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25B1 - 조립식 고공 작업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고공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825B1
KR102360825B1 KR1020200056078A KR20200056078A KR102360825B1 KR 102360825 B1 KR102360825 B1 KR 102360825B1 KR 1020200056078 A KR1020200056078 A KR 1020200056078A KR 20200056078 A KR20200056078 A KR 20200056078A KR 102360825 B1 KR102360825 B1 KR 10236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r
vertical
frame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791A (ko
Inventor
김오동
Original Assignee
(주)위드원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원모터스 filed Critical (주)위드원모터스
Priority to KR102020005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고공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고공 작업대{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본 발명은 고공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 조립을 가능토록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의 관한 것이다.
손이 미치기 곤란한 고공에서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하게 수행하기 위해 이동식 또는 정치식 작업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대는 각종 건축 구조물 구축공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천장에 설치된 별도의 시설물을 수리 및 교체, 차량의 수리, 도배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통상 작업대는 사람이 밟고 올라서는 발판과, 발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는데, 사용 목적에 따라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휴대를 위해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의 작업대들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작업대는 하중 지지 능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실내 도배, 천정부의 간단한 작업 등 작업자 한 명 정도의 하중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엔 일반적인 휴대용 사다리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고, 이에 따라, 다리 높이를 조절한다거나 휴대를 위해 접거나 분해/조립을 하기 간편하다.
그러나, 건축 구조물 구축공사현장, 자동차 수리 등 복수의 작업자를 동시에 지지한다거나, 작업자 외 각종 공사 및 수리 도구, 구조물 부재 등을 함께 지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연결부재와 지지부재 등 작업대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대의 휴대, 보관, 설치 등의 취급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뒤따른다.
특히, 작업자의 현장 출장시 작업대의 부피를 축소시키지 못하게 되면 작업대가 불필요하게 점유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출장 장비의 부피증가로 인해 작업자의 이동 편의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작업대의 설치/해체를 쉽게 하고, 아울러, 작업대를 접거나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하되, 특히, 분해시 점유면적을 최소화시켜 작업대의 휴대 및 보관이 쉽도록 하는 작업대의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54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고공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면에 이동캐스터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타단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부에 거치되는 제1 발판부재; 상기 제1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2 발판부재; 상기 제2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3 발판부재; 및 상기 제3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전방결합구;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전방결합구; 및 상기 제2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후방결합구; 상기 제1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후방결합구;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후방결합구; 및 상기 제3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4 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는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후방수직바의 개방된 상단으로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1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3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1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4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2 사이드결합구가 형성되는 제2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2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2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재는,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2 전방결합구와 제1 후방결합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상판결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판프레임; 및 상기 상판프레임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상부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재의 후방 변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부에서 상부를 향해 측벽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판부재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하판부재; 및 상단은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각각에, 하단은 상기 상판부재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보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판부재는,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3 전방결합구와 제2 후방결합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하판결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판프레임; 및 상기 하판프레임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하부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베이스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루프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발판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상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측면보강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하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작업대의 조립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이동조작부가 적용된 작업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이동조작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이동조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베이스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루프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제2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발판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상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측면보강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하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에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크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이동캐스터(11)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부(1),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전방수직프레임부(2),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에 결합되는 후방수직프레임부(3),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에, 타단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4),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부에 거치되는 제1 발판부재(5), 상기 제1 발판부재(5)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에 거치되는 제2 발판부재(6). 상기 제2 발판부재(6)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에 거치되는 제3 발판부재(7) 및 상기 제3 발판부재(7)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2)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각각 거치되는 상판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작업대를 구성하는 상기 부재들은 각각 서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성을 갖춤으로써 휴대 또는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부(1)는 작업대의 하부를 구성하며 이동캐스터(11)를 매개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동캐스터(11)는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베이스프레임부(1)에는 상부를 향해 복수의 수직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결합돌기(12) 각각에는 전방수직프레임부(2), 후방수직프레임부(3),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및 발판프레임부(300)가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는 각각 전, 후 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설치될 수 있다.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는 작업대의 주요 골격을 구성하며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 사이로 상판부재(400), 후술 될 하판부재(500) 등이 거치되고, 상단으로는 루프프레임부(4)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방수직프레임부(2)는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21),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방수평바(22),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전방결합구(23), 상기 제1 전방결합구(23)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전방결합구(24) 및 상기 제2 전방결합구(24)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전방결합구(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방수직바(21) 각각은 중공 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하방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할 수 있다. 전방수직바(21)는 하단으로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토록 해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 결합될 수 있다.
전방수평바(22)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21)를 각각 연결해 전방수직바(21)와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전방결합구(23), 제2 전방결합구(24) 및 제3 전방결합구(25)는 서로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전방수직바(21)의 후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전방결합구(23), 제2 전방결합구(24) 및 제3 전방결합구(25)는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룰 이루게 된다.
제1 전방결합구(23)에는 루프프레임부(4)의 일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전방결합구(24)에는 상판부재(400)의 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전방결합구(25)에는 후술 될 하판부재(500)의 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후방수직프레임부(3)는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31),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를 연결하는 복수의 후방수평바(32),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후방결합구(33), 상기 제1 후방결합구(33)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후방결합구(34),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후방결합구(35) 및 상기 제3 후방결합구(35)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4 후방결합구(3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수직바(31) 각각은 중공 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하방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할 수 있고, 개방된 상방으로 루프프레임부(4)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다.
후방수평바(32)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31)를 각각 연결해 후방수직바(31)와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후방결합구(33)와 제2 후방결합구(34)는 후방수직바(31)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어 전방수직프레임부(2)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3 후방결합구(35)와 제4 후방결합구(36)는 후방수직바(31)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어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후방수직바(31)에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후방결합구(33)에는 상판부재(400)의 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후방결합구(34)에는 하판부재(500)의 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후방결합구(35)와 제4 결합구에는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가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방수직프레임부(2)의 제2 전방결합구(24)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제1 후방결합구(33)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전방수직프레임부(2)의 제3 전방결합구(25)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제2 후방결합구(34)는 각각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상판부재(400)와 하판부재(500)를 수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판부재(400)는 작업자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하판부재(500)는 각종 도구를 안착시키는 선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판부재(400)와 하판부재(50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질 경우 작업자 또는 작업도구 전도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4) 각각은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켜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를 효율적으로 분산 지지하여 작업대의 체적 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루프프레임부(4)는 상판부재(400)로 올라간 작업자의 손잡이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루프프레임부(4)는 상기 제1 전방결합구(23)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후방수직바(31)의 개방된 상단으로 타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루프프레임부(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루프결합돌기(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루프결합돌기(41) 중 루프프레임부(4)의 일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전방수직프레임부(2)의 제1 전방결합구(23)에, 타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개방된 후방수직바(31)의 상단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즉, 루프프레임부(4)는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단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작업대의 분해 및 조립 공정을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및 발판프레임부(300)는 작업대의 좌, 우 측면을 구성하며, 제1, 2, 3 발판부재(5,6,7)를 각각 지지한다.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는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지지되고,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는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에 지지되고, 발판프레임부(300)는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에 지지되는 연동결합관계를 갖출 수 있다.
먼저,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 상기 제1 사이드수직바(110)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3 후방결합구(35)로 삽입되는 제1 상부삽입돌기(121)가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바(120) 및 상기 제1 상부수평바(120)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4 후방결합구(36)로 삽입되는 제1 하부삽입돌기(131)가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바(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사이드수직바(11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하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를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가 지지 및 삽입될 수 있다.
제1 상부수평바(120)와 제1 하부수평바(130)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에서 후방수직바(31)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또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는 대략 'F'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수평바(120)는 제3 후방결합구(35)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상부수평바(12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1 상부삽입돌기(121)가 제3 후방결합구(35)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하부수평바(130)는 제4 후방결합구(36)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하부수평바(13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1 하부삽입돌기(131)가 제4 후방결합구(36)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각각은, 전술한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2 사이드결합구(211)가 형성되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 상기 제2 사이드수직바(210)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로 삽입되는 제2 상부삽입돌기(221)가 형성되는 제2 상부수평바(220) 및 상기 제2 상부수평바(220)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로 삽입되는 제2 하부삽입돌기(231)가 형성되는 제2 하부수평바(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사이드수직바(21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하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 결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결합구(211)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의 후면에 형성되어 발판프레임부(300)를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발판프레임부(300)가 지지 및 삽입될 수 있다.
제2 상부수평바(220)와 제2 하부수평바(230)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에서 제1 사이드수직바(110)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또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는 대략 'F'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상부수평바(220)는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2 상부수평바(22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2 상부삽입돌기(221)가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부수평바(230)는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에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2 하부수평바(23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2 하부삽입돌기(231)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결합구들은 일정 길이로 재단된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의 삽입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특정 부재들이 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일단에 발판삽입돌기(310)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춘다. 발판프레임부(300)의 개방된 타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가 수용되어 베이스프레임부(1) 상에 발판프레임부(300)가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일단은 제2 사이드수직바(210)를 향해 연장되어 발판삽입돌기(310)가 인접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의 제2 사이드결합구(211)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2, 3 발판부재(5,6,7)는 모두 유사 또는 동일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발판부재(5)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부에 안착되고, 제2 발판부재(6)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의 제2 하부수평바(230) 상부에 안착되고, 제3 발판부재(7)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의 제1 하부수평바(130) 상부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재(5)는 좌, 우 양측에 플랜지(51)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발판(52)과 상기 발판(52)을 하면에서 지지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5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51)와 지지프레임(53)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해 상기 플랜지(51)와 지지프레임(53) 사이에 발판프레임부(3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발판프레임부(300)가 개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제1 발판부재(5)가 조립되었을 때 흔들림을 방지해 조립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판부재(400)는 제1, 2, 3 발판부재(5,6,7)를 딛고 작업자가 올라 서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충분한 작업공간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고공 작업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되야 하는 만큼 분해 및 조립의 편의성까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상판부재(400)는 골격 부분과 판재 부분을 별도 구성함으로써 안정성과 분해 및 조립의 편의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상판부재(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2 전방결합구(24)와 제1 후방결합구(33)에 동시에 삽입되는 상판결합돌기(4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판프레임(410) 및 상기 상판프레임(410)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상부판재(4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판프레임(410)은 대략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모서리에 상판결합돌기(4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프레임(410)의 둘레 변부에는 보강결합돌기(4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돌기(412)는 후술 될 측면보강프레임부(8)의 개방된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재(420)에는 상부판재(420)의 후방 변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부에서 상부를 향해 측벽(42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421)을 통해 상부판재(420)에 올려 놓은 작업도구가 아래로 굴러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421)이 상부판재(420)의 후방 변부에는 제외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제3 발판부재(7)를 딛고 상판부재(400)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측벽(42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상기 상판부재(400)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2)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각각 거치되는 하판부재(500) 및 상단은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4) 각각에, 하단은 상기 상판부재(400)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보강프레임부(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측면보강프레임부(8)는 루프프레임부(4)와 상판부재(400)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루프프레임부(4)와 상판부재(400) 양자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조립된 상태에서의 작업대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보강프레임부(8)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며 상, 하단이 개방된 중공 파이프 형태의 한쌍의 측면수직바(81)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수직바(81)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수평바(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측면수직바(81)의 개방된 상단에는 루프프레임이 루프결합돌기(41)가 삽입되고 개방된 하단에는 상판부재(400)의 보강결합돌기(412)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부판재(420)의 측벽(421)에는 일정 간격마다 절개홈(422)이 절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개홈(422)의 내부로 보강결합돌기(412)가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측면수직바(81)의 하단이 절개홈(42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 개방된 부분으로 보강결합돌기(412)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측면수직바(81)의 하단 내부로는 보강결합돌기(412)가 삽입되고 측면수직바(81)의 하단 외부로는 측벽(421)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어 측면보강프레임부(8)가 상판부재(400)에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다음으로, 하판부재(500)는 상판부재(400)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작업자의 작업도구들을 거치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하판부재(500)는 전술한 상판부재(4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3 전방결합구(25)와 제2 후방결합구(34)에 동시에 삽입되는 하판결합돌기(5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판프레임(510) 및 상기 하판프레임(510)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하부판재(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전방에 위치한 하판결합돌기(511)는 제3 전방결합구(25)에 삽입될 수 있고, 후방에 위치한 하판결합돌기(511)는 제2 후방결합구(3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지면을 딛고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조작부(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에는 좌, 우 방향으로 회동축(13)이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조작부(600)는 회동축(13)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조작부(600)는 작업대의 위치이동이 요구될 경우 상판부재(400)에 올라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내려올 필요 없이 상판부재(400)에 올라 선 상태에서 이동조작부(600)를 조작해 작업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이동조작부(600)는 회동축(13)에 장착되는 브라켓(610), 상기 브라켓(610)의 전, 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바(6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620)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지바(620)를 한 쌍의 지지바(620)가 마주보는 반대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원부재(630) 및 상기 브라켓(6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6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브라켓(610)에는 상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장착구(611) 및 하부를 향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장착구(612)가 각각 분기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착구(611)에는 손잡이(6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장착구(612)각각에는 지지바(62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지지바(620)의 끝단에는 지면에 대해 마찰저항을 일으키는 논슬립부재(621)가 형성됨으로써 지면에 보다 밀착되어 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바(620)는 손잡이(64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도록 해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0)를 회동 작동시키게 되면 지지바(62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640)의 조작에 의해 작업대를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
복원부재(630)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지지바(620)가 지면에서 이격되는 순간 지지바(620)를 탄성가압해 회동된 지지바(6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손잡이(640)는 상판부재(400)에 올라선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높이까지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조작부(6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작업대의 이동이 요구될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640)를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회동 작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브라켓(610)이 회동되면서 브라켓(610)에 장착된 지지바(620)가 지면을 딛어 손잡이(640)를 회동 조작한 방향으로 작업대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0)를 후방으로 견인하게 되면 전방의 지지바(620)가 지면에 맞닿아 회동되면서 접혀지다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된 지점에 위치되는 순간 복원부재(630)에 의해 펴지면서 지지바(620)가 원위치로 복원된다.
작업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 측에 대칭 형성되는 이동조작부(600)를 교대로 조작하여 작업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진이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편측의 이동조작부(600)만 조작시키게 되면 작업대 자체를 소정각도 회전이동도 가능한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작업대가 조립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작업대의 조립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부(1)에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전방수직바(21)의 개방된 하단과 후방수직바(31)의 개방된 하단에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가 삽입되도록 하여 베이스프레임부(1), 전방수직프레임부(2) 및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a에 도시된 상태의 작업대에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및 발판프레임부(30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수직결합돌기(12)를 삽입시키고, 제1 상부삽입돌기(121)를 제3 후방결합구(35)에 삽입시키고, 제1 하부삽입돌기(131)를 제4 후방결합구(36)에 삽입시켜 조립을 완료하고,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수직결합돌기(12)를 삽입시키고, 제2 상부삽입돌기(221)를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에 삽입시키고, 제2 하부삽입돌기(231)를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에 삽입시켜 조립을 완료하고, 발판프레임부(300)는 개방된 타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가 수용되도록 하고 발판삽입돌기(310)가 제2 사이드결합구(211)로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400)와 하판부재(5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판부재(400)는 상판프레임(410)의 상판결합돌기(411)가 각각 제2 전방결합구(24)와 제1 후방결합구(33)에 삽입되도록 해 상판부재(400)의 조립을 완료하고, 하판부재(500)는 하판프레임(510)의 하판결합돌기(511)가 제3 전방결합구(25)와 제2 후방결합구(34)에 각각 삽입되도록 해 하판부재(500)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발판부재(5,6,7), 측면보강프레임부(8) 및 루프프레임부(4)를 결합시킨다.
이때, 측면보강프레임부(8)는 측면수직바(81)를 측벽(421)의 절개홈(422)으로 삽입시켜 개방된 하단으로 보강결합돌기(412)가 삽입되도록 해 상판부재(400) 상에 수직으로 직립시키고, 이 상태에서 루프프레임부(4)를 결합시킬 때 루프프레임부(4)의 일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전방수직바(21)의 제1 전방결합구(23)에, 타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후방수직바(31)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나머지 루프결합돌기(41)가 측면수직바(81)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루프프레임부(4)의 조립을 완료한다.
제1 발판부재(5)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부에 안착시키고, 제2 발판부재(6)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의 제2 하부수평바(230) 상부에 안착시키고, 제3 발판부재(7)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의 제1 하부수평바(130) 상부에 각각 안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조립을 완료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베이스프레임부 2: 전방수직프레임부
3: 후방수직프레임부 4: 루프프레임부
5: 제1 발판부재 6: 제2 발판부재
7: 제3 발판부재 8: 측면보강프레임부
100: 제1 사이드프레임부 200: 제2 사이드프레임부
300: 발판프레임부 400: 상판부재
500: 하판부재

Claims (5)

  1. 하면에 이동캐스터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타단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부에 거치되는 제1 발판부재;
    상기 제1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2 발판부재;
    상기 제2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3 발판부재; 및
    상기 제3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전방결합구;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전방결합구; 및
    상기 제2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후방결합구;
    상기 제1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후방결합구;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후방결합구; 및
    상기 제3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4 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는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후방수직바의 개방된 상단으로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1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3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1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4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2 사이드결합구가 형성되는 제2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2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2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는,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2 전방결합구와 제1 후방결합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상판결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판프레임; 및
    상기 상판프레임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상부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재의 후방 변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부에서 상부를 향해 측벽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하판부재; 및
    상단은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각각에, 하단은 상기 상판부재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보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KR1020200056078A 2020-05-11 2020-05-11 조립식 고공 작업대 KR10236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78A KR102360825B1 (ko) 2020-05-11 2020-05-11 조립식 고공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78A KR102360825B1 (ko) 2020-05-11 2020-05-11 조립식 고공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91A KR20210137791A (ko) 2021-11-18
KR102360825B1 true KR102360825B1 (ko) 2022-02-09

Family

ID=7871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078A KR102360825B1 (ko) 2020-05-11 2020-05-11 조립식 고공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8Y1 (ko) *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건축 비계용 발판
JP2007332727A (ja) * 2006-06-19 2007-12-27 Daiwa Lease Co Ltd 高所作業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542A (ko) 2010-08-23 2012-03-05 안용범 지하철 스크린도어 청소 작업대
KR20120002681U (ko) * 2010-10-11 2012-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높이 조절 작업대
KR20130005814A (ko) * 2011-07-07 2013-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축계 작업용 대차
KR20130139064A (ko) * 2012-06-12 2013-12-20 (주)엔담 이동식 안전계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727A (ja) * 2006-06-19 2007-12-27 Daiwa Lease Co Ltd 高所作業台
KR200428188Y1 (ko) *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건축 비계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91A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87003634A1 (en) Construction system
CA2497711A1 (en) Mountable and demountable load-bearing structural support system
KR200478605Y1 (ko) 접이식 작업대
JP3135198U (ja) 建築用足場
KR102360825B1 (ko) 조립식 고공 작업대
US5678653A (en) Wallboard hanging scaffolding system
KR102360830B1 (ko) 이동조작이 가능한 고공 작업대
US9290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 adjustable scaffold shelf
JP3438763B2 (ja) 組立式仮設足場
JP5407726B2 (ja) 足場支持台、足場、足場設置方法
JP4663929B2 (ja) 簡易吊足場装置
US5372218A (en) Mini portable scaffolding
KR102312867B1 (ko) 크로스형 인사이더 사다리 장치
JP2007321521A (ja) 連接、移動可能な組み立て式作業足場
JPS6326520Y2 (ko)
JP7048003B2 (ja) 隣地空きなし高層建物用の上下移動式外足場
KR19990007677A (ko) 건설용 이동작업틀
JPH052736Y2 (ko)
JP2500350Y2 (ja) 仮設足場用手摺枠の建枠ホルダ―
JP5182014B2 (ja) 手摺付き足場
JP3131118U (ja) 足場床構築用具
JPH0616600U (ja) 工事用仮設足場
JPH08429Y2 (ja) 仮設足場用スライド式ブレース手摺枠
JPH11223012A (ja) 足場装置
JP6717620B2 (ja) 手摺枠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