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90Y1 - 난간용 발판 - Google Patents

난간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90Y1
KR200193190Y1 KR2020000007571U KR20000007571U KR200193190Y1 KR 200193190 Y1 KR200193190 Y1 KR 200193190Y1 KR 2020000007571 U KR2020000007571 U KR 2020000007571U KR 20000007571 U KR20000007571 U KR 20000007571U KR 200193190 Y1 KR200193190 Y1 KR 200193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p plate
present
horizontal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래
Original Assignee
동신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기술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신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7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의 저면에 다수개의 지지판과 보강판을 구비하여 상판의 휨을 방지하고, 상판의 일측단에 다른 발판이 연결되게 연결편이 갖추어진 난간용 발판으로, 장기간의 사용에도 발판이 휘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수평간에 고정되는 수개의 절곡편이 구비되어 견고한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용 발판{.}
본 고안은 난간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층 건물의 외벽 공사시 작업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하는 난간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건축시 외벽시공 및 마감부재의 설치 또는 페인팅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난간이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난간은 별다른 구조를 가진 발판이 없어 대다수는 다공 철판이나 널판재를 지주에 철사 묶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행시 발판에 휨이 발생하거나 울렁거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고, 자칫 난간에 떨어지는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판의 저면에 다수개의 지지판과 보강판을 구비하여 상판의 휨을 방지하고, 상판의 일측단에 다른 발판이 연결되게 연결편이 갖추어진 난간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지주와 이 지주를 가로질러 설치된 수평간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판의 저면에상호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판과 보강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간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 일측단부에 대향측 'ㄷ'형상의 연결편을 구비하여 타 상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측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판 11 : 상판
20 : 지지판 21 : 절곡편
22 : 절개부 30 : 보강편
40 : 철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일측 부분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발판(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저면에 융착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과 지지판(20) 사이에 융착된 보강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0)은 상판(11)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융착되며, 하단부는 절곡되어 이 절곡편(21)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수평간(3)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절곡편(21)의 양측 각각에 수개의 절개부(22)가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벽(1)에 세워지는 수평간(3)에 철사(40) 혹은 보울트를 관통시켜 조립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20)과, 지지판(20) 사이에는 보강판(30)이 연결되는데, 상기 보강판(30)의 상단부는 상판(11)의 저면에 융착되고, 양측단은 지지판(20)에 융착되어 상판(110의 휨이나 뒷틀림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상판(11)의 일측단부에는 연결편(12)이 구비되는데, 이 연결편(12)은 'ㄷ' 형상으로 그 상,하편(12a)(12b) 사이에 다른 발판의 선단부가 끼워져 연결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지주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철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통상 건축물의 외벽(1)에는 지주(2)와 이 지주(2)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두개의 수평간(3)이 설치된다.
본 고안 상기 수평간(3)의 상면에 발판(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절곡편(21)의 양측에 구비된 절개부(22)에 철사(40)를 끼워 얽어매거나 혹은 절개부(22)와 수평간(3)을 관통하여 보울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후 상기 발판(10)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발판은 그 선단부를 연결편(12)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게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판의 저면에 지지판과 보강판을 구비하여 장기간의사용에도 발판이 휘거나 훌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수평간에 고정되는 수개의 절곡편이 구비되어 견고한 설치가 가능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지주와 이 지주를 가로 질러 설치된 수평간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판의 저면에 상호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판과 보강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간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 일측단부에 대향측 'ㄷ'형상의 연결편을 구비하여 타 상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발판.
KR2020000007571U 2000-03-16 2000-03-16 난간용 발판 KR200193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71U KR200193190Y1 (ko) 2000-03-16 2000-03-16 난간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71U KR200193190Y1 (ko) 2000-03-16 2000-03-16 난간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90Y1 true KR200193190Y1 (ko) 2000-08-16

Family

ID=1964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571U KR200193190Y1 (ko) 2000-03-16 2000-03-16 난간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6698A (en) Railing for building works and the like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200428188Y1 (ko) 건축 비계용 발판
KR200193190Y1 (ko) 난간용 발판
KR20070049444A (ko) 건축물의 계단용 난간 구조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0424416Y1 (ko) 건축용 비계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A2027589A1 (en) Flight of stairs
KR100593191B1 (ko) 조립식 철골계단의 시공구조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KR101099637B1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KR100740945B1 (ko)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KR200236192Y1 (ko) 경사부 난간 설치구조
KR100758111B1 (ko) 건설현장용 안전계단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KR100470761B1 (ko) 건축 구조물 베란다 안전 난간대
JPH0439948Y2 (ko)
JPH0331769Y2 (ko)
KR100605283B1 (ko) 건축물 옥상 난간벽 구조
KR200339328Y1 (ko) 난간 연결대
KR20080089739A (ko) 발코니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