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29Y1 -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29Y1
KR200440329Y1 KR2020070020206U KR20070020206U KR200440329Y1 KR 200440329 Y1 KR200440329 Y1 KR 200440329Y1 KR 2020070020206 U KR2020070020206 U KR 2020070020206U KR 20070020206 U KR20070020206 U KR 20070020206U KR 200440329 Y1 KR200440329 Y1 KR 200440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ortion
male
height
threaded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29Y1/ko
Priority to PCT/KR2008/000281 priority patent/WO20090610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줄나사를 매개로 각종 책걸상의 높낮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보다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절 후에는 임의적인 높낮이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숫나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결합몸체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의 하부에는 안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는 중심축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몸체가 그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켓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책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의 스크류부는 다줄나사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류부가 관통 결합되는 상기 마감부재의 암나사부는 상기 다줄나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요홈 바닥면과 숫나사부의 안착가이드 하면 상호간 및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설치홈 바닥면과 숫나사부의 결합몸체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1,d2)이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중심축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하여 보강부재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상단과 지지부재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3)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재에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결합홀 내에서 상승시켜 상기 걸림홈을 걸림돌기로부터 이탈시킨 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다줄나사로 이루어진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신속하게 상.하로 이동시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책걸상, 높낮이조절, 상부부재, 하부부재, 회전축, 암나사부, 숫나사부, 다줄나사, 세줄나사, 네줄나사, 걸림돌기

Description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AND CHAIR}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걸상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 및 걸상에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되는데, 특히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구용 책상 및 걸상에는 학생들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걸상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용 제품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도 국내 특허출원 제2007-112942호(2007. 11. 07.)를 통하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출원한 바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책상 및 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14) 및 상부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22)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2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22)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30)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30)는 상기 암나사부(22)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32)와 상기 스크류부(3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34) 및 상기 숫나사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36)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14)의 상기 결합몸체(34)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16)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16)의 하부에는 안착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30)는 중심축(36)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60)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몸체(34)가 그 상측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34)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켓트(4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30)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22)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부재(12)가 하부부재(14)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상기 숫나사부가 단선의 나사산을 갖는 한줄나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반복적으로 다수 회에 결쳐 반복적으로 회전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그 높낮이 조절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줄나사를 매개로 각종 책걸상의 높낮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보다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절 후에는 임의적인 높낮이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숫나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결합몸체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의 하부에는 안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는 중심축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몸체가 그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켓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책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의 스크류부는 다줄나사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류부가 관통 결합되는 상기 마감부재의 암나사부는 상기 다줄나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요홈 바닥면과 숫나사부의 안착가이드 하면 상호간 및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설치홈 바닥면과 숫나사부의 결합몸체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1,d2)이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중심축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하여 보강부재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상단과 지지부재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3)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재에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결합홀 내에서 상승시켜 상기 걸림홈을 걸림돌기로부터 이탈시킨 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다줄나사로 이루어진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신속하게 상.하로 이동시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숫나사부의 스크류부는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돌기는 안착부재의 각 모서리부분과 인접한 지점에 형성되어 4개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은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요홈과 인접한 지점까지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따르면, 각종 책걸상의 높낮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각급 학교의 교 구용 책걸상에 이를 적용하여 학생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걸상의 규격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숫나사부의 스크류부가 다줄나사(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로 구성됨과 아울러 암나사부는 그와 대응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비해 보다 신속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게 되며,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매개로 임의적인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 다줄나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책걸상의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다줄나사를 매개로 보다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달성된다.
즉, 상기 책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로 분리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부측이 상기 하부부재(14)의 상부측 내부에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받침부재(18) 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책걸상의 다리부분인 수직부재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넓적한 봉형상의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22)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20)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20)는 상기 상부부재(12)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그 몸체의 하부측 둘레에는 걸턱(24)이 형성되어 그 상측부분이 상기 상부부재(12)의 하측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턱(24)이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 맞닿음에 따라 고정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에는 상기 마감부재(20)의 암나사부(22)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3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숫나사부(30)는 상기 암나사부(22)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의 스크류부(32)와, 상기 스크류부(3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그 상측에 각각 원판형상의 안착가이드(38) 및 회전가이드(39)가 형성된 결합몸체(34) 및, 상기 숫나사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보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축(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는 암나사부(22)의 신속한 상.하 이동을 위해 다줄나사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 있어서는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22)도 상기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와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그 내부에 상기 숫나사부(30)가 설치되는 하부부재(14)에는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와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홀(16)이 관통된 형태로 천공되고, 상기 결합홀(16)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지지부재(50) 및 안착부재(6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50) 및 안착부재(60)는 각각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60)는 상기 결합홀(16)의 하측에 해당되는 하부부재(14) 몸체 내부에 수평으로 끼워져 안착 설치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50)는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 구성되어 상기 결합홀(16) 상단부 측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해 삽입된 후 한 쌍의 결합나사(54)가 관통 결합됨에 따라 상호 일체형 몸체가 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16)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부재(60)는 그 중앙에 관통홀(60a)이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숫나사부(30)의 중심축(36)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6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결합몸체(34)가 상기 안착부재(60) 상면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재(60)의 하면에는 사각판 형상의 보강부재(60)가 밀착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60)의 관통홀(60a)을 관통한 숫나사부(30)의 중심축(36)이 그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조절브라켓트(40)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몸체(34)는 그 평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조절브라켓트(40)에는 상기 안착가이드(38)가 끼워져 결합되는 요홈(42)과, 상기 육각형상의 결합몸체(34)가 결합되도록 그 평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도록 요입되는 설치홈(44) 및, 상기 숫나사부(30)의 중심축(36)이 관통되도록 몸체하부의 가운데 부분에 천공되는 중심축관통홀(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높이는 상기 결합홀(16)의 높이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결합홀(16) 내에서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상.하 유동을 위하여,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요홈(42) 바닥면과 숫나사부(30)의 안착가이드(38)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설치홈(44) 바닥면과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 하면 상호간에도 일정 간격(d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숫나사부(30)의 중심축(36)이 상기 안착부재(60)를 관통하여 보강부재(62)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상단과 지지부재(50) 하면 상호간에도 일정 간격(d3)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숫나사부(30)가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 등의 다줄나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측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될 수 있는 다줄나사의 회전에 연동되는 암나사부(2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브라켓트(4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60)에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6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64)와 대응되는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하면 일점 지점에는 각각 걸림홈(48)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64)는 안착부재(60)의 각 모서리부분과 인접한 지점에 형성되어 4개가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64)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걸림홈(48)은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요홈(42)과 인접한 지점까지 깊게 요입 형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라 책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수직부재를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로 나누어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줄나사를 포함하는 숫나사부(30) 및 암나사부(22)를 매개로 특정 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매개로 책걸상의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조절할 시에는, 먼저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 내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브라켓트(40)를 상승시켜 상기 안착부재(60)의 각 걸림돌기(64)로부터 걸림홈(48)이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브라켓트(40)를 일방향(하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상기 조절브라켓트(40)에 내장된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20)의 암나사부(22)는 상기 다줄나사(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로 이루어진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를 타고 하측으로 신속하게 내려오면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측부분을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로 인입시켜 상기 책걸상의 높이가 낮아지 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가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암나사부(22) 하강 시의 리드는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동일한 회전 시에 종래의 이동거리(1피치)에 비해 세배(3피치) 또는 네배(4피치)로 증가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에 설치된 상기 조절브라켓트(40)를 역방향(상승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가 상기 조절브라켓트(40)와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22)는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를 타고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상기 상부부재(12)의 일부분이 상기 하부부재(14)의 상단부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책걸상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가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22)는 종래의 이동거리(1피치)에 비해 세배(3피치)나 네배(4피치)로 이동거리가 증가되어 신속하게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 내에서 상승된 조절브라켓트(40)를 원위치 시킴에 따라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걸림홈(48)은 상기 안착부재(60)의 각 걸림돌기(64)에 단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 등의 다줄나사로 이루어진 숫나사부(30) 의 특성에 따라 상기 책걸상의 상측으로부터 하중에 의해 암나사부(22)의 고정위치가 임의적으로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브라켓트(40)의 요홈(42) 및 숫나사부(30)의 안착가이드(38) 사이에 스프링(도시안됨)을 설치하여 상승된 조절브라켓트(40)가 보다 용이하게 원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의 (가) 및 (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상부부재, 14: 하부부재,
16: 결합홀, 18: 받침부재,
20: 마감부재, 22: 암나사부,
30: 숫나사부, 32: 스크류부,
34: 결합몸체, 36: 중심축,
38: 안착가이드, 39: 회전가이드,
40: 조절브라켓트, 42: 요홈,
44: 설치홈, 46: 중심축관통홀,
48: 걸림홈, 50: 지지부재,
54: 결합나사, 60: 안착부재,
60a: 관통홀, 62: 보강부재,
64: 걸림돌기.

Claims (3)

  1.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숫나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결합몸체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의 하부에는 안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는 중심축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몸체가 그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켓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책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의 스크류부는 세줄나사 또는 네줄나사로 이루어진 다줄나사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류부가 관통 결합되는 상기 마감부재의 암나사부는 상기 다줄나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요홈 바닥면과 숫나사부의 안착가이드 하면 상호간 및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설치홈 바닥면과 숫나사부의 결합몸체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1,d2)이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중심축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하여 보강부재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상단과 지지부재 하면 상호간에는 일정 간격(d3)이 형성되며, 상기 다줄나사의 임의적인 흘러내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착부재의 각 모서리부분과 인접한 지점에는 4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절브라켓트의 하면에는 요홈과 인접한 지점까지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결합홀 내에서 상승시켜 상기 걸림홈을 걸림돌기로부터 이탈시킨 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다줄나사로 이루어진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신속하게 상.하로 이동시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2. 삭제
  3. 삭제
KR2020070020206U 2007-11-07 2007-12-1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0440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06U KR200440329Y1 (ko) 2007-12-17 2007-12-1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PCT/KR2008/000281 WO2009061025A1 (en) 2007-11-07 2008-01-16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or a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06U KR200440329Y1 (ko) 2007-12-17 2007-12-1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29Y1 true KR200440329Y1 (ko) 2008-06-10

Family

ID=4163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06U KR200440329Y1 (ko) 2007-11-07 2007-12-1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382B1 (ko) * 2011-07-06 2012-12-04 주식회사 팀스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356266B1 (ko) 2011-09-15 2014-01-29 구명화 포스트형 선반의 포스트 높이 조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382B1 (ko) * 2011-07-06 2012-12-04 주식회사 팀스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356266B1 (ko) 2011-09-15 2014-01-29 구명화 포스트형 선반의 포스트 높이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41Y1 (ko)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KR200440329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KR1021491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CN201968124U (zh) 可调节式小学生课桌
US11215211B2 (en) Ready-to-assemble mattress foundations
DE112020002777T5 (de) Kippbarer Hocker
KR100823888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DE202005013932U1 (de) Möbel, insbesondere Sitzmöbel
US3131505A (en) Adjustable feet for desks and the like
KR100885263B1 (ko)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JP2010022621A (ja) 上棚付きデスク装置
KR200473194Y1 (ko)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KR102106741B1 (ko) 다리 부재 전개각과 고정대 길이 가변 기능을 겸비한 확장형 테이블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KR20170091955A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CN103393285A (zh) 一种可调节高度的办公桌
CN209219503U (zh) 高度可随意调节的书架
CN209769470U (zh) 一种升降式桌子
CN214016818U (zh) 一种床具
KR102637329B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101101285B1 (ko) 원터치 승강부가 구비된 책상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KR200342094Y1 (ko)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3435885U (zh) 一种可升降和管理布线的桌子
KR200388266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CN210901901U (zh) 一种升降桌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