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541Y1 - 리클라이닝 소파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41Y1
KR200354541Y1 KR20-2004-0010210U KR20040010210U KR200354541Y1 KR 200354541 Y1 KR200354541 Y1 KR 200354541Y1 KR 20040010210 U KR20040010210 U KR 20040010210U KR 200354541 Y1 KR200354541 Y1 KR 200354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frame
reclining
coupling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봉갑
Original Assignee
하봉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봉갑 filed Critical 하봉갑
Priority to KR20-2004-0010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클라이닝 소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소파(10)와, 제2소파(20), 그리고 제3소파(30)가 하나의 3인용 소파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1소파(10)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설치된 결합편(1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소파(20)는, 상기 제1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1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반대측면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3소파(30)는, 상기 제2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2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편과 결합공이 결합되어, 전체가 외력에 의하여 흩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과 결합공은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동작시 소파 재질끼리의 마찰을 방지하고,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소파{Reclining safa}
본 고안은 리클라이닝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소파가 옆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3인용 소파에서 각각의 소파가 정해진 간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클라이닝 기능이 부드럽게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클라이닝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소파는 1인용 및 3인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3인용 소파의 경우에는, 전체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지만, 3개의 소파가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 후, 이들을 나란하게 배열함으로써 3인용 소파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칭하는 3인용 소파는, 실질적으로 3개의 소파가 나란하게 배열되어서, 3인용으로 구성되는 소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파의 시트 밑에서 다리를 올릴 수 있는 다리지지부가 올라오고, 소파의 등지지부가 후방으로 누울 수 있는 리클라이닝소파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순한 소파에서도 물론이지만, 특히 리클라이닝 소파의 경우에는 소파의 리클라이닝 동작시 인접하는 소파와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거나 소파의 배열이 흩어지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기된다.
그리고 리클라이닝 소파인 경우에는, 3개로 구성되는 소파(3인용소파)의 경우, 인접하는 소파들이 너무 근접한 상태로 유지되면, 리클라이닝 동작시 인접하는 소파와의 마찰에 의한 가죽 또는 섬유재의 손상이 유발되기도 하고, 더욱 심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소파와의 마찰로 인하여 리클라이닝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개가 하나의 세트가 되어 3인용 소파를 구성할 때, 외력에 의하여 인접하는 소파의 배열이 흩어지지 않고, 더욱이 각 소파의 간격이 가장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클라이닝 소파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리클라이닝 소파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리클라이닝 소파의 분해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리클라이닝 소파의 프레임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리클라이닝 소파의 다른 프레임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리클라이닝 소파의 결합구조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소파 12 ..... 등받이
14 ..... 시트부 16 ..... 다리지지부
17 ..... 제1브라켓 18 .....결합편
20 ..... 제2소파 26 ..... 제2브라켓
26a ..... 체결공 28 ..... 결합공
30 ..... 제3소파 32 ..... 등받이
34 ..... 시트부 36 ..... 다리지지부
Fa, Fb ..... 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등받이가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고, 시트부 하부의 발지지부가 상부로 올려지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소파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1소파와; 상기 제1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1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2소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등받이가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고, 시트부 하부의 발지지부가 상부로 올려지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소파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1소파와; 상기 제1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1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반대측면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2소파; 그리고 상기 제2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2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3소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은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방이 개구되어 상기 결합편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부가 하부 보다 넓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은 제1소파 또는 제2소파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된 금속제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편에 대응하는 제2소파 또는 제3소파의 측면 하부에 설치된 금속제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에 의하여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제1소파 내지 제3소파의 저면에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구조적 강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전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인접하는 제1소파와 제2소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측면프레임의 수평부분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전후방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장공을 체결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브라켓은, 제1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장공을 체결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간격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브라켓은, 제2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장공을 체결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간격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 별개로 만들어지는 여러개가 모여서 한조의 소파(예를 들면 3인용 소파)를 이루는 것에서, 전체가 일체화되어 외력에 의하여 흩어지지 않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특히 인접하는 제1소파와 제2소파 등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동작 수행시 항상 원활해지는 것과 동시에 마찰에 의하여 소파 재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리클라이닝 3인용소파(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하게 소파라고 칭하기도 한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1소파(10), 제2소파(20), 그리고 제3소파(20)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리클라이닝 소파의 기능상, 통상 상기 제1소파(10)와 제3소파(30)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리클라이닝 기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파(10)와 제3소파(30)의 각각의 등받이(12,32)가 후방으로 젖혀짐과 동시에, 시트부(14,34)의 하부에 있는 다리지지부(leg rest)가 상방으로 올려지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리클라이닝 기능을 가지는 소파 자체의 내부 하드웨어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소파(20)도 리클라이닝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소파의 제1소파(10), 제2소파(20), 그리고 제3소파(30)는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운반 및 보관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잇점이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소파가 거실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3인용소파의 배열이 흩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사용자의 사용시 가해지는 외력과 리클라이닝 동작시 바로 옆의 소파에 미치는 힘에 의하여 3인용소파의 배열이 흩어지게 되면 사용상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1소파(10)의 우측면(도면을 기준으로) 하단부에는, 결합편(18)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편(18)은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수또는 형상 등에 의하여 제한될 수 없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18)은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으며 제1소파(10)의 우측면에서 외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소파(20)의 좌측면(도면을 기준으로)에는, 상기 결합편(18)이 삽입되어, 제1소파(10)와 제2소파(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28)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8)은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성형되고, 제2소파(2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브라켓(26)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제2소파(20)의 측면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26)의 중간부분으로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소파(20)의 일측과의 사이에서 결합공(28)이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제2소파(20)의 우측면 하단부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편이 설치되어 있고, 제3소파(30)의 좌측면에는 상기와 같은 결합공(28)이 형성되며 제3소파(30)의 우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소파(10,20,30)의 양측면에는 결합편(18)과 결합공(28)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소파(10) 내지 제3소파(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편과 결합공을 이용하여, 상기 제1소파(10), 제2소파(20), 그리고 제3소파(30)를 서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3인용소파는 전체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그 배치가 어긋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는 상기 결합편(18)과 결합공(28)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결합편(18)은 하방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합공(28)은 상방이 하방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으로 인하여, 예를 들면 제1소파(10)를 제2소파(20)에 결합할 때, 상기 결합편(18)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결합공(28)에 결합되는 것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편(18)과 결합공(2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소파(10)와 제2소파(20)의 접촉부분 어디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나, 제1소파(10) 및 제2소파(20)의 하단부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18) 및 결합공(28)은, 제1소파(10) 및 제2소파(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프레임(Fa,Fb)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Fa,Fb)은 금속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소파(10) 및 제2소파(20)의 인접하는 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파(10,20)의 저면에서 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편(18)과 결합공(28)을 이용하여 제1소파(10)와 제2소파(20)를 결합할 때, 제1소파와 제2소파의 간격이 너무 좁게 되면 접촉하는 부분의 상대적인 마찰력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거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소파(10)와 제2소파(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18)과 결합공(28)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제1소파(10)의 등받이(16) 또는 다리지지부(16)가 회동 동작할 때, 제2소파(20)의 대응부분과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원활한 동작이 문제시 될 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의 마모에 의한 손상이 우려된다.
따라서 상기 제1소파(10)와 제2소파(20)의 간격이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편(18)과 결합공(28)을 이용하여 상기 제1소파(10)와 제2소파(20)를 최적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상술한 제1소파(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Fa)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Fa)은, 사각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소파(1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a)은, 한쌍의 측면프레임(Faa)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전후방프레임(Fab,Fac)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프레임(Fa)은 제1소파(10)의 하단부에서 그 본체의 저부에 설치되거나,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리클라이닝 기구(소파의 리클라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링크가 결합된 기구물)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F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소파(10)와 제2소파(20)사이의 측면간격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측면프레임(Faa)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Faa)의 수평부분(Fh)의 전방에는 체결공(H2)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방프레임(Fab)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장공(H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측면프레임(Faa)의 수평부분(Fh)의 후방에도 체결공(H2')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후방프레임(Fac)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장공(H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H2)와 장공(H1)을 볼트(Ba)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체결공(H2')와 장공(H1')을 볼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측면프레임(Faa)이 전후방프레임(Fab,Fac)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공(H1,H1')의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측면프레임(Faa)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Faa)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측면프레임(Faa)의 좌우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Faa)에 고정되는 결합편(18)의 좌우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소파(10)와 제2소파(20)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결합편(18)의 전후방향 위치조절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결합편(18)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결합편(18)이 결합공(28)과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바로 잡거나, 결합편(18) 및 결합공(28)을 한쌍으로 설치하는 경우 이들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느 일측 또는 양측 결합편(18)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1소파(10)와 제2소파(20)의 결합을 정확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이들을 정확하게 배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18)은 제1브라켓(17)에서 하향 연장되도록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1브라켓(17)이 측면프레임(Faa)의 외측면에 부착되어있음은 알 수 있다. 따라서 결합편(18)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제1브라켓(17)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브라켓(17)의 전후방측에 한쌍의 체결공(17a,17b)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공(17a,17b)에 대응하는 측면프레임(Faa)의 수직부(Fv)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장공(H3,H4)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한쌍의 볼트(Bb,Bc) 또는 이에 대응하는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공(17a,17b)과 장공(H3,H4)을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공(17a,17b)을 관통하는 볼트(Bb,Bc)를 장공(H3,H4)의 적절한 위치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제1브라켓(17)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편(18)의 전후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1소파(10)와 제2소파(20)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편(18)을 구비하는 제1브라켓(17)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을 위한 구성은, 결합편(18)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하는 경우, 어느 일측에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양측의 결합편에 모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4에는, 제2소파(20)의 좌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결합공(28)을 형성하는 제2브라켓(26)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2브라켓(26)은 프레임(Fb)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공(2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Fb)도, 제1소파(10)의 프레임(Fa)과 같이 제2소파(20)의 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고,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소파(20)의하단부에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의 프레임(Fa,Fb)에 대한 실시예는 제1소파(10), 제2소파(20), 그리고 제3소파(3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Fb)의 측면프레임(Fba)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한쌍의 장공(H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26)의 양측부분에는 한쌍의 체결공(2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볼트(Be,Bf)를 이용하여 상기 제2브라켓(26)을 측면프레임(Fba)에 체결할 때, 상기 체결공(26a) 및 볼트(Be,Bf)의 위치를 장공(H5)의 적정부위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제2브라켓(26)의 전후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공(28)을 형성하는 제2브라켓(26)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편(18)을 형성하는 제1브라켓(17)을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공(28)을 형성하는 제2브라켓(26)이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7)의 전후방향 간격조절을 위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2브라켓(26)의 전후방향 간격조절을 위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소파(10)와 제2소파(20)의 결합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제2소파(20)와 제3소파(30)의 결합을 위한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편(18)과 결합공(28)을 통하여 인접하는 제1소파(10)와 제2소파(20)를 결합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결합편(18) 및 결합공(28)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즉, 결합편(18)에 대한 동등한 구성요소로서 제1소파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볼트를 들 수 있고, 이러한 볼트의 헤드가 제2소파의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 또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소파, 제2소파, 그리고 제3소파와 같이 3개가 모여서 하나의 3인용소파를 이루는 것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두개가 모여서 하나의 2인용 소파를 이루는 것,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2소파가 생략된 것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각각 별개로 만들어지는 제1소파 내지 제3소파를, 결합편 및 결합공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시 흩어지지 않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된다. 그리고 결합편 및 결합공을 상하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인접하는 소파의 결합시 더욱 손쉬운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 및 결합공의 상대위치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소파의 기능을 보다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Claims (14)

  1. 등받이가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고, 시트부 하부의 발지지부가 상부로 올려지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소파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1소파와;
    상기 제1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1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2소파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2. 등받이가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고, 시트부 하부의 발지지부가 상부로 올려지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소파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1소파와;
    상기 제1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1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반대측면에 설치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2소파; 그리고
    상기 제2소파 옆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2소파와 결합되도록 인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3소파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고, 상기결합공은 상방이 개구되어 상기 결합편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부가 하부 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제1소파 또는 제2소파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된 금속제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편에 대응하는 제2소파 또는 제3소파의 측면 하부에 설치된 금속제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에 의하여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소파 내지 제3소파의 저면에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전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측면프레임의 수평부분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전후방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장공을 체결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제1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장공을 체결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간격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제2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장공을 체결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간격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소파.
  14. 등받이가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고, 시트부 하부의 발지지부가 상부로 올려지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소파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비하는 제1소파와;
    상기 제1소파 옆에 배열되는 제2소파;
    상기 제1소파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사각형의 제1프레임;
    상기 제2소파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사각형의 제2프레임;
    상기 제2소파와 접하는 제1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제1브라켓;
    상기 결합편이 삽입되어 제1소파와 제2소파를 결합시키는 결합공을 구비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
    제1브라켓이 설치된 제1프레임의 측면을 일정 간격 좌우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클라이닝 소파.
KR20-2004-0010210U 2004-04-13 2004-04-13 리클라이닝 소파 KR200354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10U KR200354541Y1 (ko) 2004-04-13 2004-04-13 리클라이닝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10U KR200354541Y1 (ko) 2004-04-13 2004-04-13 리클라이닝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41Y1 true KR200354541Y1 (ko) 2004-06-30

Family

ID=4943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210U KR200354541Y1 (ko) 2004-04-13 2004-04-13 리클라이닝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91Y1 (ko) 2010-07-05 2012-05-02 이윤희 조립식 소파
KR20190108728A (ko) 2018-03-15 2019-09-25 이연선 리클라이닝 소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91Y1 (ko) 2010-07-05 2012-05-02 이윤희 조립식 소파
KR20190108728A (ko) 2018-03-15 2019-09-25 이연선 리클라이닝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9296A (en) Adjustable length support base for a seat assembly
ES2409348T3 (es) Respaldo de silla
US5630644A (en) Modular sofa assembly and mounting apparatus for securing independent sections thereof
CN106004591A (zh) 覆盖物锚固夹具
GB2397755A (en) Height and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 backrest
US4145020A (en) Retrac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n element
US3498672A (en) Vehicle headrest construction
US20170000259A1 (en) Furniture system
KR200485004Y1 (ko)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조립식 쇼파
US7111906B2 (en) Flexible seat mount for chair seat bottom
US7063390B2 (en) Seat belt system
KR200354541Y1 (ko) 리클라이닝 소파
US9320359B2 (en) Backrest translation mechanism
JP4867022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
US7069606B2 (en) Device for attaching a slat to the frame of a slatted base
KR102362402B1 (ko) 모듈형 소파 조립체
KR101541160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CN209003279U (zh) 椅子
US2570687A (en) Chair having vertically adjustable seat
US20160037929A1 (en) Modified headrest of a chair
JP6092532B2 (ja) 椅子
KR20200088572A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CN212521272U (zh) 一种椅具的头部负荷支撑组件
KR102635816B1 (ko) 의자 좌판의 메쉬망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