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254Y1 -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254Y1
KR200320254Y1 KR20-2003-0011624U KR20030011624U KR200320254Y1 KR 200320254 Y1 KR200320254 Y1 KR 200320254Y1 KR 20030011624 U KR20030011624 U KR 20030011624U KR 200320254 Y1 KR200320254 Y1 KR 200320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height
furniture
join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우
Original Assignee
이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우 filed Critical 이덕우
Priority to KR20-2003-0011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2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구의 다리에 구비된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볼조인트가 볼안착부재와 볼고정부재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개재되어 다리에 삽입된 소켓의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상기 볼조인트는 하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구형 볼부재의 상부에 나사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볼안착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볼안착홈에 안착시키고, 상기 볼고정부재를 볼안착부재의 상부에 맞닿도록 결합시켜 볼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이 볼안착홈에 안착된 구형 볼부재의 상부와 결합되어 수평조절이 되고, 쿠션부재가 삽입된 볼안착부재의 하단을 오무려서 볼조인트와 쿠션부재를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볼조인트는 하단에 형성된 볼조인트에 드라이버로 회전시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져 곧은 다리나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취하는 다리가 바닥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볼조인트를 회전시켜 가구의 수평을 맞추도록 하여 흔들림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High and low and horizontal angle of furniture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이블이나 의자 등의 가구를 지지하는 다리의 하단과 바닥에 안착되는 볼안착부재 사이에 나사식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볼조인트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곧은 다리나 바깥쪽으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하는 다리가 바닥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볼조인트를 회전시켜 테이블이나 의자 등을 수평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배치하여 생활에 사용하는 의자나 책상같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가리키기만, 넓은 의미로는 건물에 붙여 만든 옷장이나 벽난로 등도 포함된다.
예를들어, 장농은 몸체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다리를 구비하여 바닥과 몸체의 하부 사이를 띄워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불균일한 높이를 갖는 바닥으로 부터 몸체를 수평되게 안착시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이나 의자의 다리는 장농의 다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앉은 키의 높이에 따라 편안한 자세로 업무나 식사 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블이나 의자에 형성된 다리의 하단에는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별도의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높낮이 조절구는 암나사를 갖는 브라켓이 다리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암나사에는 하단에 디스크 형태의 안착부 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나사부재가 삽입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브라켓의 암나사에 체결된 나사부재를 회전시켜서 암나사로 부터 나사부재가 소정의 길이로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그 높이를 수평되게 조절하여 테이블이나 의자가 사용중 흔들거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테이블이나 의자의 다리 하단에 암나사를 형성한 브라켓을 고정시키고, 상기 암나사에 안착부 또는 미끄럼방지부를 갖는 나사부재를 체결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다리가 바깥쪽으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이러한 나사부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나사부재는 암나사의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가운데 축방향이 바닥과 직각이 되지 않음에 따라 그 하단에 형성된 안착부 또는 미끄럼방지부의 일부만이 바닥에 닿게 되는 원인으로 인해 장판이나 모노륨 및 카펫트 등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가구를 지지하는 다리의 하단과 바닥에 안착되는 볼안착부재 사이에 나사식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볼조인트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곧은 다리나 바깥쪽으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하는 다리가 바닥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볼조인트를 회전시켜 가구의 수평을 맞추어 흔들림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구의 다리에 구비된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볼조인트가 볼안착부재와 볼고정부재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개재되어 다리에 삽입된 소켓의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상기 볼조인트는 하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구형 볼부재의 상부에 나사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볼안착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볼안착홈에 안착시키고, 상기 볼고정부재를 볼안착부재의 상부에 맞닿도록 결합시켜 볼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이 볼안착홈에 안착된 볼부재의 상부와 결합되어 수평조절이 되고, 쿠션부재가 삽입된 볼안착부재의 하단을 오무려서 볼조인트와 쿠션부재를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볼조인트의 하단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에 드라이버로 회전시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조절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를 분리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3a,b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a∼4c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테이블과 의자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볼조인트 1a:구형 볼부재
1a':드라이버홈 1b:나사부재
2:볼안착부재 2a:볼안착홈
3:볼고정부재 3a:관통공
4:쿠션부재 5:소켓
5a:너트 6:다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A)는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1)와, 볼안착부재(2)와, 볼고정부재(3) 및 다리(6)의 하부에 삽입된 소켓(5) 그리고 볼안착부재(2)의 하단에 삽입 고정된 쿠션부재(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볼조인트(1)는 하부에 구형 볼부재(1a)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부재(1b)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구형 볼부재(1a)의 외주연부 하단에는 미도시한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드라이버홈(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안착부재(2)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아아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중앙에는 요홈의 형태를 갖는 볼안착홈(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는 구멍(2a')을 형성하여 상기 구형 볼부재(1a)에 형성된 드라이버홈(1a')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고정부재(3)는 볼안착부재(2)의 바깥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밀착되게 구비된 것으로서, 상부 중앙에는 상기 구형 볼부재(1a)의 직경보다 다소 적은 직경을 갖는 관통공(3a)을 형성하여 볼안착홈(2a)에 안착된 볼조인트(1)의 구형 볼부재(1a)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고정부재(3)의 하단을 프레스 등으로 오무려 볼고정부재(3)가 볼안착부재(2)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쿠션부재(4)가 볼안착부재(2)의 내측면에서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동시에 막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켓(5)은 가구의 다리(6)를 형성하는 파이프의 하단에 억지끼어져 고정된 것으로서, 그 내부 중앙에는 너트(5a)가 매입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하부에는 걸림턱(5b)을 형성하여 소켓(5) 전체가 다리(6)의 내부로 삽입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연부에는 다수개의 돌기(5c)를 형성하여 다리(6)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5)의 상단은 다리(6)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테이퍼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소켓(5)은 합성수지재나 PVC재 등을 사용하여 사출과정에서 너트(5a)가 인서트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구 높낮이 조절장치(A)는 먼저, 볼조인트(1)의 하부에 형성된 구형 볼부재(1a)를 볼안착부재(2)의 상부에 형성된 볼안착홈(2a)에 안착시키고, 그 상부로 볼고정부재(3)의 관통공(3a)을 통해 나사부재(1b)가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 볼안착부재(2)의 하부를 통해 쿠션부재(4)의 윗면이 맞닿도록 삽입한 후 공지의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볼고정부재(3)의 하단을 내측으로 오무려 쿠션부재(4)와 볼안착부재(2)를 동시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볼고정부재(3)의 관통공(3a)이 구형 볼부재(1a)의 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을 가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볼안착홈(2a) 역시 구형 볼부재(1a)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쿠션부재(4)를 포함한 볼안착부재 및 볼고정부재(3)가 상하,전후,좌우로 미소간격 또는 각을 갖도록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사부재(1b)를 다리(6)의 하단에 삽입 고정된 소켓(5)의 중앙에 구비된 너트(5a)에 체결 시키는 것으로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조절장치의 설치가 마무리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진 테이블이나 의자가 기우뚱 거리게 될 경우, 다리(10)를 들은 상태에서 구면부재(4)의 중앙으로 노출된 구형 볼부재(1a)의 드라이버홈(1a')에 드라이버를 마춘 후 좌우로 회전시켜 나사부재(1b)가 너트(5a)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거나 하부로 이송됨에 따라 그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테이블이나 의자 등의 가구를 지지하는 다리가 임의 각도로 구성되거나 가구가 위치되는 바닥이 수평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그 수평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리의 하단과 바닥에 안착되는 볼안착부재 사이에 나사식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볼조인트를 구비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네개의 다리가 균일한 바닥이나 불균일 한 바닥에 용이하게 안착되어 흔들거림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드라이버로 볼조인트를 회전시켜 테이블이나 의자 등의 수평을 유지시켜 그 윗면에 놓여진 물건들이 굴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구와 의자의 다리에 구비된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A)에 있어서,
    볼조인트(1)가 볼안착부재(2)와 볼고정부재(3)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개재되어 다리(6)에 삽입된 소켓(5)의 너트(5a)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상기 볼조인트(1)는 하부에 드라이버홈(1a')이 형성된 구형 볼부재(1a)의 상부에 나사부재(1b)를 일체로 형성하여 볼안착부재(2)의 상부에 형성된 볼안착홈(2a)에 안착시키고, 상기 볼고정부재(3)를 볼안착부재(2)의 상부에 맞닿도록 결합시켜 볼고정부재(3)에 형성된 관통공(3a)이 볼안착홈(2a)에 안착된 구형 볼부재(1a)의 상부와 결합되어 수평조절이 되고, 쿠션부재(4)가 삽입된 볼안착부재(2)의 하단을 오무려서 볼조인트(1)와 쿠션부재(4)를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볼조인트(1)의 하단에 형성된 드라이버홈(1a')에 드라이버로 회전시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20-2003-0011624U 2003-04-15 2003-04-15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200320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24U KR200320254Y1 (ko) 2003-04-15 2003-04-15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24U KR200320254Y1 (ko) 2003-04-15 2003-04-15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784A Division KR20040089934A (ko) 2003-04-15 2003-04-15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254Y1 true KR200320254Y1 (ko) 2003-07-16

Family

ID=4941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624U KR200320254Y1 (ko) 2003-04-15 2003-04-15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2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752A (ko) * 2017-04-26 2018-11-05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2588361B1 (ko) 2023-03-16 2023-10-13 (주)동연디자인 수납가구용 전도방지 및 수평조절장치
ES2956093A1 (es) * 2023-06-12 2023-12-13 Univ Madrid Politecnica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inclinación en una sill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752A (ko) * 2017-04-26 2018-11-05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2321701B1 (ko) * 2017-04-26 2021-11-03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2588361B1 (ko) 2023-03-16 2023-10-13 (주)동연디자인 수납가구용 전도방지 및 수평조절장치
ES2956093A1 (es) * 2023-06-12 2023-12-13 Univ Madrid Politecnica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inclinación en una sil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0254Y1 (ko)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CA2971456C (en) Self-adjusting furniture glide
KR20040089934A (ko)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100829180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2175267B1 (ko) 의자
KR100500462B1 (ko)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15062Y1 (ko) 가구용 높이조절구
KR102476164B1 (ko) 높이조절 지주의 흔들림 방지장치
CN220824097U (zh) 一种座部组件
CN213247467U (zh) 一种可调节高度的家具
CN212117625U (zh) 一种可对地面倾斜自适应调节的坐具
US7156468B2 (en) Adjustable grommet for a chair seat
CN211323904U (zh) 一种高度可调节的户外桌脚垫
KR200217062Y1 (ko) 책걸상다리의 받침구
KR200264036Y1 (ko)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101437781B1 (ko) 책상에 부설된 발받침대
JP2003169726A (ja) 椅 子
KR200260624Y1 (ko) 발받침이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101697507B1 (ko) 교의
JPS606271Y2 (ja) 机の安定金具
KR200205093Y1 (ko) 가구용 다리받침
JP2001161474A (ja) 家具用脚装置
KR20090003325U (ko) 책걸상의 좌대 마감캡
CN208624964U (zh) 高支撑的稳定结构餐椅
JPH044612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