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34B1 -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34B1
KR102021334B1 KR1020190075119A KR20190075119A KR102021334B1 KR 102021334 B1 KR102021334 B1 KR 102021334B1 KR 1020190075119 A KR1020190075119 A KR 1020190075119A KR 20190075119 A KR20190075119 A KR 20190075119A KR 102021334 B1 KR102021334 B1 KR 10202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balcony
vertical
outermost pip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7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간 위치에서 어린이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서 외부로부터의 침입 등을 방지하면서 안전기능을 하는 한편, 수직난간대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등으로 인한 파이프 하부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BALCONY RAILING WITH SAFETY FUNCTION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건축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간 위치에서 어린이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서 외부로부터의 침입 등을 방지하면서 안전기능을 하는 한편, 수직난간대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등으로 인한 파이프 하부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건물 자체의 외관과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바깥 전망을 보기 위하여 발코니가 구비된다.
발코니에는 금속재질의 난간대가 설치되고, 난간대의 안쪽에 미닫이 형태의 창문이 설치되며, 발코니 난간대는 통상 성인의 가슴높이로 설치되어 발코니벽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코니 난간대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침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코니 창문 바깥쪽에 방호창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나, 개폐식 방호창은 발코니의 실내 쪽에서 개폐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폐쇄식 방호창의 경우는 화재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창문을 막기 때문에 재난기능을 갖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68454호(2013.06.04.)에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발코니 난간대는 난간대부로 유입되는 우수 등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못하면서 난간대부를 이루는 복수의 파이프의 하부가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68454호(2013.06.04.)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난간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간 위치에서 어린이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서 외부로부터의 침입 등을 방지하면서 안전기능을 하는 한편, 수직난간대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등으로 인한 파이프 하부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코니 벽체(2)의 양쪽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통체(11); 상기 수직통체(11)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2);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수평난간대부(13); 직경이 다른 복수의 파이프(14a)를 겹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파이프(14a) 중 가장 안쪽 파이프(C)의 상단은 상기 수평난간대부(13)에 고정하고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하단은 발코니 벽체(2)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난간대부(13)를 따라 다수개 배치한 수직난간대부(14); 및 상기 수평난간대부(13)의 양단을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내시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100)는, 하부가 발코니 벽체(2)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가 결합되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1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0); 일단부가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111)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바(120); 및 상기 승강바(120)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0)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승,하강을 잠금하며,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는, 승강시, 발코니 벽체(2)와의 사이로 배출공간(B)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하부에 복수의 돌기(112)가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공간(B)을 통해 흐르는 우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간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중간 위치에서 어린이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고, 화재시, 난간대를 가장 낮게 하여 창문을 통한 신속한 대피를 통해 인명피해를 방지하며, 난간대를 최대한 높여 외부로부터의 침입 등을 방지하면서 안전기능을 수행할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간대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등으로 인한 파이프 하부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서 수직난간대부가 수축 및 신장된 상태를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서 잠금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서 수직난간대부에 배수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가장 바깥쪽 파이프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배수부에 차단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서 차단캡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이하 "발코니 난간대"라 한다)는 발코니 창문(1)의 전방에 위치하여 발코니 벽체(2)에 고정 설치되며, 발코니 벽체(2)의 양쪽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통체(11)를 구비한다.
수직통체(11)는 발코니 벽체(2)의 상면과 위층 발코니 벽체(2)의 저면 사이에 상,하단을 고정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발코니 창문(1)의 양쪽 끝 부분의 전방에 각각 위치되며,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2)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2)은 구조적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끝단이 수직통체(11)의 상단에 고정되고, 아래 끝단이 수직통체(11)의 하단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2)에는 수평난간대부(13)가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수평난간대부(13)의 양끝단에는 가이드레일(12)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통체(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직통체(11)에는 수평난간대부(13)의 끝단이 관통하는 가이드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12)과 가이드통체(13a)의 가이드 단면 구조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난간대부(13)에는 다수개의 파이프(14a)로 이루어지는 수직난간대부(14)가 고정되고, 수직난간대부(14)는 수평난간대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다.
수직난간대부(1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경이 다른 4개의 파이프(14a)를 겹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된다.
수직난간대부(14)의 가장 안쪽 파이프의 상단은 수평난간대부(13)에 고정하고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하단은 발코니 벽체(2)에 고정하여 수평난간대부(13)와 발코니 벽체(2) 사이를 연결하며, 수평난간대부(13)의 높이에 따라 4개의 파이프(14a)가 신장 또는 수축하여 항상 수평난간대부(13)와 발코니 벽체(2) 사이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수직난간대부(14)의 길이가 수축하여 통상의 난간대 높이로 사용할 수 있다.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 수직난간대부(14)의 길이가 신장하여 추락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가 가장 높은 위에 있는 경우, 수직난간대부(14)의 길이가 더욱 신장하여 발코니 창문(1) 전체를 커버 함으로써 방범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평난간대부(13)를 가이드레일(12)에 안내시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를 구비한다.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승하강기구(21), 감속전동모터(22), 동력전달기구(23) 및 연결통체(24)로 이루어진다.
난간대승하강기구(21)는 양쪽 수직통체(11) 내의 양쪽 가이드레일(12) 상,하부에 위치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한 쌍의 상,하부기어(21a,21b)와, 이 상,하부기어(21a,21b)를 연결하는 벨트(21c)를 구비하며, 벨트(21c)의 일측에는 수평난간대부(13)의 끝단이 고정부재(13b)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하부기어(21a,21b)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난간대부(13)의 양끝단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수평난간대부(13)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벨트(21c)는 기어이가 형성된 통상의 타이밍벨트로 구성하여 상,하부기어(21a,21b)의 회전동력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양쪽의 상부기어(21a)는 연결축(21d)으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되게 함으로써 수평난간대부(13)의 양끝단을 동시에 승,하강시켜 수평을 유지할 있도록 하며, 연결축(21d)은 양쪽 수직통체(11)를 연결한 수평통체(15) 내에서 회전지지 되도록 구성한다.
감속전동모터(22)는 난간대승하강기구(21)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창문(1) 안쪽에 구비된다.
감속전동모터(22)는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이 자유로운 조정되는 것을 사용하여 수평난간대부(13)의 승,하강 동작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게 한다.
동력전달기구(23)는 발코니 창문(1) 안쪽에 위치한 감속전동모터(22)의 회전동력을 발코니 창문(1) 바깥쪽에 위치한 수직통체(11) 내에 설치된 하부기어(21b)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난간대승하강기구(21)의 한쪽 하부기어(21b)와 함께 회전하도록 동축상에 고정된 종동기어(23a)와, 감속전동모터(22)의 모터축(22a)에 고정된 원동기어(23b)와, 종동기어(23a)와 원동기어(23b)를 연결하는 벨트(23c)로 이루어진다.
벨트(23c)는 기어이가 형성된 통상의 타이밍벨트로 구성하여 원동기어(23b)로부터 종동기어(23a)로 회전동력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벨트(23c)가 수직통체(11)와 발코니 창문(1)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연결통체(24)를 수직통체(11)로부터 발코니 창문(1)으로 관통시켜 설치한다.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기구(23)가 구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기구(30)를 구비한다.
잠금기구(30)는 감속전동모터(22)의 모터축(22a)에 고정되어 원동기어(23b)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31)과, 감속전동모터(22)에 수평축(3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레버(32)를 구비한다.
회전판(31)에는 바깥 원주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31a)이 형성되고, 잠금레버(32)는 일단에 회전판(31)의 걸림홈(31a)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핀(32b)이 구비되며, 잠금레버(32)의 타단에는 손잡이(32c)가 구비되어 걸림핀(32b)이 걸림홈(31a)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림핀(32b)이 걸림홈(31a)으로부터 빠져 이격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잠금레버(32)에는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33,34)이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33,34)의 일단을 잠금레버(32)에 각각 고정하여 잠금레버(32)의 양쪽으로 배치한다.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33,34)의 타단에는 제1 및 제2 탄성조절핀(35,36)이 각각 고정된 것으로, 제1 탄성조절핀(35)은 감속전동모터(22)에 형성한 제1 또는 제2 잠금구멍(37a,37b)에 삽입되고, 제2 탄성조절핀(36)은 감속전동모터(22)에 형성한 제1 또는 제2 잠금해제구멍(38a,38b)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잠금구멍(37b) 및 제2 잠금해제구멍(38b)의 위치보다 제1 잠금구멍(37a) 및 제1 잠금해제구멍(38a)의 위치를 잠금레버(32)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33,34)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잠금기구(30)의 걸림핀(32b)을 회전판(31)의 걸림홈(31a)에 삽입 또는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기구(23)의 구동을 인위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켜 원치않는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전동모터(22)의 모터축(22a) 끝단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하여 모터축(22a)을 인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40)을 구비한다.
따라서, 정전시 또는 감속전동모터(22)의 고장시 인력으로 모터축(22a)을 회전시켜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화재로 인한 정전시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를 작동시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안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발코니 난간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의 높이를 조절하여 통상의 난간대 기능, 추락방지 기능 및 방호창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평난간대부(13)의 높이 조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전동모터(2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동력전달기구(23)의 원동기어(23b), 벨트(23c) 및 종동기어(23a)에 의해 회전동력이 난간대승하강기구(21)의 하부기어(21b)에 전달되어 난간대승하강기구(21)가 작동하게 된다.
난간대승하강기구(21)는 한쪽 하부기어(21b)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벨트(21c)에 의해 상부기어(21a)가 회전하고, 이어서 연결축(21d)을 통해 다른 쪽 상부기어(21a)가 회전하게 되므로 양쪽 상,하부기어(21a,21b)와 벨트(21c, 23c)가 모두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양쪽 벨트(21c)에 양끝단이 고정된 수평난간대부(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평난간대부(13) 양끝단에 구비된 가이드통체(13a)가 가이드레일(12)에 안내되므로 승,하강 직선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수평난간대부(13)에 고정된 수직난간대부(1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파이프(14a)를 겹쳐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된 것이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의 위치를 가장 낮게 하면 수직난간대부(14)가 수축되어 발코니 벽체(2) 높이까지만 커버 하게 되므로, 통상의 난간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를 중간에 위치시키면 수직난간대부(14)가 신장하여 발코니 창문(1)의 중간 이상을 커버 하게 되므로 추락방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대부(13)를 최대한 높게 위치시키면, 수직난간대부(14)가 신장하여 발코니 창문(1)의 전체를 커버 하게 되므로 방호창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기구(30)에 의해 동력전달기구(2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레버(32)를 잠금위치로 회전시켜 걸림핀(32b)을 회전판(31)의 걸림홈(31a)에 삽입하여 걸림 유지시키게 되면, 회전판(31)이 감속전동모터(22)에 고정되고, 이로써 모터축(22a), 동력전달기구(23), 동력전달기구(23)와 연동하는 난간대승하강기구(21)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인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의도하지 않은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의 작동에 의한 안전사고나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레버(32)에 제1 인장코일스프링(33)으로 탄력설치된 제1 탄성조절핀(35)을 제1 잠금구멍(37a)에 삽입하고, 제2 인장코일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된 제2 탄성조절핀(36)을 제2 잠금해제구멍(38b)에 삽입하게 되면, 제1 잠금구멍(37a)이 제2 잠금해제구멍(38b)보다 잠금레버(32)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므로, 제1 인장코일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이 제2 인장코일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보다 크게 되고, 이로써 잠금레버(32)의 잠금위치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켜 걸림핀(32b)이 회전판(31)의 걸림홈(31a)에 걸림유지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회전판(31) 및 잠금레버(32)의 유동이나 진동에 의해 걸림핀(32b)이 걸림홈(31a)으로부터 빠지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레버(32)를 잠금해제위치로 회전시켜 걸림핀(32b)을 회전판(31)의 걸림홈(31a)으로부터 빼내어 이격시키게 되면, 회전판(31)이 감속전동모터(22)로부터 고정 해제되고, 이로써 모터축(22a), 동력전달기구(23), 동력전달기구(23)와 연동하는 난간대승하강기구(21)를 작동시켜 난간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탄성조절핀(35)은 제1 잠금구멍(37a)에서 제2 잠금구멍(37b)으로 옮겨 삽입하고, 제2 탄성조절핀(36)은 제2 잠금해제구멍(38b)에서 제1 잠금해제구멍(38a)으로 옮겨 삽입하게 되면, 제1 잠금해제구멍(38a)이 제2 잠금구멍(37b)보다 잠금레버(32)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므로, 제2 인장코일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이 제1 인장코일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보다 크게 되고, 이로써 잠금레버(32)의 잠금해제위치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켜 걸림핀(32b)이 회전판(31)의 걸림홈(31a)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레버(32)의 유동이나 진동에 의해 걸림핀(32b)이 걸림홈(31a)에 삽입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 난간대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100)를 더 포함한다.
배수부(100)는 파이프(14a) 간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외부로 배출됨이 없이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내부로 저장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파이프(14a) 하부의 부식 등을 방지한다.
배수부(100)는 하부가 발코니 벽체(2)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가장 바깥쪽 파이프(A)가 결합되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1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0), 일단부가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공(111)을 통해 고정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바(120) 및 승강바(120)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10)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가장 바깥쪽 파이프(A)가 결합되는 고정관(113) 및 고정관(113)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앵커볼트 등에 의해 발코니 벽체(2)에 고정되는 플랜지(114)를 포함한다.
승강바(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공(111)을 통과하여 고정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승강바(1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승강바(12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고정부재(130)는 풀림 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가장 바깥쪽 파이프(A)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부재(130)는 조임 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110)으로 밀착되면서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승,하강을 잠금한다.
고정부재(130)는 가장 바깥쪽 파이프(A)가 승강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110)으로 밀착되면서 승강된 상태의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승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난간대부(14)로 유입된 우수에 대한 배출시, 가장 바깥쪽 파이프(A)를 승강,고정함으로써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직난간대부(14)에 대한 자연건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장 바깥쪽 파이프(A)는 승강시, 고정부재(130)가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밀착해제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발코니 벽체(2)와의 사이로 배출공간(B)을 형성하면서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프레임(110)은 하부에 복수의 돌기(112)가 형성되면서 배출공간(B)을 통해 흐르는 우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A) 또한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면서 발코니 벽체(2)와의 사이로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에 대한 배출은 비가 온 후에 바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100)는 가이드공(111)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차단하는 차단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수단(140)은 일단부가 개방되어 가이드공(111)과 함께 승강바(120) 및 고정부재(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캡(141), 차단캡((141)의 상부를 고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42)를 포함한다.
차단캡(141)은 일단부가 곡면을 이루면서 고정프레임(110)과의 사이로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캡(141)은 일단부를 이루는 둘레에 기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기밀부재는 실리콘이가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단캡(141)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차단캡(141)과 고정프레임(110) 간으로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기밀부재는 고무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10)에 부착될 수 있다.
절첩부재(142)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단캡(141)의 상부가 고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단캡(141)은 절첩부재(14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캡(141)은 개방에 따라 가이드공(111)과 함께 승강바(120) 및 고정부재(1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닫힘에 따라 가이드공(111)과 함께 승강바(120) 및 고정부재(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수부(100)는 파이프(14a) 간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우수가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내부로 저장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파이프(14a) 하부의 부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발코니 창문 2 : 발코니 벽체
11 : 수직통체 12 : 가이드레일
13 : 수평난간대부 14 : 수직난간대부
20 : 난간대높이조절장치 30 : 잠금기구
100 : 배수부 110 : 고정프레임
120 : 승강바 130 : 고정부재
140 : 차단수단

Claims (1)

  1. 발코니 벽체(2)의 양쪽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통체(11);
    상기 수직통체(11)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2);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수평난간대부(13);
    직경이 다른 복수의 파이프(14a)를 겹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파이프(14a) 중 가장 안쪽 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수평난간대부(13)에 고정되고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하단은 발코니 벽체(2)에 안착되며, 상기 수평난간대부(13)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수직난간대부(14); 및
    상기 수평난간대부(13)의 양단을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내시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난간대높이조절장치(20)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100)는,
    하부가 발코니 벽체(2)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가 결합되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1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0);
    일단부가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111)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바(120); 및
    상기 승강바(120)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0)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의 승,하강을 잠금하며,
    상기 가장 바깥쪽 파이프(A)는,
    승강시, 발코니 벽체(2)와의 사이로 배출공간(B)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난간대부(14)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하부에 복수의 돌기(112)가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공간(B)을 통해 흐르는 우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KR1020190075119A 2019-06-24 2019-06-24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KR10202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19A KR102021334B1 (ko) 2019-06-24 2019-06-24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19A KR102021334B1 (ko) 2019-06-24 2019-06-24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34B1 true KR102021334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19A KR102021334B1 (ko) 2019-06-24 2019-06-24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36B1 (ko) * 2020-10-19 2021-01-13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발코니 난간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32Y1 (ko) * 2004-05-28 2004-08-11 이경환 피스톤 식 난간.
KR20130024206A (ko) * 2011-08-31 2013-03-08 조현경 움직이는 창문용 난간
KR101268454B1 (ko) 2013-01-09 2013-06-04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20140068387A (ko) * 2012-11-28 2014-06-09 김경태 난간 및 휀스용 지주
CN205348385U (zh) * 2015-11-26 2016-06-29 文登蓝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防水型阳台
KR101863137B1 (ko) * 2017-11-23 2018-05-31 주식회사 딕누리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101931222B1 (ko) * 2018-10-26 2018-12-21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재시 재난기능을 갖춘 발코니 난간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32Y1 (ko) * 2004-05-28 2004-08-11 이경환 피스톤 식 난간.
KR20130024206A (ko) * 2011-08-31 2013-03-08 조현경 움직이는 창문용 난간
KR20140068387A (ko) * 2012-11-28 2014-06-09 김경태 난간 및 휀스용 지주
KR101268454B1 (ko) 2013-01-09 2013-06-04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N205348385U (zh) * 2015-11-26 2016-06-29 文登蓝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防水型阳台
KR101863137B1 (ko) * 2017-11-23 2018-05-31 주식회사 딕누리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101931222B1 (ko) * 2018-10-26 2018-12-21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재시 재난기능을 갖춘 발코니 난간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36B1 (ko) * 2020-10-19 2021-01-13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발코니 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222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재난기능을 갖춘 발코니 난간대
US8517144B2 (en) Hatchway safety grab post safety barrier and grate
KR10153695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난간대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US10174554B2 (en) Gate with counterweight and lowering exchangeable span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KR101268454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US20220220806A1 (en) Safety Roof Hatch System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21334B1 (ko)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WO20121763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01899B1 (ko) 작업발판용 해치
JPH0597357A (ja)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JP2005097885A (ja) 防水扉装置
KR200420406Y1 (ko)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JP2002293488A (ja) 昇降装置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0490360Y1 (ko) 회동 가능한 난간
KR102202536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발코니 난간대
KR102432152B1 (ko)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KR101128480B1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225754B1 (ko) 창문고정용 베란다 펜스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10054882A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098225B1 (ko) 건물 화재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