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911B1 -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911B1
KR101912911B1 KR1020170036870A KR20170036870A KR101912911B1 KR 101912911 B1 KR101912911 B1 KR 101912911B1 KR 1020170036870 A KR1020170036870 A KR 1020170036870A KR 20170036870 A KR20170036870 A KR 20170036870A KR 101912911 B1 KR101912911 B1 KR 10191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ackrest
horizontal frame
rotary hou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928A (ko
Inventor
유대희
Original Assignee
로뎀시스템체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뎀시스템체어(주) filed Critical 로뎀시스템체어(주)
Priority to KR102017003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9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7/345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of adjustable resili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질 때 등을 받치는 등받이의 텐션을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형 등 사용자 개인별 특성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허리 근육과 척추 등을 적당한 압력으로 지지하여 피로감이나 허리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허리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젖혀진 등받이의 원상 복귀 및 상기 등받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수단으로써, 수평프레임에서 돌출 연결된 지지부와, 회전 하우징의 제1 장착부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1 장착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몸통부와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몸통부에 구비된 가압부를 구비한 텐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텐션 조절부재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CHAIR}
본 발명은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질 때 등을 받치는 등받이의 텐션을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형 등 사용자 개인별 특성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허리 근육과 척추 등을 적당한 압력으로 지지하여 피로감이나 허리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허리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무직 직장인들은 의자에 장시간 동안 앉아서 업무를 처리하는데, 이때 의자의 등받이가 허리를 적당한 각도 및 압력으로 지지하지 못하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어 허리 디스크 통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접이식 의자와 같은 간이 의자를 제외한 사무용 의자 등은 등받이가 일정 각도로 뒤로 젖혀지면서 등받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등과 허리를 적당한 압력을 받쳐주는 구조를 갖고 있다.
등받이의 젖힘이 가능한 의자는 세부 구조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등받이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의자와, 등받이가 연결된 지지프레임 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의자로 구분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7520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29558호 등과 같이, 등받이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를 합판 등을 이용한 복합 소재로 이용해 일체로 제작하여 등받이의 연결부 자체가 휘어지면서 허리를 받치거나, 또는 좌판과 등받이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하여 프레임이 휘어지면서 허리를 받치는 방식의 의자를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의자는, 등받이가 젖혀지는 각도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의 탄성 복원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허리 받침의 정도가 전적으로 사용자의 체중 내지 허리힘에 의해 달라지므로 바른 자세를 유지시키는 기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없어, 장시간 착석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 등록실용신안 제20-0447924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877호, 등록실용 제20-0423861호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의자는, 좌판프레임과 등받이 지지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지지프레임이 회동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허리를 받치는 방식의 의자로써,
지지프레임 자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쉽게 적용 가능하여, 등받이가 적당한 각도로 젖혀지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바른 자세를 장시간 유지시키는데 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프링을 이용한 종래의 의자는, 스프링 자체의 탄성력 조절이 불가능하여, 등받이가 젖혀지면서 발생하는 등받이의 텐션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형 등에 따라 등과 허리를 받치는 압력을 적당한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탄성력이 저하되어 고장이 발생하기 쉽고,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프레임들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부 의자의 경우 등받이의 텐션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더라도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로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형 등에 따라 사용자가 등받이가 젖혀질 때 발생하는 텐션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등과 허리가 사용자에게 적당한 압력으로 받쳐져 장기간 착석 시 발생하는 피로감이나 허리 통증을 줄이고,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허리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에 축 결합되어 등받이와 연결된 지지프레임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 내부에,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텐션 스프링과, 텐션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가압부를 구비한 텐션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텐션 조절부재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쉽고, 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텐션 스프링의 압축 및 팽창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몸통부를 구비한 조절볼트와, 상기 제1 몸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을 갖고 외주면에 상기 가압부가 구비된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하우징을 수평프레임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회전 하우징이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프레임을 축으로 전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수평프레임이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고정부와 스커트부를 구비한 끼움부재와,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수평프레임의 중공부에서 상기 고정볼트의 제2 몸통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끼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고정너트를 통한 끼움부재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회전 하우징의 회전 시에 끼움부재가 수평프레임에서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부재의 고정부 내측 단부에서 서로 절개되는 형태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끼워지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가압편과, 가압편들의 내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감되도록 가압편의 내측면이 테이퍼부로 형성되어 고정너트가 제2 몸통부에 조여지면서 가압편들이 외측으로 벌어져 끼움부재가 수평프레임의 중공부에 고정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는,
다리부와 연결된 수평프레임, 등받이와 연결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본체;
후단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전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하우징; 및
상기 회전 하우징에 내장되어, 젖혀진 등받이의 원상 복귀 및 상기 등받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돌출 연결된 지지부,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제1 장착부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텐션 스프링,
상기 제1 장착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몸통부와,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몸통부에 구비된 가압부를 구비한 텐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텐션 조절부재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서,
상기 텐션 조절부재는,
상기 제1 몸통부를 구비한 조절볼트,
상기 텐션 스프링의 중공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몸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을 갖고, 외주면에 상기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는,
상기 회전 하우징을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축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이 전후 회전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제2 장착부에 끼워지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이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스커트부를 구비한 끼움부재,
상기 회전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몸통부를 구비한 고정볼트,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공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몸통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끼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 단부에서 서로 절개되는 형태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끼워지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편의 내측면은, 가압편들의 내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감되는 테이퍼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제2 몸통부에 조여지면서, 상기 가압편들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공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는, 등받이가 젖혀질 때 발생하는 텐션을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형, 기타 개인별 특성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 맞게 등과 허리를 적당한 압력으로 지지하여 피로감과 허리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허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이루어지는 텐션수단 및 회전 하우징을 수평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의 부품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 발생하는 고장 염려를 줄일 수 있고,
결합수단을 통해 텐션수단이 내장된 회전 하우징을 수평프레임에 보다 쉽고 편리하게 조립 가능하면서, 회전 하우징의 전후 회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회전 하우징이 수평프레임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 및 텐션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요부 1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결합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요부 2차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하우징의 사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등받이가 구비된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전방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크게, 프레임 본체(10), 회전 하우징(20), 텐션수단(30), 결합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본체(10)는, 일반적인 의자의 구성과 대동소이한 것으로, 복수개의 다리부(12)가 연결된 수평프레임(11)과, 등받이(15)와 연결된 지지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수평프레임(11)의 좌우 양단에 각각 전후 다리부(12)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각 다리부(12)가 수평프레임(11)의 중단에 연결된 수직프레임에서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 형태 등, 공지된 의자의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좌판(14), 양측 지지프레임(13) 사이에 연결되어 중공부에 허리지지대(15a)가 구비되어 있는 등받이(15), 양측 지지프레임(13)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결된 팔걸이(16) 등, 일반적인 의자에 구비되는 구성은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 되지 않으며, 이러한 부가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인, 회전 하우징(20), 텐션수단(30), 결합수단(40)을 설명한다.
우선 도 2,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수평프레임(11)을 축으로 전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15)를 후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후단에 상기 지지프레임(13)이 결합되는 결합부(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면이 개구된 수용부(22) 전방에 텐션수단(30)이 장착되는 제1 장착부(23)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후방에 수평프레임(11)에 결합되는 결합수단(40)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24)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착부(23)의 바닥면에는 제1 삽입공(23a)이 구비되고, 수용부(22)의 내측면에는 제2 삽입공(24a)이 구비되어, 각 삽입공(23a)(24a)에 조절볼트(34)와 고정볼트(46)가 끼워지며,
제1 장착부(23)와 제2 장착부(24)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는 장착부(23)(24)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과부(23b)가 구비되고, 제1 장착부(23)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과부(23b)의 끝단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회동공간부(23c)가 구비되어, 통과부(23b)에 수평프레임(11)의 지지부(31)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31)가 회동공간부(23c) 내에서 위치하여, 회전 하우징(20)이 후방으로 하향 회전할 때 지지부(31)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회전 하우징(20)의 전면에는 내측 일부가 상하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가이드홈(20a)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장착부(24)를 형성하는 관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0a)에 대응하여 상기 통과부(23b) 하측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안착홈(20b)이 구비되어, 수평프레임(11)이 제2 장착부(24)에 삽입되면서 다리부(12)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이 상기 안착홈(20b)과 가이드홈(20a)으로 통과되면서 연결되어, 회전 하우징(20)이 후방으로 하향 회전할 때 다리부(12)의 전방프레임이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회전 하우징(20)은 수용부(22)의 개구부에 캡(도면부호 미표기)이 결합되어, 텐션 스프링(32)과 가압너트(35), 결합수단(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수단(30)은, 상기 회전 하우징(20)에 내장되어, 젖혀진 등받이(15)의 원상 복귀 및 상기 등받이(15)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1)에서 돌출 연결된 지지부(31),
상기 회전 하우징(20)의 제1 장착부(23)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부(31)에 지지되는 텐션 스프링(32),
상기 제1 장착부(23)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하우징(20)에 결합되는 제1 몸통부(34a)와, 상기 텐션 스프링(32)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몸통부(34a)에 구비된 가압부(35a)를 구비한 텐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텐션 조절부재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텐션 스프링(32)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등받이(15)의 텐션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31)는, 수평프레임(11)의 외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텐션 스프링(32)이 제1 장착부(23)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텐션 스프링(32)은,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으로, 상기 제1 장착부(23)에 수용되며, 양단이 지지부(31)와 가압너트(35)의 가압부(35a) 사이에 접촉되어, 가압너트(35)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텐션 조절부재는, 상기 텐션 스프링(32)의 길이 조절, 즉 텐션 스프링(32)의 압축 정도를 변화시켜, 텐션 스프링(32)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의 강약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조절볼트(34)와, 가압너트(35)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볼트(34)는,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된 제1 몸통부(34a)와, 제1 헤드부(34b)로 이루어지며, 제1 삽입공(23a)을 통해 제1 몸통부(34a)가 제1 장착부(23)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 헤드부(34b)가 회전 하우징(20)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1 삽입공(23a)에는 상기 제1 몸통부(34a)가 끼워져 조절볼트(3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36)가 구비되며, 회전 하우징(20)과 제1 헤드부(34b) 사이에 와셔(37)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너트(35)는, 상기 텐션 스프링(32)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하면 중앙에 상기 제1 몸통부(34a)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홀(도면부호 미표기)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가압부(35a)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압너트(35)가 회전하지 않도록 텐션 스프링(32)이나 제1 장착부(23) 상에 걸림 결합되고, 제1 몸통부(34a)가 슬리브(36)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조절볼트(34)의 양방향 회전 시 나사 결합된 가압너트(35)만이 제1 몸통부(34a)를 따라 상하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가압너트(35)가 조절볼트(34)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몸통부(34a)에 완전하게 나사 결합되고, 제1 몸통부(34a)가 슬리브(36)에 나사 결합되어, 조절볼트(34)의 양방향 회전 시 제1 몸통부(34a)가 슬리브(36)에서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제1 몸통부(34a)에 고정된 가압너트(35)가 조절볼트(34)와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텐션수단(30)은, 결합된 텐션 스프링(32)과 가압너트(35)를 회전 하우징(20)의 제1 장착부(23)에 삽입한 후, 제1 삽입공(23a)의 슬리브(36)로 조절볼트(34)를 끼워서 제1 몸통부(34a)를 가압너트(35)에 나사 결합하여 조립되며, 이렇게 텐션수단(30)이 조립된 회전 하우징(20)은 결합수단(40)을 통해 수평프레임(11)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텐션 스프링(32)의 탄성력이 가압너트(35)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좌판(14)에 착석 후 등받이(15)를 후방으로 젖히면, 지지프레임(13)과 함께 회전 하우징(20)이 후방으로 하향 회전하게 되며, 이때 가압너트(35)가 전방으로 상향 회동하면서 지지부(31)에 지지된 상태의 텐션 스프링(32)을 압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어서면, 등받이(15)를 젖히던 외력이 해소됨에 따라, 압축된 텐션 스프링(32)의 탄성력이 가압너트(35)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회전 하우징(20), 지지프레임(13), 등받이(15)가 모두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별 특성에 맞게 등받이(15)를 후방으로 젖히는데 필요한 힘 내지 등받이(15)가 등과 허리를 받치는 힘, 즉 등받이(15)의 텐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조절볼트(3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너트(35)가 상향 이동하면, 가압부(35a)에 의해 텐션 스프링(32)이 압축되고, 이렇게 압축되면서 강해진 텐션 스프링(32)의 탄성력은, 등받이(15)를 젖히는 외력에 대항하는 등받이(15)의 텐션을 강하게 하여, 등받이(15)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34)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너트(35)가 하향 이동하면, 가압부(35a)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텐션 스프링(32)이 팽창되고, 이렇게 팽창되면서 약해진 텐션 스프링(32)의 탄성력은, 등받이(15)를 젖히는 외력에 대항하는 등받이(15)의 텐션을 약하게 하여, 등받이(15)를 필요한 만큼 더 큰 각도로 보다 쉽게 젖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의자와 같이 등받이의 젖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형 등에 상관없이 등받이가 일정하게 젖혀지면서 등과 허리를 동일한 힘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별 특성에 맞게 등받이(15)의 젖힘 각도 및 텐션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장시간 착석하더라도 등과 허리를 안락하게 지지하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슬리브(36)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된 조절볼트(34)에 의해 가압너트(35)만이 제1 몸통부(34a)에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상하 이동할 경우, 제1 몸통부(34a)의 나사산과 가압너트(35)의 나사 결합을 왼나사 방식으로 형성하면, 조절볼트(34)를 오른 방향으로 조일 때 가압너트(35)가 풀리면서 텐션 스프링(32)이 압축되고, 반대로 조절볼트(34)를 왼 방향으로 풀 때 가압너트(35)가 조여지면서 텐션 스프링(32)이 팽창되어, 조절볼트(34)의 조임 및 풀림 방향을 텐션 스프링(32)의 압축 및 팽창 방향과 일치시켜, 등받이(15)의 텐션 조절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회전 하우징(20)을 상기 수평프레임(11)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수평프레임(11)을 축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이 전후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의 제2 장착부(24)에 끼워지며, 상기 수평프레임(11)의 중공부(11a)로 삽입되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11)이 끼워지는 끼움부(44)를 형성하는 스커트부(43)를 구비한 끼움부재(41),
상기 회전 하우징(20)과 상기 고정부(4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몸통부(46a)를 구비한 고정볼트(46),
상기 수평프레임(11)의 중공부(11a)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몸통부(46a)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끼움부재(41)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끼움부재(41)는, 상기 회전 하우징(20)을 상기 수평프레임(11)의 중공부(11a)에 고정시킨 상태로 회전 하우징(2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42)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홀(41a)이 구비되어, 제2 삽입공(24a)에 끼워지는 고정볼트(46)의 제2 몸통부(46a)가 끼움홀(41a)로 삽입되어, 제2 몸통부(46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7)에 의해 끼움부재(41)가 회전 하우징(20)의 제2 장착부(24)에 결합된다.
아울러 고정부(42)와 스커트부(43) 사이에는 내측단이 개구된 끼움부(44)가 형성되어, 고정부(42)가 수평프레임(11)의 중공부(11a)로 내삽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11)이 끼움부(44)에 끼워져, 끼움부재(41)에 의해 회전 하우징(20)이 수평프레임(11)에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부재(41)는, 상기 통과부(23b)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커트부(4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삽입부(43a)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43a) 하측으로 상기 안착홈(20b)과 대응하는 위치에 스커트부(43)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안착부(43b)가 구비되어, 수평프레임(11)의 지지부(31)가 상기 삽입부(43a) 끼워지고, 수평프레임(11)에 연결된 다리부(12)의 전방프레임이 안착부(43b)로 통과되어 회전 하우징(2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끼움부재(41)는, 상기 고정부(42)의 내측 단부에서 서로 절개되는 형태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고정너트(47)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끼워지는 수용홈(45a)을 형성하는 가압편(45)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편(45)은, 절개부(45b)로 인해 고정부(42)의 내측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이때 가압편(45)들 및 절개부(45b)들로 둘러싸인 수용홈(45a)은 너트 고정이 가능한 다각홈의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육각 너트가 수용홈(45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총 6개의 가압편(45)이 육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4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제2 몸통부(46a)와, 제2 헤드부(46b)로 이루어지며, 제2 삽입공(24a)을 통해 제2 몸통부(46a)가 제2 장착부(24) 내부로 삽입되어, 제2 헤드부(46b)가 회전 하우징(20)의 수용부(22)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6)는, 제2 몸통부(46a)의 내측단 일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41a)에 제2 몸통부(46a)가 공회전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산이 상기 수용홈(45a)으로 노출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48은 수용부(22)의 내측면과 제2 헤드부(46b)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이다.
상기 고정너트(47)는, 상기 수용부(22)로 노출된 고정볼트(46)의 제2 몸통부(46a)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너트(47)의 외측면은 다각 수용홈(45a)과 동일한 개수의 다각면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압편(45)의 내측면은, 가압편(45)들에 의해 형성된 내경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점감되는) 테이퍼부(45c)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47)가 상기 제2 몸통부(46a)에 조여지면, 고정너트(47)의 외측면이 테이퍼부(45c)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가압편(45)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40)은, 끼움부재(41)를, 회전 하우징(20)의 제2 장착부(24)에 결합한 후, 제2 삽입공(24a)으로 고정볼트(46)를 끼워서 수용홈(45a)에 고정된 고정너트(47)에 제2 몸통부(46a)의 나사산을 나사 결합하여 조립되며, 이때 고정볼트(46)와 고정너트(47)를 완전하게 조이지 않은 상태로 끼움부재(41)를 수평프레임(11)에 결합하여, 회전 하우징(20)이 수평프레임(11)에 1차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평프레임(11)에 고정 결합된 끼움부재(41)의 다각 수용홈(45a)에 고정너트(47)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46)를 조이면, 고정너트(47)가 제2 몸통부(46a)의 나사산을 따라 외측(고정부(4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고정볼트(46)에 의해 고정너트(47)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테이퍼부(45c)로 인해 고정너트(47)가 가압편(45)들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가압편(45)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가압편(45)의 외측면이 수평프레임(11)의 중공부(11a)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움부(44)에 끼워진 수평프레임(11)이 고정부(42)와 스커트부(43) 사이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끼움홀(41a) 둘레를 따라 고정부(42)에, 외측단이 개구된 수축홈(42a)을 형성하면, 가압편(45)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이와 연결된 고정부(42)의 외측부가 수축홈(42a)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고정볼트(46)에 의한 회전 하우징(20)과 끼움부재(41)의 조임 마찰이 약해진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수단(40)을 통해 회전 하우징(20)이 수평 프레임(11)에 결합되면, 등받이(15)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회전 하우징(20)이 수평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는 끼움부재(44)에 축설된 고정볼트(46)의 제2 몸통부(46a)(끼움홀(41a)을 형성하는 고정부(42)의 관체부)를 축으로 후방으로 하향 회전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억지 끼움 방식으로 수평프레임(11)에 결합되는 끼움부재(41)에 고정된 고정볼트(46)로 인해, 회전 하우징(20)이 수평프레임(11)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으며,
특히 상기한 구조의 끼움부재(41)를 통해, 수평프레임(11)의 중공부(11a) 상에 너트 고정이 어려운 고정볼트(46)를 고정너트(47)로 보다 쉽게 체결하여 회전 하우징(20)의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하고, 고정볼트(46)가 끼움부재(41)에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 하우징(20)이 수평프레임(11)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만약 가압편(45)의 외측면이 마모되어 끼움부재(41)의 고정력이 저하될 경우 고정볼트(46)를 최대치로 다시 조여서 끼움부재(41)가 수평프레임(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46)의 조임 정도에 따라 회전하우징(20)과 끼움부재(41) 사이의 발생하는 마찰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마찰력 조절을 통해 고정볼트(46)를 등받이의 텐션 조절에 사용되는 보조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본체 11 : 수평프레임
11a : 중공부 12 : 다리부
13 : 지지프레임 14 : 좌판
15 : 등받이 15a : 허리 지지대
16 : 팔걸이
20 : 회전 하우징 20a : 가이드홈
20b : 안착홈 21 : 결합부
22 : 수용부 23 : 제1 장착부
23a : 제1 삽입공 23b : 통과부
23c : 회동공간부 24 : 제2 장착부
24a : 제2 삽입공
30 : 텐션수단 31 : 지지부
32 : 텐션 스프링 34 : 조절볼트
34a : 제1 몸통부 34b : 제2 헤드부
35 : 가압너트 35a : 가압부
36 : 슬리브 37 : 와셔
40 : 결합수단 41 : 끼움부재
41a : 끼움홀 42 : 고정부
42a : 수축홈 43 : 스커트부
44 : 끼움부 45 : 가압편
45a : 수용홈 45b : 절개부
45c : 테이퍼부 46 : 고정볼트
46a : 제2 몸통부 46b : 제2 헤드부
47 : 고정너트 48 : 와셔

Claims (4)

  1. 다리부와 연결된 수평프레임, 등받이와 연결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본체;
    후단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전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하우징; 및
    상기 회전 하우징에 내장되어, 젖혀진 등받이의 원상 복귀 및 상기 등받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돌출 연결된 지지부,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제1 장착부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텐션 스프링,
    상기 제1 장착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몸통부와,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몸통부에 구비된 가압부를 구비한 텐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텐션 조절부재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 하우징을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축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이 전후 회전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제2 장착부에 끼워지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이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스커트부를 구비한 끼움부재,
    상기 회전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몸통부를 구비한 고정볼트,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공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몸통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끼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부재는,
    상기 제1 몸통부를 구비한 조절볼트,
    상기 텐션 스프링의 중공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몸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을 갖고, 외주면에 상기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 단부에서 서로 절개되는 형태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끼워지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편의 내측면은, 가압편들의 내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감되는 테이퍼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제2 몸통부에 조여지면서, 상기 가압편들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공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70036870A 2017-03-23 2017-03-23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91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70A KR101912911B1 (ko) 2017-03-23 2017-03-23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70A KR101912911B1 (ko) 2017-03-23 2017-03-23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28A KR20180107928A (ko) 2018-10-04
KR101912911B1 true KR101912911B1 (ko) 2018-10-30

Family

ID=6386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870A KR101912911B1 (ko) 2017-03-23 2017-03-23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09Y1 (ko) * 2002-10-01 2002-12-20 서진석 의자
JP2008113939A (ja) * 2006-11-07 2008-05-22 Kokuyo Co Ltd 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09Y1 (ko) * 2002-10-01 2002-12-20 서진석 의자
JP2008113939A (ja) * 2006-11-07 2008-05-22 Kokuyo Co Ltd 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28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2283B1 (en) Split back chair
US8272691B2 (en) Resilient lower-back supporting device capable of vertical adjustment along with backrest of chair
FI104615B (fi) Järjestely nojatuoliin, jossa on säädettävä selkänoja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US6942295B1 (en) Reclining chair system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KR101912911B1 (ko)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US20070096524A1 (en) Corrective chair
KR101616507B1 (ko)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2468097B1 (ko) 의자
KR200382308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101717919B1 (ko)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JP7198051B2 (ja) 椅子
CN114504209B (zh) 一种舒适型腰靠机构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CN218074203U (zh) 一种腰枕3d可调且腰枕带自负重的靠背椅
TWI805209B (zh) 避震器
KR101975760B1 (ko) 등판 틸팅장치
KR101524916B1 (ko) 의자경사장치
KR200264837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1000255B1 (ko) 좌식운동시 시트의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의자
KR101367001B1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325403Y1 (ko) 보조등판이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