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760B1 - 등판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등판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760B1
KR101975760B1 KR1020180115632A KR20180115632A KR101975760B1 KR 101975760 B1 KR101975760 B1 KR 101975760B1 KR 1020180115632 A KR1020180115632 A KR 1020180115632A KR 20180115632 A KR20180115632 A KR 20180115632A KR 101975760 B1 KR101975760 B1 KR 10197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er
fastening
tors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102018011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에 필요한 힘을 어린이용, 노약자용, 성인용 등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판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등판 틸팅장치는, 좌판 하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구비된 토션바, 상기 토션바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전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토션고무, 상기 토션고무의 외주를 감싸는 금속링을 포함하는 토션부;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홀,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체결된 복수의 체결구, 상기 복수의 체결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금속링에 형성되되 상기 금속링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토크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토션바의 타측에 결합된 힌지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등판 틸팅장치{APPARATUS FOR TILTING THE BACK OF CHAIR}
본 발명은 등판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에 필요한 힘을 어린이용, 노약자용, 성인용 등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판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를 방향전환시키거나 또는 위치이동시키도록 캐스터 받침대(1)의 끝단에 캐스터(2)가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 받침대(1)의 중앙에는 지지파이프(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파이프(3)의 내부에는 의자시트(4)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장파이프(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의자시트(4)를 받혀주는 받침판(6)의 좌우측에는 파이프 프레임(7)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프레임(7)의 상부에는 팔걸이(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6)의 배면측, 즉 의자시트(4)의 뒤쪽에는 등판(9)이 상기 의자시트(4)에 대해 소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시트(4)에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에 육체적인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상체를 뒤로 젖히면, 받침판(6)의 뒤쪽에 입설된 탄성판(미도시)이 상체의 체중이 전달됨에 따라 뒤쪽을 향해서 제쳐지면서 등판(9)이 일정각도만큼 뒤로 틸팅되었다가 상체를 앞으로 원위치시키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등판(9)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의자는 등판을 틸팅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구현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5259호에는 좌판 하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봉에 코일 스프링 및 슬라이딩 블록을 설치하여 등판을 틸팅케 함으로써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 등판의 틸팅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한 등판 틸팅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판 틸팅장치는 좌판 하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봉(12)과, 상기 지지봉 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120)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 멈춤블록(130)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블록(140)과, 등판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등판에 연결된 연결블록(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등판 틸팅장치는 하나의 코일 스프링(120)으로 틸팅 복원력을 제공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등판을 틸팅하는 경우에 부드럽게 작동하지 못한 단점과, 의자를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외부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120)의 외주면에 녹이 발생하거나 점차 소음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부품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5259호(공개일자 2011년06월15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틸팅에 필요한 힘을 어린이용, 노약자용, 성인용 등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판 틸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등판 틸팅장치는, 좌판 하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구비된 토션바, 상기 토션바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전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토션고무, 상기 토션고무의 외주를 감싸는 금속링을 포함하는 토션부;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홀,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체결된 복수의 체결구, 상기 복수의 체결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금속링에 형성되되 상기 금속링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토크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토션바의 타측에 결합된 힌지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고정홀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고정홀, 제2 고정홀, 제3 고정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절홀은 상기 금속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는 제1 조절홀, 상기 제2 고정홀에 대응하는 제2 조절홀, 상기 제3 고정홀에 대응하는 제3 조절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구는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1 조절홀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1 체결구,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2 조절홀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2 체결구, 상기 제3 고정홀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3 조절홀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3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절홀은 상기 제1 체결구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홀은 상기 제2 체결구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조절홀은 상기 제3 체결구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조절홀은 상기 제2 체결구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체결구의 체결해제 시 상기 토션고무의 회전토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조절홀은 상기 제3 체결구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의 체결해제 시 상기 토션고무의 회전토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조절홀의 형성 길이는 상기 제2 조절홀의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홀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조절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숫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구의 나사산 부분의 골직경과 상기 체결구의 조절홀에 대응하는 부분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틸팅에 필요한 힘을 어린이용, 노약자용, 성인용 등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의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의자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판 틸팅장치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판 틸팅장치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판 틸팅장치가 구비된 의자의 각 모드별 설정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구비하다’,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본체, 토션부(200대 번호 그룹), 토크조절부(300번대 번호 그룹), 힌지연결구(400번대 번호 그룹)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자본체는 의자의 전체적인 부분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10)과 다리봉(120)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0), 캐스터(130), 등판지지 프레임(140), 팔걸이 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좌판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봉(110)과 상기 지지봉(110)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 하측과 후방 하측으로 연장된 4개의 다리봉(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10)의 양단부에는 상기 힌지연결구(4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절개홈(도 5의 '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연결구(400)는 상기 절개홈(112)의 형성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캐스터(130)는 상기 4개의 다리봉(120) 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등판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힌지연결구(400)와 일체가 되도록 조립되고, 사용자의 등으로 미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틸팅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틸팅 범위는 상기 힌지연결구(400)의 틸팅 범위와 동일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의 좌판에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에 육체적인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상체를 등판지지 프레임(140)에 밀착시키고 뒤로 젖히면, 상체의 체중이 등판지지 프레임(140)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등이 뒤쪽을 향해 제쳐지면서 등판지지 프레임(140)이 지지봉(110)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만큼 뒤로 틸팅하게 된다.
상기 팔걸이 프레임(150)의 일단은 상기 지지봉(11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팔걸이 프레임(150)의 타단은 상기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중간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팔걸이 프레임(150)은 상기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틸팅과 함께 양단부가 각각 회동작동하게 된다.
상기 토션부는 상기 지지봉(110)의 양측 내부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부는 토션바(210), 토션고무(220), 금속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션바(210)는 상기 지지봉(110)의 내부 중앙 부분을 지나도록 구비되고, 상기 토션고무(220)는 상기 토션바(210)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전토크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금속링(230)은 토션고무(22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토션바(210), 토션고무(220),금속링(230)은 모두 일체가 되어 작동하게 되며, 예를 들어, 상기 토션고무(220)의 중앙측에 일체로 상기 토션고무(220)와 일체로 구성된 사각파이프(215)의 내측으로 상기 토션바(210)의 일측이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토션고무(220)의 외주에 상기 금속링(230)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봉(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크조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에는 상기 토크조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가 각각 체결되며, 이하에서 토크조절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토크조절부는 상기 토션고무(220)에서 발생되는 회전토크의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설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 복수의 조절홀(330a, 330b, 330c),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은 상기 지지봉(110)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110)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고정홀(310a), 제2 고정홀(310b), 제3 고정홀(31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구(320a, 320b, 320c)가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산(도 6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조절홀(330a, 330b, 330c)은 상기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금속링(230)에 형성되되, 상기 금속링(23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조절홀(330a, 330b, 330c)은 상기 금속링(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기 제1 고정홀(310a)에 대응하는 제1 조절홀(330a), 상기 제2 고정홀(310b)에 대응하는 제2 조절홀(330b), 상기 제3 고정홀(310c)에 대응하는 제3 조절홀(33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조절홀(330a)은 상기 제1 체결구(320a)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홀(330b)은 상기 제2 체결구(320b)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조절홀(330c)은 상기 제3 체결구(320c)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고, 상기 제3 조절홀(330c)의 형성 길이는 상기 제2 조절홀(330b)의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절홀(330b)은 상기 제2 체결구(320b)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체결구(320a)의 체결해제 시 상기 토션고무(220)의 회전토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조절홀(330c)은 상기 제3 체결구(320c)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체결구(320a)와 제2 체결구(320b)의 체결해제 시 상기 토션고무(220)의 회전토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홀(310a)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1 조절홀(330a)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1 체결구(320a), 상기 제2 고정홀(310b)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2 조절홀(330b)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2 체결구(320b), 상기 제3 고정홀(310c)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3 조절홀(330c)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3 체결구(32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310a, 310b, 310c)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체결되기 위한 숫나사산(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에 형성된 숫나사산은 상기 복수의 조절홀(330a, 330b, 330c)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의 나사산 부분의 골직경(d2)과 상기 복수의 체결구(320a, 320b, 320c)의 조절홀에 대응하는 원통형 부분의 직경(d1)이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연결구(400)는 힌지부(410)와 암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410)는 상기 지지봉(110)의 단부에 상기 절개홈(112)의 형성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과 함께 그 내측에 상기 토션바(210)의 타측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암부(420)는 상기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하단부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으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등판지지 프레임(140)이 후방으로 틸팅 시 상기 암부(420)가 함께 틸팅되어 상기 토션바(2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각 모드 별 설정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① 성인 남성용 모드(도 6의 (a))
성인 남성용 모드는, 상기 제1 체결구(320a)가 상기 제1 고정홀(310a)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1 조절홀(330a)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체결구(320b)가 상기 제2 고정홀(310b)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2 조절홀(330b)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체결구(320c)가 상기 제3 고정홀(310c)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3 조절홀(330c)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이다.
성인 남성용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체결구(320a)에 의해 상기 금속링(23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며, 상기 토션고무(220)의 회전토크가 가장 강한 힘으로 작용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틸팅 각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등판지지 프레임(140)을 틸팅시키는 경우, 강한 힘을 필요로 한다.
②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도 6의 (b))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는, 상기 제1 체결구(320a)가 상기 제1 고정홀(310a)에서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체결구(320b)가 상기 제2 고정홀(310b)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2 조절홀(330b)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체결구(320c)가 상기 제3 고정홀(310c)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3 조절홀(330c)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상태이다. 즉, 성인 남성용 모드에서 상기 제1 체결구(320a)만 분리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성인 남성용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구(320a)를 분리하여 빼내는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20a)의 단부가 상기 제1 조절홀(330a)에서 빠짐과 동시에 상기 토션고무(220)에 축적되어 있던 회전토크에 의해 상기 금속링(230)이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링(230)은 상기 제2 조절홀(330b)의 타측이 상기 제2 체결구(320b)의 단부에 닿아 지지될 때까지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체결구(320b)의 전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경우라면, 상기 금속링(230)의 빠른 회전에 의해 제2 체결구(320b)의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변형이나 파손되어 향후 어린이용 모드로 조절하기 위해 제2 체결구(320b)를 회전시켜 배출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체결구(320b)는 상기 제2 조절홀(330b)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성인 남성용 모드로 설정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토션고무(220)의 회전토크가 작아진 상태가 되며,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틸팅 각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등판지지 프레임(140)을 틸팅시키는 경우, 성인 남성용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필요로 한다.
③ 어린이용 모드(도 6의 (c))
어린이용 모드는, 상기 제1 체결구(320a)가 상기 제1 고정홀(310a)에서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체결구(320b)가 상기 제2 고정홀(310b)에서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이며, 상기 제3 체결구(320c)가 상기 제3 고정홀(310c)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3 조절홀(330c)의 타측에 위치한 상태이다. 즉,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에서 상기 제2 체결구(320b)가 더 분리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구(320b)를 분리하여 빼내는 경우, 상기 제2 체결구(320b)의 단부가 상기 제2 조절홀(330b)에서 빠짐과 동시에 상기 토션고무(220)에 축적되어 있던 회전토크에 의해 상기 금속링(230)이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링(230)은 상기 제3 조절홀(330c)의 타측이 상기 제3 체결구(320c)의 단부에 닿아 지지될 때까지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3 체결구(320c)의 전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경우라면, 상기 금속링(230)의 빠른 회전에 의해 제3 체결구(320c)의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변형이나 파손되어 향후 유지보수를 위해 제3 체결구(320c)를 회전시켜 배출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체결구(320c)는 상기 제3 조절홀(330c)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어린이용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로 설정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토션고무(220)의 회전토크가 더욱 작아진 상태가 되며,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틸팅 각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등판지지 프레임(140)을 틸팅시키는 경우,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판지지 프레임(140)의 틸팅 각도 범위(α°) 내에서 사용자가 등판지지 프레임(140)을 틸팅시키는 경우에 필요한 힘의 크기는 '성인 남성용 모드 > 노약자 및 여성용 모드 > 어린이용 모드'인 관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지지프레임 110:지지봉
112:절개홈 120:다리봉
130:캐스터 140:등판지지 프레임
150:팔걸이 프레임 200:토션부
210:토션바 215:사각파이프
220:토션고무 230:금속링
300:토크조절부 310a:제1 고정홀
310b:제2 고정홀 310c:제3 고정홀
320a:제1 체결구 320b:제2 체결구
320c:제3 체결구 330a:제1 조절홀
330b:제2 조절홀 330c:제3 조절홀
400:힌지연결구 410:힌지부
420:암부

Claims (7)

  1. 좌판 하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구비된 토션바, 상기 토션바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전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토크가 축적된 토션고무, 상기 토션고무의 외주를 감싸는 금속링을 포함하는 토션부;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홀,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체결된 복수의 체결구, 상기 복수의 체결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금속링에 형성되되 상기 금속링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토크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토션바의 타측에 결합된 힌지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홀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고정홀, 제2 고정홀, 제3 고정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절홀은 상기 금속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는 제1 조절홀, 상기 제2 고정홀에 대응하는 제2 조절홀, 상기 제3 고정홀에 대응하는 제3 조절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구는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1 조절홀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1 체결구,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2 조절홀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2 체결구, 상기 제3 고정홀을 관통체결하여 상기 제3 조절홀에 단부가 위치하는 제3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조절홀은 상기 제1 체결구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홀은 상기 제2 체결구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조절홀은 상기 제3 체결구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조절홀은 상기 제2 체결구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체결구의 체결해제 시 상기 토션고무에 축적된 회전토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조절홀은 상기 제3 체결구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의 체결해제 시 상기 토션고무에 축적된 회전토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조절홀의 형성 길이는 상기 제2 조절홀의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구가 상기 제1 고정홀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1 조절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체결구가 상기 제2 고정홀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2 조절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체결구가 상기 제3 고정홀에 관통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3 조절홀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구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토션고무에 축적되어 있던 회전토크에 의해 상기 제2 조절홀의 타측이 상기 제2 체결구의 단부에 닿아 지지될 때까지 상기 금속링이 회전하고,
    상기 제1 체결구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구가 더욱 분리됨에 따라 상기 토션고무에 축적되어 있던 회전토크에 의해 상기 제3 조절홀의 타측이 상기 제3 체결구의 단부에 닿아 지지될 때까지 상기 금속링이 회전하며,
    상기 고정홀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조절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숫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 틸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나사산 부분의 골직경과 상기 체결구의 조절홀에 대응하는 부분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 틸팅장치.
KR1020180115632A 2018-09-28 2018-09-28 등판 틸팅장치 KR10197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32A KR101975760B1 (ko) 2018-09-28 2018-09-28 등판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32A KR101975760B1 (ko) 2018-09-28 2018-09-28 등판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760B1 true KR101975760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632A KR101975760B1 (ko) 2018-09-28 2018-09-28 등판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259A (ko)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763159B1 (ko) * 2017-06-12 2017-08-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259A (ko)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763159B1 (ko) * 2017-06-12 2017-08-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US7407229B1 (en) Reclining rocking chair
US20050140186A1 (en) Chair with a writing tablet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20110039729A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US20090146468A1 (en) Reclining Lounge Chair
WO2023197482A1 (zh) 一种具备弹性锁止功能的腰托座椅
AU2001257455A1 (en) Wheelchair having a double turnbuckle height adjustment
KR20200003988A (ko) 틸팅 의자
KR20130019549A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975760B1 (ko) 등판 틸팅장치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0829180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102129610B1 (ko) 의자용 틸팅 등받이와 팔걸이 조립체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KR200424403Y1 (ko) 등받이 조절 및 볼바퀴가 달린 의자
KR200490892Y1 (ko) 체압 연동형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KR20180000241A (ko) 의자용 헤드 각도조절장치
KR101912911B1 (ko)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US6739666B2 (en) Chair with advanceable seat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101495325B1 (ko)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JP2020058759A (ja) 椅子
KR102327800B1 (ko)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