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361B1 -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361B1
KR101810361B1 KR1020170050808A KR20170050808A KR101810361B1 KR 101810361 B1 KR101810361 B1 KR 101810361B1 KR 1020170050808 A KR1020170050808 A KR 1020170050808A KR 20170050808 A KR20170050808 A KR 20170050808A KR 101810361 B1 KR101810361 B1 KR 10181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s
connection
groove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to KR102017005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건축물의 기둥과 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 판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패널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패널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의 사이에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길이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형의 돌기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돌기를 감싸도록 일면에 주름부를 갖는 러버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의 결합공에 돌기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공에 돌기의 단부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목구조의 구조설계 시에 구조계산에서 결손의 감안 없이 시공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목구조의 설계시에 구조결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목재건축물의 기둥과 보를 연결하고자 할 때 기둥과 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를 제공함으로써,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넷째, 기둥과 보의 연결과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건축물을 짓는 작업자가 그 작업과정에서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기둥과 보의 연결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지진으로 인한 진동에도 유연학 대응하게 대처할 수 있는 내진설계를 이룰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연결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불필요한 작업시간의 증대와 이에 따른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목재건축물의 설계변경 등과 같은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이룰 수 있다.
일곱째,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에 급격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목재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둥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보가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이룰 수 있다.
여덟째,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설이 이루어진 목재건축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Hybrid-type connecting device for wood structur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이루는 기둥과 보의 연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하고,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는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구조란 전통 목재건축을 건설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구조는 목재건축물을 이루는 기둥과 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으로 기둥과 보의 연결 방법은 지어야 할 집의 규모와 격에 따라 결정되거나, 건설되는 시기, 건설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목구조에서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방법 등은 목재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한 토대로서, 가장 중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목재건축물의 기둥을 세운 후에는 세워진 기둥과 보를 연결하여 목재건축물의 전체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목구조의 연결 방법으로 서로 다른 재료 두가지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더욱 완성된 형태로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연결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연결방법은 지금의 목구조 연결 방식이 옛날의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현대식 목구조 방식은 구조용집성목(GLulam 글루램)으로 건축되는데 고건축의 목구조의 연결과는 상이한 점이 많아,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재와 완충재료 루버)를 이용하여 정밀한 연결 될 수 있고, 목재의 가공을 줄이면서도 정밀한 시공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연결방법은 체결이 이루어지는 볼트를 해제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결합이 손쉽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향후 내진 건축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는 것이다.
예로, 종래의 고건축 방법의 연결방법은 기둥에 홈을 파서 끼우는 방법을 (장부맞춤)으로 만드는데 이런 경우는 홈을 파야 함으로 구조적인 결손이 생기기 때문에 기둥을 더 큰 부재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연결 방법을 사용하면 구조적인 결손이 없기 때문에 구조계산에서도 결손을 생각할 필요가 없고, 시공도 간결한 방법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기둥과 보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헌(1)에서와 같이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에 결합수단을 체결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기둥과 보가 끼워 맞춤연결이 가능하도록 제작한 후에 기둥과 보를 끼워 맞추는 방법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고, 그 연결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보강재를 결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둥과 보의 연결방법 등은 기둥과 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연결 부위를 작업자가 일일이 결합하는 방법과 장부의 홈과 돌기를 가공하거나 맞추어야 했다. 결합수단을 연결해야 하는 단순한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기둥과 보의 연결 과정에서도 체결이 이루어진 장부맞춤을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둥과 보의 재료 차체를 버리거나 재가공을 하기가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임으로 연결 작업을 변경하여 재차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고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해야 했다.
또한, 기둥과 보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내진 구조로는 수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생김으로 가세를 첨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했기 때문에 재료가 가중되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대, 작업비용의 증대로 목재건축물의 건설작업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특히, 종래의 기둥과 보의 연결 방법은 기둥과 보를 연결한 후에는 손쉽게 그 결합을 분리하기 어려워 목재건축물을 짓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설계변경에 따른 위치와 구조의 변화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68835(2002.03.07)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15687(2006.08.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재건축물을 짓기 위하여 기둥과 보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둥과 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 연결재를 제공함으로써,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과정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가공 공정에서 가공부분 이외의 부분은 현장에서 별도의 작업이 없으며, 작업과정에서 생기는 추락 방지를 미연에 방지하며, 불필요한 작업시간의 증대와 이에 따른 작업비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여 목재건축물의 설계변경 등과 같은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룰 수 있고,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작업과정에서 기둥과 보의 연결, 분리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함과, 유지 및 보수의 편리함을 모두 확보하며 안정적인 목재건축물의 건설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의 특징적인 구성은,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안착홈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 판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패널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패널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의 사이에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길이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형의 돌기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돌기를 감싸도록 일면에 주름부를 갖는 러버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의 결합공에 돌기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공에 돌기의 단부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패널은 상기 안착홈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다각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연결부재와 결합부재 간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체결수단을 통하여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목구조의 구조설계 시에 구조계산에서 결손의 감안 없이 시공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목구조의 설계시에 구조결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목재건축물의 기둥과 보를 연결하고자 할 때 기둥과 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를 제공함으로써,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넷째, 기둥과 보의 연결과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건축물을 짓는 작업자가 그 작업과정에서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기둥과 보의 연결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지진으로 인한 진동에도 유연학 대응하게 대처할 수 있는 내진설계를 이룰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연결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불필요한 작업시간의 증대와 이에 따른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목재건축물의 설계변경 등과 같은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이룰 수 있다.
일곱째,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에 급격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목재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둥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보가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목재건축물의 건설과정을 이룰 수 있다.
여덟째,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설이 이루어진 목재건축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에 기둥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에 기둥과 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에 기둥과 보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1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11)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12a)이 구비된 안착홈(12)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2)의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13)이 복수개 형성되어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0);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1a)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2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21)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22a)이 구비된 안착홈(22)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2)의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삽입홈(13)에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20); 판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11a,21a)과 대응되는 안내공(3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상기 안착홈(11,21)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패널(3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패널(32)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체결공(3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 및 결합부재(20)의 사이에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 및 길이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형의 돌기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관통하는 결합공(40a)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돌기를 감싸도록 일면에 주름부(41a)를 갖는 러버(41)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10) 및 결합부재(20)의 결합공(11a,21)에 돌기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부재(10) 및 결합부재(20)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재(30)의 안내공(31)에 돌기의 단부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핀(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재(1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형의 바 형상 또는 장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중심부에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구비된 연결바(1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11)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기둥(1)의 결합홈(1a)에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바(11)와 기둥(1)의 결합홈(1a)이 상호 체결이 가능하도록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기둥(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1a)을 미리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11a)은 도 1에서와 같이, 한 쌍의 연결부재(10)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공(11a)이 마주보는 위치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의 사이로 기둥(1)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공(11a)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체결수단(3)이 기둥(1)을 관통하며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즉, 한 쌍의 연결부재(10)를 마주보게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기둥(1)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0)의 연결바(11)가 기둥(1)의 홈(1a)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바(11)에 구비된 결합공(11a)에 체결수단(3)이 관통 결합되어 연결부재(10)와 기둥(1)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3)은 장형의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12)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의 길이 방향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바(11)의 구비된 위치를 기준으로 대향 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안착홈(12)을 배열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12)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2a)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12)은 후술할 고정부재(30)의 결합패널(32)이 안착 결합 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홈(12)의 상부는 상기 결합패널(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안착홈(12)의 하부 방향으로는 안착이 이루어진 결합패널(32)이 지지될 수 있도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3)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를 교차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0)의 삽입홈(13)으로 결합부재(20)가 결합되어 도 3에서와 같은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형의 바 형상 또는 장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중심부에 복수개의 결합공(21a)이 구비된 연결바(2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21a)은 도 1에서와 같이, 한 쌍의 연결부재(10)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공(11a)이 마주보는 위치를 이루도록 하여 구성하고,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의 사이로 기둥(1)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공(11a)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체결수단(3)이 기둥(1)을 관통하며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결합부재(20)를 마주보게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기둥(1)을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20)의 연결바(21)가 기둥(1)의 홈(1a)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고, 이와 동시에 연결바(21)에 구비된 결합공(21a)에 체결수단(3)이 관통 결합되어 결합부재(20)와 기둥(1)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3)은 장형의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22)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의 길이 방향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바(21)의 구비된 위치를 기준으로 대향 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안착홈(22)을 배열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22)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2a)이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22)은 후술할 고정부재(30)의 결합패널(32)이 안착 결합 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안착홈(22)의 상부는 상기 결합패널(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안착홈(22)의 하부 방향으로는 안착된 결합패널(32)이 지지 될 수 있도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23)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의 삽입홈(13)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가 탈착 가능하게 교차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가 교차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교차가 이루어진 부위에 기둥(1)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의 사이에 도시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0)의 결합공(11a)과, 결합부재(20)의 결합공(21a)에 대응되는 안내공(31)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공(11a,21a)에 체결되는 결합핀(40)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 사이로 보(2)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핀(40)은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의 결합공(11a,21a)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와 결합된 고정부재(30)의 안내공(31)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형의 돌기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결합공(11a,21a)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부재(30)의 안내공(31)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와 고정부재(30)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한편, 상기 결합핀(40)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러버(41)는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핀(4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되되, 상기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의 안착홈(12,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홈(12,22)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패널(32)과 일면이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연결부재(10)와 고정부재(30) 간의 결합 또는 결합부재(20)와 고정부재(30) 간의 결합 시, 환경 변화나, 설치된 장소의 날씨 변화 등에 따라 연결부위가 수축되거나 팽창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결합패널(32)과 밀착되는 러버(40)의 구성을 통하여 이러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연결 부위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홈(12,22)에 안착 결합된 결합패널(32)과 밀착되는 러버(40)의 일면에는 주름부(41a)를 형성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0), 결합부재(20), 고정부재(30)는 기둥(1) 또는 보(2)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전해지는 경우에도 기둥(1)과 보(2)의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체결수단(3)은 볼트, 나사, 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수단을 적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는 복수개의 체결공(3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4)에는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 간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50)이 체결수단(3)을 통하여 더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라켓(50)은 연결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10) 또는 결합부재(20)에 연결되는 보(2)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기둥 2: 보
10: 연결부재 11,21: 연결바
11a,21a,40a: 결합공 12,22: 안착홈
13: 삽입홈 20: 결합부재
23: 결합홈 30: 고정부재
31: 안내공 32: 결합패널
33: 체결공 34: 체결공
40: 결합핀 41: 러버
41a: 주름부

Claims (3)

  1.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1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11)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12a)이 구비된 안착홈(12)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2)의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13)이 복수개 형성되어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0);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1a)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2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21)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22a)이 구비된 안착홈(22)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2)의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삽입홈(13)에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20);
    판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12a,22a)과 대응되는 안내공(3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상기 안착홈(12,22)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패널(3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패널(32)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체결공(3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 및 결합부재(20)의 사이에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 및
    길이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형의 돌기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관통하는 결합공(40a)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돌기를 감싸도록 일면에 주름부(41a)를 갖는 러버(41)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10) 및 결합부재(20)의 결합공(12a,22a)에 돌기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부재(10) 및 결합부재(20)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재(30)의 안내공(31)에 돌기의 단부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2,22)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패널(32)은 상기 안착홈(21)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다각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복수개의 체결공(3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4)에는 연결부재(10)와 결합부재(20) 간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50)이 체결수단(3)을 통하여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KR1020170050808A 2017-04-20 2017-04-20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KR10181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08A KR101810361B1 (ko) 2017-04-20 2017-04-20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08A KR101810361B1 (ko) 2017-04-20 2017-04-20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361B1 true KR101810361B1 (ko) 2017-12-18

Family

ID=6092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08A KR101810361B1 (ko) 2017-04-20 2017-04-20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45A (ko) 2020-10-05 2022-04-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목구조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59B1 (ko) 2012-09-20 2013-02-14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678205B1 (ko) 2015-09-07 2016-11-21 주식회사 에이앤에이문화연구소 목조건물의 부재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59B1 (ko) 2012-09-20 2013-02-14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678205B1 (ko) 2015-09-07 2016-11-21 주식회사 에이앤에이문화연구소 목조건물의 부재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45A (ko) 2020-10-05 2022-04-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목구조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3075B2 (ja) 木質部材
JP2010077800A (ja) 圧縮座屈耐力補強機構およびその締結方法
US20190338506A1 (en) Pillar fixing metal fitting
US9238909B2 (en) Column base joint structure
JP5002308B2 (ja) 木質ラーメン構造における接合構造
JP4494129B2 (ja) 木質構造材による柱梁架構の接合工法及び接合構造
KR101810361B1 (ko)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JP4571672B2 (ja) 高置フロアアセンブリのための支持構造体
JP2007321499A (ja) 木造軸組家屋の補強装置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JP2006188874A (ja) 柱接合具
JP2008014123A (ja) 縦木部材立設金具
JP6934285B2 (ja) 木質柱梁接合構造
JP2018119364A (ja) 鋼板耐震壁、耐震フレー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JP2018021443A (ja) 木部材の接合構造及び木部材の接合方法
JP4411180B2 (ja) 柱梁接続構造
JPH10231561A (ja) 木質構造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具
JP6667273B2 (ja)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2008274544A (ja) 鉄骨建方
KR100758595B1 (ko) 에이치빔용 연결소켓
JP2006177108A (ja) 部材固定具
JP5933806B2 (ja) 木造軸組における柱と横架材の接合構造
KR200215932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고정대용 세퍼레이터
JP4607978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筋交の補強構造
CN214941005U (zh) 一种加强型钢结构焊接桁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