 402 : 결합공 4 : 연결보강대
401 : 보강힘살 5 : 보울트
6 : 너트 7 : 연결대
701 : 결합공 8, 9 : 절곡 보강대
본 고안은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이터 골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30-35˚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대략 2등분 내지 3등분으로 분할 제작하는 에스컬레이터 골조에 있어서 상하측에 설치대를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는 사방이 일정 두께로 절곡되는 연결보강대를 다수개 삽입하고 설치대의 상하측 꺾임부엔 꺾임각도에 맞게 제작된 절곡보강대를 삽입하여 보울트 체결하는 한쌍의 장치틀을 대응지게 위치시키며 양측연결 보강대 사이에 연결대를 마련하여 보울트 체결하는 것으로서 연결보강대와 절곡보강대의 각도를 정확하게 제작하여 정확한 각도를 가진 에스컬레이터의 골조를 제작할 수 있고 연결보강대를 보강하여 다양한 에스컬레이터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전공정이 보울트 체결의 조립식이므로 설치후 보정작업이 필요치않고 절곡형성되는 연결보강대를 사용하므로서 균일하고 표준화된 골조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에스컬레이터의 골조를 설치장소로 운반하기가 쉽고 설치가 간편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 골조는 30-35˚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대략 2등분 내지 3등분으로 분할 제작하는데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그 중 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측에 ㄷ자형 설치대(10)(11)를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다수개의 연결 보강대(12)를 용접 고정시켜서 되는 한쌍의 장치틀(A)(B)을 대응지게 한다음 양측 연결보강대(12)와 하측 설치대(11)에 다수개의 연결대(13)를 용접하여 에스컬레이터 골조를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는 2등분 내지 3등분으로 분할 제작되는 각각의 골조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후 설치장소에 운반하여 연겨완성하게 되는데 골조가 용접 제작되므로 열변형등에 의해 변형된 부분의 교정작업이 불가피 하였으며 작업자에 따라 생산되는 골조가 균일하고 정확하지 못하여 제작 완성된 골조의 부피가 커서 설치장소로 운반하기가 어렵고 작업의 대부분이 용접 작업인데 3D 기피 형상이 두더러진 현시점에서 작업자를 구하기가 매우 힘들고 이로 인해 제작비가 상승하게 되고 제작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용접기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 또한 자동용접기 구입가가 높아 구매하기가 어렵고 에스컬레이터의 크기가 변할때마다 성형틀을 별도로 만들고 이에 맞게끔 용접기계를 이동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골조제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한 것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0-35˚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대략 2등분 내지 3등분으로 분할제작하는 에스컬레이터 골조에 있어서 상하측에 설치대(2)(3)를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는 사방이 일정폭으로 절곡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결합공(401a)을 갖는 보강힘살(401)이 세위진 연결보강대(4)를 다수개 삽입하되 설치대(2)(3)와 연결보강대(4)의 접촉면엔 각각 결합공(201)(301)(402)을 뚫어 보울트(5)와 너트(6)로 고정하고 상하측 설치대(2)(3)의 꺾임부엔 꺾임각도에 맞게 제작된 절곡보강대(8)(9)를 삽입고정하는 한쌍의 장치틀(1)(101)을 대응지게 위치시키고 양측보강대(4)(4a)의 보강힘살(401)(41a)에는 결합공(701)이 양측으로 뚫린 연결대(7)를 마련하여 보울트(5) 너트(6)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설치대(2)(3)는 도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단이 내향지게 절곡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30-35˚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대략 2등분 내지 3등분으로 분할제작되는 각각의 설치대(2)(3)와 연결보강대(4) 및 절곡보강대(8)(9)와 보강판(7)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제작한 후 설치장소로 운반하여 상하측으로 설치대(2)(3)를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연결보강대(4)를 삽입하여 보울트 체결하여서 되는 한쌍의 장치틀(1)(101)을 대응지게 설치한 다음 양측연결보강대(4)(4a)의 보강힘살(401)(41a)에 연결대(7)를 보울트 체결하므로서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연결보강대(4)는 사방으로 일정폭만큼 절곡되고 내측에 상하로 보강힘살(401)이 세워져 있어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완벽히 수행하게 되고 양측 보강힘살(401)(41a)에 연결대(7)가 보울트체결되어 있어 양측 장치틀(1)(101)의 간격유지를 하면서도 연결보강대(4)의 보강안정성을 높여 주게되며 절곡보강대(8)(9)가 상하측 설치대(2)(3)의 꺾임각동에 맞게 제작되어 정확한 각도를 가진 에스컬레이터의 골조를 제작할 수 있고 연결보강대(4)를 보강하여 다양한 에스컬레이터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전공정이 보울트 체결로 디는 조립식으로서 설치후 보정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며 균일하고 표준화된 골조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작지에서 용접작업으로 골조를 제작하지 않고 보울트 체결만으로 설치장소에서 쉽게 조립을 행할 수 있게 되며 설치장소로의 운반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이터 골조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30-35˚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대략 2등분 내지 3등분으로 분할제작하는 에스컬레이터 골조에 있어서 상하측에 설치대(2)(3)를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는 사방이 일정폭으로 절곡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결합공(401a)을 갓는 보강힘살(401)이 세워진 연결보강대(4)를 다수개 삽입하되 설치대(2)(3)와 연결보강대(4)의 접촉면에 각각 결합공(201)(301)(402)을 뚫어 보울트(5)와 너트(6)로 고정하고 상하측 설치대(2)(3)의 꺾임부엔 꺾임각도에 맞게 제작된 절곡보강대(8)(9)를 삽입고정하는 한쌍의 장치틀(1)(101)을 대응지게 위치시키고 양측보강대(4)(4a)의 보강힘살(401)(41a)에는 결합공(701)이 양측으로 뚫린 연결대(7)를 마련하여 보울트(5) 너트(6)로 고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이터 골조
KR2019950003094U 1995-02-22 1995-02-22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KR970004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094U KR970004195Y1 (ko) 1995-02-22 1995-02-22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094U KR970004195Y1 (ko) 1995-02-22 1995-02-22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914U KR960028914U (ko) 1996-09-17
KR970004195Y1 true KR970004195Y1 (ko) 1997-05-06

Family

ID=1940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094U KR970004195Y1 (ko) 1995-02-22 1995-02-22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914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859B2 (en) Conversion corner chamfer for form work
US463279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ndwich wall panel by molding
KR20220065031A (ko)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장착 방법
KR200334180Y1 (ko) 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
KR970004195Y1 (ko) 분해 조립식 에스컬레터 골조
KR100662815B1 (ko) 콘크리트 수직 구조물용 기둥폼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0168620B1 (ko) 주형틀
JP2681620B2 (ja) 木造建築物の横架材接合構造とその用具
CN219411815U (zh) 组合式立柱钢模板组件
CN216776445U (zh) 货架用铝合金型材
KR200317486Y1 (ko) 규격폼과 규격폼의 연결구조
KR200148348Y1 (ko) 조립식 선반 겸용 진열대
KR200184987Y1 (ko) 콘크리트 형틀 조립장치
EP0579064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 cabinet having rigid vertical walls
CN216840555U (zh) 一种浇筑用模板型材
KR20010057972A (ko) 연결식 거푸집
CN217507933U (zh) 一种加强型电力柜骨架及电力柜
JPS60473Y2 (ja) 建具の組立構造
JPS5830884Y2 (ja) 型材の接続構造
KR20230148571A (ko) 물품 보관용 선반 조립체
JPH049810Y2 (ko)
JPH11190072A (ja) 建築用中空金物
JPH0427620Y2 (ko)
JP2762043B2 (ja) 垂直荷重支持部材の接続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