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14A - 축계 작업용 대차 - Google Patents

축계 작업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14A
KR20130005814A KR1020110067443A KR20110067443A KR20130005814A KR 20130005814 A KR20130005814 A KR 20130005814A KR 1020110067443 A KR1020110067443 A KR 1020110067443A KR 20110067443 A KR20110067443 A KR 20110067443A KR 20130005814 A KR20130005814 A KR 2013000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ain platform
auxiliary
bas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814A/ko
Publication of KR2013000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05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하로 그 길이가 연장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주 플랫폼과, 상기 주 플랫폼에 일측에서 회동하며 주 플랫폼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보조 플랫폼과,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바퀴가 형성된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고층에서 작업하는 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 진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축계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계 작업용 대차{Working platform for installation of shaft system}
본 발명은 축계(軸系)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된 선미 스턴튜브(stern tube)의 축계를 작업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축계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돌출된 선미 스턴튜브를 작업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는 고소차 등에 올라가 작업하는 경우 고소차와 선미 스턴튜브 간에 유격된 부위가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 진행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고소차 등에 별도의 안전판을 설치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돌출된 선미 스턴튜브의 축계를 작업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과 선박의 선미 스턴튜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축계 작업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주 플랫폼과, 상기 주 플랫폼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며 주 플랫폼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보조 플랫폼과,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바퀴가 형성된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주 플램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랫폼은 상기 주 플랫폼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보조 플랫폼은 상기 주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에 접하여 상기 주 플랫폼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일정 크기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플랫폼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일정 크기의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기 보조 플랫폼이 수평하게 거치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랫폼의 일측에는 브이자('V')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 플랫폼에는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가지는 보호대가 테두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고층에서 작업하는 공간에 보조 안전 수단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 진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계 작업용 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조 플랫폼이 작동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계 작업용 대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조 플랫폼이 작동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10), 승강부재(20), 주 플랫폼(30), 보조 플랫폼(40) 및 이동 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10)는 본 발명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닥을 지지하는 일정 크기를 가지는 평판으로, 베이스(10) 상에는 본 발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81)와 작업에 적합한 조작을 입력하는 컨트롤러(83)가 탑재된다.
승강부재(20)는 베이스(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그 길이가 연장되어 주 플랫폼(3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승강부재(20)는 고정부(21)와 승강부(23)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1)는 내측이 빈 중공형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베이스(10) 상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베이스(10)에 고정된 것이다.
승강부(23)는 고정부(21)의 내측에 위치하며 고정부(21)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주 플램폼(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부(23)는 파워(81)와 컨트롤러(83)에 의하여 승강되며, 승강부(23)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플랫폼(30)은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 평판으로 승강부재(20)의 작동에 의하여 작업 대상의 적합한 높이로 승강된다.
주 플랫폼(3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에서 탑승/하차 가능한 계단 또는 사다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플랫폼(40)은 주 플랫폼(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며 주 플랫폼(3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다.
보조 플랫폼(40)은 주 플랫폼(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 플랫폼(40)은 주 플랫폼(3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고정된다.
즉, 보조 플랫폼(40)은 주 플랫폼(30)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지지부재(50)와 접하고 이 지지부재(50)와 축(51)으로 연결되어, 보조 플랫폼(40)은 축(51)을 따라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50)에는 일정 크기로 돌출된 돌기(53)가 형성되고, 보조 플랫폼(40)에는 보조 플랫폼(40)의 주 플랫폼(3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각도에 해당하는 상태에서 돌기(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크기의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50)의 돌기(53)와 보조 플랫폼(40)의 홈의 결합으로 보조 플랫폼(40)이 주 플랫폼(3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보조 플랫폼(40)의 일측에는 브이자('V')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보조 플랫폼(40)이 주 플랫폼(30)에서 연장되지 않고 하부에 위치할 때, 선박의 돌출된 선미 스턴튜브의 축계가 보조 플랫폼(40)의 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들어와 보조 플랫폼(40)과 선미 스턴튜브의 축계가 충돌하지 않고 근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주 플랫폼(30)의 테두리에는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가지는 보호대(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대(60)은 철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가지고 주 플랫폼(30)의 개방된 전후좌우를 막고, 바람직하게는 작업이 진행되는 일면은 개방한다.
이동 수단(70)은 베이스(10)의 하부 네 모서리에 바퀴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작업 진행 방향을 향하는 것을 기준으로 이동 수단(70) 중 전방에 위치한 두 바퀴는 구동 바퀴(71)이고, 후방에 위치한 두 바퀴는 고정 바퀴(73)이다.
구동 바퀴(71)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방향 조정이 가능한 것이고, 고정 바퀴(73)는 일방향으로 바퀴가 향하는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10)와 주 플랫폼(30) 사이에는 별도의 공간인 보조 공간(90)을 형성하여 작업 공구를 배치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수단(70)의 구동에 의하여 선박의 돌출된 선미 스턴튜브를 향한다.
작업 대상물의 위치에 맞게 승강부재(20)의 작동에 의하여 주 플랫폼(30)이 이동된다.
작업에 적합하게 축(51)을 중심으로 보조 플랫폼(40)을 회동시켜, 보조 플랫폼(40)을 주 플랫폼(3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도 2 참조).
이때, 지지부재(50)의 돌기(53)와 보조 플랫폼(40)의 홈이 서로 결합하여, 보조 플랫폼(40)이 주 플랫폼(30)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보조 플랫폼(40)을 펼치지 않고 주 플랫폼(30) 상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
20 : 승강부재
21 : 고정부 23 : 승강부
30 : 주 플랫폼
40 : 보조 플랫폼
50 : 지지부재
51 : 축 53 : 돌기
60 : 보호대
70 : 이동 수단
71 : 구동 바퀴 73 : 고정 바퀴
81 : 파워 83 : 컨트롤러
90 : 보조 공간

Claims (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주 플랫폼;
    상기 주 플랫폼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며 주 플랫폼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보조 플랫폼;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바퀴가 형성된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축계 작업용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주 플램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계 작업용 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랫폼은 상기 주 플랫폼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보조 플랫폼은 상기 주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에 접하여 상기 주 플랫폼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계 작업용 대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일정 크기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플랫폼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일정 크기의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 플랫폼이 수평하게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계 작업용 대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랫폼의 일측에는 브이자('V')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계 작업용 대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플랫폼에는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가지는 보호대가 테두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계 작업용 대차.
KR1020110067443A 2011-07-07 2011-07-07 축계 작업용 대차 KR20130005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43A KR20130005814A (ko) 2011-07-07 2011-07-07 축계 작업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43A KR20130005814A (ko) 2011-07-07 2011-07-07 축계 작업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14A true KR20130005814A (ko) 2013-01-16

Family

ID=4783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43A KR20130005814A (ko) 2011-07-07 2011-07-07 축계 작업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8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5691A (zh) * 2019-07-18 2019-10-2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可移动检验平台
KR20210137791A (ko) * 2020-05-11 2021-11-18 (주)위드원모터스 조립식 고공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5691A (zh) * 2019-07-18 2019-10-2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可移动检验平台
KR20210137791A (ko) * 2020-05-11 2021-11-18 (주)위드원모터스 조립식 고공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1221A (zh) 一种用于液压切边机的模座更换装置
KR20130005814A (ko) 축계 작업용 대차
CN103662704A (zh) 跨轨运输装配车
CN102408069A (zh) 轨道式龙门吊车
CN107116408A (zh) 一种升降式自动磨墙机
CN102501239B (zh) 箱形吊臂在线划线方法、划线装置及吊臂生产线
CN210884983U (zh) 一种可移动检修龙门架
CN104444035A (zh) 一种升降式电缆线盘架
KR101039567B1 (ko) 용접카
KR20150112457A (ko) 다기능 트롤리
CN204474171U (zh) 一种双小车吊钩桥式起重机
KR20130000861A (ko) 샤프트 탑재용 대차
KR20130000862A (ko) 프로펠러 탑재용 대차
KR20130000823U (ko) 고소 작업용 장치
CN206704166U (zh) 适用于汽车新能源电池的拆装和搬运的设备
CN206869575U (zh) 一种升降式自动磨墙机
CN113120765A (zh) 程控智能搬运起重机
KR20090003096U (ko) 로-로선 화재탐재기 점검용 이동대차
KR20160076228A (ko) 케이블 행거용 교환장치
CN205294653U (zh) 吊运装置
JP6022007B1 (ja) ブレーキ着脱治具
CN211644390U (zh) 一种具有工件翻身功能的桥式起重机
CN212532239U (zh) 一种大型工件翻转装置
CN105576538A (zh) 一种断路器吊装方法及用于实施该方法的吊装小车
CN219363044U (zh) 一种双梁多吊装小车龙门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