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910Y1 -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910Y1
KR0127910Y1 KR2019950009759U KR19950009759U KR0127910Y1 KR 0127910 Y1 KR0127910 Y1 KR 0127910Y1 KR 2019950009759 U KR2019950009759 U KR 2019950009759U KR 19950009759 U KR19950009759 U KR 19950009759U KR 0127910 Y1 KR0127910 Y1 KR 0127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concrete
coupled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645U (ko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128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2791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수 filed Critical 박재수
Priority to KR2019950009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910Y1/ko
Publication of KR960037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상에 문틀 또는 창틀이 결합될수 있는 공간부를 성형시키기 위한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세로부재(1)일측면에 전면판넬(2)이 용접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로부재(1)의 다른쪽면에는 양단에 결합구멍(3)을 형성시킨 가로부재(4)가 결합되어지되, 이 가로부재(4)는 상기 세로부재(1)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결합된 구조로써, 판넬자체가 철재로 구성되어 파손이 방지되고, 일반거푸집 판넬(22)의 세로부재(28)와 쐐기형 체결수단(26)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되어져 콘크리트가 타설될때 발생되는 모르타르의 측압에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을 나탄낸 것으로
(a)도는 결합사시도.
(b)도는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이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성형시키기 위하여 일반거푸집 판넬과 짜맞추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1 : 세로부재 2 : 전면판넬
3 : 결합구멍 4 : 가로부재
5 : 용접부 6 : 보강부재
20 : 콘크리트 벽체 21 : 측면부
22 : 거푸집용 판넬 23: 전면판넬
24 : 종래거푸집용 모서리판넬 25 : 고정못
26 : 쐐기형 체결수단 27 : 모서리부
28 : 세로부재 29 : 가로부재
30 : 결합구멍 31 : 지지목
32 : 지지판 33 : 스페이서
34 : 모서리판 35 : 프랫타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상에 문틀 또는 창틀이 결합되어지는 공간부를 성형시키기 위한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용 모서리판넬 자체를 상당한 강도를 갖는 철재형강으로 구성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거푸집의 조립시에 일반 거푸집용 판넬의 모서리부에 긴밀하게 결합시킬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될때 발생되는 모르타르의 측압에 변형되지 않도록한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의 소정위치에 문틀 또는 창틀이 결합되어지는 공간부를 성형시키는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에 있어서는, 예시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 벽체(20)의 양측면부(21)를 성형시키는 거푸집용 판넬(22)사이에 금속재의 프랫타이(35)를 끼운다음, 그 뒷면에 지지목(31)을 대고 고정못(25)으로 스페이서(33)를 삽입하여 일반 거푸집판넬(22)과 고정시킨후 상기 지지목(31)과 지지판(32)사이의 공간부에 거푸집 형틀을 짜맞추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타설시에는 상당한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일반 거푸집용 판넬(22)끼리의 접촉면, 즉 거푸집용 판넬(22)의 각 세로부재(28)는 쐐기형 체결수단(26)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지는바,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그 자체의 하중과 측압에 견딜수 있도록 설치해야 콘크리트 양생후에 치수가 정확하고 표면이 매끄러운 콘크리트벽체를 얻을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종래 거푸집용 모서리판넬(24)은 상기와 같이 얇은 철판으로된 프랫타이(35)가 지지목(31)과 스페이서(3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또한, 프랫타이(35)의 중앙부로 받쳐주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측압에 상기 프랫타이(35)가 효과적으로 대응할수가 없어 판넬자체에 휘어짐(일명 배부름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 측압에 의해 고정못(25)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양생후에 콘크리트벽체(20)의 모서리부(27)가 매끄럽게 되지 못하고 프랫타이(35)의 배부름 현상에 의해 시공자가 원하는 설계치수와 상이하게 되어 콘크리트 양생후에 이루어지는 창틀 또는 문틀의 시공이 곤란해지는 2차적인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는 최초 시공할때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변화되어질 치수를 미리 감안하여 거푸집형틀을 짜맞추고는 있으나 실제로 그 치수를 정확히 맞추기란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밖에도 종래에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진 후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을 해체시킬때 지지목(31)과 스페이서(33)는 재활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 판넬 자체를 상당한 강도를 갖는 철재형강으로 구성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거푸집 판넬의 조립시에 일반거푸집용 판넬의 세로부재와 긴밀하게 결합시킬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될때 발생되는 모르타르의 측압에 변형되지 않도록 된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세로부재(1)일측면에 전면판넬(2)를 용접결합시키고, 상기 세로부재(1)의 다른쪽면에는 양단에 결합구멍(3)이 형성된 가로부재(4)를 결합시키되, 이 가로부재(4)는 상기 세로부재(1)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결합시킨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의 구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재의 세로부재(1)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세로부재(1)의 전면 방향에 금속재로된 전면판넬(2)이 용접 결합되어지며, 그 반대쪽인 세로부재(1)의 배면쪽으로는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가로부재(4)가 용접 결합되는바, 이 가로부재(4)의 양단은 결합구멍(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부재(1)와 결합된 배치간격은 세로부재(1)의 상.하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그 중앙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4)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구멍(3)은 일반거푸집용 판넬(22)의 세로부재(28)를 상호결합시켜 주기 위한 쐐기형 체결수단(26)이 긴밀하게 삽입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2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거푸집판넬 자체가 상당한 강도를 갖는 다수개의 형강이 상호 격자형태로 짜맞추어진 형태로 프랫타이(35)를 받쳐주는 지지목(31)과 스페이서(33)로 된 것에 비해 강도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일이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판넬은 일반거푸집용 판넬(22)과의 결합방식이 쐐기형 체결수단(26)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결합력이 배가되며 또한, 세로부재(1)가 전면판넬(2)의 중앙부를 지지하므로 콘크리트타설시에 배부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쐐기형 결합수단(26)에 의해 이루어지는 거푸집용 판넬(22)과의 결합방법은 거푸집용 판넬(22)의 세로부재(28)상에 뚫린 결합구멍(30)과 본 고안의 가로부재(4)의 양단에 뚫린 결합구멍(3)을 상호일치시킨 상태에서 쐐기형 체결수단(26)을 망치등으로 때려박아 강하게 삽입시키는 것으로, 거푸집용 판넬(22)과 거푸집용 모서리판넬(A)이 긴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견고하게 결합되어진 거푸집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키게 되면, 종래의 문제점인 콘크리트 측압에 견디지 못하여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최초 시공자의 설계치수와 동일한 치수의 콘크리트벽체(20)가 최종적으로 성형되어지므로 콘크리트 양생후에 수반되어지는 문틀 또는 창틀의 시공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수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판넬 자체가 상당한 강도를 갖는 철재형강으로 구성됨으로 거푸집을 해체시키는 과정에서 파손이 생기지 않아 재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거푸집판넬의 조립시에 일반거푸집용 판넬(22)의 세로부재(28)와 긴밀하게 결합되어지므로 콘크리트 측압에 변형되지 않아 설계치수와 동일한 치수의 콘크리트벽체가 성형되어지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세로부재(1)일측면에 전면판넬(2)이 용접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로부재(1)의 다른쪽면에는 양단에 결합구멍(3)을 형성시킨 가로부재(4)가 결합되어지되, 이 가로부재(4)는 상기 세로부재(1)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모서리판넬.
KR2019950009759U 1995-05-09 1995-05-09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KR0127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759U KR0127910Y1 (ko) 1995-05-09 1995-05-09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759U KR0127910Y1 (ko) 1995-05-09 1995-05-09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45U KR960037645U (ko) 1996-12-18
KR0127910Y1 true KR0127910Y1 (ko) 1998-11-02

Family

ID=1941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759U KR0127910Y1 (ko) 1995-05-09 1995-05-09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9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199B1 (ko) 2019-07-12 2020-03-03 태운건설(주)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20200117245A (ko) 2019-04-03 2020-10-14 이표영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20210016959A (ko) 2019-08-06 2021-02-17 김시영 월엔드 깊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245A (ko) 2019-04-03 2020-10-14 이표영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102084199B1 (ko) 2019-07-12 2020-03-03 태운건설(주)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20210016959A (ko) 2019-08-06 2021-02-17 김시영 월엔드 깊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45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0127910Y1 (ko)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JPH078722Y2 (ja) 型枠固定具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0733584B1 (ko) 사각 맨홀 거푸집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200203224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277906Y1 (ko)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4057946B2 (ja) 型枠兼断熱建材
JP2001026933A (ja) 超薄型金属製型枠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型枠並びに基礎の施工方法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10054439A (ko) 리브형 강판을 갖는 거푸집패널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362854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JP2002201799A (ja) 型枠組立方法及び桟材固定部材
JPH0113122Y2 (ko)
JPH0665501U (ja) コンクリート梁
JPH077450Y2 (ja) コンクリート捨て型枠
KR200285375Y1 (ko)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JPH03513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614

Effective date: 199911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303

Effective date: 200006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1230

Effective date: 2000102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202

Effective date: 200109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016

Effective date: 200406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016

Effective date: 20040625

J123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330

Effective date: 2005110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23

Effective date: 200503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