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76B1 -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76B1
KR101825176B1 KR1020170144656A KR20170144656A KR101825176B1 KR 101825176 B1 KR101825176 B1 KR 101825176B1 KR 1020170144656 A KR1020170144656 A KR 1020170144656A KR 20170144656 A KR20170144656 A KR 20170144656A KR 101825176 B1 KR101825176 B1 KR 10182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rame
hole
scaffold
fit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균
백승별
정훈조
Original Assignee
백종균
백승별
정훈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균, 백승별, 정훈조 filed Critical 백종균
Priority to KR102017014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비계프레임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는 두 비계프레임을 직각으로 연결결합하여 비계를 시공하기 위한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로서, 제1비계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슬롯부로 구성된 제1커넥팅부재; 및, 제2비계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홀과 상기 제2끼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슬롯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단부에는 핀삽입공이 형성된 끼움판으로 구성된 제2커넥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프레임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SCAFFOLD FRAME}
본 발명은 두 비계프레임을 직각되게 연결되도록 결합시키는 비계프레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비계프레임을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하되, 끼움결합방식으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비계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scaffolding)란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비계기둥, 띠장, 팔대, 발판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4483호에서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를 제시하였다.
등록특허 10-1654483호에 개시된 비계장치는 가볍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사각 형태의 비계프레임들을 "ㄴ"자 앵글타입으로 된 연결브라켓으로 직각되게 연결하고, 직각되게 연결된 비계프레임을 상에 안전발판을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비계프레임들을 T-볼트로 체결고정함에 따라 고공 작업시에도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고, 비계프레임들이 사각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발판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비계장치에서, "ㄴ"형 앵글로 사각 비계프레임들을 직각되게 연결 결합하는 경우, 비계프레임들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아서 비계프레임들이 임의적으로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성이 높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44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비계프레임들을 직각으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는, 두 비계프레임을 직각으로 연결결합하여 비계를 시공하기 위한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로서, 제1비계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슬롯부로 구성된 제1커넥팅부재; 및, 제2비계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홀과 상기 제2끼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슬롯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단부에는 핀삽입공이 형성된 끼움판으로 구성된 제2커넥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판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끼움홀 및 상기 제1끼움홀은 상기 끼움판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끼움홀의 길이가 상기 제1끼움홀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에는 장공형태의 제1볼트홀이 형성되어, 제1T볼트를 상기 제1비계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제1볼트홀에 통과시키고 상기 제1T볼트에 제1너트를 체결해줌으로써, 상기 고정판이 상기 제1비계프레임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고정관의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제2볼트홀이 형성되어, 제2T볼트를 상기 제2비계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제2볼트홀에 통과시키고, 상기 제2볼트홀에 제2너트를 체결해줌으로써 상기 고정관이 상기 제2비계프레임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제1커넥팅부재를 제1비계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제2커넥팅부재를 제2비계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커넥팅부재를 제1커넥팅부재에 끼움방식으로 연결고정하여 제1비계프레임과 제2비계프레임을 서로 직각으로 결합해주는 것으로서, 비계프레임들의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계프레임들의 결합력이 양호하여 임의적으로 비계프레임들이 분리되는 위험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시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끼움판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롯부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끼움홀 및 제2끼움홀이 끼움판의 폭에 대응되도록 제2끼움홀의 길이가 제1끼움홀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됨으로써, 끼움판을 보다 용이하게 슬롯부에 끼울 수 있어, 시공작업이 더욱 간편해져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해 시공된 비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비계프레임 연결장치의 시공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커넥팅부재에 대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커넥팅부재에 대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서 제1비계프레임과 제1커넥팅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에서 제2비계프레임과 제2커넥팅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계프레임 연결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30)는 이웃하는 두 비계프레임(10,20)을 서로 지각으로 결합시켜, 도 1과 같은 비계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계프레임 연결장치(30)는 두 비계프레임(10,20)을 서로 직각되게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커넥팅부재(31) 및 제2커넥팅부재(35)를 포함한다. 제1커넥팅부재(31)와 제2커넥팅부재(35)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나 석재, 또는 목재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커넥팅부재(31)는 고정판(32)과, 이 고정판(3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롯부(33)를 포함한다.
제1커넥팅부재(31)의 폭은 비계프레임(10)의 폭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32)에는 상하 이격되게 장공형태의 제1볼트홀(32a)이 2개 형성되어, T볼트(b1) 및 너트(n1)를 통해 제1비계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슬롯부(33)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판(3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끼움홀(33a)과 제2끼움홀(33b)이 형성된다.
이때, 제2끼움홀(33b)의 길이는 제1끼움홀(33a)의 길이 보다 짧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커넥팅부재(32)는 고정관(36)과, 이 고정관(36)의 하단에서 하부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끼움판(37)을 포함한다.
고정관(36)은 제2비계프레임(20)이 삽입 가능한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제2볼트홀(36a)이 관통형성되어, T볼트(b2) 및 너트(n2)를 통해 제2비계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제2볼트홀(36a)은 제1볼트홀(32a)과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끼움판(37)은 제1끼움홀(33a) 및 제2끼움홀(33b)에 삽입가능하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진 측단(37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아울러, 끼움판(37)의 하단부에는 핀삽입공(38)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T볼트(b1,b2)의 헤드 폭은 비계프레임(10,20)의 가이드홀(12,22)의 폭 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성되고, T볼트(b1,b2)의 헤드 길이는 비계프레임(10,20)의 가이드홀(12,22)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T볼트(b1,b2)의 헤드 폭은 제1볼트홀(32a) 및 제2볼트홀(36a)의 단축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성되며, T볼트(b1,b2)의 헤드의 길이는 제1볼트홀(32a) 및 제2볼트홀(36a)의 단축길이보다 크고 제1볼트홀(32a) 및 제2볼트홀(36a)의 장축길이보다는 작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비계프레임 연결장치(30)를 이용한 비계프레임 연결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커넥팅부재(31)를 제1비계프레임(10)에 고정설치한다. 구체적으로, T볼트(b1)의 헤드를 제1비계프레임(10)의 가이드홀(12) 내부로 집어넣은 후, 90도 회전시켜 도 6과 같이, T볼트(b1)의 헤드가 가이드홀(12)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한 후, T볼트(b1)를 고정판(32)의 제1볼트홀(32a)에 통과시키고, T볼트(b1)와 너트(n1)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도 3 및 도 6과 같이, 제1커넥팅부재(31)를 제1비계프레임(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팅부재(31)를 제1비계프레임(10)의 측면에 배치하여 제1볼트홀(32a)과 가이드홀(12)이 일치되게 한 후, T볼트(b1)의 헤드를 제1볼트홀(32a)을 통해 제1비계프레임(10)의 가이드홀(12) 내부로 집어넣은 후, 90도 회전시켜 도 6과 같이, T볼트(b1)의 헤드가 가이드홀(12)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한 후, T볼트(b1)에 너트(n1)를 체결하여 조여주는 방식으로 제1커넥팅부재(31)를 제1비계프레임(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팅부재(35)를 제2비계프레임(20)에 고정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2비계프레임(20)을 고정관(36)에 삽입하여 제2볼트홀(36a)과 제2비계프레임(20)의 가이드홀(22)이 일치되게 한 후, T볼트(b2)의 헤드를 제2볼트홀(36a)를 통해제2비계프레임(20)의 가이드홀(22) 내부로 집어 넣은 후, 90도 회전시켜 도 7과 같이 T볼트(b2)의 헤드가 가이드홀(22)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한 후, T볼트(b2)에 너트(n2)를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도 3 및 도 7과 같이, 제2커넥팅부재(35)를 제2비계프레임(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커넥팅부재(31)를 제1비계프레임(10)에 고정설치하고, 제2커넥팅부재(35)를 제2비계프레임(20)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제2커넥팅부재(35)의 끼움판(37)을 슬롯부(33)의 제1끼움홀(33a)과 제2끼움홀(33b)에 삽입하면, 핀삽입공(38)이 형성된 끼움판(37)의 하단부가 슬롯부(33)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록킹핀(미도시)을 핀삽입공(38)에 삽입해 주면, 록킹핀(미도시)이 끼움판(37)의 양측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끼움판(37)이 슬롯부(33)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 록킹상태가 되게 된다.
이후, 제1커넥팅부재(31)와 제2커넥팅부재(35)를 해체시에는 간편하게 록킹핀(미도시)을 핀삽입공(38)에서 빼낸 후, 끼움판(37)을 슬롯부(33)에서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연결장치(30)는 제1커넥팅부재(31)를 제1비계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제2커넥팅부재(35)를 제2비계프레임(20)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제2커넥팅부재(35)를 제1커넥팅부재(31)에 끼움방식으로 연결고정하여 제1비계프레임(10)과 제2비계프레임(20)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해주기 때문에, 비계프레임(10,20)들을 직각되게 결합하는 결합작업이 대단히 용이할 뿐 아니라, 비계프레임(10,20)들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비계구조를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결장치(30)는 끼움판(37)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롯부(33)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끼움홀(33a) 및 제2끼움홀(33b)이 끼움판(37)의 폭에 대응되도록 제2끼움홀(33b)의 길이는 제1끼움홀(33a)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끼움판(37)을 보다 용이하게 슬롯부(33)의 제1끼움홀(33a) 및 제2기움홀(33b)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비계프레임
12...가이드홀
20...제2비계프레임
22...가이드홀
30...비계프레임 연결장치
31...제1커넹팅부재
32...고정판
32a...제1볼트홀
33...슬롯부
33a...제1끼움홀
33b...제2끼움홀
35...제2커넥팅부재
36...고정관
36a...제2볼트홀
37...끼움판
38...핀삽입공

Claims (3)

  1. 두 비계프레임을 직각으로 연결결합하여 비계를 시공하기 위한 비계프레임 연결장치로서,
    제1비계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슬롯부로 구성된 제1커넥팅부재; 및,
    제2비계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홀과 상기 제2끼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슬롯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단부에는 핀삽입공이 형성된 끼움판으로 구성된 제2커넥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끼움홀 및 상기 제1끼움홀은 상기 끼움판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끼움홀의 길이가 상기 제1끼움홀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장공형태의 제1볼트홀이 형성되어, 제1T볼트를 상기 제1비계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제1볼트홀에 통과시키고 상기 제1T볼트에 제1너트를 체결해줌으로써, 상기 고정판이 상기 제1비계프레임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고정관의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제2볼트홀이 형성되어, 제2T볼트를 상기 제2비계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제2볼트홀에 통과시키고, 상기 제2볼트홀에 제2너트를 체결해줌으로써 상기 고정관이 상기 제2비계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KR1020170144656A 2017-11-01 2017-11-01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KR10182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56A KR101825176B1 (ko) 2017-11-01 2017-11-01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56A KR101825176B1 (ko) 2017-11-01 2017-11-01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176B1 true KR101825176B1 (ko) 2018-02-02

Family

ID=6122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56A KR101825176B1 (ko) 2017-11-01 2017-11-01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1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63B1 (ko) 2018-04-30 2018-10-05 김봉민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KR101968222B1 (ko) * 2018-06-25 2019-04-11 백종균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1978756B1 (ko) * 2018-12-31 2019-05-15 김경민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건축용 비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5843B1 (ko) * 2018-07-24 2019-07-03 주식회사 네모비계 높이 조절 및 강성 보강 구조를 갖는 잭베이스용 프레임,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계를 위한 잭베이스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건축 비계용 발판
US20160002936A1 (en) 2013-02-11 2016-01-07 4 Ken Pty Ltd Cantilevered supplementary support platform for modular scaffold
KR101654483B1 (ko) 2015-11-19 2016-09-09 조성주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건축 비계용 발판
US20160002936A1 (en) 2013-02-11 2016-01-07 4 Ken Pty Ltd Cantilevered supplementary support platform for modular scaffold
KR101654483B1 (ko) 2015-11-19 2016-09-09 조성주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63B1 (ko) 2018-04-30 2018-10-05 김봉민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WO2019212242A1 (ko) * 2018-04-30 2019-11-07 Kim Bong Min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KR101968222B1 (ko) * 2018-06-25 2019-04-11 백종균 건축용 시스템 비계
WO2020004888A1 (ko) * 2018-06-25 2020-01-02 신포메탈 주식회사 건축용 시스템 비계
JP2021529275A (ja) * 2018-06-25 2021-10-28 シンポ メタ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inpo Metal Co., Ltd. 建築用システム足場
KR101995843B1 (ko) * 2018-07-24 2019-07-03 주식회사 네모비계 높이 조절 및 강성 보강 구조를 갖는 잭베이스용 프레임,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계를 위한 잭베이스 모듈
KR101978756B1 (ko) * 2018-12-31 2019-05-15 김경민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건축용 비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76B1 (ko)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TWI601871B (zh) 組合強化聯結器及柱對準裝置
CN111287386B (zh) 一种用于钢筋部品化施工的机械连接装置及钢筋连接方法
KR20120133972A (ko) 철근 연결 장치
KR200386336Y1 (ko) 철근 연결구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WO2016206352A1 (zh) 具有连接头的棒材
KR20160071137A (ko) 스틸박스거더 연결구조
KR20190002186A (ko) 철근 커플러
KR101210827B1 (ko) 철근연결구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IT201900000370A1 (it) Dispositivo di bloccaggio/sbloccaggio rapido per il vincolo di un parafango al telaio
JP4661334B2 (ja) ボルト接合構造
CN204112265U (zh) 高速公路钢缆隔离栏固定装置
KR20170103284A (ko) 철근 커플러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20120028054A (ko) 관 연결구
JP3975124B2 (ja) セパレータの鉄筋側結合金具
KR102184018B1 (ko) 철근 커플러
CN217000194U (zh) 一种装配式组合长螺母锚固板预埋组件
JP2007327321A (ja) 型枠構造
KR20200133403A (ko) 연결부가 강화된 시스템 동바리 수직재
JP6430876B2 (ja) 連結部材及びフェンス
CN215407356U (zh) 一种用于脚手架的拉结装置
KR20140054691A (ko) 나사철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