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375Y1 -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 Google Patents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375Y1
KR200285375Y1 KR2020020016117U KR20020016117U KR200285375Y1 KR 200285375 Y1 KR200285375 Y1 KR 200285375Y1 KR 2020020016117 U KR2020020016117 U KR 2020020016117U KR 20020016117 U KR20020016117 U KR 20020016117U KR 200285375 Y1 KR200285375 Y1 KR 200285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face plate
wedge pin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텍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텍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텍비즈
Priority to KR2020020016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375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 공사에서 벽 끝면·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에 관한 것으로, 설계된 건물 벽체의 두께와 전·후 벽면용 폼패널들의 두께를 합친 좌우 폭을 갖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철판제 성형면판부(11)와, 상기 성형면판부(11)의 상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는 상측 테두리부(12)와, 상기 성형면판부(11)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방측으로 직각 절곡되는 양측 테두리부(13)와, 상기 양측 테두리부(13)의 사이로 들어가 상기 성형면판부(11)의 소정높이마다 가로로 부착되는 다수의 보강평철(14)과, 상기 보강평철(14)들의 양측변부에 위치하여 보강평철(14)과 성형면판부(11)를 함께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웨지핀 체결공(1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후 유격·휨 및 밀림현상이 발생치 않으며 시공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Form Panel for End Header Wall}
본 고안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 공사에서 벽 끝면·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판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일체화된 패널을 만들고 그 배면에 다수의 보강평철을 가로로 덧댄 구조를 통해 구조적 강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후 유격·휨 및 밀림현상이 발생치 않으며 시공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이 동일평면 공사가 많은 현장에서는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치수의 크기로 철제 폼패널을 미리 제작하고, 이를 슬래브 위에 조립한 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벽체 공사에서 사용되는 철제 폼패널은 벽체의 전·후벽면용 폼패널과 벽 끝면·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철제 폼패널들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측압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유격·휨 또는 밀림현상이 발생치 않아야 벽면이 평탄하고 치수가 정확한 콘크리트 벽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조립되는 패널들의 높은 강도는 물론 체결부위의 견고성이 요구된다.
특히 벽체 전후면을 형성하게 되는 전·후 벽면용 폼패널의 평탄성 확보도 중요하지만, 문꼴부 등을 형성하게 되는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이 변형되어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추후 수행되는 창호공사 등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종래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 중 하나로,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27910호와 같은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이 개시된 바 있다.
이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은 도1a 및 도1b의 도시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세로부재(1) 일측면에 철제로 된 전면판넬(2)이 용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로부재(1)의 다른쪽 면에는 양단에 결합구멍(3)을 형성시킨 가로부재 (4)가 결합되어지되, 이 가로부재(4)는 상기 세로부재(1)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 결합된 구조로서, 쐐기형 체결부재(5)에 의해 전·후벽면용 거푸집판넬(6)의 세로부재(1)와 결합되어져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하는 모르타르의 측압을 받아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은, 전면판넬(2)과 전면판넬 (2)을 보강하는 세로부재(1)의 용접으로 인해 제작이 상당히 번잡하고 강도가 취약하며, 용접부위의 부식 및 파손으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져 전용률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채널형 강재로 이루어진 가로부재(4)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히 무겁고 부피가 커서 취급 및 보관이 어렵고 시공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후 벽면용 거푸집판넬(6)과의 체결을 평철로 만든 쐐기형 체결부재(5)로 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쐐기형 체결부재(5)와 결합구멍(3)의 유격 및 반복 사용시 헐거워져 패널 죠인트에 큰 폭의 유격발생과 밀림현상, 비틀림 현상 등이 발생하고 콘크리트가 새어나오는 등 벽체의 품질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게 되어 시공의 정밀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철판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일체화된 패널을 만들고 그 배면에 다수의 보강평철을 가로로 덧댄 구조를 통해 구조적 강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내구성이 좋고,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에 강하게 대처하여 보다 품질 좋은 콘크리트 벽체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주는 마구리 벽면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후 벽면용 패널과 본 고안에 의한 마구리 벽면 용 패널의 체결을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으로 체결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체결부위의 유격 및 밀림현상이 발생치 않도록 긴밀하게 체결하여 줌으로써, 시공의 정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한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거푸집용 모서리 패널의 설치상태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과 전·후 벽면용 폼패널이 결합되는 예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구리 벽면용 패널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11:성형면판부
12:상측 테두리부 13:양측 테두리부
14:보강평철 15:웨지핀 체결공
16:작은 구멍 21: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
21a:4각 구멍 22:평평한 형태로 된 웨지핀
23:잠금핀 30:수평조절 받침대
40:전·후 벽면용 폼패널 41:폼타이
42:세로부재 43:웨지핀 체결공
c:콘크리트 s:슬래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마구리 벽면용 패널은, 설계된 건물 벽체의 두께와 전·후 벽면용 폼패널들의 두께를 합친 좌우 폭을 갖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철판제 성형면판부; 상기 성형면판부의 상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는 상측 테두리부; 상기 성형면판부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방측으로 직각 절곡되는 양측 테두리부; 상기 양측 테두리부의 사이로 들어가 상기 성형면판부의 소정높이마다 가로로 부착되는 다수의 보강평철; 상기 보강평철들의 양측변부에 위치하여 보강평철과 성형면판부를 함께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웨지핀 체결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웨지핀 체결공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을 꽂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성형면판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 테두리부와 양측 테두리부들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면서 보강하는 구조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내구성 및 휨 저항성이 용접으로 붙인 여타 보강재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에 강하게 대처하여 보다 품질 좋은 콘크리트 벽체를 얻을 수 있으며, 용접부위의 파손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요인이 원천적으로 없어지므로 폼패널의 전용(재사용)회수를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후 벽면용 폼패널과 본 고안의 폼패널을 원형봉 형태의 웨지핀으로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 체결부위의 유격 및 밀림현상이 발생치 않아 정밀한 시공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은, 벽 끝면·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될 부분에 위치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면판부(11)와, 상기 성형면판부(11)의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뼈대를 이루는 상측 테두리부(12) 및 양측 테두리부(13)들과, 상기 성형면판부(11)의 배면에 부착되어 휨 저항성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평철(14)과, 웨지핀 체결자리를 제공하는 웨지핀 체결공(15)으로 구성된다.
성형면판부(11)와 상측 테두리부(12) 및 양측 테두리부(13)들은 일연체로 연이어진 철판재를 이용해 절곡 형성한다. 이때, 본 고안은 일연체로 연이어진 철판재를 절곡해 제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철판재를 쓰더라도 콘크리트측압을 충분히 받아 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면판부(11)는 설계된 건물 벽체의 두께와 전·후 벽면용 폼패널들의 두께를 합친 좌우 폭을 가지며, 벽 끝면·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될 부분에 적합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면판부(11)는 그 하부의 양측부가 전·후 벽면용 폼패널의 두께만큼 일정부분 절취되어 건물 벽체의 두께와 같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면판부(11)의 하측 절취부는 전·후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보강평철(14)은 철판재를 띠상으로 절단한 후 성형면판부(11)의 배면에 용접하여서 부착한다. 위와 같이 부착되는 보강평철(14)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폼패널의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강평철(14)은 성형면판부(11)의 배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부착하는데, 상부보다 하부쪽에 더 많은 수를 배치한다. 그 이유는 콘크리트 타설시 하부쪽에 더 큰 콘크리트 측압이 발생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웨지핀 체결공(15)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 (21)을 꽂을 수 있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도면에서는 상기 웨지핀 체결공(15)이 기본적으로는 원형구멍의 형태를 취하면서 원형구멍의 주변에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4각으로 연장시킨 1쌍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웨지핀 체결공(15)은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21)과 평평한 형태로 된 웨지핀(22)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꽂을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장에서의 편리성을 증가시켜 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을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상태를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을 설치하기에 앞서 건물의 슬래브(s)위에 벽체가 시공되어질 자리의 양측을 따라 먹선을 표시하고, 그 먹선을 따라 수평조절 받침대(30)를 설치한 후, 수평조절 받침대(30) 위에 전·후 벽면용 폼패널 (40)을 얹고 폼타이(41)로 전·후 벽면용 폼패널(40)을 연결시키면서 조립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10)을 수평조절 받침대(30)의 단부에 걸쳐놓고 전·후 벽면용 폼패널(40)의 측단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전·후 벽면용 폼패널(40)의 세로부재(42)에 뚫린 웨지핀 체결공 (43)과 본 고안에 의한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10)의 웨지핀 체결공(15)의 위치를 맞춘 다음,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 웨지핀(21)을 꽂고, 다시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21)에 형성된 4각 구멍(21a)에 사다리꼴 형태로 된 잠금핀(23)을 꽂아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21)이 빠지지 않도록 단속한다.
이때, 전·후 벽면용 폼패널(40)의 세로부재(42)에 뚫린 웨지핀 체결공(43)은 본 고안의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10)에 뚫린 웨지핀 체결공(15)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21) 대신 평평한 형태로 된 웨지핀(22)을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작업을 통해 설치하며, 모든 폼패널들의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존치시킨다.
콘크리트의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폼패널들을 해체하고 해체된 전·후 벽면용 폼패널(40)들 및 수평조절 받침대(30)들과 함께 추후 시행되는 벽체의 콘크리트 공사에 투입하여 반복적으로 재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좋고 또한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본 고안은 철판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절곡하여 일체화된 패널을 만들고 그 배면에 다수의 보강평철을 가로로 덧댄 구조를 통해 구조적 강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강하게 대처하여 주므로 평활도가 고르게 유지되는 콘크리트 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폼패널은 전·후 벽면용 패널과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으로 긴밀하게 체결토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후 체결부위의 유격 및 밀림현상이 발생치 않아 패널 죠인트 부위가 밀리거나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시공의 정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의 벽 끝면·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공사에 있어서,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보다 고품질의 벽체를 얻게 하여 주며, 매우 경제적인 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설계된 건물 벽체의 두께와 전·후 벽면용 폼패널들의 두께를 합친 좌우 폭을 갖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철판제 성형면판부(11);
    상기 성형면판부(11)의 상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는 상측 테두리부 (12);
    상기 성형면판부(11)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방측으로 직각 절곡되는 양측 테두리부(13);
    상기 양측 테두리부(13)의 사이로 들어가 상기 성형면판부(11)의 소정높이마다 가로로 부착되는 다수의 보강평철(14);
    상기 보강평철(14)들의 양측변부에 위치하여 보강평철(14)과 성형면판부(11)를 함께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웨지핀 체결공(1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 벽면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면판부(11)는 그 하부의 양측부가 전·후 벽면용 폼패널의 두께만큼 일정부분 절취되어 건물 벽체의 두께와 같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 벽면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핀 체결공(15)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21)을 꽂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 벽면용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핀 체결공(15)은 원형구멍의 주변에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4각으로 연장시킨 1쌍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여서, 원형봉 형태로 된 웨지핀(21)과 평평한 형태로 된 웨지핀(22)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꽂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 벽면용 패널.
KR2020020016117U 2002-05-27 2002-05-27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KR200285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7U KR200285375Y1 (ko) 2002-05-27 2002-05-27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7U KR200285375Y1 (ko) 2002-05-27 2002-05-27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375Y1 true KR200285375Y1 (ko) 2002-08-13

Family

ID=7312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17U KR200285375Y1 (ko) 2002-05-27 2002-05-27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3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340B2 (en) Concrete wall formwork module
US6279285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system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CN110359701B (zh) 一种外墙模板
KR200285375Y1 (ko) 마구리 벽면용 폼패널
KR100615037B1 (ko) 건축용 구조부재의 제작방법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20200134511A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2189982B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바 고정구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303825Y1 (ko) 마구리벽면용 절첩식 폼패널
JP4057946B2 (ja) 型枠兼断熱建材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100605363B1 (ko) 스틸스터드 패널
KR100322412B1 (ko) 조립식철골조와이를이용한건축공법
KR0127910Y1 (ko)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CN216739154U (zh) 用于泡沫轻质土路基的变形缝成型模板
JP3321670B2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設置器具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JP2008255583A (ja) 型枠連結具、壁面用型枠の形成方法、壁面の形成方法及び建築物の建築方法
JPH11323955A (ja) 型枠用セパレ―タ及びこのセパレ―タを用いたコンクリ―ト打設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