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545B1 - 높이조절 책상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545B1
KR101780545B1 KR1020150097118A KR20150097118A KR101780545B1 KR 101780545 B1 KR101780545 B1 KR 101780545B1 KR 1020150097118 A KR1020150097118 A KR 1020150097118A KR 20150097118 A KR20150097118 A KR 20150097118A KR 101780545 B1 KR101780545 B1 KR 10178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pper plate
height
fram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468A (ko
Inventor
영 철 공
Original Assignee
영 철 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철 공 filed Critical 영 철 공
Priority to KR102015009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5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 내부에 통공을 갖고, 상판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상판프레임, 상기 상판을 지지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 상기 상판과 상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판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 책상{Height-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높이가 조절되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의자와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연령이나 키 등에 의해 다양한 높이로 제작되는 것으로, 성장하는 어린이의 몸에 맞도록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되고 있다.
물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은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학생들의 신체 발육상태에 따른 신체조건에 적합한 책상과 의자를 사용할 수 없어 허리가 굽어지거나 책상에 놓인 책과 눈과의 거리 초점이 맞지 않아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정신적,육체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발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제10-0978283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은, 2개의 수평지지대와, 각 수평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 설치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 책상 상판; 책상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양 측판과 후판 및 하판으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측판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각 높이조절판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부로 구성되며, 높이조절판에는 앞뒤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높이조절판에 결합되는 각 수직지지대의 단부(端部) 부근에는 앞뒤방향으로 관통홀을 뚫어, 일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로부터 높이조절구멍과 타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까지 높이조절볼트를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높이조절 책상은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 지지부의 높이조절판에서 본체부의 수직지지대를 이동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됨에 따라, 혼자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체 지지부는 본체부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해야 본체부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불편한 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책상의 상판을 사용자가 신체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을 갖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상판, 내부에 통공을 갖고, 상판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상판프레임, 상기 상판을 지지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 상기 상판과 상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판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높이조절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 내부에 통공을 갖고, 상판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상판프레임, 상기 상판을 지지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 상기 상판과 상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판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리는 상판의 각 모서리 하측을 지지하도록 네 개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판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높이조절부, 상기 상판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측단부에 위치된 상기 상판프레임에 하측으로 연결되는 상단높이조절프레임, 상기 상판의 해당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프레임,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위치되는 하단높이조절프레임,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판프레임 해당 부분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해당 상판프레임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높이조절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해당 상판프레임에 위치되며, 중간부는 상기 상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회전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판의 측방향에서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회전부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기 위한 베어링,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베어링을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을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어느 한 단부 이상에 구비되는 구동블럭, 상기 구동블럭에 형성되는 구동홈, 및 상기 구동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구동블럭을 회전시키되, 탈부착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상기 구동부를 구동홈에 끼워 상기 구동블럭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피동베벨기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를 상판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위치된 상기 상판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구동봉, 상기 제2구동봉의 어느 한 단부 이상에 구비되는 제2구동블럭, 상기 제2구동블럭에 형성되는 제2구동홈, 및 상기 제2구동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구동블럭을 회전시키되, 탈부착 가능한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상기 제2구동부를 제2구동홈에 끼워 제2구동블럭과 제2구동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구동봉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피동베벨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베벨기어;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홈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렌치돌기, 및 상기 렌지돌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렌치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렌치돌기, 및 상기 렌치돌기를 탈부착하기 위한 전동드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다리 중 상기 상판의 후측에 위치된 두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두 개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두 개의 다리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되, 중앙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개의 다리고정봉, 상기 각 다리고정봉을 해당 다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다리고정부재, 및 상기 교차된 두 개의 다리고정봉의 중앙부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제2다리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 책상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책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책상을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제1, 제2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책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책상을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제1, 제2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 책상(10)은 상판(100)과 상판프레임(200), 다리(300), 높이조절수단(400) 및 가이드포스트(500)로 구성된다.
상판프레임(200)은 내부에 통공을 갖고, 상판(100)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다리(300)는 다수 개로, 상판(100)을 지지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높이조절수단(400)은 상판(100)과 상판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가이드포스트(500)는 높이조절수단(400)에 의해 상판(100)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판프레임(200)에 연결된다.
이러한 높이조절 책상(1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높이조절수단(400)에 의해 상판프레임(200)의 높이가 조절되어 상판(100)의 높이가 조절되되, 가이드포스트(5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판(100)이 기울임 없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다리(300)는 상판(100)의 각 모서리 하측을 지지하도록 네 개가 구비되고, 각 다리에 가이드포스트(500)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4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높이조절부(410)와 제2높이조절부(420), 연결부(430) 및 구동수단(440)으로 구성된다.
제1높이조절부(410)는 상판(100)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2높이조절부(420)는 상판(100)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연결부(430)는 제1높이조절부(410)와 제2높이조절부(420)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고, 구동수단(440)은 연결부(43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구동수단(440)에 의해 연결부(430)가 회전되면, 연결된 제1높이조절부(410)와 제2높이조절부(420)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판(100)이 승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높이조절부(410)와 제2높이조절부(4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과 하단고정프레임(412, 422), 하단높이조절프레임(413, 423), 회전봉(414, 424) 및 전달부(415, 425)로 구성된다.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은 내부에 설치공(411a, 421a)이 형성되고, 상판(100)의 측단부에 위치된 상판프레임(200)에 하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하단고정프레임(412, 422)은 상판(100)의 해당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리(300) 사이에 고정된다.
하단높이조절프레임(413, 423)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413a, 423a)이 형성되고, 일단이 하단고정프레임(412, 422)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의 설치공(411a, 421a)에 위치된다.
또한 회전봉(414, 424)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의 설치공(411a, 4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하단높이조절프레임(413, 423)의 결합공(413a, 423a)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전달부(415, 425)는 회전봉(414, 424)과 연결부(430)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각 높이조절부(410, 42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연결부(43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이 전달부(415, 425)를 통해 회전봉(414, 424)을 회전시키면, 하단고정프레임(412, 422)에 고정된 하단높이조절프레임(413, 423)의 결합공(413a, 423a)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상판프레임(200)과 상판(10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은 상판프레임(200) 해당 부분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하단높이조절프레임(413, 423)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411, 421)에 대응되도록 하단고정프레임(412, 422)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43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1높이조절부(4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판프레임(200)의 해당부분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제2높이조절부(4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판프레임(200)의 해당부분에 위치된다.
중간부는 상판(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회전부(450)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구동수단(440)은 상판(100)의 측방향에서 연결부(43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연결회전부(450)는 베어링(452)과 고정브래킷(454) 및 고정부재(456)로 구성된다.
베어링(452)은 연결부(430)에 설치되며, 고정브래킷(454)은 연결부(430)에 설치된 베어링(452)을 상판(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56)는 고정브래킷(454)을 상판(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판(100) 하면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볼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수단(44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블럭(442)과 구동홈(444) 및 구동부(446)로 구성된다.
구동블럭(442)은 연결부(430)의 어느 한 단부 이상에 구비되고, 구동홈(444)은 구동블럭(442)에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446)는 구동홈(44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동블럭(44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판(1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구동부(446)를 구동홈(444)에 끼워 구동블럭(442)을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부(430)를 회전시켜 상판(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전달부(415)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베벨기어(415a)와 피동베벨기어(415b)로 구성된다.
구동베벨기어(415a)는 연결부(430)에 고정되고, 피동베벨기어(415b)는 구동베벨기어(415a)에 치합되도록 회전봉(414)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한편, 연결부(430)를 상판(100)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460)이 더 구비된다.
이 제2구동수단(46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구동봉(462)과 제2구동블럭(464), 제2구동홈(466) 및 제2구동부(468)로 구성된다.
제2구동봉(462)은 연결부(430)의 단부가 위치된 상판프레임(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구동블럭(464)은 제2구동봉(462)의 어느 한 단부 이상에 구비되며, 제2구동홈(466)은 제2구동블럭(464)에 형성된다.
제2구동부(468)는 제2구동홈(46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구동블럭(46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판(1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제2구동부(468)를 제2구동홈(466)에 끼워 제2구동블럭(464)과 제2구동봉(462)을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부(43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전달부(415)는 제2구동봉(462)에 고정되어 구동베벨기어(415a)와 피동베벨기어(415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베벨기어(415c)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수단(440)과 제2구동수단(460)은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도 상판(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실시 예의 구동홈(444, 466)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각 구동부(446, 468)은 해당 구동홈(444, 466)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먼저, 구동부(446)의 일 실시 예로, 렌치돌기(446a)와 렌치손잡이(446b)로 구성된다.
렌치돌기(446a)는 구동홈(44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렌치손잡이(446b)는 렌치돌기(446a)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렌치돌기(446a)의 단부를 구동홈(444)에 삽입 후, 렌치손잡이(446b)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블럭(442)과 연결부(430)가 회전되어 상판(100)의 높이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높이 조절 후, 렌치돌기(446a)가 구동홈(444)에서 이탈시키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구동부는 렌치돌기와 전동드릴로 구성된다.
렌치돌기는 구동홈(44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전동드릴은 렌치돌기를 탈부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상판(100)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네 개의 다리(300) 중 상판(100)의 후측에 위치된 두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600)가 더 구비된다.
이 다리고정부(60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고정봉(610)과 제1다리고정부재(620) 및 제2다리고정부재(630)로 구성된다.
다리고정봉(610)은 두 개로, 일단부가 두 개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두 개의 다리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되, 중앙부가 상호 교차된다.
그리고 제1다리고정부재(620)는 각 다리고정봉(610)을 해당 다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2다리고정부재(630)는 교차된 두 개의 다리고정봉(610)의 중앙부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10 : 높이조절 책상 100 : 상판
200 : 상판프레임 300 : 다리
400 : 높이조절수단 410 : 제1높이조절부
420 : 제2높이조절부 411, 421 : 상단높이조절프레임
412, 422 : 하단고정프레임 413, 423 : 하단높이조절프레임
414, 424 : 회전봉 415, 425 : 전달부
430 : 연결부 440 : 구동수단
450 : 연결회전부 460 : 제2구동수단
500 : 가이드포스트 600 : 다리고정부

Claims (16)

  1. 상판;
    내부에 통공을 갖고, 상판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상판프레임;
    상기 상판을 지지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
    상기 상판과 상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판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 상기 각 다리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상판의 각 모서리 하측을 지지하도록 네 개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판의 일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높이조절부;
    상기 상판의 타측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를 동일하게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와 제2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측단부에 위치된 상기 상판프레임에 하측으로 연결되는 상단높이조절프레임;
    상기 상판의 해당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프레임;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위치되는 하단높이조절프레임;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피동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어느 한 단부 이상에 구비되는 구동블럭;
    상기 구동블럭에 형성되는 구동홈; 및
    상기 구동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구동블럭을 회전시키되, 탈부착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를 구동홈에 끼워 상기 구동블럭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회전되되,
    상기 구동홈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은 동일 회전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상기 연결부의 회전축은 동일하고,
    상기 연결부를 상판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위치된 상기 상판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구동봉;
    상기 제2구동봉의 어느 한 단부 이상에 구비되는 제2구동블럭;
    상기 제2구동블럭에 형성되는 제2구동홈; 및
    상기 제2구동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구동블럭을 회전시키되, 탈부착 가능한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봉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베벨기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봉의 중심축은 상기 연결부의 회전축과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달부에 의해 회전력이 직교되도록 전달되고,
    상기 네 개의 다리 중 상기 상판의 후측에 위치된 두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다리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두 개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두 개의 다리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되, 중앙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개의 다리고정봉;
    상기 각 다리고정봉을 해당 다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다리고정부재; 및
    상기 교차된 두 개의 다리고정봉의 중앙부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제2다리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책상.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판프레임 해당 부분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높이조절프레임은 상단높이조절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단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책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판프레임의 해당부분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높이조절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판프레임의 해당부분에 위치되며, 중간부는 상기 상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회전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판의 측방향에서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책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회전부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기 위한 베어링;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베어링을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을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책상.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홈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책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렌치돌기; 및
    상기 렌치돌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렌치손잡이;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책상.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렌치돌기; 및
    상기 렌치돌기를 탈부착하기 위한 전동드릴;을 포함하는 높이조절 책상.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97118A 2015-07-08 2015-07-08 높이조절 책상 KR10178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18A KR101780545B1 (ko) 2015-07-08 2015-07-08 높이조절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18A KR101780545B1 (ko) 2015-07-08 2015-07-08 높이조절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468A KR20170006468A (ko) 2017-01-18
KR101780545B1 true KR101780545B1 (ko) 2017-09-20

Family

ID=5799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118A KR101780545B1 (ko) 2015-07-08 2015-07-08 높이조절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36A (ko) 2019-07-17 2021-01-27 유준혁 하나의 축을 돌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30015609A (ko) 2021-07-23 2023-01-31 이대근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변하는 베개
KR20230015605A (ko) 2021-07-23 2023-01-31 이대근 각도 조절 c to c 고속 충전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341B1 (ko) * 2018-08-02 2020-10-23 주식회사 소프시스 부분교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102592570B1 (ko) * 2021-07-16 2023-10-20 영 철 공 자동 높이조절 책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43773Y (zh) * 2008-08-20 2009-05-27 东南大学 齿轮式可升降课桌
KR100932729B1 (ko) * 2009-05-20 2009-12-21 (주)오성엔지니어링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43773Y (zh) * 2008-08-20 2009-05-27 东南大学 齿轮式可升降课桌
KR100932729B1 (ko) * 2009-05-20 2009-12-21 (주)오성엔지니어링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36A (ko) 2019-07-17 2021-01-27 유준혁 하나의 축을 돌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30015609A (ko) 2021-07-23 2023-01-31 이대근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변하는 베개
KR20230015605A (ko) 2021-07-23 2023-01-31 이대근 각도 조절 c to c 고속 충전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468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545B1 (ko) 높이조절 책상
KR101156470B1 (ko)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851591B1 (ko)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베개
CN106724180B (zh) 一种多功能讲桌
CN202775011U (zh) 升降式课桌
CN105434056A (zh) 一种便捷式电控脑外手术支架
CN211779390U (zh) 一种输油管道支撑装置
KR102592570B1 (ko) 자동 높이조절 책상
KR101419034B1 (ko) 가변형 놀이기구
CN110410653B (zh) 一种显示器支架
CN210186323U (zh) 一种产科护理用多功能医疗用康复训练扶梯
CN204146613U (zh) 可调高度的课椅
KR10176887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CN212547561U (zh) 一种可调式俯卧位体位垫
KR200349571Y1 (ko) 상판 높이 및 경사 조절식 책상
KR100959816B1 (ko)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
CN203676680U (zh) 多自由度调整转台
CN211021409U (zh) 一种电动调节办公桌
CN210930206U (zh) 一种乒乓球台
CN207502857U (zh) 一种液晶屏生产装置
CN110081276A (zh) 一种可调节显示屏底座
KR100597962B1 (ko) 기울기조절 책상
CN211214175U (zh) 颈椎牵引单元
KR20160021694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CN213934687U (zh) 一种财务审计信息检测软件开发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