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731B1 -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 Google Patents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31B1
KR102643731B1 KR1020230069404A KR20230069404A KR102643731B1 KR 102643731 B1 KR102643731 B1 KR 102643731B1 KR 1020230069404 A KR1020230069404 A KR 1020230069404A KR 20230069404 A KR20230069404 A KR 20230069404A KR 102643731 B1 KR102643731 B1 KR 10264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ipes
close contact
contact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건설
Priority to KR102023006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파이프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가 결속된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크랩을 통해 복수의 파이프를 결속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복수의 파이프를 옮김 시 복수의 파이프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BINDING DEVICE FOR PIPE BUNDLING}
본 발명은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파이프를 작업자가 들고 이동할 때 분리되지 않도록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공사의 비계는 작업자가 건축물의 외장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비계는 건물의 외부에 비계 파이프를 일정 높이로 배치한 후 여기에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비계는 건축물의 측면에 수직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수평 파이프를 배치하고, 상기한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클램프로 결합시켜 구성하게 되며, 상기한 수평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파이프를 결합시키게 되고, 작업자가 밟고 다닐 수 있도록 안전발판을 설치하게 되는 바, 비계의 수평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안전발판 설치용 파이프를 설치한 후, 상기한 걸림고리를 파이프에 걸게 되면 안전발판이 비계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비계는 다량의 파이프가 이용되어 작업자가 비계 설치 시 소량의 파이프를 어깨에 짊어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소량의 파이프를 어깨에 짊어지고 짊어진 방향의 팔로 파이프들을 감싸 고정시킨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어깨에 하중이 전달되어 어깨 통증이 유발하는 것은 물론, 소량의 파이프들이 고정되지 않아 작업자의 어깨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2465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281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작업자가 복수의 파이프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어깨에 짊어 질때 통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는, 복수의 파이프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가 결속된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트랩의 양단이 서로 벨크로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트랩의 양단이 탄성 및 마찰에 의해 서로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트랩의 양측이 서로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에는 적어 하나 이상의 밀착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밀착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는 인접한 상기 파이프나 서로 인접한 상기 파이프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에 따르면, 스크랩을 통해 복수의 파이프를 결속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복수의 파이프를 옮김 시 복수의 파이프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는 복수의 파이프 옮김 시 복수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게 옮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100)는, 스트랩(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110)은 복수의 파이프를 감싸는 것으로, 복수의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랩(110)은 파이프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넓적한 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트랩(110)은 고무줄이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스트랩(1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스트랩(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이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121)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스트랩(110)의 양단이 서로 탄성 및 마찰에 의해 걸려 고정되도록 고무캡(122)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무캡(122)은 상기 스트랩(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고무캡(122)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후크나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걸려 고정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고정부(120)는 흡착판(123)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판(123)은 상기 스트랩(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200)는, 스트랩(210), 고정부(220) 및 밀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210)은 복수의 파이프를 감싸는 것으로, 복수의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랩(210)은 파이프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넓적한 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트랩(210)은 고무줄이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스트랩(2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0)는 벨크로(221), 고무캡(222) 및 흡착판(2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230)는 상기 스트랩(210)에 결속된 파이프를 기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트랩(2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다.
상기 밀착부(230)는 상기 스트랩(2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230)에는 상기 스트랩(210)에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231)가 결합된다.
상기 몸체(231)에는 상기 스트랩(21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공(231a)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31)의 상단에는 밀착돌출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출부(23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밀착돌출부(232)는 고무 및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230)는 상기 밀착돌출부(232)가 상기 스트랩(2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상기 밀착돌출부(232)는 인접한 상기 파이프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돌출부(232)는 마찰에 의해 상기 스트랩(210) 및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밀착부(230)는 상기 밀착돌출부(232)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출부(232)에는 상단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도록 만곡부(232a)가 형성되거나, 중앙이 뾰족하도록 뾰족부(232b)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출부(232)는 상기 파이프가 원형 파이프인 경우, 상기 만곡부(232a)가 상기 파이프의 외면과 대응되어 보다 기밀하게 밀착된다.
또한, 상기 밀착돌출부(232)는 상기 파이프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거나 원형 파이프인 경우, 상기 뾰족부(232b)가 인접한 파이프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보다 기밀하게 밀착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231)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231a)과 연결되도록 체결공(231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31b)에는 회전샤프트(233b)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33b)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관통공(231a)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33b)의 타단부에는 밀착판(233a)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233a)의 단부에는 마찰돌기(233c)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233a)은 상기 회전샤프트(233b)의 회전에 따라 인접한 상기 스트랩(2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랩(2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231)의 하단에는 쿠션돌출부(23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쿠션돌출부(234)는 상기 스트랩(210)이 상기 파이프에 감겼을 때 외측에 위치된 상기 몸체(231)에 결합된다.
상기 쿠션돌출부(234)는 고무나 실리콘 및 스펀지와 같은 쿠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쿠션돌출부(234)는 작업자가 상기 파이프를 어깨에 짊어질 때 어깨에 쿠션감을 제공한다.
상기 쿠션돌출부(234)는 하단부가 작업자의 어깨에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에 따르면, 스크랩을 통해 복수의 파이프를 결속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복수의 파이프를 옮김 시 복수의 파이프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결속구 110: 스트랩
120: 고정부 121: 벨크로
122: 고무캡 123: 흡착판

Claims (5)

  1. 복수의 파이프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가 결속된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밀착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는 인접한 상기 파이프나 서로 인접한 상기 파이프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밀착부의 외측에는 쿠션재질의 쿠션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돌출부는 신체 부위 어깨에 안착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스트랩에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스트랩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밀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돌출부는 상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만곡지도록 만곡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파이프 사이에 고정되도록 중앙이 뾰족하도록 뾰족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회전샤프트가 체결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관통공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밀착판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판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밀착판이 상기 스트랩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69404A 2023-05-30 2023-05-30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KR10264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404A KR102643731B1 (ko) 2023-05-30 2023-05-30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404A KR102643731B1 (ko) 2023-05-30 2023-05-30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731B1 true KR102643731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404A KR102643731B1 (ko) 2023-05-30 2023-05-30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086Y1 (ko) * 2000-06-19 2000-12-01 황용환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지지블럭
KR20040063185A (ko) * 2003-01-06 2004-07-14 아주공업주식회사 장형부재 취급용 밴드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건축 비계용 발판
KR101024655B1 (ko) 2010-12-08 2011-03-25 신성화인스틸 주식회사 건축용 비계 안전발판과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086Y1 (ko) * 2000-06-19 2000-12-01 황용환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지지블럭
KR20040063185A (ko) * 2003-01-06 2004-07-14 아주공업주식회사 장형부재 취급용 밴드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건축 비계용 발판
KR101024655B1 (ko) 2010-12-08 2011-03-25 신성화인스틸 주식회사 건축용 비계 안전발판과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3170A (en) Safety device for roof work
CN204060155U (zh) 变电站预埋式伸缩安全围栏地桩
JP2008045363A (ja) 吊下げ装置
US20090020363A1 (en)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KR102643731B1 (ko)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CN104332885B (zh) 一种锁电缆脚蹬
CN108756721B (zh) 一种水泥杆塔用防坠落爬梯结构
JP6906725B1 (ja) 単管パイプ用配線固定具
CN214576699U (zh) 一种供电抢修用的攀爬机构
CN114855627A (zh) 一种基于隧道桥梁的临时支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443026B (zh) 一种高压线用挂梯
CN208280639U (zh) 一种用于高层建筑外架施工的安全防护装置
CN214550729U (zh) 一种高空作业防止坠落装置
KR102019917B1 (ko) 강관지주 매립장치
KR101181453B1 (ko) 방호 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방호 네트를 설치 및 철거하는 방법
CN204858273U (zh) 接闪杆
JPH0711360Y2 (ja) 発破におけるプレート式飛石防護具
CN210713903U (zh) 一种可伸缩式水平洞口防护网
CN106703418A (zh) 大跨度网壳结构屋面安装用移动式安全网挂设方法
CN103195250B (zh) 混凝土泵送设备及其浇注施工用末端软管
JP2002013294A (ja) 建築工事用安全索
CN216551939U (zh) 一种建筑桩基施工用防护装置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CN219290474U (zh) 一种安全带系挂装置
CN218685798U (zh) 一种登高防坠持续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