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216A -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 Google Patents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216A
KR20100088216A KR1020090007273A KR20090007273A KR20100088216A KR 20100088216 A KR20100088216 A KR 20100088216A KR 1020090007273 A KR1020090007273 A KR 1020090007273A KR 20090007273 A KR20090007273 A KR 20090007273A KR 20100088216 A KR20100088216 A KR 2010008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ab
panel
coupl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성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금속 filed Critical (주)성진금속
Priority to KR102009000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216A/ko
Publication of KR2010008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2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ceramics,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편의 및 공사비 절감을 위해 개발된 거푸집 유닛, 거푸집 보강부재, 거푸집 연결부재 등과 이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유닛패널, 동바리, 슬래브거푸, 기둥, 벽체, 체결구

Description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Unit Pannel unit, Binding Slab Pannel, Large Face Binding Slab Pannel and Reinforcing Steel Bar Pre-Fabricated Binding Slab Pannel}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축조를 위한 슬래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편의 및 공사비 절감을 위해 개발된 유닛패널들과 이 유닛패널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축조를 위해서는 거푸집 설치가 필수적이다. 거푸집은 그 설치 및 해체 공정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해시킬 수 있으며, 동바리 설치를 최소화 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건축물 축조시에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동바리 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강성이 확보된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1. 패널의 유닛화
건축물은 사이즈가 다양하게 설계되므로 몇 가지 유형의 유닛을 여러 가지 형태로 연결시켜 슬래브거푸집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2. 조립식 보강부재
부재간 맞물림, 밀착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하중을 계산하여 거푸집을 적절하게 보강할 수 있다.
3. 유닛패널간의 간편한 연결을 위한 부재
유닛패널간의 용접이나 너트조임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연결시킬 부재를 맞댄 상태에서 원터치 회전에 의해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실린더와 결합판을 제공한다.
4. 슬래브철근 선조립 구조
슬래브패널 설치 후 슬래브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이 번거로우므로 슬래브철근을 미리 슬래브패널에 조립하여 시공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여러 가지 유닛패널의 조합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설계되는 건축물 축조에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다.
2. 보강부재를 조립식으로 결합시켜 콘크리트 하중에 대항하도록 할 수 있다.
3. 결합실린더와 결합판의 체결방식에 따라 유닛패널간에 간편한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4. 슬래브철근을 슬래브패널에 간편하게 선조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Ⅰ. 유닛패널
1. 사이드 유닛패널
본 발명은 상면이 콘크리트 타설면이 되는 장방형의 타설판(1); 상기 타설판(1) 일측단부에 하방향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측면판(2); 상기 타설판(1) 타측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리브(3); 상기 연결리브(3)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4); 상기 측면판의 외측면 상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측리브(5); 및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리브(6); 가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압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유닛패널(10)을 제공한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설판(1)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7);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유닛패널(10a)을 함께 제공한다(도 2 참조). 상기 보강리브(7)를 형성시킴으로서, 타설판(1)의 두께를 감소시켜 소요부재량을 절감하여 패널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사이드 유닛패널(10, 10a)은 후술한 연결 슬래브패널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면판이 연결 슬래브패널의 마구리면 역할을 하며,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내측리브는 후술할 횡보강부재의 거치틀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리브(3)에 형성된 삽입홈(4)은 유닛패널간의 연결에 활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2. 미들 유닛패널
본 발명은 상면이 콘크리트 타설면이 되는 장방형의 타설판(1); 상기 타설판(1)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리브(3); 및 상기 연결리브(3)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4); 이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압출성형된 미들 유닛패널(2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설판(1)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7);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 유닛패널(20a)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리브(7)를 형성시킴으로서, 타설판(1)의 두께를 감소시켜 소요부재량을 절감하여 패널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미들 유닛패널(20, 20a)은 후술한 연결 슬래브패널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리브(3)에 형성된 삽입홈(4)은 유닛패널간 연결에 활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Ⅱ. 연결 슬래브패널
1. 연결 슬래브패널의 전제적 구조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과 제3항의 미들 유닛패널(20)의 결합체로서,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과 미들 유닛패널(20)은 연결리브(3)가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타설판(1)이 연속면을 이룬 상태에 서, 인접하는 연결리브(3)의 삽입홈(4)에 함께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재(30)에 의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을 제공한다.
물론,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타설판(1) 중간부에 보강리브(7)가 형성된 사이드 유닛패널(10a)과 미들 유닛패널(20a)을 횡으로 배치하여 조립한 연결 슬래브패널(100a)을 함께 제공한다.
2. 연결리브의 삽입홈과 삽입부재의 결합구조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 10a)과 미들 유닛패널(20, 20a) 또는 미들 유닛패널(20, 20a)과 미들 유닛패널(20, 20a)을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리브(3)에 형성된 삽입홈(4)을 활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연결리브(3)의 삽입홈(4)에 함께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삽입부재(30)를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하면, 맞닿은 연결리브(3)가 밀착된 채, 좌우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3. 횡보강부재 설치구조
상기 횡보강부재(40)는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의 연속된 타설판(1)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는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횡보강부재(40)는, 보강리브(7)가 형성되지 않은 사이드 유닛패널(10)과 미들 유닛패널(20)으로 구성된 연결 슬래브패널(100)에서는 양단이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의 측면판(2) 내측리브(6)에 거치되는 길이부재인 보강틀(41); 및 상기 보강틀(41)에 끼워지며, 상기 측면판(2)과 연결리브(3)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도록 설치되는 보강턱(42); 으로 구성된 것이 적용된다.
한편, 상기 횡보강부재(40)는 보강리브(7)가 형성된 사이드 유닛패널(10a)과 미들 유닛패널(20)으로 구성된 연결 슬래브패널(100a)에서는 양단이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의 측면판(2) 내측리브(6)에 거치되는 길이부재인 보강틀(41); 및 상기 보강틀(41)에 끼워지며, 상기 측면판(2), 연결리브(3) 및 보강리브(7)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도록 설치되는 보강턱(42); 으로 구성된 것이 적용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틀(41)은 상기 보강틀(41)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맞물림 결합하는 상부재(41a)와 하부재(41b)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3은 이러한 횡보강부재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는 이러한 횡보강부재(40)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3의 b)는 횡보강부재(40) 일 실시예의 종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의 c)는 상기 횡보강부재(40)의 횡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횡보강부재(40)는 부재의 경량화를 위하여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상 불필요한 부분을 파내어 골격만 갖추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4. 강선 연결구조
본 발명은 상기 보강틀(41)에 삽입되는 강선(50); 및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 10a)의 측면판(2)을 관통하여 상기 강선(50)의 양측을 물어 고정시키는 결 속부재(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을 제공한다.
상기 강선(5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스크류턱을 형성시켜 상기 결속부재(60) 내부의 스크류홈과 나사결합을 하도록 구성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형 강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결속부재(60)가 강선(50)을 물어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도 4a, 4b에 도시된 나사결합방식 이외에 쐐기결합방식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Ⅲ.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본 발명은 상기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 복수개를 연결시킨 결합체로서, 상기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의 사이드 유닛패널(10, 10a) 측면판(2)이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타설판(1)이 연속면을 이룬 상태에서, 인접하는 측면판(2)을 결속시키는 체결구(200)에 의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300)을 제공한다(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체결구(200)는 결합실린더(210)와 결합판(220)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도 6의 d) 참조).
상기 결합실린더(210)는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 선단에 횡방향으로 관입하여 몸체부(211) 양측으로 돌출한 채로 고정된 결합핀(212); 및 상기 몸체부(211)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판(220)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부(221); 상기 판면부(221) 중앙에 슬릿홀(222a)이 원홀(222b)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중첩되어 형성된 체결홀(222); 및 상기 체결홀(222)을 따라 형성된 경사체결턱(223); 을 포함하며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체결턱(223)은, 상기 슬릿홀(222a)을 사이에 두고 판면부(221)의 판면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는 좌측턱(223a)과 우측턱(223b)으로 분절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을 복수개를 결합시켜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300)을 구성할 때에는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유닛패널(10, 10a)의 측면판(2)을 맞댄 후 상기 결합실린더(210)가 맞닿은 측면판(2)과 상기 결합판(220)의 체결홀(2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핀(212)이 상기 경사체결턱(223)을 따라 돌며 조여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결합실린더(210)의 상기 몸체부(211)에 후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육각렌치홈(214)을 형성시켜 거기에 육각렌치를 삽입하여 조이면 결합실린더(210)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Ⅳ.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본 발명은 횡배근되는 슬래브철근(410)을 제10항의 연결 슬래브패널(100a, 100b)에 선조립한 것으로서, 상기 타설판 위에 배치된 스페이서(420); 상기 상기 스페이서 상부에 정착되는 거치구(430); 상기 스페이서와 타설판에 결합시키는 체결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래브철근(410)은 상기 거치구(430)에 수 용되는 방식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400)을 함께 제공한다(도 7 참조). 상기 슬래브철근(410)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근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슬래브철근(410)을 연결 슬래브패널(100a, 100b)에 선조립하기 위한 체결구(200) 역시 상기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300) 조립을 위한 체결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구(200)는 결합실린더(210)와 결합판(220)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의 a)는 슬래브철근(410), 거치구(430), 결합판(220), 스페이서(420) 및 결합실린더(210)의 분해도이다.
상기 체결구(200)는 결합실린더(210)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결합실린더(210)는, 원통형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 선단에 횡방향으로 관입하여 몸체부(211) 양측으로 돌출한 채로 고정된 결합핀(212); 및 상기 몸체부(211)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213);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실린더(210)는 상기 몸체부(211) 후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육각렌치홈(214)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결합실린더(210)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220)은, 판면부(221); 상기 판면부(221) 중앙에 슬릿홀(222a)이 원홀(222b)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중첩되어 형성된 체결홀(222); 및 상기 체결홀(222)을 따라 형성된 경사체결턱(223); 을 포함하며 구성되되, 상기 경사체결턱(223)은, 상기 슬릿홀(222a)을 사이에 두고 판면부(221)의 판면에서부터 시계방 향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는 좌측턱(223a)과 우측턱(223b)으로 분절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판(220)은 상기 스페이서(420) 내부에 수평으로 정착되어, 상기 결합실린더(210)가 상기 타설판(1), 상기 스페이서(420) 하부 및 상기 결합판(220)의 체결홀(2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핀(212)이 상기 경사체결턱(223)을 따라 돌며 조여지게 된다.
도 8의 b)는 슬래브철근(410)이 거치구(430)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 상태에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구(430) 상단을 양측에서 눌러 상기 슬래브철근(410)이 상기 거치구(430)에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사이드 유닛패널과 미들 유닛패널을 결합시킨 연결 슬래브패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사이드 유닛패널과 미들 유닛패널을 결합시킨 연결 슬래브패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횡보강부재에 강선이 삽입,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강선과 결속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볼트형 강선이 결속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결합실린더와 결합판으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슬래브철근을 선조립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설판 2 : 측면판
3 : 연결리브 4 : 삽입홈
5 : 외측리브 6 : 내측리브
7 : 보강리브
10, 10a : 사이드 유닛패널
20, 20a : 미들 유닛패널
30 : 삽입부재
40 : 횡보강부재 41 : 보강틀
41a : 상부재(보강틀) 41b : 하부재(보강틀)
42 : 보강턱
50 : 강선
60 : 결속부재
100, 100a : 연결 슬래브패널
200 : 체결구
210 : 결합실린더 211 : 몸체부
212 : 결합핀 213 : 플랜지
214 : 육각렌치홈
220 : 결합판 221 : 판면부
222 : 체결홀 222a : 슬릿홀
222b : 원홀 223 : 경사체결턱
223a : 좌측턱 223b : 우측턱
300 :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400 :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410 : 슬래브철근
420 : 스페이서
430 : 거치구

Claims (15)

  1. 상면이 콘크리트 타설면이 되는 장방형의 타설판(1);
    상기 타설판(1) 일측단부에 하방향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측면판(2);
    상기 타설판(1) 타측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리브(3);
    상기 연결리브(3)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4);
    상기 측면판의 외측면 상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측리브(5); 및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리브(6); 가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압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유닛패널(10).
  2. 제1항에서.
    상기 타설판(1)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7);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유닛패널(10a).
  3. 상면이 콘크리트 타설면이 되는 장방형의 타설판(1);
    상기 타설판(1)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리브(3); 및
    상기 연결리브(3)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4); 이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압출성형된 미들 유닛패널(20).
  4. 제3항에서.
    상기 타설판(1)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7);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 유닛패널(20a).
  5. 제1항의 사이드 유닛패널(10)과 제3항의 미들 유닛패널(20)의 결합체로서,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과 미들 유닛패널(20)은 연결리브(3)가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타설판(1)이 연속면을 이룬 상태에서,
    인접하는 연결리브(3)의 삽입홈(4)에 함께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재(30)에 의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
  6. 제2항의 사이드 유닛패널(10a)과 제4항의 미들 유닛패널(20a)의 결합체로서,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a)과 미들 유닛패널(20a)은 연결리브(3)가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타설판(1)이 연속면을 이룬 상태에서,
    인접하는 연결리브(3)의 삽입홈(4)에 함께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재(30)에 의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a).
  7. 제5항에서,
    연속면을 이룬 타설판(1)의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보강부재(40)는,
    양단이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의 측면판(2) 내측리브(6)에 거치되는 길이부재인 보강틀(41); 및 상기 보강틀(41)에 끼워지며, 상기 측면판(2)과 연결리브(3)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도록 설치되는 보강턱(4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
  8. 제6항에서,
    연속면을 이룬 타설판(1)의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보강부재(40)는,
    양단이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의 측면판(2) 내측리브(6)에 거치되는 길이부재인 보강틀(41); 및 상기 보강틀(41)에 끼워지며, 상기 측면판(2), 연결리브(3) 및 보강리브(7)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도록 설치되는 보강턱(4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a).
  9. 제8항에서,
    상기 보강틀(41)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맞물림 결합하는 상부재(41a)와 하부재(41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a).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보강틀(41)에 삽입되는 강선(50); 및
    상기 사이드 유닛패널(10, 10a)의 측면판(2)을 관통하여 상기 강선(50)의 양측을 물어 고정시키는 결속부재(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
  11. 제10항의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 복수개를 연결시킨 결합체로서,
    상기 연결 슬래브패널(100, 100a)의 사이드 유닛패널(10, 10a) 측면판(2)이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타설판(1)이 연속면을 이룬 상태에서,
    인접하는 측면판(2)을 결속시키는 체결구(200)에 의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300).
  12. 제11항에서,
    상기 체결구(200)는 결합실린더(210)와 결합판(22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결합실린더(210)는, 원통형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 선단에 횡방향으로 관입하여 몸체부(211) 양측으로 돌출한 채로 고정된 결합핀(212); 및 상기 몸체부(211)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판(220)은, 판면부(221); 상기 판면부(221) 중앙에 슬릿홀(222a)이 원홀(222b)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중첩되어 형성된 체결홀(222); 및 상기 체결홀(222)을 따라 형성된 경사체결턱(223); 을 포함하며 구성되되,
    상기 경사체결턱(223)은, 상기 슬릿홀(222a)을 사이에 두고 판면부(221)의 판면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는 좌측턱(223a)과 우측턱(223b)으로 분절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실린더(210)가 맞닿은 측면판(2)과 상기 결합판(220)의 체결홀(2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핀(212)이 상기 경사체결턱(223)을 따라 돌며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300).
  13. 제12항에서,
    상기 결합실린더(210)의 몸체부(211)에는 후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육각렌치홈(214);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300)
  14. 횡배근되는 슬래브철근(410)을 제10항의 연결 슬래브패널(100a, 100b)에 선조립한 것으로서,
    상기 타설판 위에 배치된 스페이서(420);
    상기 상기 스페이서 상부에 정착되는 거치구(430);
    상기 스페이서와 타설판에 결합시키는 체결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래브철근(410)은 상기 거치구(430)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400).
  15. 제14항에서,
    상기 체결구(200)는 결합실린더(210)와 결합판(22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결합실린더(210)는, 원통형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 선단에 횡방향으로 관입하여 몸체부(211) 양측으로 돌출한 채로 고정된 결합핀(212); 및 상기 몸체부(211)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213);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판(220)은, 판면부(221); 상기 판면부(221) 중앙에 슬릿홀(222a)이 원홀(222b)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중첩되어 형성된 체결홀(222); 및 상기 체결홀(222)을 따라 형성된 경사체결턱(223); 을 포함하며 구성되되,
    상기 경사체결턱(223)은, 상기 슬릿홀(222a)을 사이에 두고 판면부(221)의 판면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는 좌측턱(223a)과 우측턱(223b)으로 분절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220)은 상기 스페이서(420) 내부에 수평으로 정착되어, 상기 결합실린더(210)가 상기 타설판(1), 상기 스페이서(420) 하부 및 상기 결합판(220)의 체결홀(2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핀(212)이 상기 경사체결턱(223)을 따라 돌며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400).
KR1020090007273A 2009-01-30 2009-01-30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KR20100088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73A KR20100088216A (ko) 2009-01-30 2009-01-30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73A KR20100088216A (ko) 2009-01-30 2009-01-30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216A true KR20100088216A (ko) 2010-08-09

Family

ID=4275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273A KR20100088216A (ko) 2009-01-30 2009-01-30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2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968A (ko) * 2013-11-18 2015-05-28 김시용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WO2018084390A1 (ko) * 2016-11-07 2018-05-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968A (ko) * 2013-11-18 2015-05-28 김시용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WO2018084390A1 (ko) * 2016-11-07 2018-05-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CN109963993A (zh) * 2016-11-07 2019-07-02 金刚工业株式会社 建筑用组装模板
CN109963993B (zh) * 2016-11-07 2021-06-22 金刚工业株式会社 建筑用组装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6017131B1 (pt) Estrutura de aço de peso leve tridimensional formada por vigas duplas contínuas de duas vias
JP530692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装置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構造
KR10151414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이의 시공방법
JP2001303666A (ja) 鉄筋コンクリ−ト柱と鉄骨梁の接合部構造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JP2007297836A (ja) 床版または覆工板の製造方法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71894B1 (ko) 노후 rc 보-기둥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pc 벽패널 보강체의 스터드-앵커 접합 공법
JP5460368B2 (ja) 補強用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KR20100088216A (ko) 유닛패널, 연결 슬래브패널, 대면적 연결 슬래브패널 및 철근 선조립 연결 슬래브패널
JP3808490B2 (ja) トンネル構造体
JP4048007B2 (ja) 合成床版の継手部構造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JP2008007950A (ja) 埋込金具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WO2010098254A1 (ja) 建物の単位構造部材と該単位構造部材を用いた床構造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CN208039487U (zh) 一种预制楼板和预制墙体的连接结构
KR20050073773A (ko) 골판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라브 구조 및 시공법
CN110748039A (zh) 一种带约束边缘节点模块的装配式剪力墙
JP2004116139A (ja) 既設橋梁の主桁の補強方法
KR100799176B1 (ko) 단열재가 취부되는 옹벽 교차부 폼패널
JP2008163697A (ja) 型枠構造
KR100668593B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JP4085023B2 (ja) 鉄骨柱又は鋼管柱と梁鉄筋との接合構造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