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199B1 -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 Google Patents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199B1
KR102084199B1 KR1020190084235A KR20190084235A KR102084199B1 KR 102084199 B1 KR102084199 B1 KR 102084199B1 KR 1020190084235 A KR1020190084235 A KR 1020190084235A KR 20190084235 A KR20190084235 A KR 20190084235A KR 102084199 B1 KR102084199 B1 KR 10208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fastening
protrusion
finish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래
Original Assignee
태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운건설(주) filed Critical 태운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08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085End form panels f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가운데에 문틀 또는 창틀이 결합될수 있는 공간부를 성형시킬 때, 또는 콘크리트 벽체의 끝단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100)에 관한 것으로서,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의해 체결볼트와 죔너트의 조임부, 체결볼트와 플레이트의 연결부가 오염되거나 결착(달라붙음)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조절장선(150)을 구비함으로써, 체결바(160)와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 폭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 설치 위치가 가변되게 하여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과 재활용성이 우수한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감패널 2개 또는 3개를 그 길이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켜, 벽체 끝단면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도록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조립체로 구성하여, 하부 마감패널(100B)만을 간단히 해체하여 거푸집 내부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Wall End Pan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가운데에 문틀 또는 창틀이 결합될수 있는 공간부를 성형시킬 때, 또는 콘크리트 벽체의 끝단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1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끝단면 높이와 두께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갖는 플레이트(110)와, 그 뒷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쌍의 보강리브(120)와, 이 보강리브(120)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여러 개의 고정너트(130)들과, 이 고정너트(130)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뒷면에 선단부가 밀착 고정되고 볼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죔너트(142)를 구비한 체결볼트(140)와, 좌우 벽체패널(10A,10B)에 양 단이 각각 결합되는 체결바(16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한 쌍의 조절장선(1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장선(15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 중에서,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어느 한 돌출부의 폭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 설치 위치가 가변되게 하여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조절할 수 있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에 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실용신안등록 제20-0389479호에 게시됨)은, 벽체 타설을 위하여 콘트리트 끝단에 결착핀공(1)이 구비된 벽체패널(2)과, 벽체패널(2)의 끝단부를 막아주는 사다리형 마감패널(3)로 거푸집을 구성한다.
전술한 마감패널(3)을 알루미늄(Al)재로 압출 성형하되, 마감패널(3)은 외면의 양측 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설되어 패널을 보강하면서 중앙에는 볼트머리가 끼워걸린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볼트걸이홈(4A)이 형성된 레일(4)과, 이 레일(4)에 머리부가 끼워걸려 이동되고 조절너트를 구비하는 체결볼트(5)와, 레일(4) 상에서 체결볼트(5)와 일정간격으로 다수 체결되고 양단에 벽체패널(2)과 결착을 위한 결착핀공(6A)이 각각 구비된 결착바(6)와, 마감패널(3)의 내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콘트리트 타설시 벽체 모서리에 모따기 처리하는 면귀(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알루미늄재로서 압출 성형된 마감패널(3)을 설치시 철재에 비하여 중량이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설계에 따른 결착바(6)의 설치간격이 변동될 경우 결착바(6)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추가·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볼트걸이홈(4A)이 형성된 레일(4)'은 장선재로서의 기능을 겸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장선재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을 더욱 감소시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의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3)은, 벽체패널(2)의 끝단에서부터 벽체 마감면까지의 거리(d)(이하에서는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라 한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긴 체결볼트(5)를 선택하여 레일(4)의 볼트걸이홈(4A) 속에 볼트머리를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월엔드 깊이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종래기술의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3)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공장에서 건설현장으로 운송되는 도중에, 또는 건설현장 내에서 이동하는 도중에 레일(4)의 볼트걸이홈(4A) 속에서 풀어져버리는 경우가 많아, 작업자들이 마감패널을 설치할 때에 체결볼트를 다시 죄어 결착바(6)의 상하 간격을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일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저절로 풀어진 체결볼트(5)가 분실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된다.
나아가, 풀어진 체결볼트(5)를 다시 죌 때에는, 좌우 양쪽의 두 체결볼트(5)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어느 한 체결볼트가 다른 쪽에 비해 높거나 낮게 고정되면 결착바(6)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위치되어 결착바(6) 설치가 어려워지거나, 결착바(6)를 체결볼트(5)에 억지로 끼워넣을 경우에는 상기 결착바(6)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더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의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3)에 형성된 '레일(4)의 볼트걸이홈(4A)'은 체결볼트(5)의 볼트머리가 삽입되어 위 아래로 움직여야 하는데, 콘크리트를 벽체 거푸집 내부에 타설하는 작업과정에서 상기 '레일(4)의 볼트걸이홈(4A)' 속으로 흘러들어가 충진되고, 이렇게 흘러들어간 콘크리트가 굳어져 체결볼트(5)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분리, 해체작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KR 20-2010-0012378 U KR 20-0408535 Y1 KR 20-0127910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벽체 거푸집의 끝단으로부터의 플레이트 위치, 즉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라 한다)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운송 또는 건설현장 내에서의 이동 중에도 체결볼트가 분실되거나 의도치 않게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의해 체결볼트와 조절너트의 조임부, 체결볼트와 플레이트의 연결부가 오염되거나 결착(달라붙음)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작업성과 재활용성이 우수한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벽체 거푸집 조립체의 내부 청소가 용이한 구조의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100)은,
벽체 끝단면 높이와 두께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타설될 콘크리트에 노출되는 앞면을 가지며, 뒷면에는 한쌍의 보강리브(120)가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상기 보강리브(120)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여러 개의 고정너트(130)들과; 상기 각각의 고정너트(130)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뒷면에 선단부가 밀착 고정되고 볼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죔너트(142)를 구비한 여러 개의 체결볼트(140)와; 좌우 벽체패널(10A,10B)에 양 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체결볼트(140)가 관통하는 관통공(164)을 구비한 여러 개의 체결바(16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한 쌍의 조절장선(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장선(15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은, 다양한 치수의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폭(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돌출부의 각 폭은 10mm, 20mm, 30mm, 40mm)를 가진다. 이에 따라, 시공설계 치수에 맞는 폭의 돌출부를 선택하여,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운 후에, 죔너트(142)를 조임으로써,
벽체 거푸집의 끝단으로부터의 플레이트 위치, 즉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라 한다)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더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조절장선(150)에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둘 이상의 돌출부들(151,152)을 구비하되,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서 견고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인접한 두 돌출부는, 상기 조절장선(150)의 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조절장선(150)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직각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조절장선(150)의 단면을 기준으로 인접한 두 돌출부가 서로 직각이 되면, 어느 한 돌출부(151)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죔너트(142)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면, 그 돌출부(151)에 인접한 돌출부(152)는 상기 체결바(160)의 안쪽면에 밀착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이 생겨도 상기 조절장선이 제 위치를 유지하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운송 또는 건설현장 내에서의 이동 중에도 체결볼트가 분실되거나 의도치 않게 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결볼트(140)는 상기 고정너트(130)에 나사결합으로 삽입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10) 뒷면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설 콘크리트로부터 체결볼트의 나사산과 고정너트, 조절너트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뒷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상기 플레이트(110)와 보강리브(120)의 상단면 전체와 하단면 전체를 각각 덮는 상단덮판(170A) 및 하단덮판(170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마감패널 2개 또는 3개를 그 길이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켜, 벽체 끝단면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도록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조립체로 구성하여, 하부 마감패널(100B)만을 간단히 해체하여 거푸집 내부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실용신안등록 제20-0389479호에 게시됨)의 장점인 경량화 및 생산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한 매우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은, 체결바(160)와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장선에 구비된, 각기 다른 폭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들 중에서 어느 한 돌출부"를 끼워넣음으로써 다양한 치수의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마감패널 설치가 가능하며,
운송 또는 건설현장 내에서의 이동 중에도 체결볼트가 의도치 않게 풀어지거나 분실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의 상단면 전체를 상단덮판(170A)가 덮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에 그 용융물이 체결볼트의 나사산과 조절너트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110) 뒷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20)에는 개방부(124)가 형성되어 있어 타설 콘크리트 용융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제거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마감패널을 상하로 분할하여 연결 결합함으로써, 이물질이나 쓰레기 제거를 위해 하부 마감패널(100B)만을 간단히 해체하거나 재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의 문제점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선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조절장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이 적용된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의 설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의 체결바(160)와 플레이트(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장선(150)의 일실시예의 기능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선의 여러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의 체결바(160)와 플레이트(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장선(150)의 변형 실시예
도 10은 보강리브(120)의 돌출턱(126)과 조절장선(150)의 이탈방지턱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너트(130)와 보강리브(120)의 결합부분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을 상하로 분할한 변형 예에 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100)은,
벽체 끝단면 높이와 두께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타설될 콘크리트에 노출되는 앞면을 가지며, 뒷면에는 한쌍의 보강리브(12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상기 보강리브(120)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여러 개의 고정너트(130)들과; 상기 각각의 고정너트(130)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뒷면에 선단부가 밀착 고정되고 볼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죔너트(142)를 구비한 여러 개의 체결볼트(140)와; 좌우 벽체패널(10A,10B)에 양 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체결볼트(140)가 관통하는 관통공(164)을 구비한 여러 개의 체결바(16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한 쌍의 조절장선(150)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용 플레이트(110)의 단면 구조와,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의 조절장선(150) 단면 형상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100)이 좌우 벽체패널(10A,10B)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조절장선(150)을 갖는다.
상기 조절장선(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다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절장선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및 특징은 후술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앞면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110)의 뒷면에는 플레이트 길이방향의 보강기능(장선재로서의 역할)과 체결볼트를 결합하는 기능을 갖는 보강리브(120)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와 폭은, 타설될 벽체의 끝단면 높이와 두께에 각각 대응되므로, 벽체의 끝단면 높이와 두께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된다.
상기 보강리브(120)는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세로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좌우 대칭되어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20)에는 고정너트(130)가 여러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너트(130)들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볼트(140)는, 그 선단부가 상기 고정너트(130)에 나사결합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 뒷면에 밀착 고정된다. 체결볼트(140) 선단부가 플레이트 뒷면에 압착되어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공장에서 건설현장으로 운송되는 도중에, 또는 건설현장 내에서 이동하는 도중에도 체결볼트가 풀어져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는 체결바(160)의 결착공(162)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죔너트(14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죔나사를 조여 상기 체결바(160)를 상기 플레이트 쪽을 향하여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30)에는 체결볼트(140)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110) 위치를 수평방향(도 6을 기준으로 볼 때, 지면(紙面)의 윗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고정너트(130)의 중심축은 상기 플레이트(110) 평면에 대해 수직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130)의 나사공(132)을 상기 플레이트(110) 평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리브(120)는 상기 플레이트(110) 뒷면에서 돌출되는 연결부(121)가 구성되는데, 상기 플레이트의 뒷면과 평행한 수평연장부(122)를 더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평연장부(122)에 고정너트(1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너트(130)를 보강리브(120)의 수평연장부(122)에 결합하는 구조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후술될 것이다.
이 때, 상기 보강리브(120)는 상기 플레이트의 뒷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21)와, 상기 수평연장부(122)와, 상기 플레이트(110)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간부는 어느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콘크리트 타설작업 과정에서 큰크리트 용융물이 튀겨져서 상기 마감패널 뒷면의 상기 공간부 속으로 흘러들어가 굳어지더라도, 거푸집 해체과정에서 상기 개방부(124)를 통해 쇠막대기 등의 도구를 이용해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벽체 양생이 완료된 후에 거푸집의 분리, 해체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조절장선(15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은, 다양한 치수의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폭(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돌출부의 각 폭은 10mm, 20mm, 30mm, 40mm)를 가진다. 이에 따라, 시공설계 치수에 맞는 폭을 가진 돌출부를 선택하여,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운 후에, 죔너트(142)를 죔으로써,
벽체 거푸집의 끝단으로부터의 플레이트 위치, 즉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라 한다)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장선(150)은, 4개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1, 제2, 제3, 제4 돌출부의 각 폭이 10mm, 20mm, 30mm, 40mm로 구성하고, 보강리브의 돌출길이를 10mm로 구성하면, 최대 50mm까지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50mm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벽체거푸집 길이가 50mm 단위로 규격화 되어 있으므로, 한 계단 상위의 규격을 사용하면 다양한 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선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조절장선(150) 단면도로서, 도 5의 [A]에는 조절장선의 제1 실시예를, 도 5의 [B]에는 조절장선의 제2 실시예를, 도 5의 [C]에는 조절장선의 제3 실시예를, 도 5의 [D]에는 조절장선의 제4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선(150)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둘 이상의 돌출부들(151,152)을 구비하되, 상기 조절장선(150)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호 인접한 두 돌출부(151)(152)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두 돌출부(151)(152) 중의 어느 한 돌출부(151)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죔너트(142)에 의해 결합되면, 그 돌출부(151)에 인접한 돌출부(152)가 상기 체결바(160)의 안쪽면에 견고히 밀착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이 생겨도 상기 조절장선(150)이 결합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장선(150)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돌출부(151,152,153,154)를 갖는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장선(150)의 제1 돌출부(151) 일측 끝단에는 제2 돌출부(152) 일측 끝단이 접하는데, 제1 돌출부(151) 표면과 제2 돌출부(152) 표면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또한, 제3 돌출부(153) 일측 끝단에는 제4 돌출부(154) 일측 끝단이 접하는데, 제3 돌출부(153) 표면과 제4 돌출부(154) 표면도 서로 직각을 이룬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제4 돌출부 각각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기 위해, 제1 돌출부(151)의 타측 끝단과 제4 돌출부(154) 타측 끝단 사이에는 제1 리세스(156)가 형성되고, 제2 돌출부(152)의 타측 끝단과 제3 돌출부(153) 타측 끝단 사이에는 제2 리세스(158)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돌출부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리세스(156) 및 제2 리세스(158)의 크기(가로 길이, 세로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리세스(156)는, 제1 리세스(156)에 인접한 돌출부(제1 돌출부(151) 또는 제4 돌출부(154))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때에, 상기 보강리브(12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51)가 체결바(160)와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때에, 상기 보강리브(120)는 제1 리세스(156)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리세스(158)는, 제2 리세스(158)에 인접한 돌출부(제2 돌출부(152) 또는 제3 돌출부(153))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때에, 상기 보강리브(120)는 제2 리세스(158) 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장선(150)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제1 실시예의 조절장선 단면은 중공의 폐단면 형상이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 단면은 개방 단면 형상일 뿐,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리고,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장선(150)은, 도 5의 [C] 및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151,152)를 갖는다.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장선(150)의 제1 돌출부(151) 일측 끝단에는 제2 돌출부(152) 일측 끝단이 접하는데, 제1 돌출부(151) 표면과 제2 돌출부(152) 표면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절장선(150)에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리세스(156) 및 제2 리세스(158)에 대응되는 구성요소가 불필요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에서 조절장선(150)을 이용하여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 기능 설명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선의 여러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의 체결바(160)와 플레이트(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장선(150)의 변형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은, 그 폭이 서로 다른 돌출부를 두개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어느 한 돌출부(151)의 표면이 상기 체결볼트(14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돌출부(151)의 양 단부는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죔너트(142)의 조임작용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며, 그 돌출부(151)에 인접한 돌출부(152)는 상기 체결바(160)의 안쪽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14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그 돌출부(151)의 폭과, 상기 플레이트(110)의 보강리브(120) 높이를 합한 값이, 월엔드 깊이가 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조절장선(150) 단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은 각각 4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은 각각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4개의 돌출부(제1, 제2, 제3, 제4 돌출부)를 구비한 조절장선을 예시로 하여,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가변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조절장선(150)의 제2 돌출부(152)를 끼워넣어 결합된 상태이며, 도 7의 [B]는 제4 돌출부(154)를 끼워 넣기 위해 조절장선(150)을 180도 회전시키는 상태를 설명한 그림이며, 도 7의 [C]는 제4 돌출부(154)를 끼워넣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볼트(140)는, 가변되는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에 대응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체결볼트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는 죔너트(142)가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엔드 깊이를 변경(d1 → d2)하고자 할 경우, 좌우의 두 죔너트(142)를 풀어, 두 조절장선(150)을 빼내고, 원하는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에 대응되는 돌출부 폭을 갖는 조절장선을 선택(해당 조절장선의 다른 돌출부를 선택할 수도 있음)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체결바(160)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절장선(150)의 해당 돌출부(154)를, 보강리브(120)와 체결바(160) 사이에 끼우고 상기 플레이트(110)를 소정 깊이(d2)로 위치시킨 다음,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죔너트(142)를 죄어 체결바(160)를 견고히 고정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간편하게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전동드릴용 롱비트소켓을 이용하여 상기 죔너트(142)를 손쉽게 죄고 풀기 위해, 상기 체결볼트(140)는 무두(無頭) 볼트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7에서 제1, 제2, 제3, 제4 돌출부의 폭은 각각 10mm, 20mm, 30mm, 40mm를 가진다고 하면, 제2 돌출부(152) 대신에 제4 돌출부(154)를 끼워 넣음으로써,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20mm 가변시킬 수 있다.
만약, 도 7의 [A]에서와 같이 조절장선(150)의 제2 돌출부(152) 대신에 제3 돌출부(153)를 바꿔 끼우고자 한다면, 상기 좌우의 두 조절장선(150)을 각각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좌/우 두 조절장선의 위치를 교환하면,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10mm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바(160)는, 결착핀(20)에 의해 벽체패널(10A,10B)의 결착핀공(11)과 결착하기 위한 결착공(162)이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140)가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16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바(160)는 상기 체결볼트(140)에 끼워진 죔너트(142)에 의해 플레이트(110)와, 조절장선(150)과 일체로 견고히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선(15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조절장선(150)의 어느 한 돌출부(151)가 외부 충격에 의해 또는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120)에, 특히 연결부(121)와 수평연장부(122)의 경계부에 돌출턱(126)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장선(150)의 돌출부(151) 양 단부 중에서 상기 보강리브(120)에 접하는 쪽의 단부에 이탈방지턱(151a)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턱(126)과 상기 이탈방지턱(151a)이 서로 일정간격(h)으로 간섭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턱(126)과 이탈방지턱(151a)이 서로 간섭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절장선(150)의 어느 한 돌출부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일 때, 해당 돌출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이 상기 돌출턱(126)에 걸리도록 하여 조절장선(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에 적용된 이탈방지턱의 작용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며, 도 9의 [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선(150)에 적용된 이탈방지턱의 작용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너트(130)를 보강리브(120)의 수평연장부(122)에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너트(130)는, 용접작업으로 상기 수평연장부(122)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도 10의 우측그림 참조)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작 편의성과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연장부(122)에 미리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팸너트(PEM Nut)를 삽입하여 압착하여 일체화(도 10의 좌측 그림 참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너트(130)는, 상기 수평연장부(12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축방향(나사공(132) 방향)으로 압착력을 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연장부(122)에 일체로 결합되는 팸너트(PEM Nut)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 고정너트(130)가 보강리브(120)의 수평연장부(122)에 결합된 구조에 따라, 보강리브(120)의 돌출턱(126)과 조절장선(150)의 이탈방지턱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11의 [A]는 상기 조절장선(150)이 상기 고정너트(130)의 압착부에 밀착된 상태를, 도 11의 [B]는 상기 조절장선(150)이 보강리브(120)의 수평연장부(122)에 밀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조절장선(150)의 어느 한 돌출부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졌을 때에, 상기 돌출턱(126)과 상기 이탈방지턱(151a)이 서로 일정간격(h)으로 간섭되도록 하여, 상기 이탈방지턱이 상기 돌출턱(126)에 걸리도록 하여 조절장선(150)의 이탈을 방지한다는 점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100)은, 타설 콘크리트로부터 체결볼트의 나사산과 죔너트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뒷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상기 플레이트(110)와 보강리브(120)의 상단면 전체와 하단면 전체를 각각 덮는 상단덮판(170A) 및 하단덮판(170B)이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덮판(170A)와 하단덮판(170B)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110) 상단면과 상기 한쌍의 보강리브(120) 상단면을 덮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뒷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판(plate)으로서, 상기 플레이트(110)와 보강리브(120)의 상단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100)은, 마감패널의 상단면 전체를 상단덮판(170A)가 덮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에 그 용융물이 체결볼트의 나사산과 조절너트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110) 뒷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20)에는 개방부(124)가 형성되어 있어 타설 콘크리트 용융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제거하기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마감패널(100)을 상,중,하 3개로 분할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 2개 또는 3개를 그 길이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켜, 벽체 끝단면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도록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조립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조립체는, 상기 플레이트(110)를 상하로 2개 이상의 플레이트(110A)(110B)(100C)로 분할한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10A)에 의해 구성되는 상부 마감패널(100A)과, 중간부 플레이트(110B)에 의해 구성되는 중간부 마감패널(100B)을, 하부 플레이트(110C)에 의해 구성되는 하부 마감패널(100C)을, 그 길이방향으로 맞대어 결합된 것이다.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마감패널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2개 이상을 그 길이방향으로 결합시켜 벽체 끝단면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도록 구성하되,
최하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C)의 상단덮판(170A")과, 그 상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B)의 하단덮판(170B')을 상호 겹쳐서 밀착하고, 상기 상단덮판(170A")과 하단덮판(170B')에 형성된 두 결합공(171)으로 결속구를 관통시켜 결합시킨다.
상기 상단덮판(170A")과 하단덮판(170B')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 용융물의 튐 방지 기능과,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을 조립체로 구성할 때에 결합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마감패널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벽체 거푸집 내부 바닥에 떨어진 각종 이물질이나 쓰레기 제거를 위해, 최하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C)만을 간단히 해체하면 되고, 또한 청소 후에도 간편하게 재결합이 가능하다.
100, 100A, 100B: 마감패널, 110,110A,110B: 플레이트
120: 보강리브, 122: 연결부, 124: 개방부,
126: 돌출턱
130: 고정너트, 132: 나사공
140: 체결볼트, 142: 죔너트
150: 조절장선
151: 제1 돌출부, 151a: 제1 이탈방지턱
152: 제2 돌출부, 152a: 제2 이탈방지턱
153: 제3 돌출부, 153a: 제3 이탈방지턱
154: 제4 돌출부, 154a: 제4 이탈방지턱
156: 제1리세스, 158: 제2리세스
160: 체결바, 162: 결착공, 164: 관통공
170A: 상단덮판, 170B: 하단덮판, 171: 결합공

Claims (5)

  1.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어 벽체를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한 한 쌍의 벽체패널(10A,10B)과, 상기 벽체패널(10A,10B)의 끝단부를 막아 벽체의 끝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마감패널(100)에 있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편평한 앞면을 구비하고, 타설될 벽체의 끝단면 높이와 두께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뒷면에는 한쌍의 보강리브(12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 평면에 대해 수직의 나사공(132)을 가지며, 상기 보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한 쌍의 보강리브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고정너트(130)와;
    나사결합에 의해 선단부가 상기 각각의 고정너트(130)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110) 뒷면에 밀착 고정되며, 볼트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는 죔너트(142)를 구비한 체결볼트(140)와;
    결착핀(20)에 의해 좌우 벽체패널(10A,10B)의 결착핀공(11)과 결착하기 위한 결착공(162)이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140)가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바(16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조절장선(1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조절장선(150)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둘 이상의 돌출부들을 구비하되,
    상호 인접한 두 돌출부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둘 이상의 돌출부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돌출부(151)가 상기 체결볼트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돌출부(151)의 양 단부는 상기 죔너트(142)의 조임작용에 의해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져서 견고히 결합되며,
    그 돌출부(151)에 인접한 돌출부(152)는 상기 체결바(160)의 안쪽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조절장선(15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 중에서,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어느 한 돌출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0)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게 하여 월엔드 깊이(depth of wall end)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20)에는 돌출턱(126)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절장선(150)의 돌출부 양 단부 중에서 상기 보강리브(120) 쪽의 단부에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장선(150)의 어느 한 돌출부가 상기 체결바(160)와 상기 보강리브(1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일 때, 해당 돌출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이 상기 돌출턱(12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20)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뒷면과 평행한 수평연장부(122)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너트(130)는 상기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수평연장부(122)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리브(120)와 상기 플레이트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는 어느 일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1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4. 제2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110) 상단면과 상기 한쌍의 보강리브(120) 상단면을 덮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뒷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단덮판(170A)이 더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10) 하단면과 상기 한쌍의 보강리브(120) 하단면에도 하단덮판(170B)이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5. 제4항에 따른 마감패널 2개 이상을 그 길이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켜, 벽체 끝단면의 전체 높이에 대응되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조립체로 구성하되,
    하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B)의 상단덮판(170A)과, 그 상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A)의 하단덮판(170B)을 상호 겹쳐서 밀착하고, 상기 상단덮판(170A)과 하단덮판(170B)에 형성된 두 결합공(171)으로 결속구를 관통시켜 결속함으로써,
    상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A)는 벽체거푸집과 체결상태를 유지하면서, 거푸집 내부 청소작업을 위해, 하부에 위치한 마감패널(100B)만을 간단히 해체 및 재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용 마감패널 조립체.
KR1020190084235A 2019-07-12 2019-07-12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10208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35A KR102084199B1 (ko) 2019-07-12 2019-07-12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35A KR102084199B1 (ko) 2019-07-12 2019-07-12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199B1 true KR102084199B1 (ko) 2020-03-03

Family

ID=6993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235A KR102084199B1 (ko) 2019-07-12 2019-07-12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042A (zh) * 2022-01-25 2022-08-05 金相培 具有隔热层的建筑物一体式模板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910Y1 (ko) 1995-05-09 1998-11-02 박재수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KR200314573Y1 (ko) * 2003-01-24 2003-05-27 이강록 거푸집의 벽체 마감용 패널
KR200408535Y1 (ko) 2005-11-29 2006-02-13 장태석 벽체거푸집의 마감판넬
KR100926148B1 (ko) * 2009-02-16 2009-11-10 (주)금산씨앤아이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
KR20100012378U (ko) 2009-06-04 2010-12-14 (주) 에스에프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20130096079A (ko) * 2012-02-21 2013-08-29 (주)에이원알폼 벽체의 마구리용 거푸집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910Y1 (ko) 1995-05-09 1998-11-02 박재수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KR200314573Y1 (ko) * 2003-01-24 2003-05-27 이강록 거푸집의 벽체 마감용 패널
KR200408535Y1 (ko) 2005-11-29 2006-02-13 장태석 벽체거푸집의 마감판넬
KR100926148B1 (ko) * 2009-02-16 2009-11-10 (주)금산씨앤아이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
KR20100012378U (ko) 2009-06-04 2010-12-14 (주) 에스에프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20130096079A (ko) * 2012-02-21 2013-08-29 (주)에이원알폼 벽체의 마구리용 거푸집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042A (zh) * 2022-01-25 2022-08-05 金相培 具有隔热层的建筑物一体式模板及其施工方法
KR102452514B1 (ko) 2022-01-25 2022-10-07 김상배 단열재가 구비된 건축물 일체형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CN114856042B (zh) * 2022-01-25 2024-03-15 金相培 具有隔热层的建筑物一体式模板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7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US9617745B2 (en) Recess former for concrete panels
EP3009575B1 (de) Verbindungsvorrichtung zur mechanischen kopplung von betonplatten, sowie damit aufgebaute betonwand
KR102084199B1 (ko)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EP3399120A1 (de) Anker schalungsanordnung mit zwei mit abstand angeordneten schalelementen verfahren zum errichten der schalungsanordnung
DE202005008762U1 (de) Schalungselement für den Fußbodenbau
KR100568666B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연결 고정구
EP1644595B1 (de) Schalung mit einhakbarer spannschlossvorrichtung
CN105239778A (zh) 用于柱模板加固的可调背楞装置
KR101614833B1 (ko)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2176250B1 (ko)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US5291713A (en) Construction element for limiting the fore part of a formwork
KR20210016959A (ko) 월엔드 깊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JP5699191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0383890B1 (ko)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EP325804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ertigbauteils für ein gebäude, fertigbauteil, zarge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fensterrahmens an einer mit einem wandelement verbundenen zarge
CN115362301A (zh) 钢筋固定件
KR101908537B1 (ko)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JPH0538086Y2 (ko)
KR100709634B1 (ko) 테이블 데크
JP2020147899A (ja) グレーチング蓋設置構造
KR20100088216A (ko)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KR102261341B1 (ko) 조립식 블록
KR100472603B1 (ko)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