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325B1 -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325B1
KR101495325B1 KR20140148095A KR20140148095A KR101495325B1 KR 101495325 B1 KR101495325 B1 KR 101495325B1 KR 20140148095 A KR20140148095 A KR 20140148095A KR 20140148095 A KR20140148095 A KR 20140148095A KR 101495325 B1 KR101495325 B1 KR 10149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ckrest
elastic
coupl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식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디에스피
Priority to KR2014014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좌판이 설치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형성되어 좌판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결합부재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축과, 상기 끼움축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삽입홈이 일측에 형성된 결속구로 구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은 링형상의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2결속홈으로 이루어진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제1삽입홈에 대향되도록 제2홈부와 제1, 2작동홈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을 형성하여 결속구에 밀착배치되는 작동구를 양측에 구성한 등받이; 상기 고정결합부와 등받이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볼트축; 상기 볼트축이 내주에 위치되도록 고정결합부와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2홈부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1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링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결속홈과 제2작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2탄성돌기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에 전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자동조절되되, 상기 판스프링에 구성된 제1탄성돌기의 폭은 탄성링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탄성돌기의 폭은 탄성링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탄성돌기의 내부에는 제1탄성돌기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제1, 2탄성돌기가 탄성링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돌기가 끼워지는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는 단턱이 각각 더 포함구성되는 것을 통해 상기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의 깊이가 제2탄성돌기가 끼워지는 제2결속홈 및 제2작동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A structure to control angle of the back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 및 설치를 간단히 하여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탄성력을 가진 판스프링의 견고한 설치를 손쉽게 이루어 등을 기대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고, 마개 또는 팔걸이를 정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팔걸이에 의한 결합부재의 견고성을 높여 과도한 압력 발생 시에도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자는 사무 또는 회의를 할 때에 편하게 앉아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의자에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석감을 가질 수 있도록 등받이가 설치되며, 이러한 등받이의 각도조절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추를 지지해주는 의자는 사용자의 안락함은 물론 요추의 건강을 위해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 가운데 대한민국특허청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042호인 "등받이의 각도가 변하는 의자 구조체"는 2 개의 대칭되는 y 모양의 측판과 연장판 및 복수의 연결 막대로 구성되는 의자의 뼈대에, 지지판을 매개로 축 막대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축 막대와 등받이의 축 구멍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가 변하는 의자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등받이의 각도가 변하는 의자 구조체는 등판이 축막대를 중심으로 단순히 회전하는 기능을 가지는 좌식의자이므로 사용자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중에 의해 등판 위치가 중력방향으로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원위치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시에 등판의 회전각도는 거의 180도에 가깝고 등판이 그네처럼 흔들리므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공보 10-1074020호와 같은 "등판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의자"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등판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의자는 등판의 기울기 조절을 이루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에 따라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하여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판의 지지가 등판지지대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지속적으로 과도한 힘이 전해졌을 시, 상기 등판지지대가 훼손되어 등판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등받이가 판스프링 및 볼트축을 통해 결합부재에 끼워지는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설치를 간단히 하여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의 고탄성력에 의해 등을 기대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제1탄성돌기가 끼워지는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 단턱이 각각 더 포함구성되는 것을 통해, 탄성링을 제1, 2홈부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폭이 다르게 형성된 제1, 2탄성돌기 모두를 제1, 2결속홈의 단턱 및 제1, 2작동홈의 면에 모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스프링의 견고한 설치를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의 탄성작동이 원활해져 좌판에 착석하여 등을 기대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결속구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고정단을 이용함으로써 마개 또는 팔걸이를 정 위치에 쉽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팔걸이의 타측을 좌석부의 지지다리에 고정결합하는 것을 통해 고정결합부와 결합부재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받이에 과도한 압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결합부재가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판이 설치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형성되어 좌판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결합부재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축과, 상기 끼움축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삽입홈이 일측에 형성된 결속구로 구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은 링형상의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2결속홈으로 이루어진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제1삽입홈에 대향되도록 제2홈부와 제1, 2작동홈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을 형성하여 결속구에 밀착배치되는 작동구를 양측에 구성한 등받이; 상기 고정결합부와 등받이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볼트축; 상기 볼트축이 내주에 위치되도록 고정결합부와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2홈부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1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링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결속홈과 제2작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2탄성돌기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에 전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자동조절되되, 상기 판스프링에 구성된 제1탄성돌기의 폭은 탄성링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탄성돌기의 폭은 탄성링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탄성돌기의 내부에는 제1탄성돌기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제1, 2탄성돌기가 탄성링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돌기가 끼워지는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는 단턱이 각각 더 포함구성되는 것을 통해 상기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의 깊이가 제2탄성돌기가 끼워지는 제2결속홈 및 제2작동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등받이가 판스프링 및 볼트축을 통해 결합부재에 끼워지는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 및 설치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의 고탄성력에 의해 등을 기대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제1탄성돌기가 끼워지는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 단턱이 각각 더 포함구성되는 것을 통해, 탄성링을 제1, 2홈부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폭이 다르게 형성된 제1, 2탄성돌기 모두를 제1, 2결속홈의 단턱 및 제1, 2작동홈의 면에 모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판스프링의 견고한 설치를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의 탄성작동이 원활해져 좌판에 착석하여 등을 기대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결속구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고정단을 이용함으로써 마개 또는 팔걸이를 정 위치에 쉽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팔걸이의 타측을 좌석부의 지지다리에 고정결합하는 것을 통해 고정결합부와 결합부재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등받이에 과도한 압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결합부재가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등받이와 마개가 결합된 고정결합부를 좌석부의 결합부재에 끼워넣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결합부와, 등받이와, 볼트축과, 판스프링과, 마개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등받이와 팔걸이가 결합된 고정결합부를 좌석부의 결합부재에 끼워넣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결합부와, 등받이와, 볼트축과, 판스프링과, 팔걸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고정결합부와 등받이와 판스프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결합부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등받이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판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등받이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받이(30)에 등을 기댐에 따라 등받이(30)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끼도록 하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좌석부(10)와,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와, 볼트축(40)과, 판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좌석부(10)와,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와, 볼트축(40)과, 판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좌석부(1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통상의 구성으로, 좌판(11)이 설치된 지지다리(13)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13)는 좌판(11)을 지면의 상측으로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으로,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4개의 다리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다리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하여 통상의 바퀴(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석부(10)에는 지지다리(13)에 형성되어 좌판(11)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결합부재(19)는 지지다리(13)에 결합 또는 용접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상기 지지다리(13)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부재(19)의 상부에는 고정결합부(20)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홈(19a)이 형성된다.
둘째, 고정결합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석부(10)의 결합부재(19)에 형성된 홈(19a)에 끼워져 설치되어 등받이(30)를 본 발명에 회동되도록 연결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결합부재(19)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결합부(20)는 결합부재(19)의 홈(19a)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축(21)과, 상기 끼움축(2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속구(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결속구(27)의 일측에는 판스프링(50)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삽입홈(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27)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26)은 등받이(30)의 회동시 판스프링(50)이 걸리는 것에 의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결속구(27)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홈부(23)와, 상기 제1홈부(23)의 외측방향으로 제1홈부(23)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속홈(24)과, 상기 제1홈부(23)의 외측방향으로 제1홈부(23)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결속홈(24)과 직각 또는 직각 내외로 형성되는 예각이나 둔각의 제2결속홈(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결속구(27)의 중심부분은 볼트축(40)을 축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된다.
셋째, 등받이(30)는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축(40) 의해 상기 고정결합부(20)의 결속구(27)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등받이(3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판스프링(50)을 가압하면서 볼트축(4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고정결합부(20)의 결속구(27)에 대응되는 작동구(37)를 양측에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30)의 양측에 형성된 작동구(37)가 결속구(27)에 각각 밀착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등받이(30)에 구성된 작동구(37)에는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부(27)의 제1삽입홈(26)에 대향되는 제2삽입홈(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작동구(37)에는 제2홈부(33)와 제1, 2작동홈(34, 35)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홈(36)에 판스프링(50)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결속구(27)에 밀착되는 작동구(37)는 그 일부가 결속구(27)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구(27)의 중심부분에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등받이(30)에 구성된 작동구(37)의 중심부분에는 홈에 대응되는 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37)에 형성된 돌기의 중심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홈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의 축 결합을 이루는 볼트축(40)의 끝부분이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볼트축(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구(27)와 등받이(30)의 중심에 축 결합됨으로써 등받이에 압력이 가해졌을 시 고정결합부(20)의 결속구(27)에 밀착설치된 등받이(30)를 볼트축(40)을 중심으로 회동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2, 도 4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구(27)의 중심을 관통하여 작동부(37)의 나사홈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결합이 이루어지면, 볼트축(40)에 형성된 머리부가 결속구(27)의 타측에 밀착되어 빠짐이 방지되므로, 고정결합부(2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을 이루는 등받이(30)가 볼트축(4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진다.
다섯째, 판스프링(50)은 도 2 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고정결합부(20)의 제1삽입홈(26)과 등받이(30)의 제2삽입홈(36)에 각각 끼워지도록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 사이에 배치되어, 등받이(3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등받이(30)를 탄성지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등받이(3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볼트축(40)이 내주에 위치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제1삽입홈(26)의 제1홈부(23)와 제2삽입홈(36)의 제2홈부(33)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링(53)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53)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탄성링(53)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2탄성돌기(54, 55)가 직각 또는 직각 내외로 형성되는 예각이나 둔각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제1탄성돌기(54)는 일측과 타측이 제1삽입홈(26)의 제1결속홈(24)과 제2삽입홈(36)의 제1작동홈(34)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돌기(55)는 일측과 타측이 제1삽입홈(26)의 제2결속홈(25)과 제2삽입홈(36)의 제2작동홈(35)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30)에 압력이 전해져 등받이(30)가 볼트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좌석부(10)의 결합부재(19)에 끼워진 고정결합부(20)에 의해 판스프링(50)이 압축되어 탄성복귀력을 가지게 되므로, 등받이(3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등받이(30)의 각도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판스프링(5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등받이(30)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50)에 구성되어 일측과 타측이 제1결속홈(24)과 제1작동홈(34)에 각각 끼워지는 제1탄성돌기(54)의 폭이 탄성링(53)의 폭(D0)보다 좁게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이 제2결속홈(25)과 제2작동홈(35)에 각각 끼워지는 제2탄성돌기(55)의 폭(D3)은 탄성링(53)의 폭(D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은 형성된 판스프링(5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탄성돌기(55)의 내부에는 제1탄성돌기(54)가 통과하는 관통홀(55a)이 더 포함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2탄성돌기(54, 55)가 탄성링(53)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스프링(50)이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구(27)의 제1삽입홈(26)과 등받이(30)에 구성된 작동구(37)의 제2삽입홈(36)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탄성돌기(54)가 끼워지는 제1결속홈(24)과 제1작동홈(34)에는 단턱(24a, 34a)이 각각 더 포함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단턱에 의하면, 제1결속홈(24)과 제1작동홈(34)의 깊이가 제2탄성돌기(55)가 끼워지는 제2결속홈(25) 및 제2작동홈(35)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2탄성돌기(55)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1탄성돌기(54)를 보완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50)의 일측과 타측이 결속구(27)의 제1삽입홈(26)과 작동구(37)의 제2삽입홈(36)에 모두 밀착되어 설치되는 작용이 이루어져 판스프링(50)이 견고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50)의 탄성작동이 더욱 원활해져 좌판(11)에 착석한 상태로 등을 기대는 사용자의 편안함이 더욱 증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성된 고정결합부(20)에는 마감을 위함 마개(60)의 설치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위한 팔걸이(70)를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구(27)의 타측에 결합홈(28)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속구(27)의 타측에 결합홈(28)이 형성될 때에는, 상기 결합홈(28)의 내주에 고정단(2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설치되는 마개(60) 또는 팔걸이(70)의 견고한 결합은 물론, 위치고정을 보다 편리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결합홈(28)의 내주에 고정단(29)이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마개(60) 또는 팔걸이(70)에 고정단(29)에 대응되는 끼움단(8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7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결속구(27)의 결합홈(28)에 결합되고, 타측이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좌석부(10)의 지지다리(13)에 고정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결속구(27)의 결합홈(28)에 결합되는 팔걸이(70)의 일측은 팔걸이(70)가 고정결합부(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볼트축(40)을 이용하여 상기 팔걸이(70)를 동시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구(27)에 결합되는 팔걸이(70)의 일측에는 머리부를 제외한 볼트축(40)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팔걸이(70)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팔을 걸거나, 착석시 힘을 지탱하는데 사용하여 편리한 이용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걸이(70)를 통해 고정결합부(20)가 결합된 결합부재(19)가 보조 지지되므로, 상기 결합부재(19)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등받이(30)에 과도한 압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결합부재(19)가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구(27)의 제1삽입홈(26)에 판스프링(50)의 일측을 끼워 넣은 다음, 등받이(30)에 구성된 작동부(37)의 제2삽입홈(36)에 판스프링(60)의 타측을 끼워 넣는 것으로 등받이(30)의 양측에 고정결합부(20)를 각각 밀착시켜 결합배치하고, 좌석부(10)의 결합부재(19)에 형성된 홈(19a)에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끼움축(21)을 각각 끼워 넣는 것으로, 좌석부(10)와 고정결합부(20)의 결합을 완료한다.
그 후에는, 팔걸이(70)에 형성된 끼움단(80)을 고정결합부(20)에 형성된 결합홈(28)의 고정단(29)에 대응되게 하여 상기 고정결합부(20)에 팔걸이(70)의 일측을 결합시킴으로써 팔걸이(70)의 위치고정을 이룬 다음, 팔걸이(70)의 타측을 좌석부(10)에 구성된 지지다리(13)에 볼트결합하고, 이 후, 고정결합부(20)에 결합된 팔걸이(70)의 일측에 볼트축(40)을 삽입시켜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 및 팔걸이(70)를 축 결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100)를 가진 의자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은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석부(10)의 좌판(11)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30)에 등을 기대게 되면,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판스프링(50)이 가압되면서 등받이(30)가 볼트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판스프링(50)이 고탄성력을 가지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30)가 너무 쉽게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편안한 착석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좌석부(10)의 지지다리(13)와 고정결합부(20)의 결속구(27)를 연결하는 팔걸이(70)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 또는 일어서는데 힘을 지탱하거나, 착석한 상태에서 팔을 걸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19)를 보조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등받이(30)에 과도한 압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결합부재(19)가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설치가 간단하므로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도 있으며, 견고성에 의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도 있다.
10 : 좌석부 11 : 좌판 13 : 지지다리 19 : 결합부재
20 : 고정결합부 21 : 끼움축 23 : 제1홈부 24, 25 : 제1, 2결속홈 24a : 단턱 26 : 제1삽입홈 27 : 결속구 29 : 고정단
30 : 등받이 33 : 제2홈부 34, 35 : 제1, 2작동홈 34a : 단턱 36 : 제2삽입홈 37 : 작동구
40 : 볼트축
50 : 판스프링 53 : 탄성링 54, 55 : 제1, 2탄성돌기 55a : 관통홀
60 : 마개 70 : 팔걸이 80 : 끼움단
100 :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Claims (5)

  1. 좌판(11)이 설치된 지지다리(13)와, 상기 지지다리(13)에 형성되어 좌판(11)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9)로 이루어진 좌석부(10);
    상기 좌석부(10)의 결합부재(19)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축(21)과, 상기 끼움축(21)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삽입홈(26)이 일측에 형성된 결속구(27)로 구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26)은 링형상의 제1홈부(23)와 상기 제1홈부(23)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2결속홈(24, 25)으로 이루어진 고정결합부(20);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제1삽입홈(26)에 대향되도록 제2홈부(33)와 제1, 2작동홈(34, 35)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36)을 형성하여 결속구(27)에 밀착배치되는 작동구(37)를 양측에 구성한 등받이(30);
    상기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볼트축(40);
    상기 볼트축(40)이 내주에 위치되도록 고정결합부(20)와 등받이(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2홈부(23, 33)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링(53)과, 상기 탄성링(53)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결속홈(24)과 제1작동홈(34)에 각각 끼워지는 제1탄성돌기(54)와, 상기 탄성링(53)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결속홈(25)과 제2작동홈(35)에 각각 끼워지는 제2탄성돌기(55)로 이루어진 판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30)에 전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등받이(30)의 각도가 자동조절되되,
    상기 판스프링(50)에 구성된 제1탄성돌기(54)의 폭(D1)은 탄성링(53)의 폭(D0)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탄성돌기(55)의 폭(D3)은 탄성링(53)의 폭(D0)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탄성돌기(55)의 내부에는 제1탄성돌기(54)가 통과하는 관통홀(55a)이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제1, 2탄성돌기(54, 55)가 탄성링(53)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돌기(54)가 끼워지는 제1결속홈(24)과 제1작동홈(34)에는 단턱(24a, 34a)이 각각 더 포함구성되는 것을 통해 상기 제1결속홈(24)과 제1작동홈(34)의 깊이가 제2탄성돌기(55)가 끼워지는 제2결속홈(25) 및 제2작동홈(35)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20)에 구성된 결속구(27)의 타측에는 마개(60) 또는 팔걸이(70)가 결합되는 결합홈(28)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7)에 구성된 결합홈(28) 내주에는 마개(60) 또는 팔걸이(70)의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단(29)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개(60) 또는 팔걸이(70)에는 상기 고정단(29)에 대응되는 끼움단(8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7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결속구의 결합홈(28)에 결합되고, 타측이 좌석부(10)의 지지다리(13)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20140148095A 2014-10-29 2014-10-29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10149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8095A KR101495325B1 (ko) 2014-10-29 2014-10-29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8095A KR101495325B1 (ko) 2014-10-29 2014-10-29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325B1 true KR101495325B1 (ko) 2015-03-03

Family

ID=5302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8095A KR101495325B1 (ko) 2014-10-29 2014-10-29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98A (ko) * 2020-03-12 2021-09-27 이영수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677A (ko) *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032981B1 (ko) * 2009-10-12 2011-05-09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US20120274112A1 (en) * 2009-07-25 2012-11-01 Wen-Shan Ko Chair with pre-stressing structure
KR101355473B1 (ko) * 2012-03-12 2014-01-29 주식회사 체어로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677A (ko) *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US20120274112A1 (en) * 2009-07-25 2012-11-01 Wen-Shan Ko Chair with pre-stressing structure
KR101032981B1 (ko) * 2009-10-12 2011-05-09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355473B1 (ko) * 2012-03-12 2014-01-29 주식회사 체어로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98A (ko) * 2020-03-12 2021-09-27 이영수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KR102376511B1 (ko) * 2020-03-12 2022-03-17 이영수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KR101490435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CN110430787B (zh) 座椅
GB2482594A (en) Adjustable canopy mechanism and an infant carrier device having the same
TWI681739B (zh) 彈力蹺蹺板式的自由傾仰機構及自由調節轉椅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JP2019058660A (ja) 背もたれ後方傾斜の弾力支持装置
KR101902304B1 (ko) 의자 설치 간격 호환성을 구비한 의자 시트용 브라켓
US5762399A (en) Inclination positioning device for rocking type chairs
KR20140094938A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20200003988A (ko) 틸팅 의자
KR101495325B1 (ko)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JP5479801B2 (ja) 背凭れの支持構造
KR100829180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0459987B1 (ko) 보조등받이가 설치된 의자
KR102129610B1 (ko) 의자용 틸팅 등받이와 팔걸이 조립체
KR101476621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JP2008229315A (ja) 荷重分散可能な回転椅子の脚部構造
KR101486333B1 (ko) 사무용 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2391758B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장치
CN220109436U (zh) 一种腰靠调节装置
KR20160025195A (ko) 흔들의자로 변형되는 의자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