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744B1 -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744B1
KR101216744B1 KR1020100070343A KR20100070343A KR101216744B1 KR 101216744 B1 KR101216744 B1 KR 101216744B1 KR 1020100070343 A KR1020100070343 A KR 1020100070343A KR 20100070343 A KR20100070343 A KR 20100070343A KR 101216744 B1 KR101216744 B1 KR 10121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desk
support plat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752A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102010007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7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리부재(30)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 상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30)을 갖추고,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44)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을 갖춤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하는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와,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하부이동축(42,41)과, 상,하부이동축(42,41)의 각 끝단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의 회전롤러(45)와, 지지판(10)의 상면과 상판(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45)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상, 하부가이드레일(21,11)과, 복수의 상부이동축(42) 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46,47)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42)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판(20)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49)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회동판(48)과, 회동판(48)의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재(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책상은 상판의 저부에 각각의 다리부재가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다리부재의 높이에 의해 책상의 높낮이가 결정되게 된다.
즉, 종래 대부분의 책상은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추지 않고, 최초 설계 제작된 규격에 따라 고정된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런데,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짧은 기간 내에 빨리 성장하기 때문에 이들이 이용하는 책상이 고정된 높이를 유지할 경우에는 그 성장 치수에 맞지 않아 올바른 자세로 책상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학교 등에서 책상을 일괄적으로 구입하여 각 교실에 배치할 때, 모든 학생들 각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책상을 구입하여 보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실에 작은 규격의 책상부터 큰 규격의 책상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같은 학년생이더라도 체격이 큰 학생과 체격이 작은 학생이 똑같이 동일한 책상을 배정받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최근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에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데, 특히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구용 책상에는 학생들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용 책상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 개시된 책상에 적용되고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의 길이를 가변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1850호(2001.4.16. 공고)에는 책상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단에 높이 조절구를 설치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31079호(2001.7.19. 공고)에는 다리역할을 하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구동부만으로 책상 상판의 높이 조절은 물론, 상판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43547호(2001.10.8. 공고)에는 링크장치를 이용하여 책상의 상판과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높낮이 조절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65073호(2005.6.29. 공개)에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이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5021호(2008.1.16. 공고)에는 한 쌍의 수직부재 내에 각각 설치된 암나사부와 숫나사부, 기어박스 및 기어박스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에도 각종 책상의 높낮이를 보다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빈번한 높낮이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 개발되어 제시되었고, 그 방안들은 나름의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구성요소들이 복잡하여 제작이 복잡하고, 그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부재의 높이를 가변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타입이 주로 제시되고 있는 바, 다리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도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같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리부재를 이용하는 타입이 아닌 새로운 타입의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부재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과 상판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중앙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 높낮이 구동하는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의 사방 끝단 부위를 통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하부이동축과, 상기 상,하부이동축의 각 끝단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의 회전롤러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상판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상,하부가이드레일과, 복수의 상부이동축 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판의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회동판의 일측과 상판의 저면 사이에는 실린더부재와 상호 대향되게 반대편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단에는 작동부를 매개로 사용자가 실린더부재의 피스톤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는 치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은 각각 디귿자형 구조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롤러의 치차와 맞물려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스토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판과 상판을 이중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을 갖춤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리부재를 이용하는 타입이 아닌 새로운 타입의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리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측면을 기준으로 도시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상부 평면을 기준으로 도시된 예시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거나 부분적으로 생략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부재(30)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 상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30)과,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44)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Ⅹ자형 크로스바(44)를 매개로 높낮이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써,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의 높낮이 조절에 필요한 임의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구동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는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상하 높낮이 구동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는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Ⅹ자형 구조에 따른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를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하는 이유는 보다 안정적인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때,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는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동일하게 연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는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사방 끝단 부위를 연결하면서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 하부이동축(42,41)이 체결 조립된다.
즉,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하단쪽 일측에는 수평하게 하나의 하부이동축(41)이 체결 조립되고, 반대편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하단 쪽 일측에도 다른 하나의 하부이동축(41)이 체결 조립됨으로써, 복수의 하부이동축(41)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양쪽 하단 끝단부 사이를 나란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이동축(41)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상단쪽 일측에는 수평하게 하나의 상부이동축(42)이 체결 조립되고, 반대편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상단쪽 일측에도 다른 하나의 상부이동축(42)이 체결 조립됨으로써, 복수의 상부이동축(42)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양쪽 상단 끝단부 사이를 나란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은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와 일체로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의 각 끝단에는 각각 회전롤러(45)가 조립 설치되게 된다.
상기 회전롤러(45)는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이 연동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의 왕복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회전롤러(45)는 상기 지지판(10)의 상면과 상판(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 하부가이드레일(21,11)에 의해서 이동이 안내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하부이동축(41) 각각의 길이 폭에 맞는 폭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하부가이드레일(11)이 배치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판(20)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이동축(42) 각각의 길이 폭에 맞는 폭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상부가이드레일(21)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은 디귿자형 단면 구조로 상기 지지판(10) 및 상판(20)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 사이에 상기 회전롤러(45)가 삽입 안착되어 왕복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의 구조가 디귿자 단면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판(10) 및 상판(20) 상에 도시되지 않은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이 요홈 상에 회전롤러(45)가 끼움 삽입되어 왕복 직선이동이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은 상기 회전롤러(45)의 왕복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45)가 치차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의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롤러(45)의 치차와 맞물려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스토퍼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치차 형태로 형성된 회전롤러(45)의 치차가 상기 스토퍼홈(12)에 끼워져 상기 회전롤러(45)가 회전 이동하지 않는 동안은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상기 스토퍼홈(1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 의한 높낮이 조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가 눌려졌다가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요소로써,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회동점(4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판(48)을 갖추고 있다.
상기 회동판(48)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부이동축(42)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46,47)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42)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49)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회동하도록 배치 조립되어 있다.
즉, 상기 회동판(48)의 일측은 제1연결링크(46)를 통해 일측의 상부이동축(42, 도 1의 도면상 앞쪽)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48)의 타측은 제2연결링크(47)를 통해 반대편에 배치된 타측의 상부이동축(42, 도 1의 도면상 뒤쪽)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연결링크(46,47)는 상기 회동판(48)의 중심점인 회동점(49)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회동판(48)에 연결되어 회동판(48)의 회동 방향에 맞춰 상호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연동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회동판(48)과 복수의 상부이동축(42) 사이의 연결구조를 통해서 상기 회동판(48)의 회동에 따른 구동력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판(48)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판(48)의 일측에는 주지 관용의 실린더부재(50)가 연결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실린더부재(50)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수단(40)에서 임의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0)는 피스톤 운동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 구동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50)는 이미 지주 관용되는 보편적 기술에 불과함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후단에는 작동부(51)를 매개로 사용자가 실린더부재(50)의 피스톤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줄(5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줄(52)은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작동줄(52)을 당김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0)를 구동시켜 회동판(48)이 회동에 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부이동축(42)이 구동력을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 전달하여 안쪽으로 당김에 따라 상판(20)의 높이를 상승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작동줄(52)은 단순히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는 줄 형태 외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전원에 의해 소형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실린더부재(50)에 매개된 작동부(51)를 작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계 변경이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린더부재(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설계 변경은 여러 분야에서 이미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편화된 기술인 관계로, 그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50)와 연결된 회동판(48)의 반대편 쪽에는 상기 회동판(48)의 회동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부재(53)는 일측이 상판(20)의 저면쪽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부재(50)와 상호 대향되게 회동판(48)의 반대편에 연결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작동에 의해 회동판(48)이 회동하는 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수단(40)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아래쪽으로 눌려진 상태로 상기 상판의 높이가 대략 최저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를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펼쳐서 상판(2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형태가 상판의 높이가 최저와 최상의 중간쯤에 위치할 수도 있는 상태로 설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판의 높이가 최저 상태에 놓인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 내에서 회전롤러가 이동 가능한 길이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제작자의 선태사항에 불과하다.
여기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가 상판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에서 중간쯤에 위치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이 중간쯤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판의 높이를 좀 더 상승시키고자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줄(52)을 잡고 당겨 상기 실린더부재(5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피스톤이 늘어나면서 상기 회동판(48)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50)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판(48)에 연결 배치되어 있는 제2연결링크(47)가 상부이동축(42)을 안쪽으로 당겨주고, 마찬가지로 상기 실린더부재(50)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판(48)에 연결 배치되어 있는 제1연결링크(46)가 반대편의 상부이동축(42)을 안쪽으로 당겨주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이동축(42)에 각각 그 끝단이 연결된 Ⅹ자형 크로스바(43)가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당겨지고, 결과적으로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상판(20)을 위쪽으로 상승시켜 높이를 상승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이동축(42)의 양끝단에 위치한 회전롤러(45)가 연동되어 상부가이드레일(21)을 따라 안내되어 상판(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의 X자형 구동에 따라 하단쪽에 일체로 연결된 하부이동축(41)도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이동축(41)의 이동은 회전롤러(45)를 통해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1)을 따라 안내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20)을 상승시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판(2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때에는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작동 방향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면 되는바,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상판(20)을 사용자가 힘껏 눌러줌으로써,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아래쪽으로 눌려지면서 실린더부재(50)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50)와 반대편에서 신축하는 탄성부재(53)는 탄성복원력을 통해 좀 더 원활하게 초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눌러주는 방식이 아닌 기구적으로 상기 실린더부재(50)가 원상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임의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첨부도면 상에서는 상기 상판(20)의 높이를 높여주는 방향이 상기 회동판(4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로 설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린더부재(50)과 회동판(48)의 연결 상태 및 상기 제1,2연결링크(46,47), 상부이동축(42), 회동판(48)의 연결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회동판(48)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상판(20)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판 11 : 하부가이드레일
12 : 스토퍼홈 20 : 상판
21 : 상부가이드레일 30 : 다리부재
40 : 높낮이조절수단 41 : 하부이동축
42 : 상부이동축 43 : 크로스바
44 : 힌지점 45 : 회전롤러
46 : 제1연결링크 47 : 제2연결링크
48 : 회동판 49 : 회동점
50 : 실린더부재 51 : 작동부
52 : 작동줄 53 : 탄성부재

Claims (5)

  1. 다리부재(30)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 상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30)과;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44)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을 갖춘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상하 높낮이 구동하는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사방 끝단 부위를 통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 하부이동축(42,41)과,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의 각 끝단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의 회전롤러(45)와, 상기 지지판(10)의 상면과 상판(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45)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상, 하부가이드레일(21,11)과, 복수의 상부이동축(42) 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46,47)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42)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49)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회동하는 회동판(48)과, 상기 회동판(48)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판(48)의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48)의 일측과 상판(20)의 저면 사이에는 실린더부재(50)와 상호 대향되게 반대편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회동판(48)의 회동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후단에는 작동부(51)를 매개로 사용자가 실린더부재(50)의 피스톤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줄(5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45)는 치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은 각각 디귿자형 구조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롤러(45)의 치차와 맞물려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스토퍼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100070343A 2010-07-21 2010-07-21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1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3A KR101216744B1 (ko) 2010-07-21 2010-07-21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3A KR101216744B1 (ko) 2010-07-21 2010-07-21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52A KR20120009752A (ko) 2012-02-02
KR101216744B1 true KR101216744B1 (ko) 2012-12-28

Family

ID=4583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43A KR101216744B1 (ko) 2010-07-21 2010-07-21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307B1 (ko) * 2015-06-26 2015-11-04 주식회사 네오퍼스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160064431A (ko) 2014-11-28 2016-06-08 박봉식 책상용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175A (ko)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721147B1 (ko) 2015-06-01 2017-03-30 황대권 높낮이 조절가능 책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618Y1 (ko) 2001-11-01 2002-02-09 성낙영 팔걸이가 있는 높낮이 조절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618Y1 (ko) 2001-11-01 2002-02-09 성낙영 팔걸이가 있는 높낮이 조절 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431A (ko) 2014-11-28 2016-06-08 박봉식 책상용 승강장치
KR101565307B1 (ko) * 2015-06-26 2015-11-04 주식회사 네오퍼스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52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744B1 (ko)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69136B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CN103300620B (zh) 一种防驼背座椅
CN107019334B (zh) 能够调节高度及角度的人体工学功能性桌子
CN103960877B (zh) 可收缩式旋转组合讨论桌椅
CN202739201U (zh) 手摇升降书法桌
KR101385575B1 (ko) 가구용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07657869A (zh) 一种英语翻译教学板
KR200485569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59496Y1 (ko) 어깨 관절 치료기
KR200474171Y1 (ko)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CN105193581A (zh) 一种卧式瘦腿装置
TWM531185U (zh) 可調式升降桌之結構改良
CN108903242A (zh) 一种升降桌
KR200466038Y1 (ko) 앉은 자세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의자
CN204218300U (zh) 一种两用新型膝上桌
US20180092456A1 (en) Rectangular frame with height adjustment for a first and/or second device for coupling to the frame
CN204708285U (zh) 一种儿童坐姿调整装置
CN201194648Y (zh) 课桌的升降调节机构
KR20200002033U (ko) 다리 안마기기의 신축 장치
CN202980801U (zh) 用于支承高度可调表面的装置
KR200463183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책상
CN206026625U (zh) 膝关节康复训练组件
US20190059599A1 (en) Foot swing
KR20170032765A (ko) 상판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