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043U -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 Google Patents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043U
KR19980069043U KR2019980018926U KR19980018926U KR19980069043U KR 19980069043 U KR19980069043 U KR 19980069043U KR 2019980018926 U KR2019980018926 U KR 2019980018926U KR 19980018926 U KR19980018926 U KR 19980018926U KR 19980069043 U KR19980069043 U KR 199800690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tudent
height
height adjustment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희철
이성하
박주환
Original Assignee
남희철
이성하
박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희철, 이성하, 박주환 filed Critical 남희철
Priority to KR2019980018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9043U/ko
Publication of KR19980069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043U/ko

Link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생용 책걸상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에 다리높이조절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와 다리높이조절구와의 연결조립부가 이중으로 지지되어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는,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에 설치되어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약 20∼30c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11)의 외경 보다 내경이 커서 다리부(11)의 외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측에는 상부지지테(3)가 끼워지고, 높이조절구 본체(2)의 하부 내측에는 약 10∼15cm의 길이의 숫나사(6)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으로 상향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 머리부(5)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 고정되게 높이조절볼트(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는 합성수지재나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하부캡(9)이 착탈 가능하게 외삽되고, 상기 숫나사(6)에는 다리부(11)의 말단부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8)를 구비한 고정너트(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본 고안은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사용하고 있는 학생용 책걸상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에 다리높이조절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와 다리높이조절구와의 연결조립부가 이중으로 지지되어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책걸상의 높이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용으로 그 크기가 정해져 있는데,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의 체격은 급속하게 커지고 있어 작은 책걸상을 체격이 커진 학생들이 불편하게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11)에 높이조절볼트(4)를 설치하여 커져가는 학생들의 체격에 대응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11)의 간격이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게 형성되어서 다리부(11)는 결과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다리부(11)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면(13)과 높이조절볼트(4)의 머리부(5)가 소정의 각도(α)만큼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어 다리부(11)의 말단부에 고정된 고정너트(12)와 높이조절볼트(4)의 숫나사부와의 체결부위에서 휨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너트(12)와 높이조절볼트(4)의 숫나사부와의 체결부위에서 휨이 발생함에 따라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이조절볼트(4)의 머리부(5)를 돌릴 때 높이조절볼트(4)가 돌아가지 않아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해짐은 물론이고, 높이조절볼트(4)의 숫나사부와 고정너트(12)의 암나사부가 찌그러지면서 높이조절볼트(4)를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하여 학생용 책걸상까지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에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높이조절구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생용 책걸상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에 사용하던 헌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가 다리높이조절구의 내측 깊숙한 곳에서 이중으로 지지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와 다리높이조절구의 연결부에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에 설치되어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약 20∼30c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11)의 외경 보다 내경이 커서 다리부(11)의 외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측에는 상부지지테(3)가 끼워지고, 높이조절구 본체(2)의 하부 내측에는 약 10∼15cm의 길이의 숫나사(6)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으로 상향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 머리부(5)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 고정되게 높이조절볼트(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는 합성수지재나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하부캡(9)이 착탈 가능하게 외삽되고, 상기 숫나사(6)에는 다리부(11)의 말단부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8)를 구비한 고정너트(7)가 체결되어 고정너트(7)와 숫나사(6)와의 체결부위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주연과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에 삽입된 다리부(11)의 외주연 사이의 대응부위에서 다리높이조절구(1)와 다리부(11)와의 연결부위가 이중으로 지지되어 상기 연결부위의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요부발췌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리높이조절구 2. 높이조절구 본체 3. 상부지지테
4. 높이조절볼트 5. 머리부 6. 숫나사
7. 고정너트 8. 삽입고정부 9. 하부캡
10. 학생용 의자 11. 다리부 12. 고정너트
13. 바닥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11) 외경 보다 내경이 커서 다리부(11)의 외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단에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단부 내외측 전둘레를 감싸도록 상부지지테(3)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 본체(2)의 하부 내측에는 숫나사(6)와 머리부(5)를 구비한 높이조절볼트(4)가 삽입 설치되는데,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으로 숫나사(6)가 상향 삽입되며 머리부(5)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하측에 용접이나 압입 등의 고정방법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구 본체(2)의 길이는 약 20∼30cm의 길이로 형성하며, 높이조절볼트(4)의 숫나사(6)의 길이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이분의 일 정도에 해당하는 10∼15cm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는 합성수지재나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하부캡(9)이 착탈식으로 외삽되고, 상기 숫나사(6)에는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11)의 말단부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8)가 상측에 형성된 고정너트(7)가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리높이조절구(1)를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11)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리높이조절구(1)에서 분리된 상태의 고정너트(7)를 다리부(11)의 말단부에 삽입 고정시키는데, 상기 고정너트(7)는 상측에 삽입고정부(8)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어, 이 고정너트(7)를 파이프로 제작된 다리부(11)의 말단부 내측으로 망치 등의 타격공구를 이용하여 압입시키면 상기 고정너트(7)는 삽입고정부(8)만 다리부(11)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말단부에 고정너트(7)가 설치된 다리부(11)에 높이조절구 본체(2)를 외삽시키면,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 상부측이 절반정도가 빈 상태이므로 다리부(11)의 말단부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으로 아무런 저항없이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다리부(11)의 말단부를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다가 숫나사(6)의 선단부와 고정너트(7)의 암나사부가 마주쳐 걸리면, 그때부터는 높이조절구 본체(2)를 돌려서 숫나사(6)가 고정너트(7)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하면 본 고안의 다리높이조절구(1)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높이조절구(1)를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11)의 말단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학생용 책걸상을 사용할 학생의 체격에 맞게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높이조절구 본체(2)만 돌리면 높이조절구 본체(2)에 고정된 높이조절볼트(4)와 다리부(11)의 말단부에 고정된 고정너트(7)와의 체결(나사이동)에 의해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높이가 조절된 학생용 책걸상에 앉거나 팔을 기대는 등 하중이 학생용 책걸상에 작용하게 되면, 다리부(11)와 다리높이조절구(1)와의 연결부에 하중이 걸리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1차로 다리부(11)에 고정된 고정너트(7)의 암나사부와 높이조절볼트(4)의 숫나사(6)와의 나사체결부에서 하중이 지지되고, 2차로 고정너트(7)의 삽입고정부(8)에 끼워진 다리부(11)의 말단부 외주연과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측에 끼워진 상부지지테(3)의 내주연 즉,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부측 내주연부측이 접하는 다리부(11)의 외주연부측과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주연이 서로 지지되어 다리높이조절구(1)와 다리부(11)와의 연결부에서 휨이나 변형이 절대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다리높이조절구(1)를 최대한 하측으로 빼서 숫나사(6)의 끝에 고정너트(7)가 체결되어 있는 경우라도 높이조절구 본체(2)의 길이는 대략 20∼30cm이고, 숫나사(6)의 길이가 약 10∼15cm이므로 다리부(11)의 말단부 외주연과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주연이 접촉하면서 지지되는 길이가 10∼15cm이므로 다리높이조절구(1)와 다리부(11)와의 연결부에서 휨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에 다리높이조절구를 연결함에 있어서, 다리부의 말단부가 다리높이조절구의 내측으로 적어도 10∼15cm는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높이조절을 위한 다리부의 말단부에 고정된 고정너트와 높이조절구 본체의 숫나사와 1차로 지지되고, 2차로 상기 다리부의 말단부 외주연과 높이조절구 본체의 내주연이 적어도 10∼15cm만큼을 2차로 지지하므로 다리높이조절구와 다리부와의 연결부가 휘거나 변형되는 등의 손상이 전혀 없어 종래의 다리부와 높이조절볼트와의 연결부가 취약하여 발생하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학생용 책걸상의 하측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체격이 커가는 학생들의 체격에 맞게 새로운 학생용 책걸상을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던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예산 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부 말단부에 설치되어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약 20∼30c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11)의 외경 보다 내경이 커서 다리부(11)의 외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구 본체(2)의 상측에는 상부지지테(3)가 끼워지고, 높이조절구 본체(2)의 하부 내측에는 약 10∼15cm의 길이의 숫나사(6)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내측으로 상향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 머리부(5)가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 고정되게 높이조절볼트(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구 본체(2)의 말단부에는 합성수지재나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하부캡(9)이 착탈 가능하게 외삽되고, 상기 숫나사(6)에는 다리부(11)의 말단부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8)를 구비한 고정너트(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2019980018926U 1998-09-29 1998-09-29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199800690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26U KR19980069043U (ko) 1998-09-29 1998-09-29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26U KR19980069043U (ko) 1998-09-29 1998-09-29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043U true KR19980069043U (ko) 1998-12-05

Family

ID=6951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26U KR19980069043U (ko) 1998-09-29 1998-09-29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90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21B1 (ko) * 2007-11-22 2008-01-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23888B1 (ko) * 2007-11-07 2008-04-2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8B1 (ko) * 2007-11-07 2008-04-2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KR100795021B1 (ko) * 2007-11-22 2008-01-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043U (ko)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101659662B1 (ko) 높이조절용 받침구가 구비된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345824B1 (ko)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KR101966705B1 (ko) 가림판 장착용 싱크대 다리
JP3205717U (ja) テーブル等の継ぎ脚構造
US3390421A (en) Chair base
KR20020071275A (ko) 학생용 책/걸상 높이조절구
GB2400380A (en) Toilet seat fitting
KR200334963Y1 (ko) 행거포스트
KR20025571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251885Y1 (ko)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CN220037893U (zh) 一种税控机的支撑脚高度调节结构
KR101025313B1 (ko) 절첩형 의자의 보조 받침대
KR200320254Y1 (ko)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200402515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다리연결구조
KR20040089934A (ko)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200493744Y1 (ko) 교구 의자
KR200319377Y1 (ko)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0139038Y1 (ko) 세탁기의 조절다리
KR19980056120U (ko) 탁자 또는 책상의 다리고정장치
KR200227756Y1 (ko)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KR0133785Y1 (ko)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791001B1 (ko) 싱크대 다리
KR2003602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