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970Y1 -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970Y1
KR200265970Y1 KR2020010036918U KR20010036918U KR200265970Y1 KR 200265970 Y1 KR200265970 Y1 KR 200265970Y1 KR 2020010036918 U KR2020010036918 U KR 2020010036918U KR 20010036918 U KR20010036918 U KR 20010036918U KR 200265970 Y1 KR200265970 Y1 KR 200265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nnector
fixing
bol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수
Original Assignee
하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수 filed Critical 하상수
Priority to KR2020010036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970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의 조립작업 이전에 철근연결구 부속부품들을 공장 등에서 조립하여 반입한 후 철근이음현장에서 신속·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철근 연결구이다.
하부연결체(30)의 좌 ·우측에 위치하는 고정키이(30a)와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30c)를 고정볼트(30d)로 고정시킨 후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를 회전하여 고정키이(30a)를 전진시켜 철근(10)과의 조립에 간섭없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부연결체(40)도 하부연결체(30)에 부착된 부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키이(40a)와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40c)를 고정볼트(40d)로 고정시킨후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를 회전하여 고정키이(40a)를 전진시켜 철근(20)과의 조립에 간섭없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부품들이 부착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는 암나사(30e)와 수나사(40e)의 형태로 조립되어 지며, 가능한 많은 나사산이 물릴수 있도록 조립하여 현장에 반입한다.
상기와 같이 일체화로 조립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를 하부연결체(30) 구멍속 방향으로 선시공된 철근(10)이 위치토록 하여 선시공된 철근(10)이 하부연결체(30)의 암나사(30e) 중간부에 머물게하여 하부연결체(30)의 좌·우측에 부착된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를 회전시켜 철근마디(10a) 사이의 홈에 좌·우측의 고정키이(30a)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선시공된 철근(10)에 고정된 상부연결체(40) 구멍속 방향으로 연결될 철근(20)을 삽입시켜 선시공된 철근(10)위에 부딪히게 한다.
상부연결체(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철근마디(20a) 사이의 홈에 좌·우측의 고정키이(40a)가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측의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를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철근연결구 {Reinforcing bar Joint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인의 특허출원중(10-2001-24193)인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연결체(30)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고정키이(30a)와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30c)를 고정볼트(30d)로 고정시킨 후,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를 회전하여 고정키이(30a)를 전진시켜 철근(10)의 조립에 간섭 없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부연결체(40)도 하부연결체(30)에 부착된 부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키이(40a)와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40c)를 고정볼트(40d)로 고정시킨 후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를 회전하여 고정키이(40a)를 전진시켜 철근(20)과의 조립에 간섭없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부품들이 부착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는 암나사(30e)와 수나사(40e)의 형태로 조립되어지며 가능한 많은 나사산이 물릴수 있도록 조립하여 현장에 반입된다. 상기와 같이 일체식으로 조립되어 현장에 반입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는 하부연결체(30) 구멍속 방향으로 선 시공된 철근(10) 상부가 위치토록하며, 선시공된 철근(10)끝이 하부연결체(30)의 암나사(30e) 중간부에 머물게 하여, 하부연결체(30)의 좌·우측에 부착된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를 회전시켜 철근마디(10a) 사이의 홈에 좌·우측의 고정키이(30a)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후속작업으로 연결될 철근(20)을 상부연결체(40) 구멍속 방향으로 삽입시킨 후, 선시공된 철근(10)위에 부딪치게 한다. 상부연결체(40)에 부착된 좌 ·우측의 고정키이(40a)가 철근마디(20a) 사이의 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연결체(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한 후 좌·우측의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를 회전시켜 좌·우측의 고정키이(40a)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조상 인장 및 압축강도가 크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기존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철근연결이음 방법에 있어 철근의 겹치기 이음방식은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극히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철근의 각이음부에 나사산을 만들어 연결하는 방식은 나사산을 가공하는 작업이 어렵고, 나사산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철근이음부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야 하는 등 현장조립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등에서 각종부품들이 조립되어 일체화된 상·하부 연결체를 현장에 반입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철근과의 조립이 가능하고, 연결될 철근(20)의 길이방향으로 철근이음부의 간격이 불규칙하여도 조립이 가능하며, 금속재료로 제작된 고정키이(30a, 40a)에 의한 견고한 고정으로 철근이음부의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크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작업에서 반드시 발생되는 철근이음부의 절단면 위치가 불규칙하거나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간단한 조정으로 정확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그리고 여러개의 철근마디와 마디사이의 넓은 폭을 금속재질의 고정키이(30a, 40a)로 고정시키므로써 철근이음부의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를 크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작업시 별도의 철근조립용 공구가 필요없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이 간단하다. 선시공된 철근(10)위에 조립된 상부연결체(40) 구멍을 연결될 철근(20)을 설치할 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활용하므로써 작업이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연결구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연결구의 평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선시공된 철근 10a : 철근마디
20 : 연결될 철근 20a : 철근마디
30 : 하부연결체 30a : 고정키이
30b :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30c :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Bracket)
30d : 고정볼트 30e : 암나사
40 : 상부연결체 40a : 고정키이
40b :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40c :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Bracket)
40d : 고정볼트 40e : 수나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철근의 조립작업 이전에 공장 등에서 철근연결구 부속 부품들을 조립하여 반입하는 것으로 조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부연결체(30)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고정키이(30a)와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30c)를 고정볼트(30d)로 고정시킨 후,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를 회전하여 고정키이(30a)를 전진시켜 선시공된 철근(10)의 조립에 간섭없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부연결체(40)도 하부연결체(30)에 부착된 부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키이(40a)와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브라켓트(40c)를 고정볼트(40d)로 고정시킨 후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를 회전하여 고정키이(40a)를 전진시켜 연결된 철근(20)과의 조립에 간섭없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부품들이 부착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는 암나사(30e)와 수나사(40e)의 형태로 조립되어지며 가능한 많은 나사산이 물릴수 있도록 조립하여 현장에 반입된다. 상기와 같이 일체식으로 조립되어 현장에 반입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는 하부연결체(30) 구멍속 방향으로 선시공된 철근(10)상부가 위치토록하며, 선시공된 철근(10)끝이 하부연결체(30)의 암나사(30e) 중간부에 머물게하여, 하부연결체(30)의 좌·우측에 부착된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를 회전시켜 철근마디(10a) 사이의 홈에 좌·우측의 고정키이(30a)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후속 작업으로 연결될 철근(20)을 상부연결체(40) 구멍속 방향으로 삽입시킨 후, 선시공된 철근(10)위에 부딪치게 한다. 상부연결체(40)에 부착된 좌 ·우측의 고정키이(40a)가 철근마디(20a) 사이의 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연결체(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한 후 좌 ·우측의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를 회전시켜 좌·우측의 고정키이(40a)를 연결될 철근(2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수직 철근 이음방법이외의 수평철근이음 방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수직철근 이음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설치위치가 수평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여러개의 철근마디와 마디사이의 홈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고정키이(30a, 40a)로 고정되므로 철근이음부의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크고, 현장작업에서 반드시 발생하는 철근이음부간의 불규칙한 간격이 발생하여도 간단한 조정으로 철근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현장작업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강도의 품질보증이 가능하다. 또한 철근이음작업에 별도의 조립용 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선시공된 철근(10)위에 조립된 상부연결체(40) 구멍속을 연결될 철근(20)의 하부지지대 역할로 활용하므로서 작업속도가 빠르고 경제성이 높다.

Claims (1)

  1. 선시공된 철근(10)과 연결될 철근(20) 이음부원둘레에 부착되며, 암나사(30e)와 수나사(40e)간의 나사이음으로 일체화된 하부연결체(30)와 상부연결체(40)의 구조로 :
    하부연결체(30)에 조립되는 대칭형의 고정키이(30a),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30b),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Bracket(30c), 고정볼트(30d) :
    상부연결체(40)에 조립되는 대칭형의 고정키이(40a),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40b), 손잡이 달린 조임볼트 지지용 Bracket(40c), 고정볼트(40d) :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
KR2020010036918U 2001-11-29 2001-11-29 철근연결구 KR200265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18U KR200265970Y1 (ko) 2001-11-29 2001-11-29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18U KR200265970Y1 (ko) 2001-11-29 2001-11-29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970Y1 true KR200265970Y1 (ko) 2002-02-25

Family

ID=7307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918U KR200265970Y1 (ko) 2001-11-29 2001-11-29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27B1 (ko) * 2010-08-20 2012-12-11 강수일 철근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27B1 (ko) * 2010-08-20 2012-12-11 강수일 철근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970Y1 (ko) 철근연결구
KR20030023318A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170064585A (ko) 철근체결장치
JP3165699U (ja) タイロッド用連結具
KR20010074270A (ko) 철근연결구
KR200271929Y1 (ko) 철근 결속용 클램프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JP3868031B2 (ja) 型枠角部の締結構造
JPH0213630A (ja) ねじ付き棒状体と長ナットの継手構造
JPH07127142A (ja) 閉鎖型断面を備えた鉄骨材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KR20140054691A (ko) 나사철근 연결장치
JP2001355287A (ja) 木造建造物の構造部材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KR200243949Y1 (ko) 철근 결속용 클램프
GB2375579A (en) Tube Connector
RU2772090C1 (ru) Т-образный болт
KR100406140B1 (ko) 철근 이음장치
JPH08100520A (ja) 足場つなぎ構造
JPH11350737A (ja) 鉄筋の接続構造
KR19980068522U (ko) 철근연결금구
JP3828005B2 (ja) 削孔芯出し治具及び削孔芯出し治具を用いた削孔方法
KR200341413Y1 (ko) 구조물용 커넥터
KR20060013002A (ko)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KR19990008007U (ko) 철근연결구
KR20030038129A (ko) 볼트와 너트의 풀림방지구조
JP4809301B2 (ja) 木材継合金具用固定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