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537B1 -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537B1
KR101908537B1 KR1020170028907A KR20170028907A KR101908537B1 KR 101908537 B1 KR101908537 B1 KR 101908537B1 KR 1020170028907 A KR1020170028907 A KR 1020170028907A KR 20170028907 A KR20170028907 A KR 20170028907A KR 101908537 B1 KR101908537 B1 KR 10190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bracket
hole
longitudinal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372A (ko
Inventor
지상근
진근춘
Original Assignee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5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에 고정볼트 결합을 위한 나사(탭)을 형성하는 것 외에는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결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생산원가를 대폭절감할 수 있고, 프레임 등의 조립과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브라켓으로 인한 간섭을 배제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이면서 프로파일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가로방향의 프로파일과 고정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가로체결홀과, 상기 몸체의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세로방향의 프로파일과 고정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세로체결홀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BRACKET FOR CONNECTING PROFILES}
본 발명은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산업장비 특히 클린을 요구하는 전자 또는 반도체장비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연결하여주는 개선된 브라켓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산업장비 특히 전자 및 반도체에 사용되는 장비들은 클린상태를 유지하는 일반적으로 클린룸(Cleanroom) 내부에 설치되는 데, 이러한 클린룸과 클린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린장치들의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때에는 정사각형 단면 또는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프로파일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격자형태의 구성을 가지도록 하게 되며, 상기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의 연결은 브라켓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브러켓은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16368 - 0000 호의 기술내용을 도 1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로방향의 프로파일(1)과 세로방향의 프로파일(2)이 서로 연접되는 위치에 개략 ㄱ형상의 브라켓(3)을 밀착시킨 후 프로파일(1,2)과 브라켓(3)을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4)으로 견고하게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브라켓(3)은 가로방향의 프로파일(1)과 연접되는 수평체(5)와 세로방향의 프로파일(2)과 연접되는 수직체(6)로 브라켓바디(7)를 구성하고, 상기 수평체(5)와 수직체(6)에는 체결수단(4) 결합을 위한 체결공(8)을 형성하고, 수평체(5)와 수직체(6)의 양측에는 강성보강을 위하여 원호형상의 보강리브(9)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문헌 1) 특허 제 10 - 1289135 - 0000 호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16368 - 0000 호 (문헌 3) 실용신안출원 제 20 - 2009 - 0014727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브라켓은, 가로 및 세로방향의 프로파일이 연접되는 위치의 코너 하측 또는 상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완성된 프레임의 코너부위를 차지하는 관계로 정밀한 부품이나 장비를 설치하는 데 간섭을 받게되므로 설치 등에 지장을 초래하고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브라켓이 시각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완성된 프레임 또는 장비 등의 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브라켓이 주로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프로파일과 색상이나 질감이 동일하지 않아 이질감을 가지게 되므로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ㄱ형상의 브라켓 외에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DJC"타입의 브라켓과 "DUJ"타입의 브라켓의 경우에는 체결을 위하여 브라켓이 위치하는 프로파일 면에 체결용 홀을 가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브라켓이 설치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설계를 새로이 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설계에 맞게 프로파일을 절단하거나 체결홀을 가공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준비작업(가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프로파일을 가공하기 위하여 고가(수천만원 상당)의 전용장비를 별도로 구비(구매)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가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가공후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쳐야 하는 관계로 준비작업(가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므로 결과적으로는 전체적인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프로파일을 전용기를 이용하여 가공하기 위하여 이동시키거나 방향을 전환하고 가공기로 공급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의 표면에 많은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때문에 프레임나 설비 또는 장치를 완성하였을 때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가공과정에서 발생한 스크래치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과 같은 후작업이 필요로 하므로 이 역시 원가상승과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된다.
특히 "DJC"타입의 브라켓과 "DUJ"타입의 경우에는 프로파일의 표면에 별도의 체결홀을 형성한 후 체결수단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프레임 등을 완성하는 과정이나 완성된 후 분해 및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조립 또는 설계불량으로 새로운 프레임을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미 사용한 프로파일을 재 사용하지 못하고 새로운 프로파일을 처음부터 다시 가공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이면서 프로파일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가로방향의 프로파일과 고정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가로체결홀과, 상기 몸체의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세로방향의 프로파일과 고정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세로체결홀로 구성하여;
프로파일에 고정볼트 결합을 위한 나사(탭)을 형성하는 것 외에는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결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생산원가를 대폭절감할 수 있고, 프레임 등의 조립과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브라켓으로 인한 간섭을 배제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의 프로파일 끝단에 밀착시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완성된 상태에서 프로파일과 이질감이 없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외관을 수려하게 하면서 프로파일의 연결부위에 공간잠식을 배제하여 완성된 프레임 등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브라켓과 프로파일을 체결하기 위하여 프로파일의 표면에 별도의 가공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을 위한 설계와 가공을 위한 전용의 장비 등을 필요치 않으므로 가공을 간단하게 하면서 가공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면서 프로파일의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4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5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에 사용되는 마감캡을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에 사용되는 마감캡의 결합상태 다른 예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10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상의 몸체(10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1)는 프로파일과 동일한 알루미늄재질로 압출성형 또는 다이캐스팅 성형을 통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몸체(101)의 성형을 위한 방법은 이미 다양하게 주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언급은 회피하며 어느 하나로 특정하지 않는다.
상기 몸체(101)의 배면(102)에서 정면(103) 방향으로는 가로방향의 프로파일(104)과 고정볼트(105)로 결합할 수 있도록 가로체결홀(106)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01)의 정면(103)에서 배면(102) 방향으로는 세로방향의 프로파일(107)과 고정볼트(108)와 너트(109)를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세로체결홀(11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101)가 정사각형이고 가로 세로의 길이가 40 X 40㎜ 이하(프로파일 규격이 30 X 30㎜, 40 X 40㎜사이즈가 해당)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또는 3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101)가 직사각형이고 가로 세로의 길이가 20 X 35㎜ 이하(프로파일 규격이 15 X 30㎜, 20 X 35㎜사이즈가 해당) 경우에는 몸체(101)의 정 중앙에 가로체결홀(106)을 형성하여 프로파일(104,107)의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홀(111)과 고정볼트(105)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 실시예와 3 실시예에서의 세로체결홀(110)은 몸체(101)의 양측 또는 상,하측에 몸체(101)의 가장자리면이 개방된 U형태로 형성하여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프로파일(104,107)의 외면에 형성되는 개방홈(112)과 일치되도록 하고, 세로체결홀(110)에 고정볼트(108)가 결합되고 프로파일(104,107)의 개방홈(112)에는 너트(109)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로체결홀(106)과 세로체결홀(110)은 관통되어 고정볼트(105,108)의 몸체(나사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템홀(115)과 고정볼트(105,108)의 헤드가 위치할 수 있는 헤드홀(116) 및 고정볼트(105,108)의 헤드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117)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101)가 정사각형이고 가로 세로의 길이가 80 X 80㎜ 이하(프로파일 규격이 60 X 60㎜, 80 X 80㎜사이즈가 해당)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가로체결홀(106)을 몸체(101)의 코너부에 4개를 형성하고, 세로체결홀(110)은 가로체결홀(106)을 기점으로 몸체(101)의 좌측과 상측, 상측과 우측, 좌측과 하측, 우측과 하측 가장자리면(118) 방향으로 각 2개씩 형성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4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101)가 직사각형이고 가로 세로의 길이가 40 X 80㎜ 이하(프로파일 규격이 30 X 60㎜, 40 X 80㎜사이즈가 해당)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가로체결홀(106)을 몸체(101)의 중앙부 양측에 형성하고, 세로체결홀(110)은 가로체결홀(106)을 기점으로 몸체(101)의 좌측과 상측 및 하측, 상측과 우측 및 하측 가장자리면(118) 방향으로 각 3개씩 형성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5 실시예의 경우에는 프로파일(104,107)과 밀착되는 몸체(101)에는 프로파일(104,107)에 형성되는 개방홈(112)에 삽입되어 위치를 결정하여 방향성을 유지하여주기 위한 위치결정핀(119)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몸체(101)에 형성되는 가로체결홀(106)과 세로체결홀(110)은 탄성을 가지는 마감캡(120)을 결합하여 고정볼트(105,108)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가로체결홀(106)과 세로체결홀(110)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가로체결홀(106)에는 원형상의 마감캠(120)을 결합하고, 세로체결홀(110)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체결홀(110)과 동일한 형상(개략
Figure 112017022749769-pat00001
형상)의 마감캡(120)을 결합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세로체결홀(110)에는 마감캡(120)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결합돌부(121)가 결합되어 쉽게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돌부홈(122)을 더 형성하도록 하는 데, 상기 결합돌부홈(122)은 세로체결홀(110)을 구성하는 스템홀(115)과 헤드홀(116)의 일부에만 형성하는 형태 또는 스템홀(115)과 헤드홀(116) 전체에 걸쳐서 형성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한 프로파일의 사이즈 외에도 다양한 규격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브라켓(100)의 규격이 대응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이즈라 하여도 본 발명의 권리에 귀속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몸체(101)의 정면(103)과 배면(102)이 평면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이캐스팅 과정에서 재료의 양을 줄이거나 무게를 경감하기 위한 목적 및 프로파일과의 밀착력 등을 고려하여 가로 및 세로체결홀(106,110)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통홀을 형성하거나 요입홈을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100)의 몸체(101)의 정면(103)을 가로방향 프로파일(104)의 끝단에 밀착시킨 후 배면(102)에서 정면(103)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체결홀(106)을 통하여 고정볼트(105)를 결합시켜 가로방향 프로파일(104)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가로방향 프로파일(104)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홀(111)에는 고정볼트(105)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를 형성하여 둠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로방향 프로파일(104)과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몸체(101)의 배면(102)을 세로방향 프로파일(107)과 연접시킨 후 세로체결홀(110)을 통하여 고정볼트(108)와 너트(109)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면 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프로파일(104,107)을 격자 형태 또는 목적하는 형태로 연결하여 프레임 또는 설비나 장비를 구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세로체결홀(110)을 통하여 고정볼트(108)와 너트(109)를 이용하여 브라켓(100)과 세로방향 프로파일(107)을 결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로방향 프로파일(107)의 개방홈(112)에는 너트(109)를 삽입하고, 세로체결홀(110)에는 고정볼트(108)를 결합한 후 고정볼트(108)와 너트(109)를 견고하게 조여 줌으로서 완료되며, 개방홈(112)에는 고정볼트(108)로 너트(109)를 조이더라도 너트(109)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는 주지된 프로파일의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프로파일(104,107)의 연결이 완료된 후에는 프로파일(104,107)의 개방홈에는 공지의 마감씰을 결합하고, 브라켓(100) 외부로 노출되는 세로체결홀(110)에는 마감캡(120)을 결합하여 시각적인 노출을 차단하도록 한다.
물론, 몸체(101)에 돌출되게 더 형성하는 위치결정핀(119)에 의하여 개방홈(112)과 정확한 위치에 몸체(101)을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며, 방향을 달리할 경우 또는 프레임이나 장비의 설치위치 등에 따라서는 몸체(101)의 정면(103)을 세로방향 프로파일(107)에 결합한 후 배면(102)에 가로방향 프로파일(104)을 결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직사각형상의 브라켓 2개를 이용하여 정사각형상의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형태로 사용하여도 될 것이며, 정사각형상의 브러켓 2개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상의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프로파일에 고정볼트 결합을 위한 나사(탭)을 형성하는 것 외에는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결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생산원가를 대폭절감할 수 있고, 프레임 등의 조립과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브라켓으로 인한 간섭을 배제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브라켓
101; 몸체
106; 가로체결홀
110; 세로체결홀
119 위치결정핀
120; 마감캡

Claims (8)

  1. 사각형상이면서 프로파일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배면(102)에서 정면(103) 방향으로 가로방향의 프로파일(104)과 고정볼트(105)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가로체결홀(106)과;
    상기 몸체(101)의 정면(103)에서 배면(102) 방향으로 세로방향의 프로파일(107)과 고정볼트(108)와 너트(109)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세로체결홀(110)로 구성하고;
    상기 가로체결홀(106)은, 몸체(101)의 정 중앙 또는 중앙부 양측 또는 코너부에 형성하고;
    상기 세로체결홀(110)은, 몸체(101)의 양측 또는 상,하측 또는 가로체결홀(106)을 기점으로 몸체(101)의 가장자리면(118) 방향으로 좌측과 상측, 상측과 우측, 좌측과 하측, 우측과 하측 또는 가로체결홀(106)을 기점으로 몸체(101)의 가장자리면(118) 방향으로 좌측과 상측 및 하측, 상측과 우측 및 하측에 몸체(101)의 가장자리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여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프로파일(104,107)의 외면에 형성되는 개방홈(112)과 일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가로체결홀(106)과 세로체결홀(110)은, 몸체(101)를 관통하여 고정볼트(105,108)의 몸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템홀(115)과;
    상기 고정볼트(105,108)의 헤드가 위치할 수 있는 헤드홀(116)과;
    상기 고정볼트(105,108)의 헤드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28907A 2017-03-07 2017-03-07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KR10190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07A KR101908537B1 (ko) 2017-03-07 2017-03-07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07A KR101908537B1 (ko) 2017-03-07 2017-03-07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72A KR20180102372A (ko) 2018-09-17
KR101908537B1 true KR101908537B1 (ko) 2018-10-17

Family

ID=6372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07A KR101908537B1 (ko) 2017-03-07 2017-03-07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684B1 (ko) 2019-10-25 2021-03-05 김진성 프로파일 연결브라켓 블록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201B1 (ko) * 2011-04-06 2012-04-19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구조
KR101137136B1 (ko) * 2011-04-12 2012-04-20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1488715B1 (ko) * 2013-04-11 2015-02-04 정정원 프레임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201B1 (ko) * 2011-04-06 2012-04-19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구조
KR101137136B1 (ko) * 2011-04-12 2012-04-20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1488715B1 (ko) * 2013-04-11 2015-02-04 정정원 프레임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684B1 (ko) 2019-10-25 2021-03-05 김진성 프로파일 연결브라켓 블록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72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91B1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1908537B1 (ko)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CA3041748C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the connection of two switchgear cabinet frameworks
CA2954845A1 (en) Wall panel connect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 units
KR200463058Y1 (ko) 프로파일 연결용 죠인트
KR100775350B1 (ko) 필러패널프레임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KR102164462B1 (ko) 프로파일용 밀착 체결장치
KR102176250B1 (ko)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CN210810285U (zh) 一种屏风连接结构
JP2005133304A (ja) サッシの接合構造
KR20150002921U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구
JP3710400B2 (ja) サッシ構造体
CN216691730U (zh) 一种便于清洁安装的铝型材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KR200397151Y1 (ko) 창틀 프레임용 코너 조인트
KR101676759B1 (ko) 파티션
CN219138373U (zh) 一种结构模板的倒角装置
KR100460572B1 (ko)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KR200362219Y1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JP4107887B2 (ja) 手摺隅部の構造
KR200315299Y1 (ko) 창틀의 조립 구조
TWM626072U (zh) 防脫落金屬擠出結構
JPS6019678Y2 (ja) 洗場付き浴槽
KR20160012304A (ko) 창틀 프레임 체결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