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380B1 -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380B1
KR102041380B1 KR1020170134413A KR20170134413A KR102041380B1 KR 102041380 B1 KR102041380 B1 KR 102041380B1 KR 1020170134413 A KR1020170134413 A KR 1020170134413A KR 20170134413 A KR20170134413 A KR 20170134413A KR 102041380 B1 KR102041380 B1 KR 10204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 head
supporter
slab panel
magne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182A (ko
Inventor
백희정
김귀환
임남기
민지홍
Original Assignee
백희정
민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희정, 민지홍 filed Critical 백희정
Priority to KR102017013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3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을 시공한 후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의 외측에 구비하여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의 외측에어 서서히 하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 후 서포터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1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Slab panel lowering device using stopper}
본 발명은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을 시공한 후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의 외측에 구비하여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의 외측에어 서서히 하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 후 서포터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롭 헤드를 갖는 서포트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6555호(2003.09.02.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프롭 헤드 서포트』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상부로는 거푸집 합판 지지부가 용접되고 하부로는 나선공이 용접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나선공에 삽지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연결될 멍에재의 양측 단부를 파지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나선공과 나사결합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승강 조절하는 링형 너트와, 상기 나선공의 최하단부에 용접되며 일반 서포트에 삽입 고정되는 접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기술로서,
대면하는 두 수직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멍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링형 너트를 이용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고정하게 되고, 아울러 하나의 서포트에 구비된 프롭 헤드에 2개의 멍에재가 연결되는 구조이어서,
예를 들어 1열로 이격 배열된 3개의 서포트에 최소 4개의 멍에재가 상호 연결되어야 대면하는 두 수직 거푸집사이에 설치되므로, 하나의 멍에재가 두 수직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에 비해 슬래브 거푸집을 받치는 지지력 및 구조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또 슬래브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양생시 시공줄눈이 늘 수밖에 없으며, 상기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각 멍에재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 물품 및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제10-2017-34561호, 제10-2017-34604호 및 본발명인이 발명하여 출원한 제10-2017-60541, 60544,60547호 등을 개선한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65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을 시공한 후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의 외측에 구비하여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의 외측에어 서서히 하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 후 서포터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는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0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빔(BEAM, 3000)은 빔고정SL에 안착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프롭 헤드(PROP HEAD, 5000)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이후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면부(31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150) 및 고정핀 삽입공(3170)으로 이루어진 엔드빔(3100)과;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PROP HEAD, 5000) 사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면부(33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330)과, 슬라브패널 삽입홈(3340) 및 고정핀 삽입공(3350)으로 이루어진 미들빔(3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롭 헤드(PROP HEAD, 5000)는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것으로, 빔의 경사면부와 대응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부(5100)와, 슬라브패널이 삽입되는 슬라브패널 삽입홈(5200)과,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편(5500)으로 빔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5300)과,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프롭 헤드에 설치되는 고정편(5500)과, 상부에 체결되어 시공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57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는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프롭헤드(5000) 양측에 체결되는 양측의 빔(30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편(5500)과 같이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6100)과; 고정편(6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의 하부에 밀착되어 프롭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편(6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는 다른 예로써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브패널 및 빔을지지하며 서포터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프롭헤드(5000) 양측에 체결되는 양측의 빔(30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편(5500)과 같이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6100)과; 고정편(6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의 하부에 밀착되어 프롭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편(6300)과; 지지편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더(6500)와; 슬라이더의 양단에 형성되어 분리형성된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맞댄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일체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편(68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스토퍼(70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서포트 외주면에 결합봉(7130)과 삼각핀(714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편(7121)으로 형성되는 개구부(7120)와, 다른 부위 3부위에 형성되어 자력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트의 외주면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트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몸체 또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자석으로 제작하여 몸체 또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에서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는 지붕을 시공한 후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의 외측에 구비하여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의 외측에어 서서히 하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 후 서포터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 6는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를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2는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과 같이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0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한다.
상기 빔(BEAM, 3000)은 빔고정SL에 안착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프롭 헤드(PROP HEAD, 5000)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이후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면부(31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150) 및 고정핀 삽입공(3170)으로 이루어진 엔드빔(3100)과;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PROP HEAD, 5000) 사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면부(33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330)과, 슬라브패널 삽입홈(3340) 및 고정핀 삽입공(3350)으로 이루어진 미들빔(3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롭 헤드(PROP HEAD, 5000)는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것으로, 빔의 경사면부와 대응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부(5100)와, 슬라브패널이 삽입되는 슬라브패널 삽입홈(5200)과,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편(5500)으로 빔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5300)과,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프롭 헤드에 설치되는 고정편(5500)과, 상부에 체결되어 시공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5700)로 구성된다.
이때, 돌출부(5510)가 없는 고정편을 사용할 때는 프롭 헤드의 고정편 삽입홈(5300) 중 하부의 단턱부를 절개하여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해체하는 과정 중 고정편(5500)이 단턱부에 간섭을 받지않고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앙카볼트(5700)는 시공환경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는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프롭헤드(5000) 양측에 체결되는 양측의 빔(30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편(5500)과 같이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6100)과; 고정편(6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의 하부에 밀착되어 프롭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편(6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의 다른 예로써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브패널 및 빔을지지하며 서포터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프롭헤드(5000) 양측에 체결되는 양측의 빔(30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편(5500)과 같이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6100)과; 고정편(6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의 하부에 밀착되어 프롭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편(6300)과; 지지편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더(6500)와; 슬라이더의 양단에 형성되어 분리형성된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맞댄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일체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편(68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석스토퍼(7000)는 제 1실시예로써
"+"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서포트 외주면에 결합봉(7130)과 삼각핀(714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편(7121)으로 형성되는 개구부(7120)와, 다른 부위 3부위에 형성되어 자력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트의 외주면 1곳 이상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트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자석스토퍼(7000)의 제 2실시예로써
"+"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마찰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트의 외주면 1곳 이상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트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자석스토퍼(7000)의 제 3실시예로써
몸체를 2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결합하였을 때는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각각의 일단은 힌지(712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7121)과, 타단은 서포터의 외주면에 체결한 후 결합봉(7130)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공(7131)과, 마찰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트의 외주면 1곳 이상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트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자석스토퍼(7000)의 제 4실시예로써 일단에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트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를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에 구비하여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 또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자석으로 제작하여 많은 자력을 발생시켜 보다 안정되게 서서히 하강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롭 헤드의 상부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한 후 양측에 엔드빔과 미들빔을 일치시키고 고정편(5500)을 이용하여 빔들과 프롭 헤드를 체결한다.
이후 서포터의 외측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체결편(6800)을 통하여 일체로 체결한 후 고정편(6100)을 빔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편(5500)과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빔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고정한다.
이후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하부에 자석스토퍼(700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자석스토퍼의 자석이 서포트(900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후 서포터를 세워 엔드빔을 빔고정SL(미도시)에 고정설치한다.
이후 빔과 프롭 헤드, 슬라브패널고정SL(미도시)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한다.
이후 슬라브패널에 시멘트를 부어 타설한 후 양생한다.
이후 드롭 헤드에서 엔드빔과 미들빔 및 슬라브패널 및 드롭 헤드 가이드를 고정하고 있는 핀들을 해체한다.
핀을 해체하면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 자석스토퍼가 서포터를 따라 서서히 하강한다.
이때 자석(7310)이 서포트의 외주면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후 하강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을 외부로 반출시킨다.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0 : 빔 500 : 프롭헤드
600 :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
700 : 자석스토퍼 7100 : 몸체
7110 : 중앙삽입공 7120 : 개구부
7130 : 결합봉 7140 : 삼각핀
7150 : 체결공
7300 : 자력부재 7310 : 자석
7320 : 가압봉 7340 : 스프링

Claims (9)

  1.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1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석스토퍼(70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터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서포터 외주면에 결합봉(7130)과 삼각핀(714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편(7121)으로 형성되는 개구부(7120)와, 다른 부위 3부위에 형성되어 자력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트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터의 외주면 1곳 이상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BEAM, 3000)은 빔고정SL에 안착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프롭 헤드(PROP HEAD, 5000)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이후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면부(31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150) 및 고정핀 삽입공(3170)으로 이루어진 엔드빔(3100)과;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PROP HEAD, 5000) 사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면부(33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330)과, 슬라브패널 삽입홈(3340) 및 고정핀 삽입공(3350)으로 이루어진 미들빔(3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롭 헤드(PROP HEAD, 5000)는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것으로, 빔의 경사면부와 대응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부(5100)와, 슬라브패널이 삽입되는 슬라브패널 삽입홈(5200)과,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편(5500)으로 빔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5300)과,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프롭 헤드에 설치되는 고정편(5500)과, 상부에 체결되어 시공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57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는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서포터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프롭헤드(5000) 양측에 체결되는 양측의 빔(30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편(5500)과 같이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6100)과; 고정편(6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의 하부에 밀착되어 프롭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편(6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는 다른 예로써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브패널 및 빔을지지하며 서포터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프롭헤드(5000) 양측에 체결되는 양측의 빔(30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편(5500)과 같이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6100)과; 고정편(6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의 하부에 밀착되어 프롭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편(6300)과; 지지편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더(6500)와; 슬라이더의 양단에 형성되어 분리형성된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맞댄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일체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편(68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5. 삭제
  6.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1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석스토퍼(70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터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마찰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터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터의 외주면 1곳 이상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7.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1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석스토퍼(7000)는,
    몸체를 2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결합하였을 때는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터 상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할 있도록 형성되는 중앙삽입공(7110)과, 각각의 일단은 힌지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7121)과, 타단은 서포터의 외주면에 체결한 후 결합봉(7130)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공(7131)과, 마찰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7150)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0)와;
    몸체(710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체결공에 체결되어 서포터의 외주면을 하강할 때 서포터의 외주면 1곳 이상에 구비된 자력발생부(9100)에서 슬라이딩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8.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9000)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 및 서포터(9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브패널 및 빔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딩바와 같이 하강하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와;
    프롭헤드 가이드 하부 서포터(9000)에 구비되어 자석(7310)을 이용하여 빔과 슬라브패널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자석스토퍼(7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석스토퍼(7000)는,
    일단에 자석(731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삼각핀(7330)이 삽입되는 장홈(7321)이 형성된 가압봉(7320)과, 가압봉을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340)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7300)를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에 구비하여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9. 제1항과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 또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를 자석으로 제작하여 몸체 또는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6000)에서 자력을 발생시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20170134413A 2017-10-17 2017-10-17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204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413A KR102041380B1 (ko) 2017-10-17 2017-10-17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413A KR102041380B1 (ko) 2017-10-17 2017-10-17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182A KR20190043182A (ko) 2019-04-26
KR102041380B1 true KR102041380B1 (ko) 2019-12-03

Family

ID=6628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13A KR102041380B1 (ko) 2017-10-17 2017-10-17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66B1 (ko) * 2020-04-29 2021-10-12 김시영 슬라브패널 지지용 빔 조립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드롭시공방법
KR102614750B1 (ko) * 2021-09-14 2023-12-20 백희정 건축용 슬라브 패널 빔 지지가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54Y1 (ko) * 2003-10-27 2004-01-13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모니터스탠드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14395B1 (ko) *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555Y1 (ko) 2003-05-26 2003-09-19 (주)나인 드롭헤드 서포트
KR20100010986A (ko) * 2008-07-24 2010-02-03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54Y1 (ko) * 2003-10-27 2004-01-13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모니터스탠드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14395B1 (ko) *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182A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380B1 (ko)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2041361B1 (ko) 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CN106103864A (zh) 模板支撑结构的适配器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20090076813A (ko) 슬래브 폼 장치
JP4571672B2 (ja) 高置フロアアセンブリのための支持構造体
KR102040596B1 (ko)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
KR102042462B1 (ko) 가스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2040597B1 (ko)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
KR102041352B1 (ko) 프롭 헤드 가이드가 구비된 서포터
CN210828466U (zh) 一种多功能户外围合廊架设施
KR102598177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데크 결합구조
KR102040600B1 (ko) 분리형 프롭 헤드 가이드
KR101764301B1 (ko) 자전거용 도로의 구조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US20190010690A1 (en) Connection device for fastening two elements, in particula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810361B1 (ko)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KR102041388B1 (ko) 존치형 프롭헤드를 이용한 시공에 사용되는 분리형 프롭헤드가이드
IT201600084644A1 (it) Sistema di giunzione a scomparsa per pannelli di un mobile o simile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20180107398A (ko) 프롭 헤드 가이드
KR101230011B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보형틀 받침대
KR101795777B1 (ko) 거푸집 지지장치
CN109518805B (zh) 一种钢结构抗压支撑架
CN210105060U (zh) 一种幕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