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29B1 -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2929B1 KR102442929B1 KR1020210125179A KR20210125179A KR102442929B1 KR 102442929 B1 KR102442929 B1 KR 102442929B1 KR 1020210125179 A KR1020210125179 A KR 1020210125179A KR 20210125179 A KR20210125179 A KR 20210125179A KR 102442929 B1 KR102442929 B1 KR 102442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member
- ring
- joint plate
- plate
- scaffolding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은, 지지점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수직재; 수직재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 고정되며, 판형으로 마련되되 다수 개의 연결홀이 마련된 이음판; 이음판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발판;을 포함하며, 고리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고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수직재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이 수평 브레이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비계 시스템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비계(scaffold)는 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시설물 등을 뜻하며,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 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 내부비계, 수평비계, 달비계, 간이비계, 사다리비계, 공법면에서 외줄비계, 겹비계, 쌍줄비계 등으로 나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는 수직재인 네 개의 비계기둥(A)을 수평재인 두 개의 가로대(B1)와 두 개의 세로대(B2)로 연결하고, 양측 세로대(B2) 사이에 양측단에 후크 고리가 구비된 직사각형의 발판(C)을 설치하여 발판(C)의 양측 걸고리가 비계기둥(A)과 비계기둥(A)을 연결하는 세로대(B2) 위에 포개져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비계 및 안전시설물 설계기준(KDS 21 60 00)에서 비계는 도 1b와 같이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이 힌지로 규정되어 있어, 수평 브레이싱(평면 브레이싱), 판형 브레이싱 등과 같은 브레이싱 부재 없이는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에 비계가 변형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실제 비계 가설공사시 수직재와 수평재 연결부가 완전히 힌지가 아닌 semi-grid 형식이라 구조물 붕괴까지는 되지 않고 있지만, 수평하중이 커질 경우 비계의 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현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판과 수직재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발판이 수평브레이싱의 역할을 수행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내하성능을 개선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은, 지지점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수직재; 상기 수직재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 고정되며, 판형으로 마련되되 다수 개의 연결홀이 마련된 이음판; 상기 이음판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고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수직재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판은 판형으로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재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중앙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홀은 상기 중앙홀의 사방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판의 고리가 용이하게 상기 연결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부로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는 타원형과 원형으로 마련되되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이 상기 발판의 폭방향으로 상기 수직재 사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도록 중앙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마련되는 중앙보; 및 상기 중앙보의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에는 다수 개의 연결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한 쌍의 오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음판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삽입홀이 마련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홀과 상기 고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이음판과 상기 고리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안전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의 단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휘어진 턱걸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단부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단부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며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된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의 고리가 이음판에 거치되되 연결홀을 관통하여 고정부에 의해 결합되어 발판과 수직재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발판이 수평브레이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평재와 발판을 통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부재가 소요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발판의 강성이 높아져 내하성능 역시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열로 발판을 형성하되 발판과 발판과 수직재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비계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수직부와 이음판이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판과 고정부가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중앙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중앙 연결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비계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수직부와 이음판이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판과 고정부가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중앙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중앙 연결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수직부와 이음판이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판과 고정부가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중앙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의 중앙 연결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100)은 발판(110), 수직재(120), 이음판(13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판(110)은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 프레임(111), 수평 프레임(111)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수평 프레임(111)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단부 프레임(117), 수평 프레임(111)과 단부 프레임(117)의 상부에 마련되며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된 상판부(115)를 포함한다.
단부 프레임(117)의 하부에는 이음판(130)의 연결홀(135, 136)에 결합될 고리(119)가 마련된다.
수평 프레임(111)과 수평 프레임(111)의 사이에는 발판(110)의 강성을 보강할 횡방향 프레임(113)이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수직재(120)는 지지점으로부터 수직한 방향(혹은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며, 중공의 원형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직재(120)는 대상 구조물의 높이가 높으면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직재(120)는 이음판(130)의 중앙홀(133)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이음판(130)은 수직재(120)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수평으로 수직재(120)에 용접되거나 고정장치(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음판(130, 230)은 수직재(120)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고정되어 발판(1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이음판(130, 230)은 평면형으로 마련된 이음판(130)과 곡면형으로 마련된 이음판(230)을 포함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평면형으로 마련된 이음판(130)이 마련된다.
이음판(130)은 수직재(120)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 고정되며, 판형으로 마련되되 다수 개의 연결홀(134, 135, 136, 137)이 마련된다.
이음판(130)은 평면판형으로 마련되는 본체부(131), 본체부(131)의 중앙에 마련되며 수직재(12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중앙홀(133)을 포함하며, 연결홀(134, 135, 136, 137)은 중앙홀(133)의 사방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연결홀(135, 136)은 발판(110)의 고리(119)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연결홀(134, 137)은 중앙보(150)의 연결 고리(153)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곡면형으로 마련된 이음판(230)이 마련된다.
이음판(230)의 본체부(231)는 중앙홀(233)이 가장 높이가 낮은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발판(110)의 고리(119)가 용이하게 연결홀(235, 236)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본체부(231)는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부(232)로 마련되고, 경사부(232)는 그 단면이 타원형과 원형으로 마련되되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235, 236)은 발판(110)의 고리(119)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연결홀(234, 237)은 중앙보(150)의 고리(153)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음판(230)이 곡면으로 마련됨에 따라 발판(110)의 고리(119)가 이음판(230)에 거치된 후 용이하게 연결홀(235, 236)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개선된다.
고정부(138, 139)는 이음판(13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삽입홀이 마련된 삽입부(139), 삽입홀과 고리(119)를 관통함으로써 이음판(120)과 고리를 고정 및 일체화시키는 고정핀(138)을 포함한다. 고정핀(138)의 단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휘어지도록 마련된 턱걸이부(미도시)로 형성되고, 턱걸이부(미도시)가 고리(119)를 관통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정핀(138)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38, 139)는 고정핀(138)에 마련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핀(138)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안전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110)의 고리(119)가 이음판(130)에 거치되되 연결홀(135, 136)을 관통하여 고정부(138, 139)에 의해 결합되어 발판(110)과 수직재(120)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발판(110)이 수평브레이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평재와 발판을 통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부재가 소요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발판의 강성이 높아져 내하성능 역시 개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비계시스템(100)은 복열(복수개의 열)로 마련된다. 즉, 수직재(120)와 수직재(120) 사이에 발판(110)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발판(110)이 발판(110)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로 마련되기 위하여, 중앙 연결부(140, 150)이 마련된다.
중앙 연결부(140, 150)는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마련되는 중앙보(150), 중앙보(150)의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판(140)을 포함한다.
중앙보(150)의 빔(beam)형상으로 양 단부 하부에 연결 고리(153)이 마련되고, 연결 고리(153)는 이음판(130)의 연결홀(134, 137)에 삽입된 후 고정핀(138)이 연결 고리(153)의 홀(155)과 삽입부(139)를 관통함에 따라 중앙부(150)는 이음판(130)에 고정된다.
지지판(140)은 중앙보(150)의 중앙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판(140)에는 4 개의 연결홀(143)이 마련되어 발판(110)의 고리(119)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판(140, 240)은 평면형으로 마련된 지지판(140)과 곡면형으로 마련된 지지판(240)을 포함한다.
평면형으로 마련된 지지판(140)은 지지판 본체(141)과 4 개의 연결홀(143)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곡면형으로 마련된 지지판(240)은 지지판 본체(241)에 오목부(243)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오목부(243)는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오목부(243)에는 중앙에는 하단부(245)가 마련될 수 있다.
곡면형으로 마련된 지지판(240)에 연결홀(247)이 마련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판(240)의 하부에 고정부(145, 147)이 마련되고, 고정부(145, 147)는 지지판(24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삽입홀이 마련된 삽입부(145), 삽입홀과 고리(119)를 관통함으로써 지지판(240)과 고리(119)를 고정 및 일체화시키는 고정핀(147)을 포함한다.
삽입부(145)와 고리(119)가 결합하는 부분 사이의 고정핀(147)에는 고정핀(147)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안전핀(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147)의 단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휘어진 턱걸이부(146)로 마련되어, 턱걸이부(146)가 고리(119)를 관통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정핀(147)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열로 발판을 형성하되 발판과 발판(110)과 수직재(120)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110: 발판
120: 수직재
130: 이음판
140: 지지판
150: 중앙보
110: 발판
120: 수직재
130: 이음판
140: 지지판
150: 중앙보
Claims (10)
- 지지점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수직재;
상기 수직재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 고정되며, 판형으로 마련되되 다수 개의 연결홀이 마련된 이음판;
상기 이음판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고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수직재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발판이 상기 발판의 폭방향으로 상기 수직재 사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도록 중앙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마련되는 중앙보; 및 상기 중앙보의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에는 다수 개의 연결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판은 판형으로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재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중앙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홀은 상기 중앙홀의 사방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판의 고리가 용이하게 상기 연결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부로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는 타원형과 원형으로 마련되되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한 쌍의 오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음판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삽입홀이 마련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홀과 상기 고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이음판과 상기 고리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안전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의 단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휘어진 턱걸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단부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단부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며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된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5179A KR102442929B1 (ko) | 2021-09-17 | 2021-09-17 |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5179A KR102442929B1 (ko) | 2021-09-17 | 2021-09-17 |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2929B1 true KR102442929B1 (ko) | 2022-09-14 |
Family
ID=8327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5179A KR102442929B1 (ko) | 2021-09-17 | 2021-09-17 |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292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188Y1 (ko) * | 2006-07-20 | 2006-10-11 | 주식회사 신영 | 건축 비계용 발판 |
KR200459161Y1 (ko) * | 2009-07-24 | 2012-03-21 |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발판 설치대 |
-
2021
- 2021-09-17 KR KR1020210125179A patent/KR102442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188Y1 (ko) * | 2006-07-20 | 2006-10-11 | 주식회사 신영 | 건축 비계용 발판 |
KR200459161Y1 (ko) * | 2009-07-24 | 2012-03-21 |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발판 설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K743289A3 (en) | Support system | |
CN111894307A (zh) | 全装配式的标准化临时支撑结构及施工方法 | |
KR102442929B1 (ko) |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 |
CN213741599U (zh) | 大跨度厂房钢框架 | |
US2468186A (en) | Scaffold | |
CN117306831A (zh) | 一种盘扣式脚手架搭设方法 | |
CN210013323U (zh) | 一种节点连接结构及装配式梁架 | |
CN216640654U (zh) | 一种塔吊支腿定位装置 | |
CN113404278B (zh) | 自爬式防护架及其爬升方法 | |
CN211172699U (zh) | 一种高强度水平桁架 | |
CN215564746U (zh) | 一种拼装式钢结构梯笼 | |
CN210737378U (zh) | 一种桥梁主塔上横梁施工用支架 | |
RU132107U1 (ru) | Опорные подмости | |
CN216239755U (zh) | 一种土木工程用建筑模板连接钢架 | |
CN219527370U (zh) | 一种竖向转体架 | |
CN217204609U (zh) | 一种高层智能钢铝结构建筑 | |
CN219548303U (zh) | 土建施工用脚手架 | |
CN220014628U (zh) | 一种足球场看台钢结构系统 | |
CN213837623U (zh) | 一种多用途组合式脚手架 | |
CN219060811U (zh) | 一种楼梯间可调节操作平台装置 | |
CN218406373U (zh) | 一种脚手架 | |
CN218623503U (zh) | 一种可拆卸格构柱临时支撑的横向稳定装置 | |
CN216142376U (zh) | 一种脚手架竖向主框架结构 | |
CN218233998U (zh) | 一种高隔断的连接结构及木屋架体系 | |
CN218842883U (zh) | 一种水上可拆卸浮式移动作业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