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80B1 -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80B1
KR100829180B1 KR1020060113219A KR20060113219A KR100829180B1 KR 100829180 B1 KR100829180 B1 KR 100829180B1 KR 1020060113219 A KR1020060113219 A KR 1020060113219A KR 20060113219 A KR20060113219 A KR 20060113219A KR 100829180 B1 KR100829180 B1 KR 10082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at
support
chair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이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정 filed Critical 이민정
Priority to KR102006011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지지축, 지지축에서 상향 설치된 중심축, 지지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스실린더, 상기 중심축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버튼 및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는 중심축수용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회동축, 하단홀드부, 고정지지대, 시트지지대, 시트지지축 및 다수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회동축은 한쪽 끝에 둥근 공모양의 구형돌부가 형성된다. 하단홀드부는 상기 구형돌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홈이 형성된다. 고정지지대는 그 내부에 상기 회동축의 구형돌부를 제외한 부분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형돌부 하방에서 하단홀드부가 체결되고, 상기 중심축이 하방에 삽입되며, 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하단수용부가 상단에 형성된다. 시트지지대는 스프링의 상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가 형성된다. 시트지지축은 시트지지대의 중앙에 연결되고, 회동축의 구형돌부 반대쪽 끝부분과 체결되되 상기 중심축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스프링은 상기 시트지지대의 스프링상단수용부와 고정지지대의 스프링하단수용부 사이에 다수 구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사용자는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이는 방식 으로 허리운동이 가능하며 시트를 고정하여 통상의 의자로서 사용하거나 나아가 허리운동 기능부를 따로 떼어 보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뒤틀림에 의한 하중과 체중에 의한 하중이 분산되어 허리운동을 보조하는 구성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일반적인 의자로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범위가 넓고, 또한 허리운동 기능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허리운동을 보조하는 구성을 따로 떼어 보관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상기 구성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허리 운동, 의자, 디스크, 착탈식

Description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Chair with assistant apparatus for the movement of waist}
도 1은 종래의 선행기술 1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선행기술 2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일반적인 의자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축 및 하단홀드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지지대 및 시트지지축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축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고정지지대 201: 대체수용부
203: 회동축관통구멍 204: 스프링하단수용부
206: 구형돌부수용부
210: 회동축 211: 구형돌부
220: 하단홀드부 221: 구형돌부안착부
230: 시트지지축 231: 회동축구멍
240: 시트지지대 241: 시트지지축구멍
242: 스프링상단수용부 250: 스프링
260: 조임쇠 261: 시트지지대안착부
본 발명은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를 전 방향으로 자유로이 기울일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직이나 운전업에 관련된 종사자들은 장시간동안 고정된 자세로 의자에 앉아 근무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고정된 자세가 오래 지속됨으로써 근육이 경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나아가 잘못된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어 허리 근육이나 척추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허리운동을 위한 의자가 제안되어 있다. 허리운동을 위한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허리를 움직이면서 운동을 하도 록 시트를 전후좌우 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7889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2-0017530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을 들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선행기술 1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의 선행기술 1은 의자나 시트상에 안치될 수 있는 하판(12)과 앉은 사람의 둔부를 받쳐 주는 상판(11)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12)과 상판(11) 사이에는 움직임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압축스프링(13)이 구비되는 것을 그 주요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상 특징을 갖는 선행기술 1에 의한 허리운동기구는 의자나 시트에 안치시키거나 실내의 바닥에 위치시킨 후 이용자가 앉아서 둔부를 돌려주는 방식으로 사용을 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선행기술 2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의 선행기술 2는 사람의 둔부를 받쳐 주는 시트(20)의 하방에 고정되고 구형돌부(23)가 형성된 회동축(24)과, 구형돌부(23)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구형홈(25)이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 홀더부(22)와, 구형돌부(23)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구형면(27)이 형성되어 홀더부(22)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6)와, 홀더부(22)의 하방에 결합되는 중심축(21)을 그 주요구성으로 한다.
시트(20)의 하방에 고정된 회동축(24)의 구형돌부(23)가 홀더부(22)의 구형홈(25)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시트(20)는 모든 방향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의 경우 운동자를 압축스프링으로 하여 뒤틀림에 대비하여 구조를 개선을 한바 있지만 여전히 뒤틀림에 의한 하중은 상기 운동자에 집중된다. 이러한 뒤틀림에 의한 하중에 더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압축스프링에 집중이 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은 여전히 하중에 취약한 부분일 수밖에 없다. 나아가 선행기술 1은 하나의 스프링이 파손되는 경우 허리운동 기능 자체를 상실할 뿐 아니라 파손된 스프링을 교체하기위한 작업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처음부터 의자와 일체형으로 생산되지 않는 한 상기 선행기술 1에 의한 허리운동 의자를 다른 의자 등에 안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허리운동 의자가 다른 의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 시 자세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갈 우려도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시트를 받쳐주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미사용 상태에서도 시트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허리운동을 원치 않을 때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 의자의 용도 가 허리운동을 위한 것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허리운동을 위한 의자가 뒤틀림에 의한 하중과 체중에 의한 하중을 각기 다른 부분에서 분산시켜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허리운동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통상의 의자처럼 시트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장시간 허리운동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허리운동 기능부만을 따로 떼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축, 지지축에서 상향 설치된 중심축, 지지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스실린더, 상기 중심축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버튼 및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는 중심축수용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회동축, 하단홀드부, 고정지지대, 시트지지대, 시트지지축 및 다수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회동축은 한쪽 끝에 둥근 공모양의 구형돌부가 형성된다. 하단홀드부는 상기 구형돌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홈이 형성된다. 고정지지대는 그 내부에 상기 회동축의 구형돌부를 제외한 부분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형돌부 하방에서 하단홀드부가 체결되고, 상기 중심축이 하방에 삽입되며, 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하단수용부가 상단에 형성된다. 시트지지대는 스프링의 상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가 형성된다. 시트지지축은 시트지지대의 중앙에 연결되고, 회동축의 구형돌부 반대쪽 끝부분과 체결되되 상기 중심축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스프링은 상기 시트지지대의 스프링상단수용부와 고정지지대의 스프링하단수용부 사이에 다수 구비 된다.
나아가 조임쇠를 더 구비하되, 상기 조임쇠는 상기 고정지지대의 외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동축과 연결된 시트지지대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한다.
나아가 상기 조임쇠에는 상기 시트지지대가 유격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시트지지대안착부를 더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시트지지축, 회동축 및 하단홀드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를 구비하되, 상기 막대의 상단을 누름으로써 중심축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용 버튼이 눌리게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상하좌우' 등 방향 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외주면'이란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 물체의 외부를 싸돌며 형성된 곡면 또는 평면들을 말하고, '내주면'이란 중공 원통형 혹은 중공 다각기둥형 물체의 내부를 싸돌며 형성된 곡면 또는 평면들을 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중심축(102)과 중심축수용부(101)를 갖는 통상의 사무용 의자에 더하여 고정지지대(200), 회동축(210), 하단홀드부(220), 시트지지대(240), 시트지지축(230) 및 다수의 스프링(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무용 의자는 하부에 바퀴 등을 달고 방사상으로 퍼져 의자를 지탱하는 다리(103), 다리(103)의 중심에 상향 연결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축(105)과 중심축(102), 시트(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중심축(102)을 삽입할 수 있는 중심축수용부(101), 상기 중심축수용부(101)에 상기 중심축(102)이 수용됨으로써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시트(100)를 그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105)의 내부에는 중심축(10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스실린더(가스쇼바;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102)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가스실린더를 작동하게 하는 버튼(104)이 구비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사무용의자의 중심축(102) 상단은 소정의 길이(일반적으로 약 3cm)까지만 중심축수용부(101)에 삽입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중심축(102) 몸체의 외경은 중심축수용부(10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심축(102)의 상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다가 중심축(102)의 끝단에서는 중심축수용부(10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심축(102)의 상부 중 중심축수용부(101)의 반경과 같아지는 지점까지만 중심축수용부(101)의 내부로 삽입이 된다. 중심축(102)이 삽입되고 남은 중심축수용부(101) 상부 공간에는 중심축(102) 상단 중앙에 구비된 버튼(104)이 수용된다.
시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중심축(102)의 상단 중앙에 구비된 버튼(104)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미도시)를 당김으로써 상기 중심축(102) 상단 중앙의 버튼(104)을 눌러 가스실린더(미도시)가 상승하게 하여 중심축(102)과 중심축(102)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102)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들은 약간의 작업등을 통하여 중심축(102)과 상부 시트에 형성된 중심축수용부(101)가 분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회동축(210)과 하단홀드부(220)를 설명한다.
회동축(210)의 상부는 원통형의 몸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공같이 둥근 형상을 하고 반경이 상부보다 큰 구형돌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210)의 축방향으로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관통구멍의 하부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나사체결에 사용할 육각 공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그 축 에 직각으로 자른 단면이 육각의 모양을 갖도록 구멍을 형성한다.
하단홀드부(2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단홀드부(2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고정지지대 내의 구형돌부수용부(206)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단홀드부(220)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축(210)의 구형돌부(2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된 구형의 홈으로 형성된 구형돌부안착부(221)가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한편 하단홀드부(220)의 축방향으로는 상기 회동축(210) 하부의 관통구멍과 모양이 같은 육각모양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고정지지대(200) 및 조임쇠(260)를 설명한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고정지지대(200)와 조임쇠(260)의 중심축을 지나는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고정지지대(200)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형의 하부와 고정지지대(200)의 하부보다 직경이 큰 원판형의 상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지지대(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후술할 조임쇠(260)와 결합하기 위하여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지지대(200)에는 대체수용부(201), 구형돌부수용부(206), 회동축관통구멍(203) 및 스프링하단수용부(204)가 형성된다.
[도 6]를 참조하여 대체수용부(201), 구형돌부수용부(206) 및 회동축관통구멍(203)을 설명한다.
대체수용부(201)는 상기 중심축(10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지 대(200)의 하단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원통형의 공간부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대체수용부(201)의 직경은 수용될 사무용의자의 중심축 몸체의 직경보다는 작고 중심축 상단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대체수용부(201)의 위에는 상기 회동축(210)의 구형돌부(2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대(200)의 중심축을 따라 원통형의 구형돌부수용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형돌부수용부(206)의 반경은 상기 구형돌부(211)가 적은 유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구형돌부수용부(206)의 내주면 하부에는 상기 하단홀드부(220)와 결합하기 위하여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형돌부수용부(206)의 상부는 고정지지대(200)를 축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게 되는 회동축관통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관통구멍(203)의 반경은 수나사가 형성된 상기 회동축(210) 상부의 반경보다는 크게 형성하되 상기 회동축(210)의 구형돌부(211)의 반경보다는 작게 형성한다. 또한 회동축 관통구멍의 내주면은 구형돌부(211)와의 유격을 줄이고 구형돌부(211)의 상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구형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스프링하단수용부(204)를 설명한다. 후술할 스프링(2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스프링(250)의 직경정도의 폭으로 상기 회동축관통구멍(203)을 주회하며 주위보다 낮게 성형된 스프링하단수용부(204)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조임쇠(260)를 설명한다. 조임쇠(260)는 중공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조임쇠(26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지지대(200)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조임쇠(260)의 상단에는 시트지지대안착 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쇠(260)의 중심축으로부터 후술할 시트지지대(240)의 반경길이 내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위보다 다소 낮게 성형하여 시트지지대안착부(205)를 형성한다. 즉 상기 시트지지대안착부(205)의 외곽 반경은 후술할 시트지지대(240)의 반경과 동일하며 따라서 시트지지대(240)가 상기 시트지지대안착부(205)에 유격 없이 안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시트지지대(240) 및 시트지지축(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지지축(2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시트지지축(230)은 상기 일반적인 의자의 중심축(102;[도 3]참조)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은 반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시트지지축(230)의 하단에는 이하 상술할 시트지지대(240)에 체결하기 위하여 수나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210)의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중앙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된 회동축구멍(2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구멍(231)의 상단으로부터 시트지지축(230)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시트지지축(230)이 상기 회동축(210)과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시트지지축(230)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회동축(210)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막대(270; [도 8] 참조)를 구비한다.
시트지지대(240)는 중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시트지지대(240)의 중앙에는 시트지지축(230)과 결합하기 위한 시트지지축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지지축구멍(241)의 내주면에는 상기 시트지지대(240)의 상부로부터 상기 시트지지축(230)이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지지축(230)에 형성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지지대(240)의 하단에는 후술할 스프링(2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스프링(250)의 직경정도의 폭으로 상기 시트지지축구멍(241)을 주회하며 홈모양으로 스프링상단수용부(24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시트지지대(240)와 시트지지축(230)은 나사체결부위를 생략하고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스프링을 설명한다.
스프링(250)은 상기 고정지지대(200)의 스프링하단수용부(204)와 시트지지대(240)의 스프링상단수용부(242)의 사이에 설치된다. 설치되는 상기 스프링(250)의 개수는 상기 스프링하단수용부(204)에 스프링을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최대의 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은 다른 탄성을 가진 부재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연결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를 참조하면, 회동축(210)은 고정지지대(200)의 대체수용부(201) 하부로부터 삽입된다. 회동축(210)의 구형돌부(211)는 구형돌부수용부(206)에 수용되고 동시에 회동축의 수나사가 형성된 부분은 회동축관통구멍(203)으로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회동축(210)에 형성된 구형돌부(211)의 최대 직경이 회동축관통구멍(20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형돌부(211)는 회동축관통구멍(203; [도 5]참조)으로 빠져나오지 못한다.
이후 하단홀드부(220)가 상기 고정지지대(200) 내부에 형성된 구형돌부수용부(206)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하단홀드부(220)에 형성된 구형돌부안착부(221)는 구형돌부수용부(206) 내부로 먼저 삽입된 회동축(210)의 구형돌부(211) 하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감싸게 된다.
고정지지대(200)와 조임쇠(26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된다. 다만 상기 조임쇠(260)는 고정지지대(200)와 꽉 조여지지 않은 상태로 연결된다.
회동축(210)과 하단홀드부(220)가 결합된 고정지지대(200)의 대체수용부(201)에는 의자 다리(103)의 중앙부의 지지축 상부로부터 상향 설치된 중심축(102)이 삽입된다.
한편 시트지지축(230)은 시트지지대(240)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다수의 스프링(250)이 상기 고정지지대(200)의 스프링하단수용부(204)에 설치된다.
이후 상기 시트지지대(240)와 결합된 시트지지축(230)은 회동축(210)의 수나사가 형성된 부분과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한다. 이 때 스프링의 상단은 시트지지 대(240)에 형성된 스프링상단수용부(242)에 수용된다.
이 때 시트지지축(230), 회동축(210) 및 하단홀드부(220)의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구멍을 통하여 관통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막대(270)를 삽입한다. 상기 막대(270)는 대체수용부(201)에 삽입된 중심축(102)의 버튼(106)에 닿을 때까지 삽입된다. 삽입이 끝난뒤엔 막대(270)는 시트지지축(230) 위로 약간 빠져 나온 상태가 된다.
시트(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수용부(101)에 시트지지축(230)의 상부를 삽입한다. 이 때 시트지지축(230)은 상기 중심축(102) 처럼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심축수용부(101) 내부로 약 3cm 정도만 삽입이 된다. 시트지지축(230)이 삽입되고 남은 중심축수용부(101) 상부의 공간에는 상기 시트지지축(230) 이하 관통구멍에 삽입된 막대(270)의 끝부분이 수용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동축(210)은 시트지지축(2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일정 각도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시트지지대(240)가 기울어지다가 아래쪽의 조임쇠(260)와 맞닿는 순간의 각도가 최대가 된다. 사용자는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시트(100)를 기울여 허리운동을 할 수 있다.
조임쇠(260)와 고정지지대(200)의 나사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시트(100)의 기울임 각도를 더 제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임쇠(260)와 고정지지대(200)의 나사방식의 체결을 더 진행시켜 조임쇠(260)를 상부로 올리게 되면 상기 시트지지대(240)가 기울어질 수 있는 최대각도가 줄어들게 된다. 나아가 체결을 더 진행시켜 시트지지대(240)가 조임쇠(260) 상단에 형성된 시트지지대안착부(261)에 안착되면 더 이상 시트(100)는 어느 방향으로든 기울어 지지 않는다.([도 8]참조)
사용자는 상기 조임쇠(260)와 시트지지대(240)가 맞닿지 않고 어느 정도 간격을 둔 상태에서 허리운동기능을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허리운동기능을 마치고 일어서게 되면 의자의 시트(100)는 다수의 스프링(250)의 탄성에 의하여 상향으로 곧게 서게 된다.
상술한 막대(270)는 시트에 설치된 레버 등을 당기는 방식 즉 원래 사무용 의자등에서 중심축(102)에 구비된 버튼(104)를 누르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누르게 된다. 상기 막대(270)가 눌리게 되면 막대(270) 하부에 높이게 되는 버튼(104)이 눌리게 되어 지지축(105) 내의 가스실린더(미도시)가 작동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일정방향으로 구부리는 하중은 스프링이 상당부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반적인 의자의 지지축(105)과 중심축(102)은 고정되지 않고 지지축(105)에 대하여 중심축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트(10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축(105)에 대하여 중심축(102)이 회전하여 허리운동 기능부에는 뒤틀림에 의한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허리운동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쇠(260)와 고정지지대(200)의 체결을 더 진행시켜 시트지지대(240)가 조임쇠(260) 상단의 시트지지대안착부(261)에 안착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장기간 허리운동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지지대(200)를 중심축(102)으로부터 분리하고, 시트지지축(230)을 중심축수용부(101)로부터 분리한 후 중심축(102)을 중심축수용부(101)에 삽입하여 허리운동기능을 뺀 통상의 의자로서 사용을 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뒤틀림에 의한 하중과 체중에 의한 하중이 분산되어 허리운동을 보조하는 구성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허리운동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통상의 일반적인 의자로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범위가 넓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허리운동 기능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허리운동을 보조하는 구성을 따로 떼어 보관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상기 구성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구성이 장시간 사용으로인한 파손이 되는 경우 상기 구성만을 따로 구입하여 교체할 수도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Claims (4)

  1. 지지축, 지지축에서 상향 설치된 중심축, 지지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스실린더, 상기 중심축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버튼 및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는 중심축수용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한쪽 끝에 둥근 공모양의 구형돌부가 형성된 회동축;
    상기 구형돌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홈이 형성된 하단홀드부;
    상기 회동축의 구형돌부를 제외한 부분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동축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형돌부 하방에서 하단홀드부가 체결되고, 상기 중심축이 하방에 삽입되며, 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하단수용부가 상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대;
    스프링의 상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가 형성된 시트지지대;
    시트지지대의 중앙에 연결되고, 회동축의 구형돌부 반대쪽 끝부분과 체결되되 상기 중심축수용부에 삽입되는 시트지지축; 및
    상기 시트지지대의 스프링상단수용부와 고정지지대의 스프링하단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의 외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시트지지대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는 조임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쇠는 상단에 상기 시트지지대 하부의 주위보다 일정깊이 낮게 형성된 시트지지대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지축, 회동축 및 하단홀드부에는 각각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더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를 구비하되,
    상기 막대의 상단을 누름으로써 중심축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용 버튼이 눌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20060113219A 2006-11-16 2006-11-16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082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219A KR100829180B1 (ko) 2006-11-16 2006-11-16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219A KR100829180B1 (ko) 2006-11-16 2006-11-16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180B1 true KR100829180B1 (ko) 2008-05-13

Family

ID=3965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219A KR100829180B1 (ko) 2006-11-16 2006-11-16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62Y1 (ko) 2013-02-15 2014-02-26 구자홍 허리운동용 의자
KR200476667Y1 (ko) 2014-03-10 2015-03-19 구자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KR101872363B1 (ko) * 2017-01-16 2018-06-28 한평화 헤어스타일처리용 얼굴영상 촬영장치
KR102070614B1 (ko) 2019-06-20 2020-01-2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좌판 지지용 조립형 탄성기구
KR102082352B1 (ko) 2019-06-25 2020-02-27 주식회사 아이체 의자의 전방위 탄성지지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580A (ja) 1996-12-27 1998-09-08 Tokiko Fukushima Kk ガススプリング装置
JP2002119362A (ja)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KR200386755Y1 (ko) 2004-12-02 2005-06-16 후앙-퉁 창 허리 비틀기 헬스기
KR200411919Y1 (ko) 2005-12-29 2006-03-21 이상석 유아 보호자용 지지의자
KR100601449B1 (ko) 2004-10-25 2006-07-19 황인철 허리물리치료수단과 탄력운동을 겸할 수 있는 물리치료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580A (ja) 1996-12-27 1998-09-08 Tokiko Fukushima Kk ガススプリング装置
JP2002119362A (ja)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KR100601449B1 (ko) 2004-10-25 2006-07-19 황인철 허리물리치료수단과 탄력운동을 겸할 수 있는 물리치료의자
KR200386755Y1 (ko) 2004-12-02 2005-06-16 후앙-퉁 창 허리 비틀기 헬스기
KR200411919Y1 (ko) 2005-12-29 2006-03-21 이상석 유아 보호자용 지지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62Y1 (ko) 2013-02-15 2014-02-26 구자홍 허리운동용 의자
KR200476667Y1 (ko) 2014-03-10 2015-03-19 구자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KR101872363B1 (ko) * 2017-01-16 2018-06-28 한평화 헤어스타일처리용 얼굴영상 촬영장치
KR102070614B1 (ko) 2019-06-20 2020-01-2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좌판 지지용 조립형 탄성기구
KR102082352B1 (ko) 2019-06-25 2020-02-27 주식회사 아이체 의자의 전방위 탄성지지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180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US7494188B1 (en) Headrest for an office chair
US7407229B1 (en) Reclining rocking chair
US8042775B1 (en) Head and neck support for a seated person
JPH11235A (ja) バースツール
KR101032981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0908737B1 (ko) 의자
KR100459987B1 (ko) 보조등받이가 설치된 의자
KR200402241Y1 (ko) 의자의 지압용 발 받침대
KR102095124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JP2012527945A (ja) 背もたれ角度調整可能な椅子
EP3850989A1 (en) Chair structure with an elastically yielding backrest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JP3579892B2 (ja) 足載せ部を備えた椅子
KR200198973Y1 (ko) 키보드 받침대
KR101912911B1 (ko)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495325B1 (ko)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CN219613418U (zh) 一种椅子及其头枕调节机构
CN216534614U (zh) 一种可任意调节靠背的高档沙发
CN209965721U (zh) 用于人体工学坐具的载荷支撑体及弹性支撑体
JP3136922U (ja) 腰部鍛錬用旋回円盤
JPH11164858A (ja) 医科・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のヘッドレスト
JP2006141859A (ja) 腰支持部を有する椅子
KR200194048Y1 (ko) 접철식 의자의 높이조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