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76Y1 - 전동 테이블 - Google Patents

전동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76Y1
KR200470476Y1 KR2020090004383U KR20090004383U KR200470476Y1 KR 200470476 Y1 KR200470476 Y1 KR 200470476Y1 KR 2020090004383 U KR2020090004383 U KR 2020090004383U KR 20090004383 U KR20090004383 U KR 20090004383U KR 200470476 Y1 KR200470476 Y1 KR 200470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lide
coupled
base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66U (ko
Inventor
이용한
신종헌
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to KR2020090004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7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gear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부에 의하여 상판이 승강하는 전동 테이블에 있어서,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위로 장착되며 상하로 개통된 고정붐;과 상기 고정붐 내측에서 활주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하로 개통된 활주붐;과 상기 활주붐의 내측에서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캡이 상단에서 결합된 지지관;과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관에서 상승하강하는 스크류폴;과 상기 활주붐의 측면을 관통하여 스크류폴에 교차배치되고,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바;와 상기 스크류폴의 상단과 구동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구동바의 회전력을 스크류폴로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상측에 밀착되고 활주붐에 결합된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오작동 및 고장의 가능성이 낮으며 생산원가 절감에 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바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하므로 모터부를 노출되지 않는 곳에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류폴, 활주붐, 구동바, 모터부

Description

전동 테이블{ELECTRIC TABLE}
본 고안은 상판을 승강시키는 전동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원가 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전동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면에서 이격하여 지지하는 테이블 다리로 크게 나눠진다.
이러한 테이블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디자인, 규격 등을 가지며, 공작기계용 또는 의료용 테이블의 경우 유압, 공압, 전기 등을 이용한 승강장치 및 이송장치에 의해 상판 및 테이블 다리가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에 의해 이동 및 제어가 가능한 테이블이 경우 사용용도에 지지력 및 제어방식 등이 매우 상이하다.
그 중,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은 상판 위에 적재되는 물품이 책, 사무용품, 소형 그릇 등과 같이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상판을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부피가 작고 작동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전기 모터 를 이용한 승강장치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은 실내 가구의 일부로서 인테리어적인 측면 또한 고려되어야하므로 기능성뿐만 아니라 심미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최대한 부피를 축소하여 외부의 노출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외부에 노출범위를 최소화하며 효율적으로 상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전동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동 테이블(200)은 테이블의 다리로 사용되어 상판(30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0)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장치(100)는 별도의 배선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내부에 구성물이 수납된 구조로서 외부 케이스 등을 단순 거치 또는 결합하여 노출면적을 최소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부에 의하여 상판이 승강하는 전동 테이블에 있어서,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위로 장착되며 상하로 개통된 고정붐;과 상기 고정붐 내측에서 활주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하로 개통된 활주붐;과 상기 활주붐의 내측에서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캡이 상단에서 결합된 지지관;과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관에서 상승하강하는 스크류폴;과 상기 활주붐의 측면을 관통하여 스크류폴에 교차배치되고,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바;와 상기 스크류폴의 상단과 구동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구동바의 회전력을 스크류폴로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상측에 밀착되고 활주붐에 결합된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주붐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홈이 형성되고 고정붐의 내주면에는 상기 활주홈에 마주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활주홈과 지지홈 사이에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붐의 지지홈의 상측 끝단에는 패킹부재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는 웜과 웜휠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는 웜과 연동하고 상기 스크류폴은 웜휠과 연동한다. 그리고, 일단은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감판에 연결된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오작동 및 고장의 가능성이 낮으며 생산원가 절감에 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바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하므로 모터부를 노출되지 않는 곳에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활주붐과 고정붐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어 활주시의 마찰력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 및 변형 등의 발생을 예방한다.
고정붐의 끝단에는 패킹부재가 구비되어 활주붐이 고정붐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활주붐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기어박스는 웜과 웜휠의 치합으로 작동하여 기어비에 의해 작은힘으로더 더 큰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웜과 웜휠의 특성에 따라 상판 위의 하중으로 역회전(하중으로 인한 상판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역회전을 최초화함을 물론 높은 하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상판이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테이블(20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다리 기능을 겸하는 승강장치(100)를 구비한다. 도 3 은 상기 승강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는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b 는 A-A 의 단면도이다.
상기 승강장치(100)는 테이블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밑판(71) 위로 베이스판((70)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판(70)의 상면에 각 부재들이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판(70)은 소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뛰어한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관(30), 댐핑부재(32), 및 고정붐(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 및 볼트홀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70)의 상면 위로 지지관(30)과 댐핑부재(32)의 하단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30)과 댐핑부재(32)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고정붐(1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관(3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관 형상이며, 상측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캡(31)이 고정결합된다.
상기 고정붐(10)과 활주붐(20)은 상하가 개통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활주붐(20)은 고정붐(10) 내에서 활주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고정붐(10)은 베이스판(70)에 결합된다. 상기 활주붐(2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홈(21)이 형성되고, 고정붐(10)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1)과 활주홈(21)이 서로 마주하도록 활주붐(20)은 고정붐(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홈(11)과 활주홈(21)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51)가 끼워져 활주붐(20)의 활주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1)는 고정붐(10)과 활주붐(20)의 조립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다수 개의 볼(ball)이 고무재인 브라켓에 일렬로 끼워지져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홈(11)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51)의 이탈을 방지하며, 활주붐(21)의 승강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패킹부재(50)가 결합된다. 상기 패킹부재(5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게 결합되거나 상측에서 나사결합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관(30)의 캡(31)에는 스크류폴(41)이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폴(41)은 외주면에 캡(31)의 암나사산과 치합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캡(31)을 통해 지지관(30)을 관통하여 상승하강한다. 상기 스크류폴(41)의 상측 끝단에는 기어박스(40)가 결합되며, 스크류폴(41)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동바(42) 또한 기어박스(4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구동바(42)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용이하도록 육각 또는 사각형의 바(bar)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직각으로 교차된 구동바(42)의 회전력을 스크류폴(41)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어박스(40) 내부에는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와 같 은 교차축기어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각 기어들의 장단점 및 그 특징은 충분히 공지된 것이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40)는 베벨기어 보다 웜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적으로 전기모터의 경우 유체와 같은 다른 동력원들보다 사용가능한 토크가 낮으며 회전속도가 빠르므로, 별도의 가감속 기어가 추가될 필요없이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역전(逆轉)이 불가능하여 하중에 의해 모터의 구동방향과 반대로의 움직임(스크류폴이 구동바를 돌리는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바(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의 하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모터부(400)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활주붐(20)의 상단에는 마감판(50)이 고정결합된다. 상기 마감판(60)은 상판(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 및 넓이를 갖으며, 하부면에는 기어박스(40)의 상단 및 댐핑부재(32)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마감판(60)은 구동바(42)에 의해 회전한 스크류폴(41)이 기어박스(40)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기어박스(40)가 마감판(60)을 밀어올려, 마감판(60)에 연결된 활주붐(20)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나, 상기 기어박스(40)의 상승시 직접적인 하중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기어박스(40)의 외부에 별도의 금속재 하우징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기어박스(40)가 상승할 때 마감판(60)을 대신하여 활주붐(20)과 기어박스(40)가 직접적으로 고정시켜 연동하게 하는 별도의 브라켓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댐핑부재(32)는 보다 더 큰 탄성력을 부여하며 탄성력의 변화가 작은 가스스프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는 활주붐(20)이 상승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5b 는 B-B 의 단면도이다.
모터부(400)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바(42)가 회전하여 스크류폴(41)이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폴(41)은 캡(31)의 나사선을 따라서 지지관(30) 위로 상승한다. 스크류폴(41)의 상승에 의하여 기어박스(40)가 상승하며 마감판(60)을 밀어올리고, 상기 마감판(60)과 결합된 활주붐(20)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활주붐(20)과 고정붐(10)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51) 및 패킹부재(5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활주붐(20)의 하단이 흔들리지 않고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슬라이딩부재(51)의 볼(ball)들은 회전하며 활주붐(20)과 같이 올라가게 되고, 패킹부재(50)는 활주붐(20)과 고정붐(10) 사이의 공간에서 활주붐(20)이 흔들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물론, 이때 마찰력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51) 및 패킹부재(50)의 접촉면에는 충분한 윤활제 또는 구리스 등이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판(60)에 연결된 상판(300)은 모터부(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댐핑부재(32)는 상판(300) 위의 하중에 의하여 스크류폴(41)의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전동 테이블(20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400)를 상판(300)의 하부에 배치하고 이를 대칭으로 양측으로 승강장치(100)를 장착하여 필요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종래의 기술을 활용하여 무선리모콘 또는 스위치 등을 외부에 장착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테이블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전동 테이블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에서 활주붐이 하강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 는 A-A 의 단면도,
도 5a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에서 활주붐이 상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 는 B-B 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테이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붐 20 : 활주붐
30 : 지지관 40 : 기어박스
50 : 패킹부재

Claims (5)

  1. 모터부에 의하여 상판이 승강하는 전동 테이블에 있어서,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위로 장착되며 상하로 개통된 고정붐;과 상기 고정붐 내측에서 활주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하로 개통된 활주붐;과 상기 활주붐의 내측에서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캡이 상단에서 결합된 지지관;과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관에서 상승하강하는 스크류폴;과 상기 활주붐의 측면을 관통하여 스크류폴에 교차배치되고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바;와 상기 스크류폴의 상단과 구동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구동바의 회전력을 스크류폴로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상측에 밀착되고 활주붐에 결합된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활주붐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홈이 형성되고 고정붐의 내주면에는 상기 활주홈에 마주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활주홈과 지지홈 사이에 활주붐의 승강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테이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붐의 지지홈의 상측 끝단에는 패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는 웜과 웜휠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는 웜과 연동하고 상기 스크류폴은 웜휠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감판에 연결된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테이블.
KR2020090004383U 2009-04-14 2009-04-14 전동 테이블 KR200470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383U KR200470476Y1 (ko) 2009-04-14 2009-04-14 전동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383U KR200470476Y1 (ko) 2009-04-14 2009-04-14 전동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66U KR20100010366U (ko) 2010-10-22
KR200470476Y1 true KR200470476Y1 (ko) 2013-12-17

Family

ID=4420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383U KR200470476Y1 (ko) 2009-04-14 2009-04-14 전동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83B1 (ko) * 2013-08-09 2014-04-16 장근대 승강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803Y1 (ko) 2002-05-22 2002-08-07 김성중 식탁
KR100795021B1 (ko) 2007-11-22 2008-01-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40214Y1 (ko) 2007-12-11 2008-05-30 (주)코지라이프 상판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803Y1 (ko) 2002-05-22 2002-08-07 김성중 식탁
KR100795021B1 (ko) 2007-11-22 2008-01-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40214Y1 (ko) 2007-12-11 2008-05-30 (주)코지라이프 상판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66U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9133B2 (en) Modular actuator
JP3200067U (ja) 2つのねじ軸を有する直線伝動装置
CN106308039B (zh) 升降装置及升降桌
US9797491B2 (en) Electric actuator assembly
KR200470476Y1 (ko) 전동 테이블
KR970002118A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CN202980790U (zh) 桌体单控垂直升降机械设计
JP2014151369A (ja) ロボット
AU2015101480A4 (en) A snap spring assembling device for disc spring
KR101376660B1 (ko)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의 구동장치 및 구성요소
CN111671236B (zh) 一种电动餐桌的旋转升降机构
KR101264566B1 (ko) 점성유체를 이용한 자유낙하 제어 및 기계적 자결기능을 갖는 감속기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7621239U (zh) 单向齿条阻尼器
CN214630716U (zh) 一种用于升降桌的线性致动器
WO2023123727A1 (zh) 电动升降可移动推车
CN216530930U (zh) 直线电机及使用直线电机的装置
CN210565272U (zh) 一种离心风机用升降支撑装置
JP4729359B2 (ja) シリンダ圧調整ユニット
CN210493113U (zh) 一种气动弹簧升降桌腿
US1234606A (en) Lifting-jack.
CN105197124A (zh) 一种可自动起落的支撑架以及具有支撑架的移动机器人
KR20200009709A (ko) 스크류 잭
JP2006239258A (ja) 家具などの支持装置
CN108730811A (zh) 一种便于收缩和固定的智能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