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827B1 -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827B1
KR101210827B1 KR1020100080560A KR20100080560A KR101210827B1 KR 101210827 B1 KR101210827 B1 KR 101210827B1 KR 1020100080560 A KR1020100080560 A KR 1020100080560A KR 20100080560 A KR20100080560 A KR 20100080560A KR 101210827 B1 KR101210827 B1 KR 10121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s
reinforcing bar
pressure pins
main body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763A (ko
Inventor
강수일
Original Assignee
강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일 filed Critical 강수일
Priority to KR102010008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8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8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의 측면에 각기 결합공(14)과 일부가 연통되는 복수의 안내공(16)이 형성되게 하여 각 안내공(16)에 좌우가압핀(18)(20)을 결합한 다음 어느 한 가압핀(18)의 연결공(18a)을 관통하여 다른 한 가압핀(20)의 나사공(20a)에 볼트(22)를 체결해 주도록 구성함으로서 볼트(22)의 죄임시 좌우가압핀(18)(20)이 철근(24)을 가압고정해 주도록 하여 배가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연결구{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본 발명은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철근연결구로서의 인장강도를 충분히 만족하면서 철근결속작업시 조립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구조물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철근은 필요에 따라 여러개를 연결설치해 주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철근의 연결수단으로서는 용접이음과 압접이음 및 겹침이음 등과 같은 비기계식 이음 및 별도의 연결구(현장체결식)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 기계식 이음으로 구분되나, 조립성 및 견고성 등이 우수한 기계식 이음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철근의 기계식 이음을 위한 철근연결구에 대하여는 이미 출원이 제공한 특허출원 제2010-38658호와, 일본특개평7-217079와, 등록실용신안 제0182713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412860호 등이 제공된바 있다.
그러나 철근의 기계식 이음에 대하여 한국표준협회에서는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의 기계식 이음의 검사방법(KS D 0249)에 따라 일방향 인장시험(철근항복점의 125%이상)과, 저사이클 반복시험과, 고응력 반복내력시험과, 고사이클 피로시험 및 저온성능시험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철근연결구들은 그 자체로서는 적어도 일방향 인장시험 등을 만족할 수가 없거나 또는 일방향 인장시험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철근결속작업시 조립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지니게 된다.
즉 일본특개평7-217079의 경우 상하로 분리구성되는 종근죠인트의 결합공에 따라 각각 철근의 단부가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볼트넛을 이용한 상하종근죠인트의 결합시 상하종근죠인트가 갖는 웨브와 철근이 갖는 리브의 걸림으로 결속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연결구 자체의 강도가 매우 약하고 또 철근과의 걸림이 견고하지 못해 한국표준협회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방향 인장시험과 저사이클 반복시험 등을 만족시켜 주기 어렵다.
또한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10-38658호와 등록실용신안 제0182713호 및 동제0412860호는 연결구가 파이프형으로서 자체 강도는 만족하나 상하철근은 각각 연결구의 일측 상하에 나란히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연결고정되게 함으로서 철근항복점의 125%이상의 강도가 요구되는 일방향 인장시험과 저사이클 반복시험등을 통과하기 위하여는 볼트의 갯수를 늘려주어야 하므로 그만큼 연결구의 길이를 길게 형성해 줄 수 밖에 없어 재료비가 추가소요되고 또 철근의 연결작업시에는 죄임을 필요로 하는 볼트의 갯수가 늘어난만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구조물의 시공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를 최소화하고 또 볼트의 필요갯수를 줄이면서 철근의 결속시 요구되는 충분한 결속력을 얻을 수가 있는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철근연결구는 본체에 결합공의 일부와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각 안내공의 양측으로부터 가압핀을 결합하여 각기 어느 한 가압핀의 연결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다른 한 가압핀이 갖는 볼트공에 체결되게 하여 본체의 결합공에 철근을 결합한뒤 볼트를 죄여주게 되면 좌우가압핀이 철근을 가압고정해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볼트(22)의 죄임시 좌우가압핀(18)(20)이 철근(24)을 가압고정해 주게 되므로 각기 볼트(22)에 의한 철근(24)의 가압력을 배가시켜 줄 수가 있는만큼 철근(24)의 결속을 위한 볼트(22)이 필요갯수를 줄여줄 수가 있고 그에 따라 본체(10)의 길이를 축소해 줄 수가 있게 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가 있고, 특히 철근(24)의 결속을 위한 볼트(22)의 죄임시간을 줄여줄 수가 있어 구조물의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평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사용상태 평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0)의 상하에 걸림테(12)를 사이에 두고 결합공(14)이 형성되고 또 본체(10)의 측면 상하에는 각기 결합공(14)의 일부와 연통되는 1개 이상의 안내공(16)이 관통형성되며, 본체(10)의 각 안내공(16)에는 양측으로부터 가압핀(18)(20)이 결합되게 하여 각기 볼트(22)가 어느 한 가압핀(18)의 연결공(18a)을 관통하여 다른 가압핀(20)의 나사공(20a)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측면으로부터 관통형성되는 각 안내공(16) 및 안내공(16)에 삽입되는 좌우가압핀(18)(20)은 각지게 형성하여 결합시 가압핀(18)(20)의 회전이 방지되게 하고 또 가압핀(18)(20)의 내측 단부에는 철근(24)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면(18b)(20b)이 만곡형성되게 하며, 가압핀(18)(20)의 외측 단부에는 가조립시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편(18c)(20c)이 돌출형성되게 한다.
다만 본체가 갖는 안내공 및 가압핀은 반드시 각지게 형성해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또 걸림편 역시 없애주더라도 만족할 수가 있다.
그러나 가압핀(18)(20)의 상하두께는 철근(24)의 돌출테(24a)사이에 갖는 접촉면(24b)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철근(24)과의 접촉에 의한 가압시 돌출테(24a)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어야만 보다 견고한 결속력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체(10)가 갖는 각 안내공(16)의 양측으로부터 가압핀(18)(20)을 결합하고 또 각기 어느 한 가압핀(18)의 연결공(18a)을 통하여 다른 한 가압핀(20)의 나사공(20a)에 볼트(22)를 느슨하게 체결해 주게 되면 가압핀(18)(20)은 걸림편(18c)(20c)에 의해 본체(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가조립상태로 보관 및 운반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한 철근(24)의 결속작업시에는 철근(24)의 단부를 각각 본체(10)가 갖는 상하 결합공(14)에 깊숙히 결합한뒤 볼트(22)를 죄여주게 되면 좌우가압핀(18)(20)이 철근(24)을 가압고정하여 결속해 주게 된다.
즉 각 볼트(22)는 어느 한 가압핀(18)의 연결공(18a)을 관통하여 다른 한 가압핀(20)의 나사공(20a)에 체결되므로 볼트(22)의 좌임시 볼트(22)에 헐겁게 끼워져 볼트머리에 지지되는 어느 한 가압핀(18) 및 볼트(22)와 나사결합되는 다른 한 가압핀(20)은 각기 내측으로 전진하여 그 단부에 갖는 만곡된 접촉면(18b)(20b)이 볼트(22)의 강한 죄임력에 의해 철근(24)의 돌출테(24a) 사이에 갖는 접촉면(24b)과 접촉하여 가압해 주게 되므로 철근(24)을 견고히 결속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근(24)의 결속을 위한 볼트(22)의 죄임시 각기 좌우2개의 가압핀(18)(20)이 철근(24)을 가압고정해 주도록 구성된만큼 철근(24)의 결속력을 배가시켜 줄 수가 있어 원하는 결속력을 얻기 위한 볼트(22)의 필요갯수를 줄일 수가 있게 되므로 본체(2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제작시 재료비절감을 가져오도록 할 수가 있고, 특히 철근(24)의 결속작업시에는 볼트(22)의 죄임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가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본체 (12)--걸림테
(14)--결합공 (16)--안내공
(18)--가압핀 (18a)--연결공
(18b)--접촉면 (18c)--걸림편
(20)--가압핀 (20a)--나사공
(20b)--접촉면 (20c)--걸림편
(22)--볼트 (24)--철근
(24a)--돌출테 (24b)--접촉면

Claims (2)

  1. 본체 상하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각각 철근을 결합하여 볼트의 죄임에 의한 가압핀의 전진으로 가압핀이 갖는 접촉면이 철근을 가압고정해 주도록 구성되는 철근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일체형으로서 그 측면에 각기 결합공(14)과 일부 연통되는 복수의 안내공(16)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각 안내공(16)에 본체(10)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편(18c)(20c)을 갖는 좌우한쌍의 가압핀(18)(20)을 결합한 다음 어느 한 가압핀(18)의 연결공(18a)을 관통하는 볼트(22)가 다른 한 가압핀(20)이 갖는 나사공(20a)에 나사결합되게 하여 볼트(22)의 죄임시 좌우가압핀(18)(28)이 동시에 전진하여 철근(24)을 가압고정해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2. 삭제
KR1020100080560A 2010-08-20 2010-08-20 철근연결구 KR10121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560A KR101210827B1 (ko) 2010-08-20 2010-08-20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560A KR101210827B1 (ko) 2010-08-20 2010-08-20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763A KR20120017763A (ko) 2012-02-29
KR101210827B1 true KR101210827B1 (ko) 2012-12-11

Family

ID=4583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560A KR101210827B1 (ko) 2010-08-20 2010-08-20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279B1 (ko) * 2015-10-02 2017-06-30 (주)엔아이스틸 철근 기계식 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98B1 (ko) * 2012-06-21 2014-03-26 길병모 철근 커플러
KR101441233B1 (ko) * 2013-02-26 2014-09-18 진성철강주식회사 철근 커플러
CN112681620A (zh) * 2020-12-23 2021-04-20 南通装配式建筑与智能结构研究院 插筋万向调节连接器及其连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70Y1 (ko) * 2001-11-29 2002-02-25 하상수 철근연결구
KR200404184Y1 (ko) 2005-09-20 2005-12-19 정범건 철근연결구
KR100603754B1 (ko) 2004-02-17 2006-07-26 이성문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70Y1 (ko) * 2001-11-29 2002-02-25 하상수 철근연결구
KR100603754B1 (ko) 2004-02-17 2006-07-26 이성문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KR200404184Y1 (ko) 2005-09-20 2005-12-19 정범건 철근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279B1 (ko) * 2015-10-02 2017-06-30 (주)엔아이스틸 철근 기계식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763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787B2 (en) Joint fitting between members and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upper and lower floor vertical frame members
KR101210827B1 (ko) 철근연결구
EP2686508B1 (en) Intercoupled piping assembly
KR101496355B1 (ko) 철근 연결 및 정착장치
KR20060052756A (ko) 철근이음장치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433065B1 (ko)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철골조
KR100581610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JP4024686B2 (ja) 木造建築物の接合補強材及び接合補強構造
KR101360360B1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2317467B1 (ko) 철근 연결구
KR101468037B1 (ko) 충전재주입식 철근연결구
KR101468039B1 (ko) 철근 연결구
KR100750938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1128660B1 (ko) 철근 연결구
KR200374940Y1 (ko) 철근 연결구조
KR200386308Y1 (ko) 철근 연결구
KR100648378B1 (ko)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 공종에서 철근의 겹친이음을대신하는 철근이음장치
KR200317061Y1 (ko) 철근 연결구
KR200234943Y1 (ko)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KR101022047B1 (ko) 철근 커플러
KR200355433Y1 (ko) 건축용 패널의 연결부재
KR200426059Y1 (ko) 건설용 구조재
KR200314037Y1 (ko)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