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021B1 -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021B1
KR100795021B1 KR1020070119499A KR20070119499A KR100795021B1 KR 100795021 B1 KR100795021 B1 KR 100795021B1 KR 1020070119499 A KR1020070119499 A KR 1020070119499A KR 20070119499 A KR20070119499 A KR 20070119499A KR 100795021 B1 KR100795021 B1 KR 10079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gear
height
bevel gea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gear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책상의 높낮이를 보다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빈번한 높낮이의 조절이 필요한 교구용 책상 등에 효율적으로 높낮이 조절장치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책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수직부재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단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관형상의 가이드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부재 내부의 상측에는 베벨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가 고정 설치된 후 상기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는 외부의 조작부재와 결합되고 피동기어는 숫나사부의 상단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암나사부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 외부의 조작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를 매개로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숫나사부와 연동하여 상기 상부부재가 하부부재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책상, 높낮이조절, 상부부재, 하부부재, 암나사부, 숫나사부, 기어박스, 베벨기어, 연결봉

Description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본 발명은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구 등으로 이용되는 각종 책상의 수직부재 높낮이를 매우 간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책상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에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구용 책상에는 학생들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용 책상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도 국내 특허출원 제2007-112942호를 통해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출원한 바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책상 및 걸상에 적용되는 높낮이 조절구조는 "책상 및 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재(10)는 각각 하부부재(14) 및 상부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22)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2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22)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30)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30)는 상기 암나사부(22)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32)와 상기 스크류부(3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34) 및 상기 숫나사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36)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14)의 상기 결합몸체(34)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16)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16)의 하부에는 안착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30)는 중심축(36)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60)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몸체(34)가 그 상측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34)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케트(4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조절브라켓트(40)를 선택적으로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30)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22)가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를 타고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측부분을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켜 상기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책상 및 걸상에 구비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한 쌍의 수직부재 각각에 높낮이의 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각각의 수직부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조절브라켓트를 조작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구조이므로, 각각의 조절브라켓트를 회전시키는 두번의 조작과정을 통해 야만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되어 그 조절과정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에 따라 각각의 수직부재 높낮이를 별도로 조절해야만 하므로, 높낮이를 조절한 후 책상의 상판이나 의자의 좌판이 정확이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반복적인 조절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책상의 높낮이를 보다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빈번한 높낮이의 조절이 필요한 교구용 책상 등에 효율적으로 높낮이 조절장치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책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수직부재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단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관형상의 가이드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부재 내부의 상측에는 베벨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가 고정 설치된 후 상기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는 외부의 조작부재와 결합되고 피동기어는 숫나사부의 상단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암나사부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 외부의 조작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를 매개로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숫나사부와 연동하여 상기 상부부재가 하부부재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도 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외부에 각각 설치되는 조작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기어박스 및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를 모두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봉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일측 조작부재의 회전력이 상기 연결봉을 매개로 각각의 수직부재에 구비되는 베벨기어의 구동기어 측에 동시에 전달되면서 한 쌍의 수직부재의 길이가 동일하게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봉은 정육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정육각형 형상의 관통홀을 갖는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를 관통한 후 그 단부에 체결되는 나사를 매개로 상기 조작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회전축은 정육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정육각형 형상의 관통홀을 갖는 베벨기어의 피동기어를 관통한 후 그 단부에 체결되는 나사를 매개로 상기 피동기어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내부의 상기 구동기어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연결봉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싱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싱은 기어박스 내벽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의 홈 내에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따르면, 한 쌍의 수직부재 내에 각각 설치된 암나사부와 숫나사부, 기어박스 및 기어박스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갖도록 책상을 구성 하므로서, 한 번의 조작과정만으로도 책상의 높낮이를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효과 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사용성을 갖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성이 우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빈번한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교구용 책상에 적용시킴에 따라, 보다 고품질을 갖는 교구용 책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제품의 공급자 및 수요자 모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책상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사각 패널로 이루어진 책상의 상판(13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선택적으로 가변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3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0) 내부에 특정 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달성된다.
즉, 상기 책상의 상판(130) 양측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0)는 각각 상부부재(200) 및 하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부 재(200)의 하측부분은 상기 하부부재(300)의 상측부분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부재(300)는 그 내부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부의 하부 측에는 관형상의 가이드부재(310)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상단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31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0) 내부의 상측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베벨기어(212)가 내장되는 기어박스(210)가 상부부재(200)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구비된 걸턱(250)에 안착된 상태에서 나사(240)를 매개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측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암나사부(312)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숫나사부(4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벨기어(212)의 구동기어(220)는 상기 상부부재(2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조작부재(510)와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재(510)의 조작에 의해 소정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한편, 상기 구동기어(220)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동기어(230)는 상기 숫나사부(400) 상단부의 회전축(410)과 결합된다.
또, 상기 숫나사부(410)의 회전축(410) 하단에는 지지부싱(420) 및 너트(43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41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참조부호 222 및 232는 상기 베벨기어(212)의 구동기어(220) 및 피동기 어(230)에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00) 외부에 각각 설치되는 조작부재(5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봉(5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일측 조작부재(510)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봉(500)을 매개로 타측 조작부재(51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봉(500)은 상기 한 쌍의 상부부재(200)와 기어박스(210) 및 베벨기어(212)의 구동기어(220)를 모두 관통한 후 그 양단부에 상기 한 쌍의 조작부재(510)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재(510)가 상기 수직부재(100)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기어박스(210) 내부의 상기 구동기어(22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연결봉(50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육각형상의 관통홀을 갖는 가이드부싱(260)이 설치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싱(260)은 기어박스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그 중앙이 관통된 사각판 형상의 이탈방지부재(270)의 홈(272) 내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510)는 상기 연결봉(500)의 단부에 체결되는 나사(520)를 통해 상기 연결봉(500)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500)은 그 단면이 정육각형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베벨기어(212)의 구동기어(220)도 정육각형 형상의 관통홀(220a)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연결봉(5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봉(500)이 관통된 한 쌍의 구동기어(220)가 동시에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숫나사부(400)의 회전축(410)은 정육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베벨기어(212)의 피동기어(230)도 정육각형 형상의 관통홀(230a)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숫나사부(400)의 회전축(410)이 상기 피동기어(230)의 관통홀(230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10)의 단부에 나사(412)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400)가 상기 피동기어(23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10은 상기 수직부재(100) 하단에 위치하는 받침부재이며, 미설명부호 120은 상기 수직부재(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판(130)이 설치되는 안착부재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책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0)를 상부부재(200) 및 하부부재(300)로 나누어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부재(200) 및 하부부재(30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치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00)의 상부부재(200) 상단부 측에는 베벨기어(212)가 내장된 기어박스(21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기어박스(210)에 내장된 베벨기어(212)의 구동기어(220)는 상호 연결봉(500)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부재(200)와 기어박스(210) 및 구동기어(220)를 관통하는 연결봉(500)의 양단부 측에는 각각 조작부재(510)를 결합시켜 상기 조작부재(510)가 각각의 상부부재(200)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200)의 하부부재(300)에는 암나사부(312)가 구비된 가이드부재(310)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암나사부(312)에는 상기 베벨기어(212)의 피동기어(230)와 연동되는 숫나사부(400)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높낮이 조절장치가 내장되도록 책상의 수직부재(1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이를 통해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수직부재(100) 중 어느 한 개의 수직부재(100) 측에 설치된 조작부재(51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봉(500)을 매개로 다른 한 개의 수직부재(100) 측에 설치된 조작부재(51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각각의 수직부재(100)에 설치된 기어박스(210)에 내장된 베벨기어(212)의 구동기어(22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기어(220)의 회전력은 그와 맞물린 피동기어(230) 측으로 전달되어 피동기어(23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피동기어(230)에 회전축(410)이 결합된 숫나사부(400)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510)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숫나사부(400)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시에, 상기 숫나사부(400)는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암나사부(312)를 매개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숫나 사부(400)가 결합된 피동기어(230)가 설치되는 기어박스(210) 및 상기 기어박스(210)가 고정된 상부부재(200)도 연동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부재(200)의 하측부분이 상기 하부부재(3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수직부재(100)의 길이를 가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의 사용자는, 상기 수직부재(100) 일측에 구비된 한 개의 조작부재(510)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한 쌍의 수직부재(100)의 높낮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한 쌍의 조작부재(510)가 결합되는 연결봉(500)을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시킴으로서, 책상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자동방식으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도 1a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책상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책상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직부재, 110: 받침부재,
120: 안착부재, 130: 상판,
200: 상부부재, 210: 기어박스,
212: 베벨기어, 220: 구동기어,
220a, 230a: 관통홀, 222,232: 베어링,
230: 피동기어, 240,412,520: 나사,
250: 걸턱, 260: 가이드부싱,
270: 이탈방지부재, 272: 홈,
300: 하부부재, 310: 가이드부재,
312: 암나사부, 400: 숫나사부,
410: 회전축, 420: 지지부싱,
430: 너트, 500: 연결봉,
510: 조작부재.

Claims (4)

  1. 책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수직부재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단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관형상의 가이드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부재 내부의 상측에는 베벨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가 고정 설치된 후 상기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는 외부의 조작부재와 결합되고 피동기어는 숫나사부의 상단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암나사부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 외부의 조작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를 매개로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숫나사부와 연동하여 상기 상부부재가 하부부재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외부에 각각 설치되는 조작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기어박스 및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를 모두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봉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일측 조작부재의 회전력이 상기 연결봉을 매개로 각각의 수직부재에 구비되는 베벨기어의 구동기어 측에 동시에 전달되면서 한 쌍의 수직부재의 길이가 동일하게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정육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정육각형 형상의 관통홀을 갖는 베벨기어의 구동기어를 관통한 후 그 단부에 체결되는 나사를 매개로 상기 조작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회전축은 정육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정육각형 형상의 관통홀을 갖는 베벨기어의 피동기어를 관통한 후 그 단부에 체결되는 나사를 매개로 상기 피동기어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내부의 상기 구동기어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연결봉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싱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싱은 기어박스 내벽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의 홈 내에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 이 조절장치.
KR1020070119499A 2007-11-22 2007-11-22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79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499A KR100795021B1 (ko) 2007-11-22 2007-11-22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499A KR100795021B1 (ko) 2007-11-22 2007-11-22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021B1 true KR100795021B1 (ko) 2008-01-16

Family

ID=3921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499A KR100795021B1 (ko) 2007-11-22 2007-11-22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0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97B1 (ko) 2008-06-23 2009-02-0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용 기어박스 구조
KR100885263B1 (ko) 2008-06-23 2009-02-2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60368Y1 (ko) 2008-05-29 2012-05-21 아트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높이 조절식 테이블
KR200470476Y1 (ko) 2009-04-14 2013-12-17 주식회사에넥스 전동 테이블
KR101386083B1 (ko) 2013-08-09 2014-04-16 장근대 승강 테이블
KR101386072B1 (ko) 2013-08-09 2014-04-29 장근대 승강 테이블
KR20160064431A (ko) 2014-11-28 2016-06-08 박봉식 책상용 승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43U (ko) * 1998-09-29 1998-12-05 남희철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20040004259A (ko) * 2003-12-08 2004-01-13 전혜림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43U (ko) * 1998-09-29 1998-12-05 남희철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20040004259A (ko) * 2003-12-08 2004-01-13 전혜림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68Y1 (ko) 2008-05-29 2012-05-21 아트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높이 조절식 테이블
KR100882197B1 (ko) 2008-06-23 2009-02-0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용 기어박스 구조
KR100885263B1 (ko) 2008-06-23 2009-02-2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70476Y1 (ko) 2009-04-14 2013-12-17 주식회사에넥스 전동 테이블
KR101386083B1 (ko) 2013-08-09 2014-04-16 장근대 승강 테이블
KR101386072B1 (ko) 2013-08-09 2014-04-29 장근대 승강 테이블
KR20160064431A (ko) 2014-11-28 2016-06-08 박봉식 책상용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021B1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JP4928553B2 (ja) 回転スライド動作を有するドア又は類似する開閉装置の据付機構
US20200187637A1 (en) Workstation with Powered Height Adjustable Desk
CN202739201U (zh) 手摇升降书法桌
US9532655B2 (en) Sliding seat, in particular for gaming stations
WO2016000675A1 (de) An einer zimmerdecke befestigbare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beispielsweise leuchte oder display
KR101216744B1 (ko)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CN201577777U (zh) 机械调节升降课椅
CN201591269U (zh) 机械调节升降课桌
KR100885263B1 (ko)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46491Y1 (ko) 책상용 높이조절장치
CN202220953U (zh) 一种电视机视屏角度自动调节装置
CN103393285A (zh) 一种可调节高度的办公桌
KR100823888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N207663616U (zh) 一种可调节的教学板
KR20200032403A (ko) 엘시디 모니터의 회전형 스탠드용 이동식 회전장치
KR20170032765A (ko) 상판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
ITMI990519A1 (it) Dispositivo massaggiatore da inserire all'interno di uno schienale dipoltrona di massaggio o simili dotato di massaggio verticale ed effici
KR100786260B1 (ko) 높낮이 조절용 테이블의 회전축을 이용한 테이블의 폭조절장치
KR200463183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책상
KR102592570B1 (ko) 자동 높이조절 책상
CN106073157B (zh) 一种多功能伸缩桌椅
KR20050094777A (ko) 높이 조절 책상
CN216630920U (zh) 一种可编程序控制器实验台
KR20160021694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