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70B1 - 자동 높이조절 책상 - Google Patents

자동 높이조절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70B1
KR102592570B1 KR1020210093713A KR20210093713A KR102592570B1 KR 102592570 B1 KR102592570 B1 KR 102592570B1 KR 1020210093713 A KR1020210093713 A KR 1020210093713A KR 20210093713 A KR20210093713 A KR 20210093713A KR 102592570 B1 KR102592570 B1 KR 10259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894A (ko
Inventor
영 철 공
Original Assignee
영 철 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철 공 filed Critical 영 철 공
Priority to KR102021009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gear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6Leg adjustment with a motor, e.g. an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2Electronically user-adaptable, height-adjustable desk or tab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높이조절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부,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상판부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높이조절부, 상기 상판부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동전동부, 및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어 상판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높이조절 책상{Automatic height-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높이가 조절되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높이조절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의자와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연령이나 키 등에 의해 다양한 높이로 제작되는 것으로, 성장하는 어린이의 몸에 맞도록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되고 있다.
물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은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학생들의 신체 발육상태에 따른 신체조건에 적합한 책상과 의자를 사용할 수 없어 허리가 굽어지거나 책상에 놓인 책과 눈과의 거리 초점이 맞지 않아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정신적,육체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발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제10-0978283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은, 2개의 수평지지대와, 각 수평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 설치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 책상 상판; 책상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양 측판과 후판 및 하판으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측판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각 높이조절판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부로 구성되며, 높이조절판에는 앞뒤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높이조절판에 결합되는 각 수직지지대의 단부(端部) 부근에는 앞뒤방향으로 관통홀을 뚫어, 일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로부터 높이조절구멍과 타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까지 높이조절볼트를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높이조절 책상은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 지지부의 높이조절판에서 본체부의 수직지지대를 이동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됨에 따라, 혼자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체 지지부는 본체부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해야 본체부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불편한 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책상의 상판을 사용자가 신체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을 갖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상판부,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상판부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높이조절부, 상기 상판부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동전동부, 및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어 상판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높이조절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부,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상판부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높이조절부, 상기 상판부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동전동부, 및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어 상판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부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면 전측단부와 후측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판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는, 상기 상판의 해당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단고정프레임, 상기 상판의 해당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프레임, 내부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해당 상기 상단고정프레임에 하측으로 연결되는 상단높이조절프레임,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위치되는 하단높이조절프레임,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단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에 연결되기 위한 다각봉의 제1연결봉, 상기 제2높이조절부에 연결되기 위한 다각봉의 제2연결봉, 및 내부에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이 삽입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전동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전동프레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전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를 조작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을 상판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회전부,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회전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을 상기 전동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을 전동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피동베벨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동구동부는,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에 대응되도록 각 상단높이조절프레임에 형성되는 수동조작공,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수동조작홈, 및 상기 수동조작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동조작홈에 탈부착되어 해당 연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수동조작공을 통해 상기 수동조작부를 수동조작홈에 끼워 해당 연결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수동조작부는, 렌치와 드릴용렌치를 탈부착하기 위한 전동드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다리 중 상기 상판의 후측에 위치된 두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두 개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두 개의 다리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되, 중앙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개의 다리고정봉, 상기 각 다리고정봉을 해당 다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다리고정부재, 및 상기 교차된 두 개의 다리고정봉의 중앙부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제2다리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높이조절 책상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책상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책상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책상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책상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높이조절 책상(10)은 상판부(100)와 다리(200), 제1높이조절부(300), 제2높이조절부(400), 연결부(500), 자동전동부(600) 및 가이드포스트(700)를 포함한다.
다리(200)는 복수로,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판부(100)를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절부(300)는 상판부(100)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높이조절부(400)는 상판부(100)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연결부(500)는 제1높이조절부(300)와 제2높이조절부(400)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된다.
자동전동부(60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연결부(50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포스트(700)는 각 다리(200)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판부(100)에 구비되어 상판부(1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다리(200)는 상판부(100)의 각 모서리 하측을 지지하도록 네 개가 구비되고, 각 다리에 가이드포스트(500)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 높이조절 책상(1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자동전동부(600)에 의해 조작되는 제1높이조절부(300)와 제2높이조절부(400)에 의해 상판부(100)의 높이가 조절되되, 가이드포스트(7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판(100)이 기울임 없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판부(100)는 상판(110)과 상판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판프레임(120)은 상판(110) 하면 전측단부와 후측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절부(300)와 제2높이조절부(4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고정프레임(310, 410)과 하단고정프레임(320, 420),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 하단높이조절프레임(340, 440), 회전봉(350, 450) 및 전달부(360, 460)를 포함한다.
제1높이조절부(300)와 제2높이조절부(400)는 동일한 구성임에 따라, 제1높이조절부(300)로만 설명한다.
상단고정프레임(310, 410)은 상판(110)의 해당 측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하단고정프레임(320, 420)은 상판(110)의 해당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리(200) 사이에 고정된다.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은 내부에 설치공(332, 432)이 형성되고, 해당 상단고정프레임(310, 410)에 하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하단높이조절프레임(340, 440)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342, 442)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단고정프레임(320, 420)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의 설치공(332, 432)에 위치된다.
회전봉(350, 450)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의 설치공(332, 4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하단높이조절프레임(340, 440)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전달부(360, 460)는 회전봉(350, 450)과 연결부(500)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은 상단고정프레임(310, 41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하단높이조절프레임(340, 440)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에 대응되도록 하단고정프레임(320, 42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단높이조절프레임(340, 440)의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커버프레임(370, 470)이 더 구비되어, 하측으로 이동한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의 외측을 보호한다.
그리고 연결부(500)는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 및 연결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제1연결봉(510)은 제1높이조절부(300)에 연결되기 위한 다각봉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연결봉(520)은 제2높이조절부(400)에 연결되기 위한 다각봉으로 형성된다.
연결프레임(530)은 내부에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이 삽입되어 동일하게 회전된다.
일 실시 예로,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은 6각봉으로 형성되고, 연결프레임(530)은 내부에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에 대응되는 연결홈이 형성된다.
이에,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 및 연결프레임(530)은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자동전동부(600)는 전동프레임(610)과 전동모터(620) 및 조작부(630)를 포함한다.
전동프레임(610)은 제1높이조절부(300)와 제2높이조절부(4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판(110)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전동모터(62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전동프레임(610)에 구비된다.
조작부(630)는 전동모터(620)를 조작하도록 상판프레임(120)에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부(500)는 연결회전부(540)를 더 포함한다.
이 연결회전부(540)는 연결프레임(530)을 상판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연결회전부(540)는 베어링(542)과 고정브래킷(544) 및 고정부재(546)를 포함한다.
베어링(542)은 연결프레임(530)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브래킷(544)은 베어링(542)을 전동프레임(6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부재(546)는 고정브래킷(544)을 전동프레임(6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전달부(360, 46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베벨기어(362, 462)와 피동베벨기어(364, 464)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전달부(360, 460)는 동일한 구성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달부(360)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구동베벨기어(362, 462)는 연결부(5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에 설치된다.
피동베벨기어(364, 464)는 구동베벨기어(362, 462)에 치합되도록 회전봉(350, 45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피동베벨기어(364, 4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5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구동부(550)를 더 포함한다.
수동구동부(550)는 수동조작공(552)과 수동조작홈(554) 및 수동조작부(556)를 포함한다.
수동조작공(552)은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에 대응되도록 각 상단높이조절프레임(330, 430)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동조작홈(554)은 제1연결봉(510)과 제2연결봉(5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다.
수동조작부(556)는 수동조작홈(55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동조작홈(554)에 탈부착되어 해당 연결봉(510, 5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판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수동조작공(552)을 통해 수동조작부(550)를 수동조작홈(554)에 끼워 해당 연결봉(510, 520)을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부(500)를 회전시킨다.
이에, 제1높이조절부(300)와 제2높이조절부(4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판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조작홈(554)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각 수동조작부(556)는 수동조작홈(554)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동조작부(556)는 일 실시 예로, 렌치와 드릴용렌치를 탈부착하기 위한 전동드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판부(100)의 높이를 조절할때만 부착되며, 사용 후, 분리시켜 별도 보관한다.
또한 네 개의 다리(200) 중 상판부(100)의 후측에 위치된 두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800)가 더 구비된다.
이 다리고정부(800)는 다리고정봉(810)과 제1다리고정부재(820) 및 제2다리고정부재(830)로 구성된다.
다리고정봉(810)은 두 개로, 일단부가 두 개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두 개의 다리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되, 중앙부가 상호 교차된다.
그리고 제1다리고정부재(820)는 각 다리고정봉(810)을 해당 다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2다리고정부재(830)는 교차된 두 개의 다리고정봉(810)의 중앙부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10 : 책상 100 : 상판부
200 : 다리 300 : 제1높이조절부
400 : 제2높이조절부 500 : 연결부
600 : 자동전동부 700 : 가이드포스트

Claims (10)

  1. 상판부;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상판부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높이조절부;
    상기 상판부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동전동부; 및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어 상판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면 전측단부와 후측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판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는,
    상기 상판의 해당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단고정프레임;
    상기 상판의 해당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프레임;
    내부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해당 상기 상단고정프레임에 하측으로 연결되는 상단높이조절프레임;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위치되는 하단높이조절프레임;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에 연결되기 위한 다각봉의 제1연결봉;
    상기 제2높이조절부에 연결되기 위한 다각봉의 제2연결봉; 및
    내부에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이 삽입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을 상판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회전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회전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을 전동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을 전동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전동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전동프레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전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를 조작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부는,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에 대응되도록 각 상단높이조절프레임에 형성되는 수동조작공;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수동조작홈; 및
    상기 수동조작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동조작홈에 탈부착되어 해당 연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수동조작공을 통해 상기 수동조작부를 수동조작홈에 끼워 해당 연결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책상.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단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책상.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피동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자동 높이조절 책상.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네 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 중 상기 상판의 후측에 위치된 두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자동 높이조절 책상.
KR1020210093713A 2021-07-16 2021-07-16 자동 높이조절 책상 KR102592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13A KR102592570B1 (ko) 2021-07-16 2021-07-16 자동 높이조절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13A KR102592570B1 (ko) 2021-07-16 2021-07-16 자동 높이조절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894A KR20230012894A (ko) 2023-01-26
KR102592570B1 true KR102592570B1 (ko) 2023-10-20

Family

ID=8511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13A KR102592570B1 (ko) 2021-07-16 2021-07-16 자동 높이조절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640A (ja) * 1997-10-15 1999-04-27 Hideo Kosaka 上板昇降机
KR20160021698A (ko) * 2014-08-18 2016-02-26 (주)캠퍼스라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101780545B1 (ko) * 2015-07-08 2017-09-20 영 철 공 높이조절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894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678A (en) Adjustable desk frame
KR101780545B1 (ko) 높이조절 책상
US6935250B1 (en) Adjustable height table with multiple legs operable by a single crank
US6546880B2 (en) Height adjustable table
EP3028662B1 (en) Medical head mast lifting system
KR101767014B1 (ko) 전동 드라이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사다리
JPH08182711A (ja) 患者支持手段を保持する支持コラム
CN202775011U (zh) 升降式课桌
CN111887655A (zh) 一种电动床
KR102592570B1 (ko) 자동 높이조절 책상
KR101851591B1 (ko)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베개
KR101419034B1 (ko) 가변형 놀이기구
KR101993439B1 (ko) 운동 지원형 높이 조절 책상
KR10176887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100959816B1 (ko)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
KR10074514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49571Y1 (ko) 상판 높이 및 경사 조절식 책상
US20030075080A1 (en) Motorized adjustable workstation
KR20030019925A (ko) 데스크 시스템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123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업용 책상
CN113317644A (zh) 一种桌椅可调整的一体化桌椅
CN112826955A (zh) 升降旋转式消毒灯
KR100597962B1 (ko) 기울기조절 책상
JP3243880U (ja) 電動昇降式テレビ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