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462B1 -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462B1
KR100500462B1 KR1020040081786A KR20040081786A KR100500462B1 KR 100500462 B1 KR100500462 B1 KR 100500462B1 KR 1020040081786 A KR1020040081786 A KR 1020040081786A KR 20040081786 A KR20040081786 A KR 20040081786A KR 100500462 B1 KR100500462 B1 KR 10050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upport
nut
present
ou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모
Original Assignee
(주)에리트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리트퍼니처 filed Critical (주)에리트퍼니처
Priority to KR102004008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462B1/ko
Priority to JP2004375519A priority patent/JP2006110318A/ja
Priority to EP04030829A priority patent/EP1647208A1/en
Priority to CNB2004101027953A priority patent/CN100456995C/zh
Priority to US11/026,461 priority patent/US200600764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외측지지대(10)의 상단 내부로 내측지지대(20)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 승하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측지지대의 사이에는 볼트(17)를 조여 너트(70)에 체결하면 내측지지대의 높이를 외측지지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장시간 지나도 내측지지대의 높이가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고정수단(5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절 후에는 장시간 지나도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종래와 같은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개선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장치{HIGH AND LOW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절 후에는 장시간 지나도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종래와 같은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개선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는 종래에도 다수 있었다.
즉, 핀에 의한 조절장치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조절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사용에 많은 불편함 및 조절장치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사용상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핀에 의한 조절장치는 충격으로 인하여 핀의 이탈이 심하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조절기능은 장시간 사용시 스프링의 작동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높낮이 조절 후에도 스프링의 강도 문제 및 연결부위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어려움을 격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측지지대의 상단 내부로 내측지지대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 승하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측지지대의 사이에는 볼트를 조여 너트에 체결하면 내측지지대의 높이를 외측지지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장시간 지나도 내측지지대의 높이가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고정수단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절 후에는 장시간 지나도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종래와 같은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개선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지지대(10)의 상단 내부로 내측지지대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 승하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측지지대의 사이에는 볼트를 조여 너트에 체결하면 내측지지대의 높이를 외측지지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장시간 지나도 내측지지대의 높이가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장치를 도 3,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일 뿐, 꼭 의자에 국한할 필요 없이 전술한 바와 같이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필요한 곳에는 어디든지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11)이 형성된 외측지지대(10)의 상단 내부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21)이 형성된 내측지지대(20)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 승하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측지지대(20)(10)의 사이에는 볼트(17)를 조여 너트(70)에 체결하면 내측지지대(20)의 높이를 외측지지대(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장시간 지나도 내측지지대(20)의 높이가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고정수단(5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외측지지대(20)(10)는 금속재나 그 밖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높낮이고정수단(5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이 외의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높낮이고정수단(5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외측지지대(10)가 하단으로 끼워지게 지지대삽입홈(55)이 형성되고, 내측지지대(20)가 상부에서 끼워지게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드공(54)이 형성되며, 일측 내부에는 구멍(53)과 이 구멍(53)보다 넓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삽입홉(52)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삽입홈(52)에는 너트(7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삽입홈(52)이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는 다른쪽 보다 두껍게 보강부(5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높낮이고정수단(50)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무늬홈(56)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너트(70)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재질인 높낮이고정수단(5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금속재의 다수의 돌기(71)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외측지지대(10)가 'ㄴ'자로 절곡된 상태에서 전방에는 하단에 돌기(32)와 외주면에 무늬홈(31)이 형성된 전방마감재(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된 외측지지대(10)의 하단에는 하단에 돌기(42)와 외주면에 무늬홈(41)이 형성된 후방마감재(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내측지지대(20)의 상단에는 무늬홈이 형성된 상부마감재(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은 의자의 좌판이고, 2는 의자의 등받이이며, 18은 양단 외측지지대(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이고, 부호 22는 좌판(1)을 받치는 받침대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핀과 스프링에 의한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쉽게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절 후에 조절기능의 상태를 변함없이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삽입홈(55)에 외측지지대(10)의 상단이 결합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슬라이드공(54)의 내부에는 내측지지대(20)가 끼워져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외측지지대(10)의 상단 내부로 내측지지대(20)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되, 볼트(17)를 구멍(11)(21)을 통해 너트(70)에 체결하면 내측지지대(20)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장시간이 지나도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 5 에 도시된 실선과 같이 좌판(1)이 하강한 상태에서 좌판(1)의 높이를 가상선과 같이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볼트(17)를 풀어 너트(70)에서 분리한다. 이렇게 볼트(17)를 너트(70)에서 분리하면 내측지지대(20)가 외측지지대(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승하강 작동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1)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가상선)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볼트(17)를 조여 너트(70)에 체결하면 간단하게 좌판(1)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17)가 너트(70)에 체결되면 높낮이 조절 후에도 전혀 흔들림이나 이탈이 없게 된다. 즉, 상기 높낮이고정수단(50)에 구비된 너트(70)는 너트삽입홈(52)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 너트삽입홈(52)은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51)의 사이에 형성되어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상기 너트삽입홈(52)에 끼워진 너트(70)는 삼면이 밀착되게 구성되어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에도 이탈이 없도록 한 것이고, 이는 장시간 지나도 상기 볼트(17)가 너트(70)에서 이탈이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측지지대(10)에서 내측지지대(20)를 견고히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너트삽입홈(52)의 내부에 함께 성형되어진 너트(70)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71)가 높낮이고정수단(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더욱 더 볼트(17)를 너트(70)에 조이거나 풀때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또한 볼트(17)를 조이는 과정에서 너트(70)는 볼트(17)쪽으로 밀려오게 됨으로 상대적으로 너트삽입홈(52)과 근접된 슬라이드공(54)이 내측지지대(20)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됨으로 인해 더욱 더 높낮이고정수단(50)에서 내측지지대(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높낮이 조절시 볼트(17) 만으로 손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어떠한 장소에서도 간단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면 다시 좌판(1)의 높이를 하강시켜 의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지지대(10)의 선단에 전방마감재(30)를 구비하여 끝이 날카로운 외측지지대(10)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외주면에는 무늬홈(31)을 구비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고 또한 하단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돌기(32)를 구비하여 의자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지지대(10)의 후방 하단에 후방마감재(40)를 구비하여 하단에 구비된 돌기(42)에 의해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무늬홈(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 외측지지대(10)의 상단에 구비된 중간마감재(50)와 내측지지대(20)의 상단에 구비된 상부마감재(60)는 끝이 날카로운 부분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지지대의 상단 내부로 내측지지대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 승하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측지지대의 사이에는 볼트를 조여 너트에 체결하면 내측지지대의 높이를 외측지지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장시간 지나도 내측지지대의 높이가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고정수단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고, 의자, 책상, 각종 테이블 또는 옷걸이 등의 높낮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절 후에는 장시간 지나도 변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종래와 같은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개선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고정수단의 부분 평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고정수단의 부분 측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고정수단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고정수단이 외측지지대와 내측지지대의 사
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높낮이고정수단을 의자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상기 도 3 의 정면도.
도 5 는 상기 도 3 의 측면도.
도 6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방마감재가 지지대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
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후방마감재가 지지대의 후미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며,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상부마감재가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
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측지지대 20: 내측지지대
30: 전방마감재 40: 후방마감재
50: 높낮이고정수단 51: 보강부
52: 너트삽입홈 54: 슬라이드공
55: 지지대삽입홈 60: 상부마감재
70: 너트 71: 돌기

Claims (8)

  1. 삭제
  2. 의자, 책상,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측지지대(10)의 상단 내부로 내측지지대(20)가 끼워져 선택적으로 상하 승하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측지지대의 사이에는 외측지지대(10)가 하단으로 끼워지게 지지대삽입홈(55)이 형성되고, 내측지지대(20)가 상부에서 끼워지게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드공(54)이 형성되며, 일측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53)과 이 구멍보다 넓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삽입홉(52)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삽입홈에는 볼트(17)를 너트(70)에 체결하여 내측지지대의 높이를 외측지지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높낮이고정수단(5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삽입홈이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는 다른쪽 보다 두껍게 보강부(5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고정수단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무늬홈(56)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일측에는 높낮이고정수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의 돌기(71)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6.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대가 절곡된 상태에서 전방에는 하단에 돌기와 외주면에 무늬홈이 형성된 전방마감재(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7. 제 6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외측지지대의 하단에는 하단에 돌기와 외주면에 무늬홈이 형성된 후방마감재(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8.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대의 상단에는 무늬홈이 형성된 상부마감재(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40081786A 2004-10-13 2004-10-13 높낮이 조절장치 KR100500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786A KR100500462B1 (ko) 2004-10-13 2004-10-13 높낮이 조절장치
JP2004375519A JP2006110318A (ja) 2004-10-13 2004-12-27 高低調節装置
EP04030829A EP1647208A1 (en) 2004-10-13 2004-12-27 Height-adjusting device
CNB2004101027953A CN100456995C (zh) 2004-10-13 2004-12-28 高度调节装置
US11/026,461 US20060076465A1 (en) 2004-10-13 2004-12-30 Height-adju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786A KR100500462B1 (ko) 2004-10-13 2004-10-13 높낮이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011U Division KR200373338Y1 (ko) 2004-10-13 2004-10-13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462B1 true KR100500462B1 (ko) 2005-07-18

Family

ID=3548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786A KR100500462B1 (ko) 2004-10-13 2004-10-13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76465A1 (ko)
EP (1) EP1647208A1 (ko)
JP (1) JP2006110318A (ko)
KR (1) KR100500462B1 (ko)
CN (1) CN10045699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05B1 (ko) 2007-12-03 2008-05-08 (주)에리트퍼니처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8646B (zh) * 2009-11-10 2013-09-11 天士力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带有滴制距离调节装置的滴丸机
CN102551341A (zh) * 2010-12-09 2012-07-11 刘财军 易于调节高度的桌椅升降装置
CN103118445A (zh) * 2011-11-17 2013-05-22 成都欣捷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电热板
CN103519571A (zh) * 2012-07-08 2014-01-22 江苏锡光科教设备有限公司 可升降课椅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1460A (en) * 1944-04-01 1945-03-13 Edward F Needham Swivelly mounted ladder stabilizer
GB689273A (en) * 1950-12-22 1953-03-25 David William Leig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urniture
US3855946A (en) * 1972-09-25 1974-12-24 American Standard Inc Adjustable leg structure
CN2033624U (zh) * 1988-08-25 1989-03-08 马明文 一种可调式桌椅
US5107775A (en) * 1991-05-06 1992-04-28 Sylvain Langlais Adjustable legs for desk and the like
US5385323A (en) * 1993-10-14 1995-01-31 Garelick; Richard J. Telescoped tubular support members
CN2182559Y (zh) * 1994-03-31 1994-11-16 孔庆宽 可调角度升降多功能学习桌
US5746152A (en) * 1995-08-28 1998-05-05 Moeller Marine Products Telescoping seat pedestal
US5862635A (en) * 1997-09-16 1999-01-26 Magnum Foundation Systems Support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US6290192B1 (en) * 1999-03-02 2001-09-18 Loyd R. Messerli Adjustable receiver tube
US6324800B1 (en) * 1999-12-06 2001-12-04 Portable Pipe Hangers, Inc. Support base
US6347777B1 (en) * 2000-02-01 2002-02-19 Hoist Fitness Systems Seat adjustment apparatus
US6612533B2 (en) * 2001-07-09 2003-09-02 Cabinet-Eaz L.L.C. Adjustable sup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05B1 (ko) 2007-12-03 2008-05-08 (주)에리트퍼니처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6465A1 (en) 2006-04-13
EP1647208A1 (en) 2006-04-19
CN1759788A (zh) 2006-04-19
CN100456995C (zh) 2009-02-04
JP2006110318A (ja)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492B2 (en) Domestic appliance with friction foot and method of forming
US6758523B2 (en) Office chair
US4810033A (en) Adjustable backrest
US7491025B2 (en) Fastener
US20070006781A1 (en) Table with removable top
KR100500462B1 (ko) 높낮이 조절장치
CN110285121A (zh) 家具系统
KR200373338Y1 (ko) 높낮이 조절장치
US20080023997A1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height
US6659554B2 (en) Adjustment device of a chair backrest
KR100828405B1 (ko)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US3390421A (en) Chair base
EP4125500A1 (de) Adapter zur befestigung eines zubehörteils an einem stuhl
KR200253170Y1 (ko) 냉장고의 높이조절다리
KR200320254Y1 (ko)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102254238B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20071275A (ko) 학생용 책/걸상 높이조절구
US3858858A (en) Anchor bracket for furniture springs
KR900009488Y1 (ko) 좌책상 겸용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6994402B1 (en) Furniture frame bracket
JP3690515B2 (ja) 物品収納什器
KR200354541Y1 (ko) 리클라이닝 소파
KR200241885Y1 (ko) 학생용 책/걸상 높이조절구
KR200264837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100004369U (ko) 의자용 시트 브래킷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